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015Y1 -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015Y1
KR200214015Y1 KR2020000026899U KR20000026899U KR200214015Y1 KR 200214015 Y1 KR200214015 Y1 KR 200214015Y1 KR 2020000026899 U KR2020000026899 U KR 2020000026899U KR 20000026899 U KR20000026899 U KR 20000026899U KR 200214015 Y1 KR200214015 Y1 KR 200214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detection
unit
human bod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백희
Original Assignee
원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백희 filed Critical 원백희
Priority to KR2020000026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015Y1/ko

Link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를 감지하여 경보음이나 경보등을 발생시키는 인체 감지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으로 원거리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소형으로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온/오프(0N/OFF) 작동키(121)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20)와, 상기 작동키(120)로 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130)와, 상기 무선 신호 발생부(130)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4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1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리모콘(100); 및 상기 송신부(140)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인체를 감지하는 열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 신호 발생기(241)와 인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신호 수신기(242)로 이루어진 감지부(240)와, 경보를 울리는 경보부(260)와, 상기 경보부(2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50)와, 상기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지부(240)를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부(240)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25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3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210)가 본체(280)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280)에 장착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280)의 전면에 커버(290)를 결합시키고, 상기 감지 신호 발생기(241)에서 발생된 신호가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감지 신호 수신기(242)에서 방출된 감지 신호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90)의 해당 위치에 감지창(291)이 설치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감지 경보기(20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형이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탈부착이 용이하여 원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어 설치 장소를 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행시 숙박소나 텐트 주변에 설치하여 외부인의 근접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PORTABLE HUMAN SENSING ALARM MACHINE}
본 고안은 인체를 감지하여 경보음이나 경보등을 발생시키는 인체 감지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으로 원거리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소형으로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법적인 침입자가 나타났을때 작동되는 경보 장치는 외부에 이를 알리므로써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있는 사람이 버튼을 눌러 비상벨이 울리도록 하거나 비상 전화가 걸리도록 하는 유인 경보 장치와, 미리 설치된 경보 장치가 침입자를 감지하여 비상벨 또는 비상 전화를 작동시키는 무인 경보 장치가 있다.
이러한 무인 경보 장치는 일반 주택이나 상가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 없는 야간이나 휴일에 주로 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금품만을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해치는 범죄가 많이 저질러 지고 있는 것을 볼때 경보 장치를 사용자의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경보 장치는 주택이나 상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설치가 복잡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치 위치를 바꾸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정이나 상가에 설치된 경보 장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필요할때마다 이미 설치된 경보 장치를 떼어서 원하는 곳에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다시말해서 사용자가 여러곳을 여행하는 경우 종래의 경보 장치를 숙박소마다 설치하고 제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숙박소마다 종래의 경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경보 장치의 설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어 불법적으로 침입한 침입자와 사용자 및 일반인을 구별하여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여행지에서 자는 도중 외부에서 침입자가 들어왔을때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사고를 당하거나 불안감 때문에 여행지에서 거의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 특히 집이 아닌 텐트나 방가로와 같이 침입자가 쉽게 들어 올 수 있는 곳에서는 그 불안감이 더욱 커져 잠을 설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휴대가 간편하고 어느 장소에도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의 전체 블럭도
도 3 은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정면도
도 5 는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측면도
도 6(a) 는 도 5 의 조절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b) 는 도 5 의 고정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모콘 110, 210 : 밧데리
120 : 키입력부 121 : 작동키
130 : 무선 신호 발생부 140 : 송신부
200 : 감지 경보기 220 : 수신부
230 : 제어부 240 : 감지부
241 : 감지 신호 발생기 242 : 감지 신호 수신기
250 : 구동부 260 : 경보부
261 : 경보등 262 : 경보 스피커
280 : 본체 290 : 커버
291 : 감지창 292 : 음배출구
293 : 경보등창 300 : 조절 고정부
311 : 연결대 312 : 조절구
321 : 돌기 322 : 홈
323 : 고정판 324 : 구멍
330 : 자석판 340 : 철판
