KR101553784B1 -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 Google Patents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784B1
KR101553784B1 KR1020140174724A KR20140174724A KR101553784B1 KR 101553784 B1 KR101553784 B1 KR 101553784B1 KR 1020140174724 A KR1020140174724 A KR 1020140174724A KR 20140174724 A KR20140174724 A KR 20140174724A KR 101553784 B1 KR101553784 B1 KR 10155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rollers
running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오
Original Assignee
신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오 filed Critical 신현오
Priority to KR102014017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784B1/ko
Priority to CN201580066905.1A priority patent/CN106999749B/zh
Priority to CA2969835A priority patent/CA2969835C/en
Priority to US15/533,996 priority patent/US10299988B2/en
Priority to JP2017530722A priority patent/JP6713996B2/ja
Priority to PCT/KR2015/013354 priority patent/WO2016093583A1/ko
Priority to EP15866934.1A priority patent/EP3231483B1/en
Priority to DK15866934.1T priority patent/DK3231483T3/da
Priority to ES15866934T priority patent/ES2765492T3/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6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freely rotating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은, 본체의 내부 전·후에 설치되는 전·후 롤러 및 이들 전·후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런닝벨트 및 이 런닝벨트와 함께 궤도 순환을 이루는 지압석을 구비한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후롤러의 각 일측으로 설치되는 제1,2롤러 및 이들 제1,2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것으로 상기 런닝벨트의 하측에 그 상면이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지압석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홈부를 형성한 탄성을 갖는 발포재로 된 엠보싱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은, 무한 궤도형으로 순환되는 런닝벨트의 하측에 탄성재로 되어 무한 궤도형으로 순환되는 엠보싱 벨트를 부가 배치하는 구성을 통해 지압석들이 곡선 선회구간에서 급격하게 쏠림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런닝벨트 위에 놓여지는 지압석들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엠보싱 벨트는 탄성재로 되어 있어 오목한 홈으로 지압석들이 완충 수용됨에 따라 지압석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보상하여 이로 인한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부딪혀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가 런닝벨드 상의 지압석 들을 밟았을 때 체중이 작용하는 지압석들은 주변으로 자연스럽게 분산 유동됨에 따라 이용자의 발바닥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이용시에도 통증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고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Foot Reflexology Pressure treatment walking machine}
본 발명은 무한궤도형 런닝벨트를 따라 지압석들이 순환 이동되는 워킹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을 갖는 엠보싱 벨트를 부가 구성하여 지압석들이 순환이동 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분산 배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곡선코너 구간에서 지압석들간의 무리한 마찰발생을 보상함으로써 안정된 궤도순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런닝머신은 무한궤도형 런닝벨트를 선회시켜 이용자가 제자리에서 달리거나 걸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런닝벨트의 선회 속도와 경사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이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 조건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심폐기능과 다리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유산소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런닝머신은 크게 전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전동형 런닝머신과, 런닝벨트의 기울기를 이용한 수동형 런닝머신으로 대별되며, 상기 전동형 런닝머신은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가 런닝벨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용자가 런닝벨트의 이동 속도에 맞추어 걷거나 달리는 방식이며, 수동형 런닝머신은 자유 회전되는 두 개의 롤러를 앞뒤로 설치한 뒤 이들을 런닝벨트로 감은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앞쪽이 뒤쪽에 비해 높은 위치를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이용자가 런닝벨트 위에 올라서면 자중에 의해 런닝벨트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런닝머신은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해 런닝벨트의 궤도선회를 증속하거나 경사도 조절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나, 이용자가 평탄한 런닝벨트 위에서 달리기 운동 이외의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참고적으로 발바닥에는 인체의 각 기관과 상응된 반사신경이 밀집되어 있는데 이를 반사구라 하며, 이러한 반사구는 인체의 손과 발에 70% 정도의 말초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반사구에 지압이나 마사지를 하게 되면 말초신경의 반사원리와 혈액 순환원리에 의해 피로가 풀리는 효과가 있다.
