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580B1 -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580B1
KR101551580B1 KR1020140098518A KR20140098518A KR101551580B1 KR 101551580 B1 KR101551580 B1 KR 101551580B1 KR 1020140098518 A KR1020140098518 A KR 1020140098518A KR 20140098518 A KR20140098518 A KR 20140098518A KR 101551580 B1 KR101551580 B1 KR 10155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ce
refrigerant
guide pipe
mak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선
Original Assignee
이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선 filed Critical 이기선
Priority to KR102014009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체를 교반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체를 이용하여 박막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막 얼음 제빙 장치와, 상기 박막 얼음 제빙 장치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막 얼음 제빙 장치는, 냉매용 모세관이 삽입되고 관통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고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냉매용 모세관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외주면에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 냉매의 열흡수에 의하여 결빙시키는 제빙 하우징과;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삭빙하여 얼음을 제빙 하우징으로부터 이빙시키는 삭빙 커터와;상기 제빙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유체를 수용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조와; 상기 유체 저장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체 배출을 안내하는 유체 배출 안내관과;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상기 트레이로 안내하는 펌핑 장치와;상기 펌핑 장치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 마련되어 유체 공급을 안내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An fluid storage device and the fluid stroage-ice making assembled device}
본 발명은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체를 교반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체를 이용하여 박막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면 육수와 같이 물과 혼합물이 같이 포함된 유체의 경우, 이를 장기간 보관하면, 내부의 혼합물이 침전되어 아래로 가라앉게 되므로 그러한 유체를 지속적으로 교반하기 위해서 유체 저장조에 프로펠러를 장착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프로펠러가 장착된 유체 저장조는 한국 등록실용 20-0280956에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유체 저장조에 프로펠러가 장착된 경우, 유체 교반의 효과는 있었으나, 이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기 위한 유지 보수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유지 보수의 수고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유체 교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한편, 유체 저장조를 냉각 장치와 연결하여, 유체 저장조에 저장된 유체를 결빙시켜 식품에 이용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제빙 장치의 기본적 구조는 냉장고와 유사하다. 즉,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갑압 팽창 시키는 갑압 팽창부, 갑압 팽창되어 온도가 현저하게 떨어진 냉매가 지나가며 공기와 열교환 하여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발기는 얇은 관 및 이들이 통과하는 냉각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제빙 장치의 구조는 한국 공개특허 10-1993-0018244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제빙 장치의 경우, 덩어리 형태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으나, 얇은 막을 갖는 얼음을 제조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얼음을 이용한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기 제빙된 얼음을 파쇄하여 조각을 내서 그것을 첨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의 소비자의 수요로 인하여, 좀더 부드럽고 얇은 얼음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빙 장치를 구현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유체의 교반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교반을 위한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의 비용이나 수고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프로펠러와 같이 유체에 대한 강제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아닌, 유체의 순환 루프를 구현함으로써, 유체의 순환 흐름을 이용하여 유체를 교반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 저장 장치와 제빙 장치를 결합한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체의 효과적인 교반 및 저장과, 이러한 유체를 이용하여 시장의 수요에 맞는 형상이나 품질에 맞는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즉, 이른바 박막 얼음을 제빙하기 위하여, 제빙 하우징과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체적을 최적화 함으로써, 제빙 하우징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간부에 채워지는 냉매의 양을 최적화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냉매용 모세관의 위치를 확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 하우징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높아진 냉매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회수 유로를 둠으로써 냉매의 회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 하우징의 냉각으로 인하여,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박막 얼음으로 바꿀 수 있도록 삭빙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조와;
상기 유체 저장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체 배출을 안내하는 유체 배출 안내관과;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펌핑 장치와;
상기 펌핑 장치와 연결되며 펌핑 장치에서 펌핑되어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 저장조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제빙하는 제빙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분지 유로와;
상기 분지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체 저장조에 결합되어 상기 분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다시 상기 유체 저장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 및 상기 유체 저장조와 함께 유체의 순환 루프를 구성하는 유체 유입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분지 유로와 연결되며, 분지 유로를 통과한 유체를 제빙 장치로 향하게 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과;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지 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펌핑 장치에서 나온 유체가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 또는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 및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분지 유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 저장조에 저장된 수위를 감지하는 유체 저장조 수위 감지 센서부와,