350 : 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온/오프(ON/OFF) 작동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작동키(120)로 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와, 상기 무선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리모콘; 및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인체를 감지하는 열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 신호 발생기와 인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신호 수신기로 이루어진 감지부와, 경보를 울리는 경보부와, 상기 경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지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가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커버를 결합시키고, 상기 감지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신호가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감지 신호 수신기에서 방출된 감지 신호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해당 위치에 감지창이 설치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감지 경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의 전체 블럭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정면도이고, 도 5 는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측면도이고, 도 6(a) 는 도 5 의 조절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 는 도 5 의 고정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1 의 감지 경보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는 도 1,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오프(ON/OFF) 작동을 조절하는 리모콘(100)과 온/오프 작동을 위해 상기 리모콘(100)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에 따라 주변의 인체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하나 또는 다수의 감지 경보기(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모콘(10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오프(ON/0FF) 작동키(121)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20)와, 상기 작동키(121)로 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신호 발생부(130)와, 상기 무선 신호 발생부(130)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4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1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감지 경보기(200)는 도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신부(140)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인체를 감지하는 열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 신호 발생기(241)와 인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신호 수신기(242)로 이루어진 감지부(240)와, 경보를 울리는 경보부(260)와, 상기 경보부(2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50)와, 상기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지부(240)를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부(240)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25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3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210)가 본체(280)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280)에 장착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280)의 전면에 커버(290)를 결합시키고, 상기 감지 신호 발생기(241)에서 발생된 신호가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감지 신호 수신기(242)에서 방출된 감지 신호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90)의 해당 위치에 감지창(291)이 설치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감지창(291)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 신호 발생기(241)에서 발생된 신호가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감지 신호 수신기(242)에서 방출된 감지 신호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도록 표면을 호의 형태로 하면서 구획하여 다수의 원형의 볼록한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보부(260)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 스피커(262)와 경보등(26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보부(260)의 경보 스피커(262)와 경보등(261)에서 발생된 경보음과 경보 불빛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감지 경보기(200)의 해당 위치, 즉 경보 스피커((262)와 경보등(261)의 위치에 소리 배출구(292)와 경보등 창(293)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리 배출구(292)와 경보등창(293)은 커버(290)의 해당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보 스피커(262)의 경보음 크기는 구동부(250)에 별도의 소리 조절 수단을 두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경보등(200)의 점멸 주기는 구동부(250)에 별도의 점멸 주기 조절 수단을 두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 및 도 6(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 경보기(200)의 감지 방향을 원활히 조절하면서 설치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본체(280)의 후면에 조절 고정부(300)가 부착된다. 즉, 조절 고정부(300)는 본체(280)의 후면에 구형의 조절구(312)가 부착되고, 상기 조절구(312)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구형의 홈(322)이 형성된 돌기(312)가 고정판(323)의 전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판(323)의 상부에는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 구멍(324)을 형성하여 못이나 핀등에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절구(312)와 본체(280)의 후면에 연결대(311)를 설치하게 되는 데, 상기 연결대(311)는 상기 조절구(312)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본체(280)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필요시 본체(28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323)은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 하부에 자석판(330)을 부착하여 유리(350)와 같이 부착이 용이하지 않은 물체에 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원하는 위치와 감지 방향을 맞추어 감지 경보기(200)를 설치해야 한다.
상기 감지부(240)의 정면, 즉 감지창(291)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이 감지 방향이 되게 되므로 감지하려는 방향에 맞추어 감지 경보기(200)를 설치한다.