한편, 런닝머신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런닝머신의 런닝벨트에 발바닥을 지압하는 지압돌기를 구비시켜, 이용자가 걷거나 달리는 동작시 발바닥의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지압식 런닝벨트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9-0035082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39175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지압식 런닝벨트는 모터와 회전축을 개재하여 전·후 이송동작을 수행하는 런닝머신의 런닝벨트상에 다수의 지압돌기를 일체로 돌출시켜, 상기 런닝벨트와 일체로 전,후 이송토록 되는 것으로, 이용자는 상기 런닝머신의 런닝벨트상에서 맨발로 걷기 또는 달리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런닝벨트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오목, 볼록한 요철형의 수지 사물로 구성된 지압돌기를 발로 밟으면서 발반사(足反射, foot reflexology) 지압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런닝머신은 런닝벨트의 표면에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는 지압돌기가 이용자의 발바닥과 단순히 접촉하여 지압효과를 얻는 것이어서, 비교적 몸무게가 가벼운 이용자는 큰 부담이 없는 반면 체중이 무거운 이용자의 경우에는 지압돌기가 발바닥을 강하게 누름에 따라 발바닥에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자칫 족저근막염이나 발바닥근막염 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8381호를 통해 개량된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지압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상기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지압장치는 런닝머신의 하부 양측에 모터와 연설된 구동롤러를 개재하여 런닝벨트가 전,후 이송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런닝벨트는, 그 표면으로 다수의 천연 자갈이 위치되어 상기 런닝벨트와 일체로 전,후 이송 가능토록되며, 상기 런닝벨트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천연 자갈의 이탈 방지를 위한 걸림턱이 각각 횡설되고, 상기 런닝벨트를 이송하는 구동롤러의 상측에는 상기 구동롤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표면에 완충부재가 착설된 압입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압입롤러는 인장롤러 및 가이드 롤러와 이송 벨트로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이송벨트는 런닝벨트 하측으로 천연 자갈을 이송토록 가이드 롤러를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지압장치는 천연자갈이 층을 형성하면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런닝벨트와 함께 궤도 선회를 이루는 것에 의해 이용자가 천연자갈을 밟았을 때 자갈들이 체중 분포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되어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발바닥에 과도한 접촉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해소하고 자연 상태의 천연자갈길을 걷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지압장치는 천연자갈 들을 궤도 선회시키기 위해 런닝벨트의 하부측에 밀착 접촉된 상태에서 연동 선회하는 이송벨트를 비롯하여 이 이송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롤러를 구성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94018호를 통해 ′지압 런닝머신′을 등록 받았으며, 상기 지압 런닝머신은 개방된 상면으로 런닝창이 관통된 커버판이 설치되는 본체 및 이 본체의 내부 전,후에 설치되는 전,후 롤러 및 이들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런닝벨트 및 이 런닝벨트와 함께 궤도 선회를 이루는 지압석을 구비한 지압 런닝머신에 있어서, 상기 런닝벨트는 내부에 지압석이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게 튜브 형상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바깥면의 중심이 좌,우로 벌어질 수 있게 분리되면서 분리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지퍼스트랩이 마련된 벨트체와; 상기 한 쌍의 지퍼스트랩이 인접하게 슬라이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런닝벨트의 분리된 부분을 형합시키는 부재로, 상기 지퍼스트랩을 따라 구비되되 런닝창에서 형합이 해제되게 단절된 지퍼레일과; 상기 주행창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지퍼스트랩이 서로 벌어지도록 이격 안내하여 상기 런닝벨트의 내부에 채워진 지압석을 노출되게 하는 확개 가이드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인 제안한 등록특허 제1194018호 역시 여전히 구조가 복잡하여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특히, 본 출원인이 제안한 상기 등록특허들 모두는 천연자갈 등으로 된 지압석이 외부로 상시 노출됨에 따라 운동 중 지압석이 외부로 탈락되어 유실되거나, 또는 이물이 지압석 들 사이로 유입됨에 따라 이로 인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0893호를 통해 ′지압 런닝머신′을 제안한바 있으며, 상기 지압 런닝머신은 본체의 내부 전·후에 설치되는 전·후 롤러 및 이들 전·후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런닝벨트 및 이 런닝벨트와 함께 궤도 순환을 이루는 지압석을 구비한 지압 런닝머신에 있어서, 상기 런닝벨트는, 이용자가 발로 밟는 바깥면을 형성하는 외부쉬트와, 상기 외부쉬트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쉬트와; 상기 외부쉬트와 내부쉬트의 양측 테두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면이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쉬트와 내부쉬트 사이에 지압석이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벨트 스트랩과; 상기 외부쉬트와 내부쉬트 사이에 복수 구비되어 궤도 순환시 지압석에 의한 처짐을 억제하는 처짐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등록특허 제1250893호는 외부시트에 의해 그 내측으로 지압석이 위치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이용자는 외부시트를 통해 지압석을 밟게 됨에 따라 이용자가 체감적으로 느끼는 지압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5082호, 2쪽, 청구항 1, 도면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175호, 3쪽, 청구항 1, 도면 1. 등록특허공보 제10-1038381호, 2쪽, 청구항 1, 도면 1. 