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812B1 -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812B1
KR101551812B1 KR1020140004765A KR20140004765A KR101551812B1 KR 101551812 B1 KR101551812 B1 KR 101551812B1 KR 1020140004765 A KR1020140004765 A KR 1020140004765A KR 20140004765 A KR20140004765 A KR 20140004765A KR 101551812 B1 KR101551812 B1 KR 10155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needle
unit
rotat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203A (ko
Inventor
탁태오
권성우
박준영
안준호
김동욱
김대규
최승모
김지수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8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8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선단에 니들이 장착된 니들 받침대가 장착되고 피부를 향해 니들 받침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수동식으로 조절부의 회전부재를 회전조작해서 니들이 연결된 이동부재를 직선 왕복 운동시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니들이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NIDDLE INSERTING APPARATUS FOR INJEC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주입기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수동식으로 조절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조세라피(meso therapy)는 미세바늘을 이용하여 피부의 진피층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주사자극을 가하는 치료법으로서, 프랑스 의사인 Michel Pistor에 의해서 1952에 개발되었다.
메조세라피의 시술목적은 지방분해를 통한 비만치료, 피부 통증 완화, 모발재생, 체중 감소, 주름 제거, 상처 및 여드름 치료 등 주로 성형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성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국내외에서 시술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메조세라피에 적용되는 약물 주입기는 전기나 공압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장치로서, '메조건(meso gun)'이라고도 부른다.
메조건은 전기식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되며, 대당 가격이 $3000-$5000에 이르는 고가의 제품이다.
이러한 메조건을 구동하는 데는 주사기 바늘을 피부에 삽입할 때와 삽입 후 정해진 양의 약물을 주사할 때 주사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이 필요하다.
메조건의 동력원으로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과 공기압을 이용하는 공압식이 있다.
전기식 메조건에 비해서 공압식 메조건은 충분한 파워가 제공되고, 연속적으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온도 상승이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기식 메조건보다 공압식 메조건이 선호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다수에 약물 입장치 기술을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07105호(2011년 1월 10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01050호(2010년 12월 14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압식 약물주입장치는 공기압을 이용해서 실린더를 동작시킴에 따라, 공압식 실린더에 공기압을 공급하는 장치를 부가적으로 마련해야만 한다.
마찬가지로,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식 약물주입장치는 전원을 공급해서 모터를 구동해야 함에 따라, 전기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마련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약물주입장치는 전기식 또는 공압식으로 구동됨에 따라, 실린더나 전기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장치없이 수동식으로 니들을 동작시켜 피부에 삽입하고, 삽입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약물주입장치용 니들 삽입 장치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식으로 니들을 이동시켜 피부에 삽입해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선단에 니들이 장착된 니들 받침대가 장착되고 피부를 향해 니들 받침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및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결합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절부의 중심축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중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관통 결합되는 상기 이동부재의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회전조작에 의해 수동식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중심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미리 설정된 각도마다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와 중심축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출몰 동작 가능하게 가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가 고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미리 설정된 각도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른 이동핀의 이동거리를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모듈 및 상기 이동감지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감지모듈은 상기 이동핀의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구동방법은 (a) 조절부에 마련된 회전부재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부재를 직선 왕복 시키는 단계, (b)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에 연결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c2) 상기 (c1)단계에서 감지된 이동거리를 표시패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수동식으로 조절부의 회전부재를 회전조작해서 니들이 연결된 이동부재를 직선 왕복 운동시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니들이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의 화면에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이동거리를 확인한 후 니들 삽입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가압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F'는 전방, 'B'는 후방, 'U'는 상방, 'D'는 하방, 'L'은 좌측 및 'R'은 우측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선단에 니들 받침대(도면 미도시)가 장착되고 피부를 향해 니들 받침대를 이동시키도록 케이스(10)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20) 및 이동부(20)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3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는 이동부(2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40) 및 감지부(40)에서 감지된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이동부(20), 감지부(40) 및 표시부(5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의 하단에는 각각 약물주입기 본체(도면 미도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의 하부에는 각각 내부에 마련되는 이동부(20) 및 조절부(30) 동작 시 발생하는 마찰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가 이동하는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절부(30)의 중심축(32)에 나사 결합되고 중심축(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케이스(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재(21) 및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 사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이동부재(21)가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2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부재(31)의 일단, 예컨대 도 2에서 보았을 때 좌측단에는 니들이 결합된 니들 받침대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21)는 조절부(30)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니들 받침대를 피부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거나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동부재(21)의 일측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감지부(40)의 이동핀(41)이 삽입되는 삽입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는 대략 단면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 결합된 이동부재(21)의 직선 왕복 운동시 이동부재(21)가 원환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의 내면에는 각각 가이드 부재(22)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식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재(31) 및 일단이 회전부재(31)에 결합되고 회전부재(31)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축(3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31)는 외주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각도마다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기어(311) 및 회전기어(31)와 중심축(32)의 일단을 연결하고 회전기어(31)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판(3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부재와 가압부재의 확대도이다.