상기 유체 저장조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유체 저장조 온도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조 수위 감지 센서부 또는 상기 유체 저장조 온도 센서부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지 유로 밸브 구동부 또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 저장조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 저장조의 내부에서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유체 저장조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는 유체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막 얼음 제빙 장치와, 상기 박막 얼음 제빙 장치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막 얼음 제빙 장치는,
냉매용 모세관이 삽입되고 관통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고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냉매용 모세관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외주면에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 냉매의 열흡수에 의하여 결빙시키는 제빙 하우징과;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삭빙하여 얼음을 제빙 하우징으로부터 이빙시키는 삭빙 커터와;
상기 제빙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유체를 수용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조와; 상기 유체 저장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체 배출을 안내하는 유체 배출 안내관과;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상기 트레이로 안내하는 펌핑 장치와;
상기 펌핑 장치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 마련되어 유체 공급을 안내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또는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냉매용 모세관이 고정되고, 상기 냉매용 모세관의 토출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그 주위에 분산된 냉매가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외면에 마련되는 관통공 및 상기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는 회수 안내관을 연결시키는 회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냉매용 모세관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일측에 회수 안내관이 위치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빙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빙 하우징의 입구를 막는 커버부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는 냉매용 모세관이 관통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 및 회수 유로가 형성되는 주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주 몸체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주 몸체부를 관통하는 냉매용 모세관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빙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핑 장치와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을 연결하는 분지 유로와;
상기 분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다시 상기 유체 저장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체 유입 안내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과, 상기 분지 유로는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 및 상기 유체 저장조와 함께 유체의 순환 루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지 유로에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분지 유로 밸브와;
상기 유체 공급 안내 관에서의 유체 흐름을 단속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유체 저장조에 보관된 유체의 순환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유체의 순환 흐름으로 유체 교반을 할 수 있으므로 종전 프로펠러 교반 방식과 유사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유지 보수의 수고를 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 유체 저장 상태, 즉 온도나 수위를 기초로 하여, 유체를 순환시켜 교반하면서도, 제빙 장치 방향으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유체의 제빙과 교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유체의 순환과 유체의 제빙을 위한 공급을 위해서 분지 유로를 구성하고, 분지 유로 밸브를 둠으로써, 유체의 선택적 흐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종전에 유체 저장과 제빙이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켰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빙을 함에 있어서, 제빙 하우징의 냉각으로 인하여,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박막 얼음으로 바꿀 수 있도록 삭빙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 하우징과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체적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하우징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간부에 채워지는 냉매의 양을 최적화 또는 최소화 할 수 있어서, 보다 작은 용량의 압축기를 사용할 수 있고, 전기료 부담도 덜 수 있다.
또한, 제빙 하우징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높아진 냉매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회수 유로를 둠으로써 냉매의 회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저장 장치 및 박막 얼음 제빙 장치가 결합된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 내지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저장 장치 및 박막 얼음 제빙 장치가 결합된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저장 장치 및 박막 얼음 제빙 장치가 결합된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박막 얼음 제빙 장치에 적용되는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 및 제빙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박막 얼음 제빙 장치에 적용되는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 및 제빙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8과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박막 얼음 제빙 장치에 적용되는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박막 얼음 제빙 장치에서 제빙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 저장 장치(2)와 박막 얼음 제빙 장치(3)로 구현된다.
이 장치들의 복합구조를 유체 저장-제빙 장치(1)라고 정의하겠으며, 이하에서는 유체 저장 장치(2)와 박막 얼음 제빙 장치(3)에 대해서 각각 알아보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의 '유체'는 냉면 육수나 우유와 같이 물과 별도의 혼합물이 뒤섞인 유체가 대표적이나, 순수한 물도 '유체'의 범주에 속한다.
우선, 유체 저장 장치(2)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저장 하우징(201)과, 저장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유체 저장조(202)를 포함한다.