등록특허공보 제10-1250893호, 2쪽, 청구항 1, 도면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지압석들을 노출 구비시키되 런닝벨트와 함께 순환 이동되는 엠보싱 벨트를 부가 구성하여 지압석들이 순환 이동되는 과정에서 지압석들 간의 과도한 마찰 발생을 억제하면서 균일하게 분산 배치되도록 하여 안정된 궤도순환을 보장하고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과 지압석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은, 본체의 내부 전·후에 설치되는 전·후 롤러 및 이들 전·후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런닝벨트 및 이 런닝벨트와 함께 궤도 순환을 이루는 지압석을 구비한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후롤러의 각 일측으로 설치되는 제1,2롤러 및 이들 제1,2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것으로 상기 런닝벨트의 하측에 그 상면이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지압석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홈부를 형성한 탄성을 갖는 발포재로 된 엠보싱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전 롤러와 후 롤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런닝벨트와 엠보싱벨트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순환 회전되게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 회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전 롤러와 후 롤러의 각 일측 상부에는 제3롤러와 제4롤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엠보싱벨트는 그 전·후단부가 상기 제1,2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제3롤러와 제4롤러에서 선회되게 회전 지지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2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엠보싱벨트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에 엠보싱벨트의 상면 처짐을 방지될 수 있게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처짐방지롤러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엠보싱벨트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발포재로 성형되는 것으로 삼각파형상 또는 반구형상 또는 다각형상의 볼록돌출부와 오목홈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지압석(3)은 천연자갈,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천연옥, 숯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된 조성물인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은, 무한 궤도형으로 순환되는 런닝벨트의 하측에 탄성재로 되어 무한 궤도형으로 순환되는 엠보싱 벨트를 부가 배치하는 구성을 통해 지압석들이 곡선 선회구간에서 급격하게 쏠림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런닝벨트 위에 놓여지는 지압석들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엠보싱 벨트는 탄성재로 되어 있어 오목한 홈으로 지압석들이 완충 수용됨에 따라 지압석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보상하여 이로 인한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부딪혀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가 런닝벨드 상의 지압석 들을 밟았을 때 체중이 작용하는 지압석들은 주변으로 자연스럽게 분산 유동됨에 따라 이용자의 발바닥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이용시에도 통증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고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런닝벨트의 내부에 채워지는 지압석 들은 천연 자갈을 비롯하여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천연옥, 숯 등의 성분을 포함한 인공 자갈 또는 세라믹 등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요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런닝벨트와 엠보싱벨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엠보싱 벨트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엠보싱 벨트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엠보싱 벨트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전제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측면에 이용자가 걷거나 달릴 수 있도록 주행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주행공간 상에 배치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복수의 지압석(3) 들이 배치되는 런닝벨트(3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런닝벨트(30)의 하측으로 구동원에 의해 무한궤도로 순환되게 구비되어 지압석(3)을 이송시키는 엠보싱벨트(50)로 이루어진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주행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1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베이스 프레임(11)의 상부면에 노출 구비되는 런닝벨트(30)와, 상기 런닝벨트(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엠보싱벨트(50) 그리고 상기 엠보싱벨트(5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처짐방지롤러(53) 및 엠보싱벨트(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55)를 포함하는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요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본체(10)의 베이스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원(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 회전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동하여 종동 회전하는 전 롤러(25) 및 후 롤러(26)와, 상기 전 롤러(25)와 후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런닝벨트(30)와, 상기 전 롤러(25)와 후 롤러(26)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롤러(35)와 제2롤러(36), 그리고 상기 전 롤러(25)와 후 롤러(26)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는 제3롤러(37)와 제4롤러(38)와, 상기 제1,2롤러(35,36) 및 제3,4롤러(37,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것으로 상기 런닝벨트(30)의 상면을 제외하고 그 전·후측면과 하면으로 배치되는 엠보싱벨트(50)와, 상기 엠보싱벨트(50)의 상·하면 사이의 공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엠보싱벨트(50)의상부면이 처침되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롤러(53)를 포함하는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1)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런닝벨트와 엠보싱벨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에는 좌·우측에 각각 전 롤러(25)와 후 롤러(26)가 배치되고, 이 전 롤러(25)와 후 롤러(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무한 궤도형으로 순환되는 런닝벨트(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런닝벨트(30)의 전·후측면부와 하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엠보싱벨트(50)가 배치되며, 이때의 엠보싱벨트(50)는 상기 전 롤러(25)의 상·하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3,1롤러(37,35) 