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853B1 -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853B1
KR101552853B1 KR1020140138957A KR20140138957A KR101552853B1 KR 101552853 B1 KR101552853 B1 KR 101552853B1 KR 1020140138957 A KR1020140138957 A KR 1020140138957A KR 20140138957 A KR20140138957 A KR 20140138957A KR 101552853 B1 KR101552853 B1 KR 10155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skin
information
measuremen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순
Original Assignee
아람휴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람휴비스(주) filed Critical 아람휴비스(주)
Priority to KR102014013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61B5/0079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using mirrors, i.e. for self-ex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가 매장을 방문하여 매직미러 시스템(A) 전면에서 얼굴을 비춰보고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선택과 입력 및 선명한 영상을 선택하는 제1 단계(S1)와;
상기 제1 단계의 매직미러 시스템(A)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보면서 자기 사진을 보고 피부나 모발의 고민부위(예컨대, 눈가주름)에 대해 화면을 터치하여 체크하고 카운셀러와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하는 제2 단계(S2)와;
상기 제2 단계에서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한 고민부위에 대해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을 이용하여 피부(예컨대, 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투명도, 수분, 탄력, 피부 온도, UV 등) 또는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과,
상기 거시진단에 이어서 거시진단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집중 분석하기 위해 미시 측정 시스템(B)을 이용하여 피부, 모발 및 두피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 진단하여 비접촉인 거시진단에서 할 수 없는 접촉식 비침습적 센서 및 영상확대에 의한 세부 진단을 하는 제3 단계(S3)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진단한 진단결과와 소비자의 상세정보 등 재정리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서버(Data-server)와 소비자 이메일로 전송하고 또 무선모듈로써 상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진단결과를 자동으로 전송하며 또한 진단결과를 출력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가 지정한 부위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으면 해당제품과 연결하고, 또한 수요기관이 기존에 개발하였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와 연결하는 등 전문 카운슬링(counseling)을 하는 제4 단계(S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피부의 수분, 유분, 탄력, 모공, 거칠기, 여드름(UV), 주름(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색소, 피부투명도, 피부 붉은기, 혈관노출, 피부손상도 등과 모발의 모발상태, 두피상태, 두피홍반, 모발두께 등을 비침습적(non-invasive) 센서에 의한 진단으로서 피부 및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과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미시진단을 원스톱으로 실시하여 진단결과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고, 그 진단 정보에 따라 화장품 등의 제품을 처방하며 고객의 진단정보를 축적하여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에 적합한 제품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diagnosis method of total hybrid for skin and hair possible one-stop diagnosis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hybrid)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수분, 유분, 탄력, 모공, 거칠기, 여드름(UV), 주름(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색소, 피부투명도, 피부 붉은기, 혈관노출, 피부손상도 등과 모발의 모발상태, 두피상태, 두피홍반, 모발두께 등을 비침습적(non-invasive) 센서에 의한 진단으로서 피부 및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과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미시진단을 원스톱으로 실시하여 진단결과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고, 그 진단 정보에 따라 화장품 등의 제품을 처방하며 고객의 진단정보를 축적하여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에 적합한 제품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제공하는 등의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hybrid)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몇 가지의 피부 타입에 맞게 나뉘어져 각 타입별로 대량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들은 수많은 유형의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모든 사람 또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소비자 개개인의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자기 피부 상태에 최적의 화장품을 요구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사람에게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생산된 화장품이 특정 소비자의 기호나 피부 상태에 적합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편, 현대 여성들은 사회 참여가 늘어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겨 여성 자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그 중 하나로서 화장품을 들 수 있는데 고가의 명품 화장품을 스스럼없이 구매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가의 명품 화장품들도 소비자 개개인의 피부상태에 맞춘 맞춤 화장품이 아닌 대량 생산되는 화장품에 불과하며, 거의 브랜드 네임에 의해 가격이 책정되어 화장품의 효과에 비해 가격이 너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개개인의 피부상태에 맞는 정확한 화장품을 제공받지 못한다.
