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312B1 -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312B1
KR101552312B1 KR1020150052583A KR20150052583A KR101552312B1 KR 101552312 B1 KR101552312 B1 KR 101552312B1 KR 1020150052583 A KR1020150052583 A KR 1020150052583A KR 20150052583 A KR20150052583 A KR 20150052583A KR 101552312 B1 KR101552312 B1 KR 10155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aw material
glass raw
jacket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은
Original Assignee
박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은 filed Critical 박정은
Priority to KR102015005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00Charging the melting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00Charging the melting furnaces
    • C03B3/005Charging the melting furnaces using screw f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자형 몸체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되, 3단 이상의 분리형 몸체(110)로 연결 구비되며, 유리원료의 투입시 용광로 내에 위치하게 되는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는 이중벽 구조를 통해 공기투입공간(120)을 형성시킨 재킷부(100); 상기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의 공기투입공간(120)에 연결 및 시작부분으로 설치되는 공기인입배관(310) 및 공기인출배관(320)에 의한 공기순환배관부(300); 상기 공기순환배관부(300)에 연결되며, 상기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로 공기 투입 및 순환을 통해 냉각 처리하기 위한 에어공급부(400); 상기 재킷부(100)에 내재되고, 스크류구동모터(51)에 의해 회전 구동되게 구비되는 스크류 피더(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투입시 용광로의 고온 열에 의한 뒤틀림 발생 등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 교체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치의 전체적인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APPARATUS FOR SUPPLY OF GLASS MATERIALS}
본 발명은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 피더를 통해 유리원료를 용광로 내로 이송 및 투입시 용광로의 고온 열이 전달되는 재킷의 끝단부에 대해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 및 뒤틀림이 발생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교체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로 만들어진 유리병 등을 포함하는 유리용기는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으로서, 한번 사용된 유리용기는 수거 및 선별하고 분쇄한 후 조각으로 분쇄된 유리원료를 용광로에 투입하여 용융시키는 작업을 통해 다시 용기로 제조하게 된다.
이때, 분쇄작업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일정 크기의 깨진 조각으로 분쇄하고, 분쇄된 유리원료를 용광로 내로 투입하는 작업은 유리원료 자동 투입기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리원료 자동 투입기는 호퍼에 저장된 유리원료를 용광로 내로 투입하기 위한 유리원료 공급장치로서, 유리원료의 이송 공급을 위해 스크류 피더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스크류 피더는 호퍼로부터 유리 원료를 공급받는 재킷에 내재 및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함으로써 유리원료를 용광로 측으로 전진 이송시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 유리원료 자동 투입기를 사용함에 있어 용광로 내에 유리원료를 투입시, 유리원료의 원활한 이송 및 스크류 피더의 보호를 위해 구비되는 재킷의 끝단부가 1200℃ 이상의 고온 열을 갖는 용광로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용광로 내에 형성되는 고온의 열에 오래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어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투입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스크류 피더의 사용수명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재킷의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될 경우 교체 작업이 요구되는데, 잦은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 및 비용이 과다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재킷의 열에 의한 변형시 통째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교체비용이 커서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에는 유리원료가 입자가 너무 작으면 용광로에서 잘 용융되지 않으므로 분쇄에 의해 일정의 크기(보통 2~3cm)를 갖는 깨진 조각으로 투입하게 되는데, 깨진 조각의 날카로운 부분들이 이를 이송 처리하는 스크류 피더를 연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스크류 피더를 훼손 및 이송 능력을 저하시키는 등 사용 수명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153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류 피더를 통해 유리원료를 용광로 내로 이송 및 투입시 용광로의 고온 열이 전달되는 재킷의 끝단부에 대해 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 수명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교체비용 등 장치의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크류 피더가 내재 및 유리원료의 이송 공급을 위해 마련되는 재킷을 이중 구조로 하고, 그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재킷의 분리 구성을 통해 부분 교체를 가능하게 하고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리원료를 이송 공급하기 위한 스크류 피더에 대해 표면 