회전판(312)의 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가압부재(35)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회전부재(31)를 가 고정하도록 일정 각도마다 고정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5)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부재(31)의 회전 운동시 회전부재(31)를 가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가압부재(35)는 대략 원통 형성으로 형성되고, 가압부재(35)의 선단부는 회전판(312)에 형성된 고정홈(3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5)의 내부 공간에는 일단이 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가압부재(3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6)가 마련될 수 있다.
중심축(32)의 외주면에는 회전부재(31)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부(20)의 이동부재(21)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볼트 형상을 이루는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축(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pitch)가 약 0.5mm인 경우, 이동부재(22)는 회전부재(31)의 1회전에 의해 약 0.5mm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312)에 형성된 고정홈(313)이 5개 형성된 경우, 각 고정홈(313) 사이의 각도는 72°가 된다.
그래서 회전부재(31)가 어느 하나의 고정홈(313)에서 이웃하는 고정홈(313)까지 회전하면, 이동부재(21)는 약 0.1mm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조절부(30)는 총 24회전을 통해 이동부재(21)를 최대 12mm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중심축(32)의 일단부, 도 2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부에는 중심축(3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3) 및 고정부재(33)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고정부재(3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 부재(34)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33)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핀(331)에 의해 중심축(32)에 고정되고, 한 쌍의 베어링 부재(34) 사이에 설치되어 중심축(32)의 회전 운동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베어링 부재(34)는 중심축(3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각 베어링 부재(34)는 각각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 사이에 고정되는 외측 링과 복수의 볼에 의해 외측 링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고정부재(33)를 제거하고, 내측 링이 중심축과 고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베어링 부재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감지부(40)는 이동부재(21)의 삽입홈(23)에 일단이 삽입되어 이동부재(23)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핀(41), 이동부재(23)의 이동에 따른 이동핀(41)의 이동거리를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모듈(42) 및 이동감지모듈(42)이 설치되는 회로기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감지모듈(42)은 이동핀(41)의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변저항기는 회로기판(43)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이동핀(41)의 위치에 따라 변경된 저항값에 의해 출력되는 전류의 전류값을 변경해서 감지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회로기판(43)의 일측에는 약물주입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43)에는 이동감지모듈(42)의 감지신호에 따라 이동부재(21)의 이동거리를 산출해서 표시부(5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43)은 커넥터(44)를 통해 이동감지모듈(42)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약물주입기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케이스(10)의 상면에 장착되고,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이동부재(21)의 이동거리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50)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표시소자를 이용한 표시패널(5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51)은 회로기판(43)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로기판(43)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에 따라 화면에 이동부재(21)의 이동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표시부(50)는 이동부재(21)의 이동거리를 최소 0.1mm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자는 이동부(20)와 조절부(30)를 조립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심축(32)의 일단, 예컨대 우측단을 회전부재(31)의 회전판(312)에 결합하고, 중심축(32)의 일단부, 즉 우측단부에 고정부재(33) 및 한 쌍의 베어링 부재(34)를 결합해서 배치한다.
이때, 고정부재(33)는 고정핀(331)에 의해 중심축(32)에 고정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중심축(32)의 타단부를 이동부재(21)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에 결합한다.
이때, 중심축(32)과 이동부재(21)는 중심축(32)의 외주면 및 이동부재(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이동부재(21)의 외주면에 가이드 부재(22)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동부(20)와 조절부(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케이스(10)의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 사이에 이동부(20)와 조절부(30)의 조립체를 배치한다.
이때, 후면 커버(12)에는 감지부(40)와 표시부(50)가 조립된 상태이다.