그리고 또한 피부뿐만 아니라 모발 및 두피에서도 화장품과 같이 소비자 개개인의 모발이나 두피상태에 맞는 정확한 샴푸나 두피 영양제 등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모발이나 두피 타입에 맞게 나뉘어져 각 타입별로 대량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발명자)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8319(공고일자 2007. 04. 18)에서 피부진단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고객의 피부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고객에게 적합한 화장품 원료 배합비를 산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피부 상태에 따라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들의 성분비를 적절히 조절한 최적의 맞춤 화장품을 생산하여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신에게 꼭 맞는 화장품을 원하는 고객의 수요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고객별 맞춤 화장품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을 제공한 바 있으나, 상기 선등록된 발명에서는 피부 및 모발에 대한 거시 및 미시 진단에 따른 토탈 하이브리드 진단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이 제공되지 않는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8319(공고일자 2007. 4. 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수분, 유분, 탄력, 모공, 거칠기, 여드름(UV), 주름(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색소, 피부투명도, 피부 붉은기, 혈관노출, 피부손상도 등과 모발의 모발상태, 두피상태, 두피홍반, 모발두께 등을 비침습적(non-invasive) 센서에 의한 진단으로서 피부 및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과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미시진단을 원스톱으로 실시하여 진단결과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고, 그 진단 정보에 따라 화장품 등의 제품을 처방하며 고객의 진단정보를 축적하여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에 적합한 제품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제공하는 등의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hybrid)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실시예로서,
소비자가 매장을 방문하여 매직미러 시스템 전면에서 얼굴을 비춰보고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선택과 입력 및 선명한 영상을 선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매직미러 시스템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보면서 자기 사진을 보고 피부나 모발의 고민부위(예컨대, 눈가주름)에 대해 화면을 터치하여 체크하고 카운셀러와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한 고민부위에 대해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피부(예컨대, 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투명도, 수분, 탄력, 피부 온도, UV 등) 또는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과,
상기 거시진단에 이어서 거시진단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집중 분석하기 위해 미시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부, 모발 및 두피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 진단하여 비접촉인 거시진단에서 할 수 없는 접촉식 비침습적 센서 및 영상확대에 의한 세부 진단을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진단한 진단결과와 소비자의 상세정보 등 재정리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서버(Data-server)와 소비자 이메일로 전송하고 또 무선모듈[예컨대,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로써 상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진단결과를 자동으로 전송하며 또한 진단결과를 출력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가 지정한 부위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으면 해당제품과 연결하고, 또한 수요기관이 기존에 개발하였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와 연결하는 등 전문 카운슬링(counseling)을 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는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실시예로서,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와, 소비자의 얼굴 및 모발의 전체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얼굴측정용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컴퓨터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과, 컴퓨터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로 이루어진 매직미러 시스템과;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와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확대하여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미시용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및 저장하는 메인본체(CPU)와, 소비자의 피부 수분 분포율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와, 상기 수분측정센서에 의해 채취한 수분을 수치 값으로 연산처리하여 메인본체(CPU)로 전송하고 또한 수분측정센서의 측정을 콘트롤하는 수분측정 컨트롤러와, 피부의 탄력도를 측정하는 탄력측정 센서와 상기 탄력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탄력도 정보를 이용하여 노화를 판별하고 판별한 정보를 메인본체(CPU)로 전송하며 또한 탄력측정 센서의 측정을 컨트롤하는 탄력측정 컨트롤러와,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온도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피부 온도 정보를 메인본체(CPU)로 전송하며 또한 온도측정 센서의 온도 측정을 컨트롤하는 온도측정컨트롤러와, 전원공급장치 또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메인본체(CPU)를 구동하고 또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엘이디 조명과 메인본체(CPU)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매직미러 시스템과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로 이루어진 미시측정 시스템과;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의 카메라에 장착되는 미시용 렌즈와 엘이디 조명을 분리하고 거시용 렌즈와 상기 거시용 렌즈에 적합한 엘이디 렌즈를 장착하여 이루어진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 장치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피부의 수분, 유분, 탄력, 모공, 거칠기, 여드름(UV), 주름(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색소, 피부투명도, 피부 붉은기, 혈관노출, 피부손상도 등과 모발의 모발상태, 두피상태, 두피홍반, 모발두께 등을 비침습적(non-invasive) 센서에 의한 진단으로서 피부 및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과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미시진단을 원스톱으로 실시하여 진단결과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고, 그 진단 정보에 따라 화장품 등의 제품을 처방하며 고객의 진단정보를 축적하여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에 적합한 제품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제공한다.