경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마모성을 높여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광로의 고온 열에 의한 뒤틀림 발생의 원인이 되는 열 변형을 방지하는 등 장치의 사용효율 및 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장치의 전체적인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로부터 유리원료를 공급받는 재킷부와, 상기 재킷부에 내재되고 회전 구동을 통해 유리원료를 전진 이송시켜 용광로 내로 투입시키는 스크류 피더를 포함하는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자형 몸체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 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되, 3단 이상의 분리형 몸체로 연결 구비되며, 유리원료의 투입시 용광로 내에 위치하게 되는 마지막 분리형 몸체에는 이중벽 구조를 통해 공기투입공간을 갖도록 형성시킨 재킷부; 상기 마지막 분리형 몸체가 갖는 공기투입공간에 연결되고, 공기투입공간의 시작부분으로 연결 설치되는 공기인입배관 및 공기인출배관에 의한 공기순환배관부; 상기 공기순환배관부에 연결되며, 공기를 발생 및 재킷부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가 갖는 공기투입공간으로 송풍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재킷부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로 공기 투입 및 순환을 통해 냉각 처리하기 위한 에어공급부; 상기 재킷부에 내재되고, 스크류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게 구비되는 스크류 피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재킷부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에는 상기 이중벽 구조의 공기투입공간 내에 다수의 칸막이를 분산 배치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류 피더는 상기 스크류구동모터와 스프로킷 체결 및 체인 결합을 통해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재킷부 내에 배치되고, 타단이 재킷부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에 구비된 마감플랜지 상에 베어링 결합되며; 상기 재킷부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에는 끝단부 하부로 상기 스크류 피더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송되는 유리원료를 낙하시켜 용광로 내로 투입하기 위한 유리원료투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류 피더는 강재로 이루어지되, 표면 전체에 걸쳐 용접봉으로 용접 코팅함에 의해 형성시킨 용접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표면 경도를 증대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열을 갖는 유리 용광로 내에 재킷부의 끝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유리원료를 스크류 피더를 통해 전진 이송시켜 자동 투입시, 유리 용광로 내에 위치되는 재킷부의 끝단부에 대해 이중 재킷구조를 적용 및 공기의 연속적인 공급 및 순환을 가능케 하여 냉각 처리하므로 용광로의 고온 열로부터 견딜 수 있고, 기존에서와 같이 고온 열에 의해 변형되어 쉽게 뒤틀림이 발생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투입에 따른 효율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킷부에 대해 분리형 몸체로 구성함에 따라 설령 재킷부의 끝단부가 유리 용광로의 고온 열에 의해 변형되어 뒤틀림이 발생되더라도 기존에서와 같이 재킷부를 통째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고 변형이 발생되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장치의 유지보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킷부의 끝단부 내에 다수의 공기유도칸막이를 분산 배치함으로써 냉각을 위한 공기의 흐름 경로를 유도 및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고, 용접코팅층의 형성을 통해 스크류 피더에 대한 표면 경도를 증대 및 내마모성을 키울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에 걸쳐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있어 재킷부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있어 재킷부 및 스크류 피더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치상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있어 재킷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치상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있어 에어공급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는 재활용을 위해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처리한 깨진 조각의 유리원료를 1200℃ 이상의 고온 열을 갖는 용광로 내로 자동 투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원료의 투입장치를 셋팅하기 위한 베이스구조물(1)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구조물(1)의 앞쪽에 유리원료를 용융 처리하기 위한 유리 용광로(2)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구조물(1)의 상면에는 대차(10)가 설치되고, 상기 대차(10)에는 유리원료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호퍼(20)가 장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대차(10)는 상기 베이스구조물(1)의 상면에 위치하여 전후 이동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구조물(1) 상에는 전후 이동레일(31)이 구비되며, 상기 대차(10)는 전후 구동모터(32)의 회전 구동에 따른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후 이동레일(31)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구조물(1) 상에는 좌우 이동레일(41)이 구비되며, 상기 대차(10)는 좌우 구동모터(32)의 회전 구동에 따른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좌우 이동레일(41)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대차(10)에는 상기 호퍼(20)의 아래쪽에 위치하되 베이스구조물(1)의 앞쪽에 설치되는 유리 용광로(2)를 향하도록 일자형 구조로 배치되며, 호퍼(20)로부터 용광로(2)에 투입하기 위한 유리원료를 공급받게 되는 재킷부(100)가 고정 결합되어 장착된다.