즉, 방안에서 자면서 문으로 들어오는 사람을 감지하려는 경우에는 잠자는 사람이 감지되어서는 안되므로 자는 사람으로 감지 신호가 오지 않도록 출입구 방향으로 문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축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축사 반대 방향, 즉 축사 바깥 방향으로 감지창(291)의 정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고 과수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과수원 바깥 방향으로 감지창(291)의 정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감지창(291)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여 감지 방향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323)의 홈(322)에 삽입된 조절구(312)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 즉 아래 방향으로 감지창(291)의 정면이 오도록 한다. 또한,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고정판(323)의 홈(322)에 삽입된 조절구(312)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 즉 위 방향으로 감지창(291)의 정면이 오도록 한다. 또한, 측면에 벽이 있는 경우에도 좌우 방향으로 감지창(291)의 정면이 오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감지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감지 경보기(20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걸이 구멍(324)과 고정판(323)과 자석판(330)을 이용하면 된다. 즉, 못이나 핀등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걸이 구멍(324)을 이용하면 되고, 바닥이나 책상 위와 같이 편편한 곳에서는 조절구(312)를 회전시켜 고정판(323)을 사선 방향으로 조절하므로써 고정판(323)을 받침대로 이용하면 된다. 또한, 유리창과 같은 곳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자석판(330)을 이용하면 된다. 즉, 자석판(330)이 부착된 고정판(323)을 유리창의 원하는 위치에 놓고 유리창의 반대면 자석판(330)에 대응되는 부분에 철판(340)을 대면 감지 경보기(200)는 고정되고 고정된후 조절구(312)를 이용하여 감지 방향을 조절하면 된다. 이때 고정판(323)의 후면을 철판으로 하거나 고정판(323)에 별도의 철판을 부착하고 고정판(323)이 설치된 유리창의 반대면에 자석을 붙여도 된다.
이와 같이 감지 경보기(200)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한후에는 리모콘(100)에 있는 키입력부(120)의 키(121)를 눌러 감지 경보기(200)를 작동시킨다.
즉,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 경보기의 작동을 위해 리모콘(100)의 키입력부(120)의 작동키(121)를 누르면 무선 신호 발생부(130)에서는 키 신호를 입력으로 작동을 위한 무선 신호를 코딩하여 발생하고, 코딩된 작동 무선 신호는 송신부(140)를 통해 송신된다.
송신된 작동 무선 신호는 감지 경보기(200)의 수신부(220)에서 수신되어 감지 경보기(200)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작동 무선 신호는 제어부(230)에 입력되어 디코딩된다. 제어부(230)에서는 디코딩된 신호가 작동 신호임을 판단하여 감지부(2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230)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경과후 감지부(2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감지 경보기(200)가 작동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감지 경보기(200)의 작동과 함께 짧은 경보음을 울릴 수도 있다.
감지부(240)가 작동되면 감지 신호 발생기(241)에서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열감지 신호는 커버(290)의 감지창(29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감지창(291)은 표면이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구획되고 다수의 원형의 볼록한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므로 보다 넓게 외부로 퍼지게 된다.
감지창(291)을 통해 원하는 감지 방향으로 열감지 신호가 방출된다. 이때에도 감지 신호 수신기(242)는 표면이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구획되어 다수의 원형의 볼록한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감지창(291)을 통해 열감지 신호를 수신하게 되므로 보다 넓은 곳으로 부터 열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 방향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감지 신호 수신기(242)에는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되고 리모콘(100)으로 부터 작동 중지 신호가 입력될때까지 계속해서 감지 신호 발생기(241)에서 열감지 신호를 방출하게 된다.
또한, 감지 방향에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는 감지 신호 수신기(242)에 수신되어 인체가 있음을 판단하여 제어부(230)로 인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230)에서는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으로 경보등(261) 또는 경보 스피커(262)로 이루어진 경보부(260)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부(250)를 작동시키고, 구동부(250)에서는 주기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경보등(261)을 점멸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등(261)을 작동시키면서 경보 스피커(262)를 작동시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한다.
사용자는 경보음 또는 경보등의 점등을 확인한후 리모콘(100)을 이용하여 감지 경보기(20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는 리모콘(100)의 키입력부(120)의 작동 중지를 위한 키(121)를 입력시키면 된다. 이때 작동키와 작동 중지키는 별도의 키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토글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키를 입력시키면 작동시킬때와 마찬가지로 무선신호발생부(130)에서 무선신호를 발생하고 송신부(140)에서 이를 송신하게 된다.