즉, 미시측정 시스템에 의한 미시 진단과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에 의한 거시 진단 결과는 무선모듈의 하나인 Wi-Fi로 매직미러 시스템의 엘시디 디스플레이에 진단 결과를 자동으로 전송 출력하며, 전송 출력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의 피부, 모발의 변화에 기인하는 소스(Source)의 상태를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전문 카운슬링(counseling)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가 지정한 부위(예컨대, 눈가주름)가 있으므로 준비가 되어 있다면 그 진단에 맞는 제품을 연결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수요기관이 기존에 개발하였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와 연결이 가능하여 보다 업그레이드되고 적합한 제품개발에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를 설명하는 전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 블럭도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장치에서 매직미러 시스템에 대한 외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장치에서 미시 측정 시스템에 대한 외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장치에서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에 대한 외형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S1)- 소비자가 매장을 방문하여 매직미러 시스템(A) 전면에서 얼굴을 비춰보고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선택과 입력 및 선명한 영상을 선택한다.
즉, 소비자의 정보입력으로서 개인정보 이용동의를 입력하고 성별, 연령 등을 입력한다. 그리고 또한 지역 온. 습도, 현장 온. 습도 등 상황 정보를 자동으로 인지 적용된다.
그리고 연령별, 성별 일반고객의 피부 및 모발 고민을 데이터 서버(기존 소비자의 입력된 정보)로부터 받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매직미러시스템(A)은 도 2에서와 같이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1)와, 소비자의 얼굴 및 모발의 전체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얼굴측정용 렌즈(2)가 장착된 카메라(3)와, 카메라(3)로부터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컴퓨터(4)와, 전원공급장치(5)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6)(6a)과, 컴퓨터(4)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7)로 이루어진 매직미러 시스템(A)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모듈(7)은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매직미러 시스템(A)의 전면에서 카메라에 의해 소비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수신된 영상정보를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엘시디 디스플레이(1)로 전송하여 출력하면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 선택 및 선명한 영상을 선택한다.
제2 단계(S2)- 상기 제1 단계의 매직미러 시스템(A) 전면에서 엘시디 디스플레이(1) 정보를 보면서 자기 사진을 보고 피부나 모발의 고민부위(예컨대, 눈가주름)에 대해 화면을 터치하여 체크하고 카운셀러와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한다.
그리고 소비자(고객)와 간단한 상담 후 고객의 고민부위를 반영하여 정밀측정 단계로 넘어간다.
제3 단계(S3)- 상기 제2 단계에서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한 고민부위에 대해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을 이용하여 피부(예컨대, 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투명도, 수분, 탄력, 피부 온도, UV 등) 또는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거시진단에 이어서 거시진단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집중 분석하기 위해 미시 측정 시스템(B)을 이용하여 피부, 모발 및 두피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 진단하여 비접촉인 거시진단에서 할 수 없는 접촉식 비침습적 센서 및 영상확대에 의한 세부 진단을 한다.