상기 재킷부(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일자형 몸체로 이루어지는데,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부가 개방되는 구조로서, 유리원료의 공급 및 원활한 이송을 위해 대략 "∪" 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킷부(100)는 유리원료의 투입을 위해 그 끝단부가 용광로(2)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용광로(2) 내에 형성되는 고온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냉각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킷부(10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데, 교체의 용이성 및 비용 절감 등을 위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일자형 몸체로 구성하되 3단 이상의 분리형 몸체(110)로 연결 구비하며, 유리원료의 투입시 용광로 내에 위치하게 되는 분리형 몸체(110)의 마지막 파트에는 이중벽 구조를 통해 공기투입공간(120)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는 이중 재킷 구조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공기순환배관부(300) 및 에어공급부(400)에 연결함으로써 공기의 송풍 및 연속적인 순환을 통해 냉각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킷부(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리형 몸체(110)에는 연결을 위한 각 연결부분의 외측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간단하게 밀착시켜 체결 및 일체형 몸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의 끝단은 마감벽에 의해 폐쇄 처리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는 이중벽 구조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투입공간(120)에 다수의 공기유도칸막이(130)를 분산 배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칸막이(130)는 공기투입공간(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는 그 내부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스크류 피더(200)를 지지 결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스크류 지지용 마감플랜지(140)가 격벽의 형태로 세워져 구비되며, 상기 마감플랜지(140)가 구비되는 부분에 바로 이웃하여 유리원료투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유리원료투입구(150)는 재킷부(100)로 공급되어 후술하는 스크류 피더(20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압출 형태로 전진 이송되어지는 깨진 조각의 유리원료를 하측 방향으로 낙하시켜 용광로(2) 내로 투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재킷부(100)는 3단으로 나누어지는 분리형 몸체(11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재킷부(100)에는 호퍼(10)로부터 공급되는 유리원료를 압출 형태로 밀어내 용광로(2) 측으로 투입하기 위해 전진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스크류 피더(200)가 내재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피더(200)는 대략 "∪"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일자형 몸체의 재킷부(100)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크류구동모터(5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류 피더(200)는 상기 스크류구동모터(51)와 스프로킷(52) 체결 및 체인(53) 결합을 통해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재킷부(100) 내에 배치되고, 타단이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 구비된 마감플랜지(140)에 지지된 채로 베어링(54) 결합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 피더(200)는 강재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스크류축과 날개로 이루어지는데, 표면 전체에 걸쳐 용접봉으로 용접 코팅함으로써 용접코팅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접코팅층은 DH-30 규격의 용접봉을 사용하여 스크류 피더(200)의 표면에 용접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스크류 피더(200)에 대한 표면 경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게 할 수 있어 깨진 조각의 유리원료를 이송할 시 유리원료에 의해 스크류 피더(200) 표면이 연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갖는 공기투입공간(120)으로는 공기의 공급 및 순환을 위한 공기순환배관부(300)가 연결 구비되는데, 상기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갖는 이중벽 구조에 의한 공기투입공간(120)의 시작부분으로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기순환배관부(300)는 공기의 순환 처리를 위해 공기인입배관(310)과 공기인출배관(3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공기투입공간(120)의 일측으로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공기인입배관(310)이 연결되고, 상기 공기투입공간(120)의 타측으로 인입된 공기를 인출하기 위한 공기인출배관(320)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순환배관부(300)는 상기 대차(10) 상에 장착되고 냉각 처리에 사용하기 위한 공기를 발생 및 송풍 처리하는 에어공급부(4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공기인입배관(310)과 공기인출배관(320)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순환배관부(300)는 공기인입배관(310)과 공기인출배관(320)의 각 일단이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 연결되고, 각 타단이 상기 에어공급부(400)로 연결된다.
상기 에어공급부(400)는 에어블로워가 사용되며, 상기 대차(10)의 하부에 장착되는데, 장착위치는 바뀔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에어공급부(400)는 공기(바람)를 발생시키고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갖는 공기투입공간(120)으로 송풍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로 공기를 투입하고 공기순환배관부(300)를 통해 순환 및 연속 공급함으로써 유리원료의 투입시 용광로(2) 내에 위치되는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를 냉각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차(1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유리 용광로(2)와 일직선상에 위치되게 한 다음, 앞쪽으로 전진시켜 유리원료의 자동 투입을 위한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용광로(2) 내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대차(10)의 전진 배치를 통해 재킷부(100)를 전진 배치할 때, 에어공급부(400)를 통해 공기를 발생시켜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갖는 공기투입공간(120)으로 송풍 처리한다.