어어서, 작업자는 감지부(40)의 이동핀(41) 하단이 이동부재(21)의 삽입홈(23)에 삽입되도록 이동핀(41)을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해서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니들 삽입 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동부재(21)의 선단부에는 니들이 장착된 니들 받침대를 장착하고, 전면 커버(11)와 후면 커버(12)에 형성된 플랜지를 관통해서 볼트를 체결하여 니들 삽입 장치를 약물주입기 본체에 고정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구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는 조절부(30)의 회전부재(31)를 사용자가 수동식으로 회전조작함에 따라, 이동부재(21)를 직선 왕복 운동시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거나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회전부재(31)를 일측 방향,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회전부재(31)가 회전운동하면서 중심축(32)에 나사 결합된 이동부재(21)가 피부를 향해 도 4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회전기어(311)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이용해서 회전부재(31)를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35)는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판(312)을 우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부재(35)를 회전판(312)의 고정홈(313)에 삽입시켜 회전부재(31)를 가 고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가압부재(35)가 고정홈(3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 및 진동에 의해 현재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31)를 회전 조작해서 이동부재(21)를 이동시키는 도중에, 감지부(40)는 이동부재(21)의 이동에 따른 이동핀(41)의 이동거리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그러면 표시부(50)는 감지부(40)에서 감지된 이동핀(41)의 이동거리를 표시패널(51)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패널(51)에 표시된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회전부재(31)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부에 마련된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니들이 결합된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수동식으로 조절함으로써,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약물 주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조작한다.
그러면, 중심축(32)에 나사 결합된 이동부재(21)는 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5에서 보았을 때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21)의 선단에 연결된 니들도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부에서 분리되어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수동식으로 조절부의 회전부재를 회전조작해서 니들이 연결된 이동부재를 직선 왕복 운동시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니들이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수동식으로 조절부의 회전부재를 회전조작해서 니들이 연결된 이동부재를 직선 왕복 운동시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고, 니들이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케이스 11: 전면 커버
12: 후면 커버 20: 이동부
21: 이동부재 22: 가이드 부재
23: 삽입홈 30: 조절부
31: 회전부재 311: 회전기어
312: 회전판 313: 고정홈
32: 중심축 33: 고정부재
331: 고정핀 34: 베어링 부재
35: 가압부재 40: 감지부
41: 이동핀 42: 이동감지모듈
43: 회로기판 44: 커넥터
50: 표시부 51: 표시패널

Claims (11)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선단에 니들이 장착된 니들 받침대가 장착되고 피부를 향해 니들 받침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결합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절부의 중심축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중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사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관통 결합되는 상기 이동부재의 직선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회전조작에 의해 수동식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중심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미리 설정된 각도마다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와 중심축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출몰 동작 가능하게 가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가 고정하도록 상기 가압부재가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미리 설정된 각도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른 이동핀의 이동거리를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모듈 및
    상기 이동감지모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모듈은 상기 이동핀의 위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10. (a) 조절부에 마련된 회전부재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부재를 직선 왕복 시키는 단계,
    (b)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에 연결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c2) 상기 (c1)단계에서 감지된 이동거리를 표시패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의 구동방법.
  11. 삭제
KR1020140004765A 2014-01-14 2014-01-14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55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765A KR101551812B1 (ko) 2014-01-14 2014-01-14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765A KR101551812B1 (ko) 2014-01-14 2014-01-14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203A KR20150085203A (ko) 2015-07-23
KR101551812B1 true KR101551812B1 (ko) 2015-09-11

Family

ID=5387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765A KR101551812B1 (ko) 2014-01-14 2014-01-14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506A (ja) 2001-09-20 2003-04-02 Top:Kk 翼付留置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506A (ja) 2001-09-20 2003-04-02 Top:Kk 翼付留置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203A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3949A1 (en) Catheter using optical fiber and camera
US20090259180A1 (en) Injection method using injector with length-adjustable needle and inj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49440B2 (en) Syringe device for skin treatment
KR101400965B1 (ko)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100814493B1 (ko) 약물주사용 건
US20110230833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jecting Fluids or Gels
KR101487908B1 (ko) 피부 시술 장치
KR101457271B1 (ko) 피부시술장치
WO2018168988A1 (ja) 薬液投与装置
WO2006054650A1 (ja) コントローラ装置
KR102142692B1 (ko)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KR20120110379A (ko) 니들어셈블리의 교체가 편리한 피부미용치료기
KR20190101062A (ko) 무통 마취 주사장치
CN106028996A (zh) 手术用机械手操作装置和手术用机械手系统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KR101551812B1 (ko) 약물주입기용 니들 삽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62677B1 (ko) 전동식 약물 주입기
KR101402751B1 (ko) 피치 조절 방식의 약물 주입 보조 장치
KR101558549B1 (ko) 약물 주입장치
EP346352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ansdermal delivery
KR101502555B1 (ko)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KR20120019818A (ko) 원 모터 자동주사장치
KR101639415B1 (ko) 피부 시술장치용 니들 조립체
KR200484467Y1 (ko) 니들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피부 시술용 모듈
KR102309706B1 (ko) 자동 화장품 흡수 유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