및 상기 후 롤러(26)의 상·하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4,2롤러(38,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엠보싱 벨트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런닝벨트(30)의 전 롤러(25)와, 엠보싱벨트(50)의 제1롤러(35)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m)와 풀리벨트(v)로 연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때의 상기 런닝벨트(30)와 엠보싱벨트(50)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엠보싱 벨트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에는 삼각파형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돌출부(31)와, 이 볼록돌출부(31)에 연이어 형성되는 것으로 삼각파 형상으로 요입되는 것에 의해 지압석(3)이 수용 배치되는 오목홈부(33)로 이루어진 엠보싱벨트(5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서 엠보싱 벨트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복수의 볼록돌출부(31)와, 이들 볼록돌출부 사이에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오목홈부(33)로 이루어진 요철 구조의 엠보싱벨트(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엠보싱벨트(5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된 발포성 소재로 제공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1)은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내부에 전·후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요소인 전,후롤러(25,26)와, 이들 전,후롤러(25,26)를 권회하도록 구비되는 것에 의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런닝벨트(30)와, 상기 런닝벨트(3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반대 방향으로 순환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런닝벨트(30)와 함께 복수의 지압석(3)을 이동시키는 엠보싱벨트(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체(10)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이용자가 걷거나 뛸 수 있는 운동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전방 양측에서 수직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3)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3)의 상단 끝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조작 또는 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조작패널(1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이용자가 밟고 올라선 상태에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동작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받침요소로, 상면은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하면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발굽이 구비되거나 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한 바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3)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전방 양측에서 대략 수직하게 기립 배치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후술할 조작패널(15)이 장착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용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5)은 이용자가 런닝벨트(30)의 구동속도나 경사도 조절을 이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버튼이나 스위치로 이루어진 키패드와, 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0)는 공지의 런닝머신과 유사하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본체(10)는 후술할 제1롤러(35)와 제2롤러(36)를 기준으로 후술할 엠보싱벨트(5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엠보싱벨트(50)의 상면 처짐을 방지될 수 있게 폭 방향으로 처짐방지롤러(5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처짐방지롤러(53)는 상기 엠보싱벨트(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된다.
전,후 롤러(25,26)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11)의 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름 요소이다. 즉, 본체(10)의 수직프레임(13)을 기준으로 앞쪽에는 전 롤러(20)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전 롤러(20)의 후방측으로 간격을 두고 후 롤러(25)가 마찬가지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후 롤러(25,26)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 롤러(2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m)에 연결되어 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후 롤러(25)는 자유 회전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m)와 전 롤러(20)의 연결 구조는 체인이나 벨트로 연결되거나 또는 기어 교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벨트풀리(v)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전,후 롤러(25,26)의 구동 구조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며, 후술할 런닝벨트(30)를 순환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롤러의 형태나 설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런닝벨트(30)는 이용자가 밟고 걷거나 뛸 수 있는 받침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복수의 지압석(3)을 운반하는 요소로서, 상기 전 롤러(25)와 후 롤러(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무한궤도 형으로 순환 이동된다. 이러한 런닝벨트(30)는 공지의 런닝머신에 적용되는 런닝벨트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런닝벨트(30)의 상면에 놓여지는 복수의 지압석(3)은 이용자가 밟았을 때, 이용자의 발바닥에 지압 자극을 가할 수 있는 크기와 경도를 갖는 것으로, 천연자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고, 이외에도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천연옥, 숯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자갈크기로 성형한 인공자갈이나 세라믹볼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엠보싱벨트(50)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요소로, 상기 런닝벨트(30)의 하측에 배치되어 그 상면이 상기 런닝벨트(30)에 밀착되어 지압석(3)을 운반하는 운반요소이다.