유체 저장조(202)는 원통형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유체 저장조(202)의 하부에는 유체의 배출 및 순환을 위한 구조가 마련된다. 이 구조의 구체적 구성은 아래와 같다.
즉, 유체 저장조(202) 하부에 마련되어 유체 저장조의 유체의 배출을 안내하는 유체 배출 안내관(211)과, 유체 배출 안내관(211)과 연결되는 펌핑 장치(212)와, 펌핑 장치(212)와 연결되어 펌핑된 유체의 흐름을 2방향으로 안내하는 분지 유로(213)를 포함한다.
한편, 분지 유로(213)는 2개의 관과 이어지는데, 하나는 펌핑된 유체를 유체 저장조로 다시 유입시키는 유체 유입 안내관(214)과, 다른 하나는 펌핑된 유체를 유체 저장 장치 옆에 배치되는 박막 얼음 제빙 장치(3)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215)과 연결된다.
유체 유입 안내관(214)은 펌핑된 유체를 다시 유체 저장조(202)로 유입시킴으로써, 유입된 유체의 유동 흐름에 의하여 유체 저장조(202) 내의 유체를 교반할 수 있다.
유체의 교반에 관한 사항은 이후 도2 내지 도4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한편, 유체 배출 안내관(211)에는 펌핑 장치(212)와 연결되는 제1 배출 안내관(211a)과, 펌핑 장치(212)와 연결되지 않고, 그 단부가 노출되는 제2배출 안내관(211b)이 마련된다.
제1배출 안내관(211a)은 펌핑 장치(212)에 연결되어 펌핑 장치(212)로 유체를 안내한다.
제2배출 안내관(211b)은 유체 저장조(202)의 유체를 버릴 필요성이 있을 때 이를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배출 안내관(211b)의 일측에는 개폐밸브(211c)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개폐밸브(211c)를 잠그면 제2배출 안내관(211b)이 닫혀서 유체는 제1배출 안내관(211a)으로 향하고, 개폐밸브(211c)를 열면 제2배출 안내관(211b)이 열려서 유체 저장조(202)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진다.
한편, 분지 유로(213)에는 분지 유로 밸브(도2참조, 213a)가 마련되며, 분지 유로 밸브(213a)에 의하여 펌핑 장치(212)에서 펌핑된 유체가 유체 유입 안내관(214) 또는 유체 공급 안내관(215)으로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공급 안내관(215)에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215a)가 마련되어, 유체 공급 안내관(215a)을 흐르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박막 얼음 제빙 장치(3) 내부의 트레이(80)의 수위 여부에 따라서 동작한다.
박막 얼음 제빙 장치(3)는 유체 저장 장치(2)의 옆에 나란히 배치된다.
박막 얼음 제빙 장치(3)는 그 내부에 제빙실(11) 및 얼음보관실(12)이 구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13)와, 온도 및 기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14)을 포함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15)가 마련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의 외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응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모세관 또는 전자 팽창 밸브로 구현되는 갑압 팽창부가 마련된다.
갑압 팽창부와 연결되는 냉매용 모세관(20)은 차가운 냉매가 흐르는데, 이러한 냉매는 냉매용 모세관(20)을 타고 후술할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 안으로 유입된다.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은 원통형의 제빙 하우징(40)에 삽입된다.
후술하겠지만,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은 제빙 하우징(40)에 결합되고,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에 삽입되는 냉매용 모세관(20)에서 배출되는 기상의 냉매가 제빙 하우징(40) 내부의 공간에 분포된다.
제빙 하우징(40)은 금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가운 냉매에 의하여 제빙 하우징(40)의 표면온도는 영하의 온도(약 -20~-40℃)로 냉각된다.
한편, 제빙 하우징(40) 내부로 지속적으로 냉매가 공급되면, 먼저 공급되었던 냉매는 새롭게 유입된 냉매에 밀려서 제빙 하우징(40) 외부로 방출되어 회수된다.
냉매의 회수는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에 마련되는 유입공(도6참조, 331)과, 회수 유로(도6참조, 333), 회수 안내관(도6참조, 332), 그리고 회수 안내관과 연결되는 회수관(5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하겠다.