먼저, 상기 미시 측정 시스템(B)은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50)와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확대하여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미시용 렌즈(51)가 장착된 카메라(52)와, 카메라(52)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및 저장하는 메인본체(CPU)(53)와, 소비자의 피부 수분 분포율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54)와, 상기 수분측정센서(54)에 의해 채취한 수분을 수치 값으로 연산처리하여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고 또한 수분측정센서(54)의 측정을 콘트롤하는 수분측정 컨트롤러(55)와, 피부의 탄력도를 측정하는 탄력측정 센서(56)와 상기 탄력측정 센서(56)로부터 측정된 탄력도 정보를 이용하여 노화를 판별하고 판별한 정보를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며 또한 탄력측정 센서(56)의 측정을 컨트롤하는 탄력측정 컨트롤러(57)와,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58)와 상기 온도측정센서(58)로부터 측정된 피부 온도 정보를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며 또한 온도측정 센서(58)의 온도 측정을 컨트롤하는 온도측정컨트롤러(59)와, 전원공급장치(60) 또는 배터리(61)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메인본체(CPU)(53)를 구동하고 또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52)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엘이디 조명(62)과 메인본체(CPU)(53)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매직미러 시스템(A)과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63)로 이루어진 미시측정 시스템(B)이 제공된다.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에 의해 피부, 모발 및 두피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 진단하여 비접촉인 거시진단에서 할 수 없는 접촉식 비침습적 센서 및 영상확대에 의한 세부 진단과 교환식 렌즈 채용으로 피부, 두피 및 모발을 진단한다.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의 미시용 렌즈(51)는 분리가 가능하고 카메라(52)와 미시용 렌즈(51) 및 엘이디 조명(62)에서, 미시용 렌즈(51)는 30배 내지 60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20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의 빛은 일반광, 편광, UV light source 가 포함된다.
상기 미시용 렌즈(51)가 200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15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의 빛은 고집적 집광, 편광 light source가 포함된다.
상기 미시용 렌즈(51)가 500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15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의 빛은 고집적 집광 light source가 포함된다.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에 의해 색소침착, ACNE, 혈관노출도, T존 유분, U존 유분, 피부투명도, 두피, 밀집도, 모발두께, 혈관노출도, 모공 등의 측정 진단이 가능하다.
그리고 매직미러 시스템(B)과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63)은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은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의 카메라(52)에 장착되는 미시용 렌즈(51)와 엘이디 조명(62)을 분리하고 거시용 렌즈(510)와 상기 거시용 렌즈(510)에 적합한 엘이디 조명(620)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이 제공된다.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에 의해 피부(예컨대, 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투명도, UV 등) 및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한다.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의 거시용 렌즈(510)는 분리가 가능하고 카메라(52)와 거시용 렌즈(510) 및 엘이디 조명(620)에서, 거시용 렌즈(510)는 3배 내지 5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20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0)의 빛은 일반광, 편광, UV light source 가 포함된다.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에 의해 수분, 탄력, 피부 온도, 눈가주름, 팔자주름, 이마주름, 모공 등의 측정 진단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제3 단계에서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에 의한 거시 진단에 이어 미시측정 시스템(B)에 의한 미시 진단이 완료되면 진단 결과는 무선모듈(63)의 하나인 Wi-Fi로 매직미러 시스템(A)의 엘시디 디스플레이(1)에 진단 결과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제4 단계(S4)- 상기 제3 단계에서 진단한 진단결과와 소비자의 상세정보 등 재정리된 정보를 인터넷(W)을 통해 데이터 서버(Data-server)(S)와 소비자 이메일로 전송하고 또 무선모듈[예컨대,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로써 상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진단결과를 자동으로 전송하며 또한 진단결과를 출력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가 지정한 부위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으면 해당제품과 연결하고, 또한 수요기관이 기존에 개발하였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와 연결하는 등 전문 카운슬링(counseling)을 실시한다.
즉, 상기 제3 단계에서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에 의한 거시 진단과 미시측정 시스템(B)에 의한 미시 진단결과를 무선모듈(63)의 하나인 Wi-Fi로 매직미러 시스템(A)의 엘시디 디스플레이(1)에 진단 결과를 자동으로 전송 출력하며, 전송 출력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의 피부, 모발의 변화에 기인하는 소스(Source)의 상태를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전문 카운슬링(counseling)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가 지정한 부위(예컨대, 눈가주름)가 있으므로 준비가 되어 있다면 그 진단에 맞는 제품을 연결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수요기관이 기존에 개발하였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와 연결이 가능하여 보다 업그레이드되고 적합한 제품개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장치에 대해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1)와, 소비자의 얼굴 및 모발의 전체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얼굴측정용 렌즈(2)가 장착된 카메라(3)와, 카메라(3)로부터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컴퓨터(4)와, 전원공급장치(5)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6)(6a)과, 컴퓨터(4)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7)로 이루어진 매직미러 시스템(A)이 구성된다.