이러한 엠보싱벨트(50)는 지압석(3)들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홈부(33)를 구비한 엠보싱 구조를 갖는 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돌출부(31)와 오목홈부(33)가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구조이며, 본 발명에서는 삼각파형상의 볼록돌출부(31)와 오목홈부(33)를 갖는 형태를 제안하였으나, 이외에도 반구형상이나 다각형상의 요철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엠보싱벨트(50)는 완충성과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 발포재로 성형되며, 이는 지압석(3)의 운반시 지압석(3)간의 마찰로 인한 깨짐현상이나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엠보싱벨트(50)는 복수의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 형으로 순환되게 지지되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롤러(35), 제2롤러(36) 그리고 제3롤러(37), 제4롤러(38)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상기 런닝벨트(30)를 순환되게 회전 지지하는 전 롤러(25)와 후 롤러(26)는 각각의 하부 일측으로 제1롤러(35)와 제2롤러(36)가 회전 가능하게 본체에 설치되는 구조이며, 상기 전 롤러(25)와 후 롤러(26)의 각각의 상부 일측으로는 제3롤러(37)와 제4롤러(38)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35), 제2롤러(36), 제3롤러(37), 제4롤러(38) 중 어느 하나는 구동모터(m)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롤러의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롤러(35)가 구동모터(m)와 벨트풀리(v)로 연결되어 구동회전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즉, 전 롤러(25)와 후 롤러(26) 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 상기 제1롤러(35)와 제2롤러(36) 중 어느 하나의 롤러는 상기 런닝벨트(30)와 엠보싱벨트(50)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순환 회전되게 구동모터(m)에 연결되는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는 전 롤러(25)와 제1롤러(35)가 각각 구동모터(m)에 벨트풀리로(v)로 연결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는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례로 제안한다.
한편, 상기 엠보싱벨트(50)는 전·후단부의 하면 양측 테두리측에 상기 본체(10)에 고정설치된 지지브라켓트(55)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지지브라켓트(55)는 상기 엠보싱벨트(50)를 비롯한 그 상부측에 위치되는 런닝벨트(30)가 처짐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지지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조작패널(15)에 제공되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구동모터(m)에 연결된 전 롤러(25)와 제1롤러(35)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동 회전을 이루고, 이에 상기 전 롤러(25)와 후 롤러(26)를 권회하는 형태로 구비된 런닝벨트(30)는 무한궤도로 선회 이동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롤러(35)의 구동 회전에 의해 제2롤러(36), 제3롤러(37), 제4롤러(38)를 권회하는 형태로 구비된 엠보싱벨트(50) 역시 무한궤도로 선회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런닝벨트(30)의 상면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지압석(3) 들이 올려져 있으므로 이용자는 상기 런닝벨트(30)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지압석(3) 들을 밟고 걷거나 낮은 속도로 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런닝벨트(30)의 상면에 놓여진 복수의 지압석(3)들은 상기 전 롤러(25)에서 후 롤러(26) 방향으로 이동된 뒤 상기 런닝벨트(30)의 후단부를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엠보싱벨트(50)의 후단부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엠보싱벨트(50)는 복수의 볼록돌출부(31)와 오목홈부(3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지압석(3)들은 자연스럽게 엠보싱벨트(50)의 오목홈부(33)로 수용 포집되어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가 밟는 것에 의해 국부적으로 쌓인 상태의 지압석들은 엠보싱벨트(50)의 각 오목홈부(33)로 진입하면서 균일하게 분산배치된다.