제빙 하우징(40)의 일측(냉매용 파이프가 삽입되는 측면의 반대쪽)에는 기어 또는 스프로킷과 같은 제1동력전달부(61)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빙 하우징(40)의 앞쪽에는 구동모터(70)가 마련되고, 구동모터(70)에도 스프로킷 또는 기어와 같은 제2동력 전달부(62)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동력 전달부(61)와 제2동력 전달부(62)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63)에 의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기어 또는 스프로킷과 같은 치형이 있는 것 말고도 마찰차가 대신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체인 대신 벨트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체인이나 벨트에 의한 간접적 연결 대신, 제빙 하우징(40)의 기어 또는 스프로킷 또는 마찰차와, 구동모터(70)의 기어 또는 스프로킷 또는 마찰차 간의 직접 연결도 가능하다.
구동모터(70)가 동작을 하면, 제빙 하우징(40)이 회전 한다.
제빙 하우징(40)의 아래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유체가 담기는 트레이(80)가 마련된다.
제빙 하우징(40)의 표면이 트레이(80)에 담긴 유체에 약간 닿게 되면 제빙 하우징(80)의 표면에 닿은 물이 급냉하여 결빙된다.
트레이(80)에 지속적으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체 공급 안내관(215)의 토출부가 트레이(80)의 상부 또는 측면에 놓인다. 따라서, 펌핑 장치(212)에 의하여 펌핑된 유체가 유체 공급 안내관(215)의 안내를 받아서 트레이(80)에 도달하여 트레이(80) 내부에 수용된다.
트레이(8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 수위 감지 센서부(도2참조,81 )가 마련된다. 트레이 수위 감지 센서부(81)에 의하여 트레이(80)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신호가 제어부(도5참조, 220)에 도달하고, 제어부(220)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215a)를 제어하여 유체 공급 안내관(215)을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트레이(80)에의 유체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트레이(80)의 수위가 부족한 경우, 이를 트레이 수위 감지 센서부(81)가 감지하여 제어부(220)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220)는 다시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215a)를 제어하여 유체의 공급을 재개한다.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215a)가 위와 같이 제어부(22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적절하지만,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제빙 하우징(80)의 후방에는 삭빙 커터(90)가 마련된다.
후술하겠지만 제빙 하우징(40)의 표면에 있는 얼음을 삭빙 커터(90)가 긁어낼 수 있도록 삭빙 커터(90)는 제빙 하우징(40) 표면에 닿게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얼음이 결빙된 제빙 하우징(40)이 회전을 하면, 얼음의 최외곽 표면이 삭빙 커터(90)에 의하여 얇게 삭빙된다.
즉, 나무로 대패질을 하는 경우, 슬라이스(Slice) 형태로 그 표면이 벗겨지는 것 처럼 얼음이 얇게 벗겨지는 것이다.
이러한 얼음을 이른바 '눈꽃 얼음'이라고 하며, 이러한 '눈꽃 얼음'은 팥빙수나 기타 얼음 사용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삭빙 커터(90)에 의하여 벗겨진 얼음은 삭빙 커터(90)의 경사진 상면을 타고 아래로 떨어져서 본체 내부(특히, 트레이 하부)에 마련되는 얼음 보관실(12)에 쌓인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서 다양한 유체 순환 및 교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가장 기본적인 유체 순환 및 교반 구조를 나타낸다.
펌핑장치(212)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유체 저장조(202)에 있는 유체는 유체 배출 안내관(211)을 타고 펌핑 장치(212)로 공급된다 (①번 방향).
펌핑 장치(212)에 의하여 유체가 펌핑되고, 펌핑된 유체는 ②번 방향을 따라서 유체 유입 안내관(215)을 타고 다시 유체 저장조(202)로 유입되어 기 저장된 유체들과 섞이면서 교반 작용을 한다.
유체 배출 안내관(211), 펌핑 장치(212), 분지 유로(213), 유체 유입 안내관(214)에 의하여 유체의 순환구조 및 교반구조가 구현된다.
