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807B1 - 조명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807B1
KR101551807B1 KR1020140181996A KR20140181996A KR101551807B1 KR 101551807 B1 KR101551807 B1 KR 101551807B1 KR 1020140181996 A KR1020140181996 A KR 1020140181996A KR 20140181996 A KR20140181996 A KR 20140181996A KR 101551807 B1 KR101551807 B1 KR 10155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flected wave
lighting
reflected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재욱
김규헌
여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Priority to KR102014018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후에도 사람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초음파의 도달영역 또는 초음파의 감지영역을 가변시켜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재(100)와; 사람을 인지하는 인체확인부재(200); 및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를 포함하는 통상의 조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인체확인부재(200)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송신안테나(211)를 통해서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210), 초음파 송신부(210)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반사되면 도플러 센서(221)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반사파 센싱부(220), 도플러 센서(221)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반사파가 유입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유입되는 반사파를 차단하는 측벽(231)이 아랫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사파 차단부(230)를 포함하고, 제어부재(300)는 반사파를 기준으로 사람여부를 확인하는 움직임 확인부(310), 움직임 확인부(310)에서 점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점등시키고, 소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점등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파 차단부(230)의 측벽(231)은 반사파가 통과되는 관통공(238)과,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하면서 관통공(238)의 개구된 위치와 폭을 조절하는 차단판(23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 관리 시스템{LIGHTING CONTROLL SYSTEM}
본 발명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후에도 사람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초음파의 도달영역 또는 초음파의 감지영역을 가변시켜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장, 아파트, 주택, 빌딩 등의 복도, 통로, 현관, 계단, 화장실 등 사람이 활동하는 다양한 구역에는 감지센서를 통해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 자동 조명등이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전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센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근접센서 등이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감지센서에 의해 점등된 조명등을 일정시간 이후 소등하기 위한 것으로 점등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 조명등은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영역가 일정영역로까지 한정되지 못하여 불필요하게 점등되는 경우가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사람의 거리비에 따른 조도의 조절 없이 최대 조도로만 획일적인 점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시적인 시야 장애의 원인이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04603(공개일 : 2010.01.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명장치가 설치된 후에도 사람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초음파의 도달영역 또는 초음파의 감지영역을 가변시켜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도플러 센서에서 초음파의 반사파가 인식되면 조명의 밝기가 서서히 증가되도록 하여 어두운 곳에서 조명이 켜지면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시야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조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재(100)와; 사람을 인지하는 인체확인부재(200); 및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를 포함하는 통상의 조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인체확인부재(200)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송신안테나(211)를 통해서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210), 초음파 송신부(210)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반사되면 도플러 센서(221)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반사파 센싱부(220), 도플러 센서(221)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반사파가 유입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유입되는 반사파를 차단하는 측벽(231)이 아랫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사파 차단부(230)를 포함하고, 제어부재(300)는 반사파를 기준으로 사람여부를 확인하는 움직임 확인부(310), 움직임 확인부(310)에서 점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점등시키고, 소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점등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파 차단부(230)의 측벽(231)은 반사파가 통과되는 관통공(238)과,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하면서 관통공(238)의 개구된 위치와 폭을 조절하는 차단판(23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인체확인부재(200)는 발생된 초음파의 송신방향을 설정하는 송신방향 설정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반사파 차단부(230)는 초음파가 차단되도록 금속재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표면을 도금처리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반사파 차단부(230)는 센싱부의 측벽(231)은 반사파의 감지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측벽을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인체확인부재(200)는 송신안테나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초음파가 송신되는 하부가 개구되고 초음파를 차단하는 측벽(241)이 아랫방향으로 연장된 송신방향 설정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반사파 차단부(230)는 송신안테나와 도플러 센서(221)의 외부를 함께 감싸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300)는 움직임 확인부(310)에서 점등신호가 발생되면 점등되는 조명의 밝기가 증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밝기 조절부(320)와,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300)의 움직임 확인부(310)는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반사파의 량을 비교하여 기준이상이면 사람이 감지된 것으로 인식하여 점등신호를 발생시키고, 일정시간 동안에 수신된 반사파의 량이 기준이하이면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소등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300)의 움직임 확인부(310)는 사람으로 인정되는 반사파의 기준 수신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수신량을 확인하여 사람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반사파의 량을 발진된 초음파의 량과 비교하여 반사율에 따라 사람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300)의 작동 제어부(340)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시간을 등록받아 제어하는 시간제어부(341)와,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ON/OFF 신호를 제공받아 제어하는 온/오프제어부(342)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관리 