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218A - 자동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218A
KR20200109218A KR1020190049132A KR20190049132A KR20200109218A KR 20200109218 A KR20200109218 A KR 20200109218A KR 1020190049132 A KR1020190049132 A KR 1020190049132A KR 20190049132 A KR20190049132 A KR 20190049132A KR 20200109218 A KR20200109218 A KR 20200109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
unit
object detection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재호
Original Assignee
(주)글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넥스 filed Critical (주)글로넥스
Publication of KR2020010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의 혼선에 따른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틀과 상기 문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도어와, 상기 문틀을 구성하는 측면 문틀에 형성되어 물체를 감지를 위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가 서로 겹치지지 않은 상태로 한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물체 감지부와 연결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보드와, 상기 문틀에 배치되어 보드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물체 감지부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를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도어 작동부와, 상기 도어에 형성되되, 물체 감지부가 형성된 위치에 부착되어 도어 작동부에서 물체 감지를 통해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유도하기 위한 무선버튼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자동문 개폐를 위해 고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문을 개폐할 수 있고, 무선 주파수의 혼선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체 감지부에서 발광부와 수광부가 같은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빛의 발산 및 반사된 빛을 인지하여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어 물체 감지부를 어느 하나의 측면 문틀에만 설치하더라도 도어 개방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체 감지부가 도어 개폐작동을 위한 작동은 물론, 물체 감지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안전빔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유선방식을 채택하더라도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개폐장치와 같이 외관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배터리 미사용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없는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문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 door}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의 혼선에 따른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일반적으로 도어 부근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고, 물체가 감지되지 않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닫히도록 개폐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문에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장치, 구동모터를 비롯한 도어가 열리고 닫히도록 개폐 작동하는 장치, 사용자의 가압에 따른 자동문개폐 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무선송신기, 레일, 상기 무선송신기에서 무선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 등이 마련된다. 특히, 무선수신기는 레일 부근에 위치하는 것으로, 대부분이 무선송신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받고, 열려지는 도어의 상태에 따라 구동모터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KR10-0890280 B1 걸림턱부를 갖는 압출프레임에 의한 구종구조를 갖는 자동 개폐 도어용 무선수신기
(특허문헌 2) KR20-2011-0003330 U 무선수신기가 구비된 자동도어장치용 도어컨트롤러
상기와 같은 자동문은 사용자가 무선송신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특정주파수를 무선수신기가 수신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편리함은 있었지만, 병원 등과 같이 다수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거나 또는 전파가 강하게 발생한는 곳에 설치할 경우 주파수의 혼선이 발생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위의 특허문헌 1, 2는 무선 통신을 위해 무선송신기, 무선수신기, 안테나 등 고가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상술한 하드웨어들은 대부분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는 자동문 개폐를 위해 무선송신기, 무선수신기, 안테나와 같이 고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문을 개폐할 수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부를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작동부와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무선 송수신기를 많이 사용하는 위치 또는 전파의 세기가 강한 위치에 도어를 설치하더라도 주파수의 혼선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체 감지부에서 발광부와 수광부가 같은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빛의 발산 및 반사된 빛을 인지하여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어 물체 감지부를 어느 하나의 측면 문틀에만 설치하더라도 도어 개방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선방식을 채택하더라도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개폐장치와 같이 외관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틀에 설치하는 물체 감지부의 위치 및 무선버튼 표시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스티커 형태로 구성하여 물체 감지부에 구성된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빛이 