도2에서는 유체 유입 안내관(214)의 상단부가 유체 저장조(202)의 하면에 단순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3이나 도4와 같이 교반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유입 안내관(214)의 단부에는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유체 분산부(224)가 마련된다. 유체 분산부(224)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각 배출홀은 유체 유입 안내관(214)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 흐름이 유체 저장조(202) 하부에 걸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만큼 유체의 교반이 좀더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도4는 다른 형태의 유체 분산부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도4의 유체 분산부(234)는 복수의 분지관 형태로 마련된다.
분지관들은 유체 저장조(202)의 벽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그 출구는 유체 저장조의 중심 부분을 향한다. 그리고 출구의 높이는 각각 달라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유체 유입 안내관(214)에 의하여 유입된 유체들은 유체 저장조(202)로 낙하하면서 기 저장된 유체들과 교반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4에서 펌핑 장치(212)에서 나온 유체들은 분지 유로 밸브(213a)에 의하여 그 방향이 정해질 수 있다.
분지 유로 밸브(23)에 의하여 유체가 유체 유입 안내관(214)과 유체 공급 안내관(215)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저장조(202)에서의 유체 교반과, 트레이(80)에의 유체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반대로, 유체 유입 안내관(214)에 대한 유체의 이동과, 유체 공급 안내관(215)에 대한 유체의 이동이 상호 선택적 또는 배타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한편, 분지 유로 밸브(213a) 없이 분지 유로(213)만 구비되어, 유체의 이동이 유체 유입 안내관(214)과 유체 공급 안내관(215)에 대해서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저장조(202)에는 유체 저장조 수위 감지 센서부(203)와 유체 저장조 온도 센서부(204)와 같은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체 저장조(202)의 유체의 저장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박막 얼음 제빙 장치(3)의 트레이에는 트레이 수위 감지 센서부(81)가 마련되어 트레이(80)의 수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는 펌프 장치(212), 분지 유로 밸브(213a),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215a), 트레이 수위 감지 센서부(81), 유체 저장조 수위 감지 센서부(203), 유체 저장조 온도 센서부(204) 등이 연결된다.
따라서, 위 센서부들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220)에 도달하면, 제어부(220)는 그 상태에 따라서, 펌프 장치(212), 각 밸브(213a, 215a)를 동작시켜서 펌핑 강도나 속도를 조절하거나,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6은 제빙 하우징(40)과 냉매용 모세관의 고정 유닛(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빙 하우징(40)은 내부에 공간부(41)가 형성되고, 일측에 입구(42)가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입구(42)의 내주면에는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의 표면에 있는 나사산(314)이 결합되는 나사산(43)이 형성된다.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은 크게 몸체부(31)와, 고정부(32), 회수 유로(33)로 구분된다.
여기서, 몸체부(31)는 냉매용 모세관(20)이 삽입되고 관통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고정부(32)는 몸체부(31)의 내부 또는 외면에 마련되어 냉매용 모세관(20)이 고정되고, 냉매용 모세관(20)의 토출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부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32)는 냉매용 모세관(2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너비나 크기의 고정홈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수 유로(33)는 몸체부(31)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회수 유로(33)는 몸체부(31)의 외면에 형성되는 유입공(331) 및 몸체부(31) 일측에 마련되는 회수 안내관(332)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수 대상이 되는 냉매가 유입공(331)으로 유입되고, 회수 유로(33)를 거쳐 회수 안내관(332)으로 빠져나간다.
그리고, 회수 안내관(332)에는 회수관(50)이 연결되고, 회수관(50)은 압축기(미도시)에 연결된다.
한편, 몸체부(31)는 다시 헤드부(311)와, 커버부(312)와, 주 몸체부(313)로 구분된다.
헤드부(311)는 냉매용 모세관(2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일측에 회수 안내관(332)이 위치한다.
도6에서 헤드부(311)에 2개의 냉매용 모세관(20)이 인입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수량은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312)는 헤드부(311)의 옆에 배치되고, 주 몸체부(313)나 헤드부(3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커버부(312)는 몸체부(31)가 제빙 하우징(40)에 삽입되는 경우, 제빙 하우징(40)의 입구(42)를 막아서 제빙 하우징(401) 내부의 냉매가 입구 부분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주 몸체부(313)에는 고정홈 형태의 고정부(32)가 형성되고, 한편으로는 유입공(331)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회수 유로(33)가 형성된다.