시스템은 조명장치로 반사되는 반사파를 인식하는 도플러 센서의 측면에 반사파 차단부를 설치하여 사람의 이동이 적은 부분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오작동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장치가 설치된 후에도 사람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초음파의 도달영역 또는 초음파의 감지영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플러 센서에서 초음파의 반사파가 인식되면 조명의 밝기가 서서히 증가되도록 하여 어두운 곳에서 조명이 켜지면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시야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파 차단부의 형태에 따른 반사파 감지영역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파 차단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파 차단부의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파 차단부의 설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파 차단부와 송신방향 설정부의 설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명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관리 시스템은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재(100), 사람을 인지하는 인체확인부재(200)와,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조명부재(100)는 LED로 이루어지며, 특히 다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확인부재(200)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송신부(210),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반사파 센싱부(220), 반사파 센싱부(220)로 유입되는 반사파를 차단하는 반사파 차단부(230)를 포함하며, 발생된 초음파의 송신방향을 설정하는 송신방향 설정부(2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송신부(21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송신한다. 초음파 송신부(210)는 초음파를 발진하는 발진부(미도시)와, 발진된 초음파를 증폭하는 증폭부(미도시)와, 증폭된 초음파를 송신하는 송신안테나(2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초음파 송신부(2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사파 센싱부(220)는 초음파 송신부(210)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반사되면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반사파 센싱부(220)는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도플러 센서(221)와, 수신된 초음파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플러 센서, 증폭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사파 차단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플러 센서(221)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반사파가 유입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유입되는 반사파를 차단하는 측벽(231)이 아랫방향으로 연장된다. 반사파 차단부(230)는 초음파가 차단되도록 금속재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표면을 도금처리하여 사용한다. 또한, 반사파 차단부(230)의 측벽(231)은 반사파의 감지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측벽을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파 차단부(230)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반사파 차단부(230)의 측벽(231)은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측벽(232)과, 제1측벽(232)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측벽(233)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제1측벽(232)의 양끝단에 삽입홈(234)이 형성되고, 제2측벽(233)의 양끝단은 제1측벽(232)의 삽입홈(234)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돌출부(235)가 형성되고, 제1측벽(232)과 제2측벽(233)의 상부 끝단은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측벽(233)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결합된 상부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1측벽(232)의 삽입홈(234)에 삽입된 제2측벽(233)의 돌출부(235)가 일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측벽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파 차단부(23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측벽(231)은 반사파가 통과되는 관통공(238)과,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하면서 관통공(238)을 차단하는 차단판(239)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단판(239)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238)의 개구된 위치와 폭을 조절하여 방문 또는 전원스위치와 같이 특정 방향 및 특정 높이에서 반사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반사파 차단부(230)에 의해서 동서남북 중에서 특정 방향, 사람이 이동하지 않는 일정 높이 이상의 장소, 사람이 이동이 적은 모서리 장소 등에서 반사되는 반사파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측벽(231)을 기울이거나 또는 차단판(239)을 이용하여 반사파가 유입되는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송신방향 설정부(240)는 송신안테나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초음파가 송신되는 하부가 개구되고 초음파를 차단하는 측벽(241)이 아랫방향으로 연장된다. 송신방향 설정부(240)는 초음파가 차단되도록 금속재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표면을 도금처리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송신방향 설정부(240)에 의해서 사람의 동선이 많은 부분으로 초음파가 송신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신방향 설정부(240)의 측벽(241)은 초음파의 도달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측벽(241)을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초음파가 방문 또는 전원스위치 등의 특정지역의 특정높이에도 도달하도록 측벽(241)에 반사파 차단부(230)와 같은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안테나와 도플러 센서(221)의 외부를 함께 감싸도록 반사파 차단부(230)를 위치시키면 반사파 차단부(230)를 송신방향 설정부(240)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방향 설정부(240)는 반사파 차단부(230)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재(300)는 반사파를 기준으로 사람여부를 확인하는 움직임 확인부(310),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320),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점등부(330),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움직임 확인부(310)는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반사파의 량을 비교하여 기준이상이면 사람이 감지된 것으로 인식하여 점등신호를 발생시키고, 일정시간 동안에 수신된 반사파의 량이 기준이하이면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소등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움직임 확인부(310)는 사람으로 인정되는 반사파의 기준 수신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수신량을 확인하여 사람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반사파의 량을 발진된 초음파의 량과 비교하여 반사율에 따라 사람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밝기 조절부(320)는 움직임 확인부(310)에서 점등신호가 발생되면 점등되는 조명의 밝기가 증가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어두운 곳에서 조명이 켜지면 눈의 암순응으로 인해 일시적인 시야 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의 밝기를 5초~10초 단위로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점등부(330)는 움직임 확인부(310)에서 점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점등시키고, 소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소등시킨다. 이때, 점등부(330)는 밝기 조절부(320)에 의해서 조명의 밝기가 증가되도록 설정되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조명등을 밝기를 증가시킨다.