유리에 부착된 무선버튼 표시부에 의해 걸리지 않아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드는 수광부로 반사 또는 전달되는 빛의 세기가 높을 때에만 도어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되, 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높아질 경우에만 도어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측면 문틀이 양측면에 형성된 도어의 경우 발광부에서 발광한 빛이 반대편의 문틀에 반사되어 빛의 세기가 약한 빛이 수광부로 들어오거나 또는 외부에 설치시 햇빛이 서서히 밝아져서 빛의 세기가 높은 빛이 수광부로 전달되더라도 오작동 없이 도어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를 위해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부가 도어 개폐작동을 위한 작동은 물론, 물체 감지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안전빔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선방식으로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배터리 사용시 배터리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동문 개폐를 위해 무선송신기, 무선수신기, 안테나와 같이 고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문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부를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작동부와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무선 송수신기를 많이 사용하는 위치 또는 전파의 세기가 강한 위치에 도어를 설치하더라도 주파수의 혼선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체 감지부에서 발광부와 수광부가 같은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빛의 발산 및 반사된 빛을 인지하여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어 물체 감지부를 어느 하나의 측면 문틀에만 설치하더라도 도어 개방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선방식을 채택하더라도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개폐장치와 같이 외관을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문틀에 설치하는 물체 감지부의 위치 및 무선버튼 표시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스티커 형태로 구성하여 물체 감지부에 구성된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빛이 유리에 부착된 무선버튼 표시부에 의해 걸리지 않아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보드는 수광부로 반사 또는 전달되는 빛의 세기가 높을 때에만 도어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되, 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높아질 경우에만 도어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측면 문틀이 양측면에 형성된 도어의 경우 발광부에서 발광한 빛이 반대편의 문틀에 반사되어 빛의 세기가 약한 빛이 수광부로 들어오거나 또는 외부에 설치시 햇빛이 서서히 밝아져서 빛의 세기가 높은 빛이 수광부로 전달되더라도 오작동 없이 도어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어의 개폐를 위해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부가 도어 개폐작동을 위한 작동은 물론, 물체 감지시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안전빔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유선방식으로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배터리 사용시 배터리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을 발생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를 평면에도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도 3에서 측면 문틀이 1개소 있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문틀(1)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문틀(1a)과 상기 상측 문틀(1a)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측면 문틀(1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문틀(1)은 스틸재질로 내부가 비워져 있는 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문틀(1) 중 측면 문틀(1b)은 도 3에서와 같이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어(10)는 상술한 문틀(1) 내에 형성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투명 재질의 유리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물체 감지부(20)는 상술한 문틀(1)을 구성하고 있는 측면 문틀(1b)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도어(1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1)와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물체 감지부(20)는 사람들이 도어(10)를 개방하려 할 때에 설치되는 통상의 버튼과 유사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보드(C)는 상술한 물체 감지부(20) 중 수광부(22)에서 수신된 빛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드(C)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물체 감지부(20) 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서 유선(L)을 통해 물체 감지부(2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 작동부(30)는 상술한 보드(C)와 유선(L)으로 연결되어 보드(C)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 작동부(30)는 물체 감지부(20)의 발광부(21)를 통해 발산한 빛을 수광부(22)에서 수신하면 이를 보드(C)에서 유선(L)을 통해 송신하게 되고, 이렇게 송신된 신호는 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작동부(30)에 전달되어 도어(1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드(C)와 도어 작동부(30)를 연결하기 위한 유선(L)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문틀(1)을 구성하는 상측 문틀(1a) 및 측면 문틀(1b)에 매립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무선버튼 표시부(40)는 도어(10)에 부착되되 물체 감지부(20)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도어 잠금 해제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무선버튼 