한편 주 몸체부(313)의 외주면 중 커버부(312)의 인접 부분에는 나사산부(314)와, 실링부(315)가 마련된다. 나사산부(314)는 제빙 하우징(40)의 입구(42)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43)에 결합된다.
실링부(315)는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이 제빙 하우징(40)에 결합되는 경우, 제빙 하우징(40)의 입구(42) 테두리를 막아서 냉매의 누출을 방지한다.
고정부(32)는 주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고정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고정부(32)에 냉매용 모세관(20)이 그 길이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냉매용 모세관(20)의 토출구는 주 몸체부(313)의 반경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효과적으로 냉매가 제빙 하우징(40) 내부의 공간부(41)로 분사되기 위함이다.
고정부(32)는 하나의 고정홈으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상호 이격된 고정홈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즉, 헤드부(311)에 삽입되는 냉매용 모세관(20)의 수량에 맞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고정부(32)로부터 이격된 곳에는 유입공(331)이 마련된다.
몸체부(31)의 내부에는 회수 유로(33)가 빈 공간 형태로 마련되는데, 유입공(331)은 그러한 회수 유로(33)와 연통되고, 회수 유로(33)는 다시 헤드부(311)에 마련된 회수 안내관(332)과 연통된다.
따라서, 새롭게 공급되는 냉매에 밀린 기 공급 냉매들은 유입공(331)으로 유입되고, 회수 유로(33)를 타고 이동하다가 회수 안내관(332) 방향으로 빠져나간다.
회수 유로(33)는 몸체부(3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간으로서, 헤드부(311)에 삽입된 냉매용 모세관(20)이 회수 유로(33)에 따라서 배치되고, 몸체부(31)의 단부를 관통한 뒤 꺾여서 고정부(3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수 유로(33)의 끝단부에는 냉매용 모세관(2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333)이 형성되어 있다.
회수 되어야 할 냉매는 유입공(331) 뿐만 아니라 관통공(333)을 통해서도 유입되어 회수 유로(33)로 진입할 수 있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하우징(40) 내면과,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의 몸체부(31) 외주면 사이에는 공간부(41)가 형성된다.
그리고, 냉매용 모세관 고정유닛(30)의 고정부(32)에 고정된 냉매용 모세관(20)에서 냉매가 배출되면, 냉매는 공간부(41)를 채운다.
냉매는 이미 냉매용 모세관(20)으로 유입되기 전에 코일링 된 모세관이나, 전자 팽창 밸브에 의하여 감압 팽창되었기 때문에 그 온도가 0℃보다 현저하게 낮은 온도이다.
따라서, 열전도에 의하여 제빙 하우징(40)의 표면온도도 현저하게 낮아진다. 따라서, 트레이(80)에 있는 유체가 제빙 하우징 표면에 닿게 되면 열을 빼앗겨 급냉되어 제빙 하우징(40) 표면에 결빙된다.
한편, 새롭게 배출된 냉매에 의하여 기존에 배출되었던 냉매가 밀리는데, 이러한 기 배출 냉매는 유입공(331)과, 회수 유로(33) 그리고, 회수 안내관(332)을 거쳐서 냉매용 모세관 고정유닛(30) 및 제빙 하우징(40)을 빠져나간다.
여기서 도면번호 251, 252는 본체의 측벽을 표시하고 있다.
한편, 제빙 하우징(40) 일측에는 기어나 스프로킷 또는 마찰차와 같은 제1동력전달부(61)가 마련된다.