여기에서, 에어공급부(400)는 에어블로워의 구성으로 공기(바람)를 발생 및 송풍 처리하는데, 공기순환배관부(300)의 공기인입배관(310)을 통해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의 이중벽 구조인 공기투입공간(120)으로 유입된 후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를 전체적으로 경유하여 냉각 처리하게 되며, 이후 공기인출배관(320)을 통해 빠져나가고 순환에 의해 공기를 연속 공급하여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를 냉각 처리한다.
여기에서, 에어공급부(400)와 공기순환배관부(300)를 통해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로 유입 및 유출되어 순환 처리되는 공기는 공기투입공간(120) 내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공기유도칸막이(130)에 의해 흐름 경로가 형성되므로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의 전체를 경유하여 냉각 처리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이에 따라,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1200℃ 이상의 고온 열을 갖는 용광로(2) 내에 위치되어도 공기의 연속적인 공급 및 순환을 통해 냉각 처리하므로 열에 의해 변형되어 뒤틀림이 발생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재킷부(100)를 비롯한 장치의 사용 수명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스크류구동모터(51)를 가동하여 스크류 피더(200)를 회전 구동하고, 호퍼(20)로부터 재킷부(100) 내로 유리원료가 공급되게 한다.
이때, 스크류 피더(200)는 재킷부(100)로 공급되는 유리원료를 회전 구동에 의해 압출 형태로 앞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고, 유리원료를 전진 이송 처리하게 되며,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 형성된 유리원료투입구(150)를 통해 낙하시켜 용광로(2) 내에 자동 투입하게 된다.
여기에서, 스크류 피더(200)는 표면 전체에 걸쳐 용접코팅층(210)이 형성되어 있어 순수 강재에 비해 경도가 증대 및 내마모성이 향상된 상태로 깨진 조각의 유리원료에 의해 쉽게 연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유리원료의 자동 투입을 완료하면, 대차(10)를 후진하여 원래 설치위치로 복귀시키면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는 고온 열을 갖는 용광로(2) 내에 재킷부(100)의 끝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 호퍼(10)로부터 공급되는 유리원료를 스크류 피더(200)를 통해 전진 이송시켜 자동 투입하는 경우, 용광로(2) 내에 위치되는 재킷부(100)의 끝단부에 대해 공기 공급을 통해 냉각 처리하므로 용광로(2)의 고온 열에 견딜 수 있고, 기존에서와 같이 고온 열에 의해 변형되어 쉽게 뒤틀림이 발생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사용 수명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재킷부(100)에 대해 분리형 몸체(110)로 구성함에 따라 설령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 용광로(2)의 고온 열에 의한 변형으로 뒤틀림이 발생되더라도 재킷부(100)를 통째로 교체하지 않고 변형이 발생되는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만을 부분 교체하면 되므로 기존에 비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장치의 유지보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베이스구조물 2: 용광로
10: 대차 20: 호퍼
100: 재킷부 110: 분리형 몸체
110n: 마지막 분리형 몸체 120: 공기투입공간
130: 공기유도칸막이 140: 마감플랜지
150: 유리원료투입구 200: 스크류 피더
300: 공기순환배관부 310: 공기인입배관
320: 공기인출배관 400: 에어공급부

Claims (4)

  1. 호퍼(10)로부터 유리원료를 공급받는 재킷부(100)와, 상기 재킷부(100)에 내재되고 회전 구동을 통해 유리원료를 전진 이송시켜 용광로 내로 투입시키는 스크류 피더(200)를 포함하는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갖는 일자형 몸체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 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되, 3단 이상의 분리형 몸체(110)로 연결 구비되며, 유리원료의 투입시 용광로 내에 위치하게 되는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는 이중벽 구조를 통해 공기투입공간(120)을 갖도록 형성시킨 재킷부(100);
    상기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갖는 공기투입공간(120)에 연결되고, 공기투입공간(120)의 시작부분으로 연결 설치되는 공기인입배관(310) 및 공기인출배관(320)에 의한 공기순환배관부(300);
    상기 공기순환배관부(300)에 연결되며, 공기를 발생 및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가 갖는 공기투입공간(120)으로 송풍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로 공기 투입 및 순환을 통해 냉각 처리하기 위한 에어공급부(400);
    상기 재킷부(100)에 내재되고, 스크류구동모터(51)에 의해 회전 구동되게 구비되는 스크류 피더(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는,