표시부(40)는 실질적으로 도어(10)의 잠금 해제를 위한 것이 아니라 도어(10)를 개방하기 위해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부(20)에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티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무선버튼 표시부(40)의 내측에는 도어(10)의 개방을 위한 안내 문구(4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체 감지부(20)는 발광부(21)에서 발산하는 빛이 도어(10)에 부착되는 무선버튼 표시부(40)에 의해 간섭이 발생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어(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보드(C)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발광부(21)에서 발산하는 빛이 반사될 때에 빛의 세기가 약할 경우 및 햇빛과 같이 빛의 세기가 서서히 높아질 때에는 도어 작동부(30)에 도어(10)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지 않고, 순간적으로 갑자기 빛의 세기가 높아질 경우에만 도어 작동부(30)에 도어(10) 개방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도어(10)의 개방을 위해 도어(10)에 부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작동도 하지 않는 구성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10)의 개방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인 무선버튼 표시부(40)에 손이나 기타 다른 물체를 이동시켜 터치하기 위해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에, 물체 감지부(20)의 발광부(21)에서는 무선버튼 표시부(40)가 배치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빛을 발산하고 있는 상태에서 위와 같이 무선버튼 표시부(40)에 손이나 기타 물체가 인접하게 되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21)의 빛이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발광부(2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수광부(22)로 빛이 전달되어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물체 감지부(20)와 연결된 보드(C)에서는 유선(L)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이렇게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도어 작동부(30)를 작동시켜 도어(10)가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물체 감지부(20)가 도어(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측면 문틀(1b)에 결합되어 있고, 무선버튼 표시부(40)를 스티커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물체 감지부(20)의 발광부(21)에서 발광되는 빛이 무선버튼 표시부(40)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무선버튼 표시부(40)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문틀(1)은 도 3에서와 같이 양 측면에 측면 문틀(1b)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일측에만 측면 문틀(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의 경우 일측에만 측면 문틀(1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체 감지부(20)의 발광부(21)에서 발산하는 빛이 반사되지 않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측면 문틀(1b)이 양 측면에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물체 감지부(20)의 발광부(21)에서 발산하는 빛이 반대편의 측면 문틀(1b)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22)가 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렇게 수신된 신호에 보드(C)에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도어 작동부(30)가 도어(10)를 개방되는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물체 감지부(20)와 연결된 보드(C)에 제어 프로그램을 탑재하되 빛의 세기가 약할 경우에는 도어 작동부(30)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가 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외부에 설치될 경우 강렬한 햇빛이 서서히 발생하는 빛을 물체 감지부(20)의 수광부(22)에서 수광되어, 수신된 신호에 의해 도어 작동부(30)가 도어(10)가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보드(C)에 탑재된 제어 프로그램은 서서히 빛의 세기가 높아질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고 갑자기 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높아질 경우에만 도어 작동부(30)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어 빛의 세기가 높은 햇빛에 의한 오작동도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50)는 물체 감지부(20)가 도어(10)를 개방하기 위한 통상의 버튼이 형성되는 높이 위치 즉, 지면으로부터 약 1 ∼ 1.5m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체 감지부(20)는 사용자가 도어(10) 개방을 위해 무선버튼 표시부(40)에 손 또는 그 이외의 물체를 이동시키면 빛의 반사에 의해 도어(10)를 개방하는데 이러한 물체 감지부(20)는 도어(10)를 개방하는 작동 이외에 물체가 감지되면 도어(1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 빔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물체 감지부(20)의 높이 위치는 일반 사람들의 몸통에서 어깨 사이에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도어(10)의 개방 후 닫힘시 어깨 등의 끼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50)는 외관적으로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자동문 개페장치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깔끔한 외관을 가지지만, 기존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장치와는 다르게 실제로는 유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무선주파수를 많이 사용하는 위치 및 무선 주파수의 세기가 센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기존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자동문 개폐장치의 문제점이었던 주파수 혼선으로 인한 오작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개폐장치는 무선통신을 위해 고가의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등을 