그리고, 구동모터(70)에도 기어나 스프로킷 또는 마찰차와 같은 제2동력전달부(62)가 마련되고, 제1,2동력전달부(61,62)는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63)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맞물려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동력전달부(61)와 제빙 하우징(40)을 연결하는 연결축(253)의 주변이나,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30)의 주변에는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3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와 도9는 몸체부(31)에 형성되는 고정부(32)의 다른 배치를 나타내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에서는 고정홈으로 구현되는 고정부(32)가 몸체부(31)의 표면을 따라서 복수개로 마련되고, 각각의 고정부(32)에 냉매용 모세관(20)이 각각 고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냉매용 모세관(20)은 회수 유로(33)를 따라서 관통공(333)까지 연장되고, 꺾여서 각각의 고정부(32)에 안착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9에서는 고정부(32)가 도8이나 도6과와 같이 홈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냉매용 모세관(20)은 홀을 관통하여 몸체부(31)의 외주면 바깥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냉매용 모세관(20)은 홀에 이르기까지는 회수 유로(33)의 일부를 타고 배치된다.
도8 이나 도9 모두 몸체부(31) 내부에 회수 유로(33)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그 옆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331)이 마련되고, 회수 안내관(332)과 연결되어 냉매의 회수를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도2와 도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유체의 저장 및 순환에 따른 교반 동작 및 제빙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한편 도2에서 설명한 동작은 도3과 도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저장조(202)에 유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펌프 장치(212)가 동작을 하면, 저장된 유체는 유체 배출 안내관(211)을 타고 배출되어 펌핑 장치(212)에 유입된다(① 방향)
펌핑 장치(212)에 의하여 펌핑되는 유체는 분지 유로(213) 및 유체 유입 안내관(214)을 타고 다시 유체 저장조(202)로 유입되고, 그 내부에서 유동을 유발하여 유체들을 교반하여 그 내부의 혼합물들이 침전되지 않도록 한다(②방향).
한편, 펌핑되는 유체는 분지 유로(213) 및 유체 공급 안내관(215)을 타고 박막 얼음 제빙 장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유체는 트레이(80)에 공급되고, 트레이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차오른 유체는 제빙 몸체부(40)의 표면을 적신다.
즉,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80)에 유체 공급 안내관(215)에 의하여 유체(W)가 공급된 상태에서 유체(W)가 제빙 하우징(40)의 표면에 닿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빙 하우징(40)은 그 내부에 차 있는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제빙 하우징(40) 표면에 유체(W)가 닿게 되면 얇은 얼음막(I)를 형성한다.
한편, 제빙 하우징(40)은 구동모터(70)에 의하여 삭빙 커터 방향(A)으로 회전하며, 삭빙 커터(90)는 제빙 하우징(40)에 닿게 배치되어, 제빙 하우징(40)의 표면에 결빙된 얇은 얼음을 삭빙하는 역할을 한다.
삭빙되어 제빙 하우징(40) 표면으로부터 벗겨진 얼음은 삭빙 커터(90)의 위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아래로 떨어져서 본체의 얼음 보관부(도1참조, 12)에 보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2: 유체 저장 장치
3: 박막 얼음 제빙 장치
30: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 31: 몸체부
32: 고정부 33: 회수 유로
40: 제빙 하우징 80; 트레이
90: 삭빙 커터 202: 유체 저장조
211: 유체 배출 안내관 212: 펌핑 장치
213: 분지 유로 213a: 분지 유로 밸브
214: 유체 유입 안내관 215: 유체 공급 안내관
215a: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

Claims (11)

  1.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조와;
    상기 유체 저장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체 배출을 안내하는 유체 배출 안내관과;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다른 방향으로 안내하는 펌핑 장치와;
    상기 펌핑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펌핑 장치에서 펌핑되어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 저장조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제빙하는 제빙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분지 유로와;
    상기 분지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체 저장조에 결합되어 상기 분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다시 상기 유체 저장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체 유입 안내관과;
    상기 분지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분지 유로를 통과한 유체를 상기 제빙 장치로 향하게 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조,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 상기 분지 유로, 및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은 유체의 순환 루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 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펌핑 장치에서 나온 유체가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 또는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 및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분지 유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조에 저장된 수위를 감지하는 유체 저장조 수위 감지 센서부와,
    상기 유체 저장조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유체 저장조 온도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조 수위 감지 센서부 또는 상기 유체 저장조 온도 센서부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지 유로 밸브 구동부 또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 저장조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 저장조의 내부에서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유체 저장조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는 유체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 장치.