상기 매직미러 시스템(A)과 무선모듈(7)에 의해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쉐어링(sharing)하는 미시측정 시스템(B)으로서,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50)와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확대하여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미시용 렌즈(51)가 장착된 카메라(52)와, 카메라(52)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및 저장하는 메인본체(CPU)(53)와, 소비자의 피부 수분 분포율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54)와, 상기 수분측정센서(54)에 의해 채취한 수분을 수치 값으로 연산처리하여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고 또한 수분측정센서(54)의 측정을 콘트롤하는 수분측정 컨트롤러(55)와, 피부의 탄력도를 측정하는 탄력측정 센서(56)와 상기 탄력측정 센서(56)로부터 측정된 탄력도 정보를 이용하여 노화를 판별하고 판별한 정보를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며 또한 탄력측정 센서(56)의 측정을 컨트롤하는 탄력측정 컨트롤러(57)와,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58)와 상기 온도측정센서(58)로부터 측정된 피부 온도 정보를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며 또한 온도측정 센서(58)의 온도 측정을 컨트롤하는 온도측정컨트롤러(59)와, 전원공급장치(60) 또는 배터리(61)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메인본체(CPU)(53)를 구동하고 또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52)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엘이디 조명(62)과 메인본체(CPU)(53)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매직미러 시스템(B)과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63)로 이루어진 미시측정 시스템(B)이 구성된다.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의 카메라(52)에 장착되는 미시용 렌즈(51)와 엘이디 조명(62)을 분리하고 거시용 렌즈(510)와 상기 거시용 렌즈(510)에 적합한 엘이디 조명(620)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매직미러 시스템(A)에 의해 상기 엘시디 디스플레(1)이 전면에서 소비자가 얼굴을 비춰 보고 카메라(3)에 의해 영상 촬영을 한 다음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 선택 및 선명한 영상을 선택하고,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사진을 보면서 직접 고민부위에 대해 화면을 터치한다.
그리고 소비자(고객)는 전문 카운슬러와 간단한 상담 후 고객의 고민부위를 반영하여 정밀측정 단계로 넘어간다.
즉, 먼저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에 의해 피부(예컨대, 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투명도, UV 등) 및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할 수 있고,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의 거시용 렌즈(510)는 분리가 가능하고 카메라(52)와 거시용 렌즈(510) 및 엘이디 조명(620)에서, 거시용 렌즈(510)는 3배 내지 5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20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0)의 빛은 일반광, 편광, UV light source 가 포함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에 의해 수분, 탄력, 피부 온도, 눈가주름, 팔자주름, 이마주름, 모공 등의 측정 진단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으로써 카메라(52)에 의해 피부 및 모발을 촬영한 영상 정보와 수분측정센서(54)에 의해 소비자의 피부 수분 분포율을 측정한 정보 및 탄력측정 센서(56)에 의해 소비자의 피부 탄력도 정보 및 온도측정센서(58)에 의해 측정된 피부 온도 정보를 수분측정 컨트롤러(55)와 탄력측정 컨트롤러(57) 및 온도측정 컨트롤러(59)에 의해 각각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며 메인본체(CPU)(53)에서 분석 및 저장된 정보를 무선모듈(63)에 의해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데이터를 무선으로 미시측정 시스템(B)과 쉐어링(sharing)하여 전문 카운슬링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에 의해 피부, 모발 및 두피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 진단하여 비접촉인 거시진단에서 할 수 없는 접촉식 비침습적 센서 및 영상확대에 의한 세부 진단과 교환식 렌즈 채용으로 피부, 두피 및 모발을 진단한다.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의 미시용 렌즈(51)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가 가능하고 카메라(52)와 미시용 렌즈(51) 및 엘이디 조명(62)에서, 미시용 렌즈(51)는 30배 내지 60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20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의 빛은 일반광, 편광, UV light source 가 포함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미시용 렌즈(51)가 200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15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의 빛은 고집적 집광, 편광 light source가 포함되고, 상기 미시용 렌즈(51)가 500배의 확대비율을 가질 경우 카메라(52)의 해상력은 150lp 이상이고 엘이디 조명(62)의 빛은 고집적 집광 light source가 포함되며, 상기 미시측정 시스템(B)에 의해 색소침착, ACNE, 혈관노출도, T존 유분, U존 유분, 피부투명도, 두피, 밀집도, 모발두께, 혈관노출도, 모공 등의 측정 진단이 가능하다.