이용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유선(L)을 이용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기존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개폐장치는 무선방식의 특성상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물체 감지부(20)는 같은 위치에 발광부(21)와 수광부(22)가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무선버튼 표시부(40)를 터치하기 위해 물체가 인접하면 빛의 반사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물체 감지부(20)를 통한 물체 감지시 발광부(21)와 수광부(22)가 분할되어 있다면 각각 다른 위치의 측면 문틀(1b)에 발광부(21)와 수광부(22)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측면 문틀(1b)에서 도어 작동부(30) 측으로 유선(L)을 각각 연결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동일한 측면 문틀(1b)에 발광부(21)와 수광부(22)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선(L)의 설치시 하나의 측면 문틀(1b)에만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도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문틀
1a : 상측 문틀 1b : 측면 문틀
10 : 도어
20 : 물체 감지부
21 : 발광부 22 : 수광부
C : 보드
30 : 도어 작동부
40 : 무선버튼 표시부
50 : 자동문 개폐장치

Claims (5)

  1. 상측 문틀과 측면 문틀을 포함하는 문틀;
    상기 문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도어;
    상기 문틀을 구성하는 측면 문틀에 형성되어 물체를 감지를 위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가 서로 겹치지지 않은 상태로 한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물체 감지부;
    상기 물체 감지부와 연결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보드;
    상기 문틀에 배치되어 보드와 연결되어 물체 감지부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를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도어 작동부;
    상기 도어에 형성되되, 물체 감지부가 형성된 위치에 부착되어 도어 작동부에서 물체 감지를 통해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유도하기 위한 무선버튼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위해 무선버튼 표시부를 터치하기 위해 움직이면 물체 감지부의 발광부에서의 빛이 무선버튼표시부의 터치를 위해 인접하는 물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수광부로 전달되고, 전달된 빛에 의해 도어 작동부로 유선을 통해 신호를 송신해 도어가 개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투명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무선버튼 표시부와의 간섭에 의해 발광부의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도어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표시부는 스티커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측으로 도어 개방을 유도하기 위한 안내문구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수광부로 반사 또는 전달되는 빛의 세기가 높을 때에 도어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되, 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높아질 경우에만 도어를 개폐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은 문틀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문 개폐장치.
KR1020190049132A 2019-03-12 2019-04-26 자동문 개폐장치 KR20200109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8305 2019-03-12
KR1020190028305 2019-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218A true KR20200109218A (ko) 2020-09-22

Family

ID=7270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132A KR20200109218A (ko) 2019-03-12 2019-04-26 자동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2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271B2 (en) Safety device for pinching zone of elevator doors
US8575538B2 (en) Safety system for safeguarding a moving, guided motion element that blocks the movement of the guided motion element from triggering the saftey mode
CN103132847B (zh) 采用无线射频识别技术的非接触式障碍物检测系统
US7643927B2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for control
EP0991580B1 (en) Control of a safety detection system for sliding doors
US20180274279A1 (en) Movable Barrier Safety Sensor Override
US20130086841A1 (en) Overhead Door Object Detection Apparatus
CN102530690A (zh) 一种电梯防夹触视频光幕系统
CA2209543C (en) Light barrier for reopening elevator doors
US6925755B1 (en) Object detection by signal field mapping
CN110566045A (zh) 智能门锁未上锁或假锁提醒系统
KR20200109218A (ko) 자동문 개폐장치
JP4574678B2 (ja) ガラスドアを有するエレベータかごのドアと隣接する壁との間における、異物、特に指を検出する装置、およびこの装置が取り付けられたエレベータ
KR20180042495A (ko) 열차 승강장안전문용 인체 및 사물 감시 안전시스템
CN101585464A (zh) 电梯轿厢内无障碍辅助装置
KR200389350Y1 (ko) 문형 금속 탐지기
US8471704B2 (en) Door system comprising a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vertical door edges
US67044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bstruction in a power window
KR20100046868A (ko) 적외선 안전센서에 의한 자동문 안전제어장치
CN213627163U (zh) 一种迎宾自动开关门系统
KR200440347Y1 (ko) 적외선 송광부와 수광부가 일체화된 자동문 안전센서장치
JPH0592397U (ja) 電動シヤツターにおける安全スイツチ
JPH11311061A (ja) 移動式ドアの安全装置並びに安全兼起動装置
KR102194630B1 (ko) 천장에 설치되는 2개의 송, 수신부를 이용한 출입문의 진출입 카운터 구조
CN211283381U (zh) 电梯门防夹手光幕安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