송신된 무선 신호는 감지 경보기(200)의 수신부(220)에서 수신되어 제어부(230)로 입력된후 디코딩되어 감지부(240)와 구동부(250)의 작동을 중지시켜 경보등(261)과 경보 스피커(262)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한편, 하나의 리모콘(100)에 다수의 감지 경보기(200)를 조합하여 축사나 과수원 등 넓은 지역에 설치하므로써 넓은 지역에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소형이므로 휴대가 간편하다.
둘째, 탈부착이 용이하여 원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다.
셋째,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므로 설치 장소를 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므로 여행시 숙박소나 텐트 주변에 설치하여 외부인의 근접을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온/오프(ON/0FF) 작동키(121)를 포함하는 키입력부(120)와, 상기 작동키(120)로 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신호발생부(130)와, 상기 무선 신호 발생부(130)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4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1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리모콘(100); 및
    상기 송신부(140)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인체를 감지하는 열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 신호 발생기(241)와 인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 신호 수신기(242)로 이루어진 감지부(240)와, 경보를 울리는 경보부(260)와, 상기 경보부(26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50)와, 상기 수신부(220)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지부(240)를 작동시키고 상기 감지부(240)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25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30)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210)가 본체(280)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280)에 장착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280)의 전면에 커버(290)를 결합시키고, 상기 감지 신호 발생기(241)에서 발생된 신호가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감지 신호 수신기(242)에서 방출된 감지 신호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90)의 해당 위치에 감지창(291)이 설치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감지 경보기(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창(291)은
    상기 감지 신호 발생기(241)에서 발생된 신호가 원활히 외부로 방출되고 상기 감지 신호 수신기(242)에서 방출된 감지 신호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도록 표면을 호의 형태로 하면서 구획하여 다수의 원형의 볼록한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경보기(200)는
    상기 경보부(260)에서 울리는 경보음과 경보등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해당 위치에 소리 배출구(292)와 경보등 창(29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경보기(200)는
    감지 경보기(200)의 감지 방향을 원활히 조절하면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본체(280)의 후면에 구형의 조절구(312)가 부착되고, 상기 조절구(312)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구형의 홈(322)이 고정판(323)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323)의 상부에 걸이 구멍(3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23)은
    후면 하부에 자석판(33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체 감지경보 장치.
KR2020000026899U 2000-09-25 2000-09-25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KR200214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99U KR200214015Y1 (ko) 2000-09-25 2000-09-25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99U KR200214015Y1 (ko) 2000-09-25 2000-09-25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015Y1 true KR200214015Y1 (ko) 2001-02-15

Family

ID=7308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99U KR200214015Y1 (ko) 2000-09-25 2000-09-25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0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54B1 (ko) * 2014-05-27 2016-05-10 백종수 도난경보 기능이 구비된 전자케미 배터리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54B1 (ko) * 2014-05-27 2016-05-10 백종수 도난경보 기능이 구비된 전자케미 배터리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7602A (en) Luggage locator system
US5867099A (en) Motion sensing, lighting and alarming system
US7636049B2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US5594410A (en) Emergency warning escape system
US20100073172A1 (en) Dual condition fire/smoke detector with adjustable led cannon
JPH10505185A (ja) 携帯アラームシステム
US6462658B1 (en) Object locator and protection system
KR200214015Y1 (ko)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KR200214016Y1 (ko) 휴대용 인체 감지 경보 장치
ES2815723B2 (es) Sistema monitorizacion de seguridad
JP542694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ES2815749B2 (es) Sistema de monitorizacion de seguridad
JP2007233679A (ja) 住宅用防犯システム
WO2019188421A1 (ja) 音響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48995B2 (ja) 制御システム
JP201013610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3899856B2 (ja) 侵入警戒装置
KR101080972B1 (ko) 공동주택의 세대별 전원 제어기기
KR200406860Y1 (ko) 휴대용 도난방지 알림장치
JP2019175394A (ja) 音響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26376Y1 (ko) 도난 경보기가 구비된 센서등
KR200190067Y1 (ko) 조명등과 조합된 도난 경보장치
JP2004199311A (ja) 警報装置
JP2003187339A (ja) 侵入警戒装置
JP2009076252A (ja) センサ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