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에 의한 거시 진단과 미시측정 시스템(B)에 의한 미시 진단 결과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모듈(63)의 하나인 Wi-Fi로 매직미러 시스템(A)의 엘시디 디스플레이(1)에 진단 결과를 자동으로 전송 출력하며, 전송 출력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의 피부, 모발의 변화에 기인하는 소스(Source)의 상태를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전문 카운슬링(counseling)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가 지정한 부위(예컨대, 눈가주름)가 있으므로 준비가 되어 있다면 그 진단에 맞는 제품을 연결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수요기관이 기존에 개발하였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와 연결이 가능하여 보다 업그레이드되고 적합한 제품개발에 제공할 수 있다.
A: 매직 미러 시스템 B: 미시 측정 시스템
C: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 S: 데이터 서버
W: 인터넷
1,50: 엘시디 디스플레이 2: 얼굴 측정용 렌즈
3,52: 카메라 4: 컴퓨터
5,60: 전원공급장치 6,6a: 조명
7,63: 무선모듈 51: 미시용 렌즈
53: 메인본체(CPU) 54: 수분측정센서
55: 수분측정컨트롤러 56: 탄력측정센서
57: 탄력측정컨트롤러 58: 온도측정센서
59: 온도측정 컨트롤러 61: 배터리
62,620: 엘이디 조명 510: 거시용 렌즈

Claims (7)

  1. 소비자가 매장을 방문하여 매직미러 시스템(A) 전면에서 얼굴을 비춰보고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선택과 입력 및 선명한 영상을 선택하는 제1 단계(S1)와;
    상기 제1 단계의 매직미러 시스템(A)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보면서 자기 사진을 보고 피부나 모발의 고민부위(예컨대, 눈가주름)에 대해 화면을 터치하여 체크하고 카운셀러와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하는 제2 단계(S2)와;
    상기 제2 단계에서 간단한 상담과 진단을 한 고민부위에 대해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을 이용하여 피부(예컨대, 눈가주름, 이마주름, 팔자주름, 투명도, 수분, 탄력, 피부 온도, UV 등) 또는 모발의 전반적인 일괄 측정분석으로 진단하는 거시진단과,
    상기 거시진단에 이어서 거시진단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집중 분석하기 위해 미시 측정 시스템(B)을 이용하여 피부, 모발 및 두피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측정 진단하여 비접촉인 거시진단에서 할 수 없는 접촉식 비침습적 센서 및 영상확대에 의한 세부 진단을 하는 제3 단계(S3)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진단한 진단결과와 소비자의 상세정보 등 재정리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서버(Data-server)와 소비자 이메일로 전송하고 또 무선모듈로써 상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진단결과를 자동으로 전송하며 또한 진단결과를 출력한 정보를 가지고 소비자가 지정한 부위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으면 해당제품과 연결하고, 또한 수요기관이 기존에 개발하였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와 연결하는 등 전문 카운슬링(counseling)을 하는 제4 단계(S4)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직미러 시스템(A)은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1)와, 소비자의 얼굴 및 모발의 전체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얼굴측정용 렌즈(2)가 장착된 카메라(3)와, 카메라(3)로부터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컴퓨터(4)와, 전원공급장치(5)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6)(6a)과, 컴퓨터(4)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7)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시 측정용 도킹스테이션(C)은 미시측정 시스템(B)의 카메라(52)에 장착되는 미시용 렌즈(51)와 엘이디 조명(62)을 분리하고 거시용 렌즈(510)와 상기 거시용 렌즈(510)에 적합한 엘이디 조명(620)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시 측정 시스템(B)은 터치 기능을 갖는 엘시디 디스플레이(50)와 소비자의 피부 및 모발의 특정부위를 정밀하게 확대하여 영상 이미지 정보를 얻기 위한 미시용 렌즈(51)가 장착된 카메라(52)와, 카메라(52)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및 저장하는 메인본체(CPU)(53)와, 소비자의 피부 수분 분포율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54)와, 상기 수분측정센서(54)에 의해 채취한 수분을 수치 값으로 연산처리하여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고 또한 수분측정센서(54)의 측정을 콘트롤하는 수분측정 컨트롤러(55)와, 피부의 탄력도를 측정하는 탄력측정 센서(56)와 상기 탄력측정 센서(56)로부터 측정된 