작동 제어부(340)는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작동 제어부(340)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시간을 등록받아 제어하는 시간제어부(341)와,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ON/OFF 신호를 제공받아 제어하는 온/오프제어부(342)를 포함한다. 작동 제어부(340)는 전용 콘트롤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동 제어부(340)의 온/오프제어부(342)에 의해서 사용자가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또는 시간제어부(341)에 의해서 취침시간, 외출시간 등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명기구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먼저, 방, 욕실, 거실 등에 조명장치가 장착되면, 사람이 주로 이동하는 지역으로 초음파가 송신되도록 방향을 설정한다. 이때, 초음파의 송신방향은 송신안테나(211)에서 모든 방향으로 초음파를 송신할 수 있지만, 송신안테나(211)를 감싸도록 송신방향 설정부(240)의 측벽(241)을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여 초음파의 송신방향을 설정하거나 또는 측벽(241)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특정지역의 특정높이에도 도달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조명장치가 중앙에 설치된 상태에서 초음파의 송신방향이 문쪽을 향하도록 하는 경우에 송신방향 설정부(240)의 측벽 중에서 문쪽에 위치하는 측벽만을 기울어지게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초음파의 송신되면, 반사파 센싱부(220)는 도플러 센서(221)를 이용하여 초음파의 반사파를 수신한다. 이때, 반사파 센싱부(220)는 도플러 센서(221)를 감싸는 반사파 차단부(230)의 측벽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측벽(231)에 관통공(238)의 위치를 조절하여 반사파가 유입되는 지역의 영역를 확장하거나 또는 축소시키게 된다.
반사파 센싱부(220)에 의해서 반사파가 유입되면, 움직임 확인부(310)는 수신된 반사파의 량을 비교하여 기준 이상이면 사람으로 확인하여 점등신호를 발생시켜 점등부(330)로 제공하고 점등부(330)는 조명을 점등하게 된다. 또한, 점등 이후에도 움직임 확인부(310)에 의해서 일정시간 동안 수신된 반사파의 량이 기준 이하이면 소등신호를 발생시켜 점등부(330)로 제공하고 점등부(330)는 조명을 소등하게 된다. 이때, 밝기 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조명의 점등시에 조명의 밝기를 5초~10초 단위로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명 관리 시스템은 사람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초음파의 도달 영역 또는 초음파의 감지영역를 설정할 수 있어 조명장치의 설치위치에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가 설치된 후에도 정확하게 사람을 확인하여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관리 시스템은 반사되는 초음파에 관계없이 취침시간대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가 작동하지 않도록 시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외출하는 동안에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조명부재 200 : 인체확인부재
210 : 초음파 송신부 220 : 송신방향 설정부
230 : 반사파 센싱부 240 : 반사파 차단부
300 : 제어부재 310 : 움직임 확인부
320 : 밝기 조절부 330 : 점등부
340 : 작동 제어부

Claims (12)

  1.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재(100)와; 사람을 인지하는 인체확인부재(200); 및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재(300)를 포함하는 통상의 조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인체확인부재(200)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송신안테나(211)를 통해서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210), 초음파 송신부(210)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반사되면 도플러 센서(221)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반사파 센싱부(220), 도플러 센서(221)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반사파가 유입되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유입되는 반사파를 차단하는 측벽(231)이 아랫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사파 차단부(230)를 포함하고,
    제어부재(300)는 반사파를 기준으로 사람여부를 확인하는 움직임 확인부(310), 움직임 확인부(310)에서 점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점등시키고, 소등신호가 발생되면 조명등을 소등시키는 점등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파 차단부(230)의 측벽(231)은 반사파가 통과되는 관통공(238)과,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하면서 관통공(238)의 개구된 위치와 폭을 조절하는 차단판(23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체확인부재(200)는 발생된 초음파의 송신방향을 설정하는 송신방향 설정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파 차단부(230)는 초음파가 차단되도록 금속재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표면을 도금처리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파 차단부(230)는 센싱부의 측벽(231)은 반사파의 감지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측벽을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체확인부재(200)는 송신안테나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초음파가 송신되는 하부가 개구되고 초음파를 차단하는 측벽(241)이 아랫방향으로 연장된 송신방향 설정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사파 차단부(230)는 송신안테나와 