    상기 이중벽 구조의 공기투입공간(120) 내에 다수의 공기유도칸막이(130)를 분산 배치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피더(200)는,
    상기 스크류구동모터(51)와 스프로킷(52) 체결 및 체인(53) 결합을 통해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재킷부(100) 내에 배치되고, 타단이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 구비된 마감플랜지(140) 상에 베어링(54) 결합되며;
    상기 재킷부(100)의 마지막 분리형 몸체(110n)에는 끝단부 하부로 상기 스크류 피더(20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송되는 유리원료를 낙하시켜 용광로 내로 투입하기 위한 유리원료투입구(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피더(200)는,
    강재로 이루어지되, 표면 전체에 걸쳐 용접봉으로 용접 코팅함에 의해 형성시킨 용접코팅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표면 경도를 증대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KR1020150052583A 2015-04-14 2015-04-14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KR101552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83A KR101552312B1 (ko) 2015-04-14 2015-04-14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83A KR101552312B1 (ko) 2015-04-14 2015-04-14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312B1 true KR101552312B1 (ko) 2015-09-18

Family

ID=5424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83A KR101552312B1 (ko) 2015-04-14 2015-04-14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41Y1 (ko) 1999-08-28 2000-02-15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원료공급장치
KR100385571B1 (ko) 2001-02-12 2003-05-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합성수지류 폐기물 또는 합성수지류 폐기물과 가연성폐기물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는 고형연료 제조장치
JP2005179126A (ja) 2003-12-19 2005-07-07 Asahi Fiber Glass Co Ltd スクリューフィーダ先端部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KR101182095B1 (ko) 2011-05-30 2012-09-19 주상규 용접코팅부가 형성된 스크류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41Y1 (ko) 1999-08-28 2000-02-15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원료공급장치
KR100385571B1 (ko) 2001-02-12 2003-05-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합성수지류 폐기물 또는 합성수지류 폐기물과 가연성폐기물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는 고형연료 제조장치
JP2005179126A (ja) 2003-12-19 2005-07-07 Asahi Fiber Glass Co Ltd スクリューフィーダ先端部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KR101182095B1 (ko) 2011-05-30 2012-09-19 주상규 용접코팅부가 형성된 스크류 및 이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20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ecyclable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JP4343956B2 (ja) 供給装置、特に供給原料予熱装置
CN103415359B (zh) 挤出成形可高温成形的有色金属
CN104162788B (zh) 一种耐磨钢球的自动化生产设备
CN106086382A (zh) 一种轴承套圈的热处理工艺系统
JP6854035B1 (ja) 熱処理装置
KR102390012B1 (ko) 고온 브리켓 철의 냉각장치
KR101552312B1 (ko) 유리원료의 용광로 내 자동 투입장치
CN112254512A (zh) 连续式锂电池材料焙烧气氛保护生产线
KR100846425B1 (ko) 알루미늄 빌렛 연속 주조 장치
KR102077689B1 (ko) 고온 브리켓 철의 제조장치
WO2012157392A1 (ja) 溶融樹脂切断処理システム
CN102896587A (zh) 石材毛化机
CN207616290U (zh) 一种管材自动上下料去毛刺装置
KR20130110591A (ko) 브리켓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리켓 제조 방법
KR101958559B1 (ko)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KR101171647B1 (ko) 코크스 처리 설비
KR102105427B1 (ko) 스크류형의 직접환원철법 냉각장치
CN205774687U (zh) 一种自动棒料端部淬火装置
KR20230032200A (ko) 용해로 내 유리원료 자동투입장치
CN202804963U (zh) 石材毛化机
CN108527827A (zh) 一种改善的pvc吹膜机
KR102065065B1 (ko)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결 장치
KR101304823B1 (ko) 호퍼 장입장치 및 배합원료의 호퍼 장입방법
KR101225726B1 (ko) 코크스 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