탄력도 정보를 이용하여 노화를 판별하고 판별한 정보를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며 또한 탄력측정 센서(56)의 측정을 컨트롤하는 탄력측정 컨트롤러(57)와,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58)와 상기 온도측정센서(58)로부터 측정된 피부 온도 정보를 메인본체(CPU)(53)로 전송하며 또한 온도측정 센서(58)의 온도 측정을 컨트롤하는 온도측정컨트롤러(59)와, 전원공급장치(60) 또는 배터리(61)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메인본체(CPU)(53)를 구동하고 또 빛을 조사하여 카메라(52)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엘이디 조명(62)과 메인본체(CPU)(53)에 저장된 진단 영상이나 정보 및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매직미러 시스템(A)과 쉐어링(sharing)하는 무선모듈(6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무선모듈은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40138957A 2014-10-15 2014-10-15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 KR10155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57A KR101552853B1 (ko) 2014-10-15 2014-10-15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57A KR101552853B1 (ko) 2014-10-15 2014-10-15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853B1 true KR101552853B1 (ko) 2015-09-15

Family

ID=5424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957A KR101552853B1 (ko) 2014-10-15 2014-10-15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0130A (zh) * 2017-06-23 2017-10-20 深圳微美薇健康美容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头皮毛孔堵塞状况的装置
KR102180922B1 (ko) * 2020-04-13 2020-11-19 주식회사 룰루랩 멀티모달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분산형 엣지 컴퓨팅 기반 피부 질환 분석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0130A (zh) * 2017-06-23 2017-10-20 深圳微美薇健康美容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头皮毛孔堵塞状况的装置
KR102180922B1 (ko) * 2020-04-13 2020-11-19 주식회사 룰루랩 멀티모달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분산형 엣지 컴퓨팅 기반 피부 질환 분석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8085B2 (ja) 肌状態ケアシステム、ユーザークライアントおよび肌状態ケア方法
US901356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ge, and age-dependent selection of cosmetic products
JP6289837B2 (ja)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US20150045631A1 (en) Skin health system
KR101793468B1 (ko) Ar을 이용한 셀프 뷰티앱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JP2017094117A (ja) 皮膚を撮像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CA2504257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KR101927286B1 (ko) 무인 안면 및 손등 피부 분석장치
US11449997B2 (en) Skin condition measuring module
WO2004042511A2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KR102123101B1 (ko)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WO2006030600A1 (ja) 肌解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70117840A (ko) 맞춤형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KR102177070B1 (ko) 피부 맞춤 케어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맞춤 케어 방법
KR101949152B1 (ko) 피부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적합 화장정보 제공 방법
KR101552853B1 (ko) 원스톱 진단이 가능한 토탈 하이브리드 피부 및 모발 진단방법과 그 장치
JP2007310652A (ja) 美顔管理システム
KR20150143063A (ko) 피부 진단 장치
US116880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skin related metrics
KR20200094236A (ko) 피부 타입 진단 장치 및 방법
JP3755384B2 (ja) 肌色情報表示方法
JP2018175909A (ja)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状態の判定システム
KR20010110838A (ko) 원격 피부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9153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사용자의 피부 상태 모니터링 및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3201634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rmal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