  6. 박막 얼음 제빙 장치와, 상기 박막 얼음 제빙 장치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막 얼음 제빙 장치는,
    냉매용 모세관이 삽입되고 관통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고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냉매용 모세관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채워지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외주면에 유체가 접촉되는 경우, 냉매의 열흡수에 의하여 결빙시키는 제빙 하우징과;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삭빙하여 얼음을 제빙 하우징으로부터 이빙시키는 삭빙 커터와;
    상기 제빙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빙 하우징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유체를 수용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 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조와;
    상기 유체 저장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체 배출을 안내하는 유체 배출 안내관과;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상기 트레이로 안내하는 펌핑 장치와;
    상기 펌핑 장치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 마련되어 유체 공급을 안내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과;
    상기 펌핑 장치와 상기 유체 공급 안내관을 연결하는 분지 유로와;
    상기 분지 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다시 상기 유체 저장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체 유입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조, 상기 유체 배출 안내관, 상기 분지 유로, 및 상기 유체 유입 안내관은 유체의 순환 루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또는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냉매용 모세관이 고정되고, 상기 냉매용 모세관의 토출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그 주위에 분산된 냉매가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외면에 마련되는 관통공 및 상기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는 회수 안내관을 연결시키는 회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냉매용 모세관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일측에 회수 안내관이 위치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빙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빙 하우징의 입구를 막는 커버부와;
    상기 헤드부에 삽입되는 냉매용 모세관이 관통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 및 회수 유로가 형성되는 주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주 몸체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주 몸체부를 관통하는 냉매용 모세관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빙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 유로에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분지 유로 밸브와;
    상기 유체 공급 안내 관에서의 유체 흐름을 단속하는 유체 공급 안내관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KR1020140098518A 2014-07-31 2014-07-31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KR10155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18A KR101551580B1 (ko) 2014-07-31 2014-07-31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18A KR101551580B1 (ko) 2014-07-31 2014-07-31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580B1 true KR101551580B1 (ko) 2015-09-08

Family

ID=5424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518A KR101551580B1 (ko) 2014-07-31 2014-07-31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4456C1 (ru) * 2017-04-10 2018-1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женерных технологий" (ФГБОУ ВО "ВГУИТ")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чешуйчатого льд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422Y1 (ko) * 2003-06-30 2003-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자동 제빙기용 급수장치
KR200472561Y1 (ko) * 2014-02-07 2014-05-07 진용욱 회전식 제빙기의 세척장치
KR101400107B1 (ko) * 2013-12-23 2014-05-28 기회산업(주) 고효율 태양열 축열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422Y1 (ko) * 2003-06-30 2003-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자동 제빙기용 급수장치
KR101400107B1 (ko) * 2013-12-23 2014-05-28 기회산업(주) 고효율 태양열 축열탱크
KR200472561Y1 (ko) * 2014-02-07 2014-05-07 진용욱 회전식 제빙기의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74456C1 (ru) * 2017-04-10 2018-1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женерных технологий" (ФГБОУ ВО "ВГУИТ")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чешуйчатого льд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62B1 (ko) 냉장고
KR101907166B1 (ko) 냉장고
US9074804B2 (en) Refrigerator
US20170254577A1 (en) Ice maker for dispensing soft ice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EP3059526A1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1696860B1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US20080156000A1 (en) Ic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ice
CN107631528A (zh) 制冰器及具有制冰器的冰箱
US8453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EP2263055B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20040891A (ko) 냉장고
RU2008133223A (ru) Льдогенератор для холод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A2651685A1 (en) Refrigerator including high capacity ice maker
US8448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CN101206092A (zh) 冰箱
CN103930740A (zh) 冷藏库
KR101551580B1 (ko) 유체 저장 장치 및 유체 저장-제빙 복합 장치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US20140116083A1 (en) Refrigerator
KR101798570B1 (ko)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20150145599A (ko) 박막 얼음 제빙기 및 박막 얼음 제빙기의 냉매용 모세관 고정 유닛
US1057117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clear icemaker
KR10093661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424088Y1 (ko) 액막 제상장치를 구비한 축냉식 냉장 시스템
CN115388589A (zh) 一种制冰模块及制冰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