즉, 상기 런닝벨트(30)의 하면과 엠보싱벨트(5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지압석들은 각각 엠보싱벨트(50)이 오목홈부(33)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상기 런닝벨트(30)의 앞쪽 상면측으로 순환 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10 : 본체
25,26 : 전·후 롤러 30 : 런닝벨트
35,36,37,38 : 제1,2,3,4롤러 50 : 엠보싱벨트
31 : 볼록돌출부 33 : 오목홈부
53 : 처짐방지롤러 55 : 지지브라켓트
m : 구동모터 v : 벨트풀리

Claims (5)

  1. 본체의 내부 전·후에 설치되는 전·후 롤러 및 이들 전·후 롤러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런닝벨트 및 이 런닝벨트와 함께 궤도 순환을 이루는 것으로 천연자갈,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천연옥, 숯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된 조성물로 된 지압석을 구비한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에 있어서,
    상기 전·후롤러의 각 일측으로 설치되는 제1,2롤러(35,36) 및 이들 제1,2롤러(35,36)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것으로 상기 런닝벨트의 하측에 그 상면이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지압석(3)이 수용되는 복수의 오목홈부(33)를 형성한 탄성을 갖는 발포재로 된 엠보싱벨트(50)를 포함하되,
    상기 전 롤러(25)와 후 롤러(26)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롤러(35)와 제2롤러(36)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런닝벨트(30)와 엠보싱벨트(50)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순환 회전되게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 회전되고,
    상기 전 롤러(25)와 후 롤러(26)의 각 일측 상부에는 제3롤러(37)와 제4롤러(38)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엠보싱벨트(50)는 그 전·후단부가 상기 제1,2롤러(35,36)를 경유하여 상기 제3롤러(37)와 제4롤러(38)에서 선회되게 회전 지지되는 것으로 삼각파형상 또는 반구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된 볼록돌출부(31)와 오목홈부(33)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 발포재로 성형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제1,2롤러(35,36)를 기준으로 상기 엠보싱벨트(5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공간에 엠보싱벨트(50)의 상면 처짐을 방지될 수 있게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처짐방지롤러(53)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74724A 2014-12-08 2014-12-08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KR10155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24A KR101553784B1 (ko) 2014-12-08 2014-12-08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CN201580066905.1A CN106999749B (zh) 2014-12-08 2015-12-08 脚底按摩跑步机
CA2969835A CA2969835C (en) 2014-12-08 2015-12-08 Acupressure walking machine applying pressure to foot reflex zones
US15/533,996 US10299988B2 (en) 2014-12-08 2015-12-08 Acupressure walking machine applying pressure to foot reflex zones
JP2017530722A JP6713996B2 (ja) 2014-12-08 2015-12-08 足反射区指圧誘導ワーキングマシン
PCT/KR2015/013354 WO2016093583A1 (ko) 2014-12-08 2015-12-08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EP15866934.1A EP3231483B1 (en) 2014-12-08 2015-12-08 Acupressure walking machine applying pressure to foot reflex zones
DK15866934.1T DK3231483T3 (da) 2014-12-08 2015-12-08 Akupressur-gåmaskine med udøvelse af tryk mod fodreflekszoner
ES15866934T ES2765492T3 (es) 2014-12-08 2015-12-08 Máquina de caminar con acupresión que aplica presión a las zonas reflejas del p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24A KR101553784B1 (ko) 2014-12-08 2014-12-08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784B1 true KR101553784B1 (ko) 2015-09-16

Family

ID=5424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724A KR101553784B1 (ko) 2014-12-08 2014-12-08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99988B2 (ko)
EP (1) EP3231483B1 (ko)
JP (1) JP6713996B2 (ko)
KR (1) KR101553784B1 (ko)
CN (1) CN106999749B (ko)
CA (1) CA2969835C (ko)
DK (1) DK3231483T3 (ko)
ES (1) ES2765492T3 (ko)
WO (1) WO2016093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0014B (zh) * 2017-04-17 2018-07-21 張仲甫 跑步機的按摩耐滑板成形方法及其成品