도플러 센서(221)의 외부를 함께 감싸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재(300)는 움직임 확인부(310)에서 점등신호가 발생되면 점등되는 조명의 밝기가 증가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밝기 조절부(320)와,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재(300)의 움직임 확인부(310)는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반사파의 량을 비교하여 기준이상이면 사람이 감지된 것으로 인식하여 점등신호를 발생시키고, 일정시간 동안에 수신된 반사파의 량이 기준이하이면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소등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어부재(300)의 움직임 확인부(310)는 사람으로 인정되는 반사파의 기준 수신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수신량을 확인하여 사람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에서 수신된 반사파의 량을 발진된 초음파의 량과 비교하여 반사율에 따라 사람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부재(300)의 작동 제어부(340)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작동시간을 등록받아 제어하는 시간제어부(341)와, 초음파 송신부(210) 또는 반사파 센싱부(220)의 ON/OFF 신호를 제공받아 제어하는 온/오프제어부(342)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명 관리 시스템.
KR1020140181996A 2014-12-17 2014-12-17 조명 관리 시스템 KR10155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996A KR101551807B1 (ko) 2014-12-17 2014-12-17 조명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996A KR101551807B1 (ko) 2014-12-17 2014-12-17 조명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807B1 true KR101551807B1 (ko) 2015-09-10

Family

ID=5424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996A KR101551807B1 (ko) 2014-12-17 2014-12-17 조명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8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672A (ja) * 1999-07-27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2001185369A (ja)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09168778A (ja) * 2008-01-21 2009-07-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アクティブ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3521605A (ja) * 2010-03-03 2013-06-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コリメ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672A (ja) * 1999-07-27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JP2001185369A (ja) * 1999-12-22 2001-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09168778A (ja) * 2008-01-21 2009-07-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アクティブ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3521605A (ja) * 2010-03-03 2013-06-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コリメー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0676B2 (en) Sensing system for recognition of direction of moving body
US20240103136A1 (en) Side looking occupancy sensor
US9485840B2 (en) Sensing within a region
US20100060173A1 (en) Wireless lighting system for staircases and passageways
CN105423251A (zh) 一种可自动照明的智能灯具
JP4811312B2 (ja)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及びワイヤレス受信器
KR101551807B1 (ko) 조명 관리 시스템
KR200382647Y1 (ko) 마이크로 모션 검출기를 이용한 대상물 감지장치
JP542694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100581541B1 (ko) 램프자동제어시스템
JP3760713B2 (ja) 照明制御装置
KR100975479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KR200408566Y1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KR20050102617A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JP6028971B2 (ja) 無線通信機能を備えた人検出装置及びその人検出装置と照明制御装置を備えた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00004603A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시스템
JP2007026973A (ja) 照明システム
KR101694581B1 (ko) 욕실용 스마트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110066698A (ko) 센서 조명등
KR102129841B1 (ko) 독거노인을 위한 응급안전 센서등
KR200214015Y1 (ko)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JP4453650B2 (ja)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の子器
KR20190050418A (ko) 전파 기반 센서를 통한 광원의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 기구
KR20200109218A (ko) 자동문 개폐장치
KR20150109851A (ko) 원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어 및 에너지 절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