USD854101S1 (en) 2018-01-05 2019-07-16 Peloton Interactive, Inc. Treadmill
KR102062492B1 (ko) * 2019-06-15 2020-01-03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260A (ja) 2007-12-28 2009-07-23 Nisshin Kasei Kk 錠剤の搬送装置、整列供給装置及び側面外観検査装置
KR100934009B1 (ko) 2007-11-01 2009-12-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트레드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038381B1 (ko) * 2009-07-27 2011-06-01 신현오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지압장치
KR101194018B1 (ko) * 2012-02-29 2012-10-24 신현오 지압 런닝머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2166A (en) * 1993-09-28 1994-10-04 Chang Tsan Yun Mountain climbing training machine
JP2000084035A (ja) * 1998-09-12 2000-03-28 Kazufumi Ogawa 運動装置
KR19990035082U (ko) 1999-05-31 1999-09-06 김병로 런닝머신의발지압식런닝벨트
JP2004313711A (ja) * 2003-04-17 2004-11-11 Yoshimichi Minemura 足裏刺激洗浄具
KR200339175Y1 (ko) 2003-07-11 2004-01-28 강성길 지압용 발판을 갖춘 런닝머신
US7510511B2 (en) * 2005-07-11 2009-03-31 Von Detten Volker Exercise treadmill having a simulated cobblestone running surface
US20070060451A1 (en) 2005-09-12 2007-03-15 Scott Lucas Treadmill with uneven nonuniform surface
US20070072743A1 (en) * 2005-09-29 2007-03-29 Joseph Severino Treadmill belt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CN101224332A (zh) * 2007-01-19 2008-07-23 国际文具制造厂有限公司 足底按摩式跑步机
CN101411934A (zh) * 2007-05-15 2009-04-22 罗彬鉴 一种跑步机
US7976437B1 (en) * 2010-04-30 2011-07-12 Von Detten Volker Exercise treadmill having a simulated cobblestone running surface
US8734301B2 (en) 2011-01-06 2014-05-27 Jebb G. Remelius Particulate material treadmill
CN103170093A (zh) * 2011-12-23 2013-06-26 天津海州科工贸有限公司 一种带有鹅卵石子状胶带踏垫的健身漫走机
KR101250893B1 (ko) * 2012-11-02 2013-04-05 신현오 지압 런닝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009B1 (ko) 2007-11-01 2009-12-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트레드밀 및 이의 구동방법
JP2009161260A (ja) 2007-12-28 2009-07-23 Nisshin Kasei Kk 錠剤の搬送装置、整列供給装置及び側面外観検査装置
KR101038381B1 (ko) * 2009-07-27 2011-06-01 신현오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지압장치
KR101194018B1 (ko) * 2012-02-29 2012-10-24 신현오 지압 런닝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11106A1 (en) 2018-11-01
CA2969835A1 (en) 2016-06-16
JP6713996B2 (ja) 2020-06-24
EP3231483A4 (en) 2018-08-29
JP2017538495A (ja) 2017-12-28
WO2016093583A1 (ko) 2016-06-16
US10299988B2 (en) 2019-05-28
ES2765492T3 (es) 2020-06-09
EP3231483B1 (en) 2019-10-23
CN106999749B (zh) 2020-02-07
CA2969835C (en) 2020-05-12
EP3231483A1 (en) 2017-10-18
CN106999749A (zh) 2017-08-01
DK3231483T3 (da) 202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0338B1 (en) Therapeutic massage table
US20150367171A1 (en) Fat Cell Destroying Exercise Device
KR101553784B1 (ko)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WO2013172069A1 (ja) 下肢振動装置および股関節の刺激方法
US20110082400A1 (en) Massage mechanism with a moveable massage set having a biased movement
JP2004357945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WO2009057518A1 (ja) 他動運動機器
GB2123298A (en) Massage bed
KR101194018B1 (ko) 지압 런닝머신
KR102323896B1 (ko) 운동용 의자
US2219086A (en) Exercising device
KR101070059B1 (ko) 안마의자용 전신 마사지장치
KR101250893B1 (ko) 지압 런닝머신
US3480007A (en) Roller back chair
KR200424594Y1 (ko) 자동 전신 맛사지기
JP4272250B1 (ja) 脹脛マッサージ装置。
KR20180111412A (ko) 롤러가 선도하는 안마 기구
KR102213283B1 (ko) 베드식 전신 안마장치
JP3094552U (ja) 足裏按摩機能を具えたウォーキングマシン
JP6774868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349187Y1 (ko) 전신운동기구
KR20230138600A (ko) 무동력 지압치료장치
JPH04144559A (ja) 自動多機能マッサージ機
TWM456834U (zh) 拉筋擺動機
KR20000074493A (ko) 안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