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492B1 -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492B1
KR101551492B1 KR1020090025518A KR20090025518A KR101551492B1 KR 101551492 B1 KR101551492 B1 KR 101551492B1 KR 1020090025518 A KR1020090025518 A KR 1020090025518A KR 20090025518 A KR20090025518 A KR 20090025518A KR 101551492 B1 KR101551492 B1 KR 10155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pth
scene
moving imag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705A (ko
Inventor
도모노리 마스다
미키오 와타나베
다케시 오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과제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시에 있어서,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동화상 입력부 (2) 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한다. 장면 검출부 (3) 가,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한다. 깊이감 조정 처리부 (4) 가,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경되도록,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한다.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입체시, 시차

Description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CESSING STEREOSCOPIC VIDEOS}
본 발명은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화상을 조합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차 (視差) 를 이용하여 입체시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입체시가 가능한 입체 화상은, 동일 피사체를 상이한 위치로부터 복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함으로써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고, 복수의 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시차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화상의 색을 예를 들어 적색과 청색과 같이 상이하게 하여 중첩시키거나, 복수의 화상의 편광 방향을 상이하게 하여 중첩시킴으로써,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입체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체 화상을 표시하고, 적청 안경이나 편광 안경 등의 화상 분리 안경을 사용하여 표시된 입체 화상을 눈의 자동 초점 기능에 의해 융합시 (融合視) 함으로써, 화상을 입체시할 수 있다 (애너글리프 방식, 편광 필터 방식).
또, 편광 안경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및 렌티큘러 방식과 같이, 입체 화상을 입체시 가능한 3D 액정에 표시하여 입체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화상을 수직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입체 화상이 생성된다. 또, 화상 분리 안경을 사용하거나, 광학 소자를 액정에 붙임으로써 좌우 화상의 광선 방향을 바꾸면서, 좌우 화상을 교대로 표시함으로써,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時)분할 방식).
또, 입체 동화상을 재생할 때에 어떻게 표시를 실시할지를 미리 설정해 두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수법은, 예를 들어 입체 동화상을 재생할 때에는, 최초의 몇 초간만 입체시할 수 없는 2 차원 동화상을 표시한 후에 입체 동화상으로 전환하는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또, 입체 동화상 및 입체시할 수 없는 2 차원 동화상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 입체 표시와 2 차원 표시의 전환을 서서히 실시함으로써, 전환시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해소하는 수법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00813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28566호
그런데, 입체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녹화의 개시, 정지, 줌 배율의 변경 등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촬영되는 장면이 변경되고, 그 결과, 장면의 전환 위치의 전후에 있어서 깊이감이 변경되게 된다. 그러나, 입체시는 사용자의 눈의 자동 초점 기능에 의해 화상의 깊이감을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면의 깊이감이 돌연 전환되면,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피로감이 남게 된다. 그래서,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수법은 미리 2 차원 동화상과 입체 동화상을 어떻게 표시할지를 설정해 두는 것이기 때문에,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시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 특허 문헌 2 에 기재된 수법은 2 차원 동화상과 입체 동화상의 전환을 서서히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화상 내에 있어서의 장면의 전환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시에 있어서,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동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장면 검출 수단과,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경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깊이감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처리 대상 장면의 전 (前)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그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2 차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그 2 차원 프레임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 및 그 선두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클수록 상기 소정 수를 크게 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2 차원 프레임」이란, 깊이감이 대략 0 인 프레임으로서, 선두 프레임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화소 사이의 시차량을 없애기 위해, 선두 프레임을 모핑 등에 의해 가공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체 동화상은 복수의 동화상을 입체시 가능하도록 합성함으로써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 전의 복수의 동화상이 입체 동화상과 함께 입력된 경우에는, 합성 전의 동화상을 사용하여 2 차원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그 최종 프레임에 상당 하는 깊이감을 갖는, 그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또는 상기 최종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그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 및 그 선두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상기 최종 프레임과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상기 소정 수를 크게 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그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2 차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그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클수록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를 많게 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그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그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그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그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상기 최종 프레임과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를 많게 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을,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경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이 접수되고,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가 검출되어,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경되도록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이 조정된다. 이 때문에, 입체 동화상의 장면이 전환될 때에 깊이감이 돌연 전환되는 경우가 없어지고, 그 결과,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1) 는, 화상 입력부 (2), 장면 검출부 (3), 깊이감 조정부 (4), 각종 입력을 실시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 (5), 각종 표시를 실시하는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부 (6) 그리고 제어부 (7) 를 구비하고, 각 부가 버스 (8)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화상 입력부 (2) 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1) 에 처리의 대상이 되는 입 체 동화상 (M0) 의 화상 파일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화상 파일이 기록된 미디어로부터 화상 파일을 판독하는 미디어 드라이브, 네트워크 경유로 화상 파일의 입력을 접수하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등, 화상 파일을 입력하기 위한 공지된 여러 가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입력부 (2) 를 미디어 (2A) 로부터 화상 파일을 판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 파일은 MPEG 등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입력부 (2) 는 입력된 화상 파일을 신장하여, 그 후의 처리에 제공하는 것이다.
장면 검출부 (3) 는, 화상 입력부 (2) 에 의해 입력된 화상 파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입체 동화상 (M0) 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입체 동화상 (M0) 에 포함되는 각 프레임 사이의 차분을 산출하여, 어느 프레임 사이의 차분이 그 전후의 프레임 사이의 차분과 크게 상이한 경우에, 그 프레임 사이를 장면의 전환 위치로서 검출한다. 또한, 입체 동화상 (M0) 을 표시부 (6) 에 재생하고, 사용자에게 장면의 전환 위치를 입력시킴으로써,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입체 동화상 (M0) 에는 장면의 전환 위치를 나타내는 챕터 마크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챕터 마크의 위치를 장면의 전환 위치로서 검출해도 된다. 또한, 챕터 마크는, 입체 동화상 (M0) 의 화상 파일에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입체 동화상 (M0) 의 화상 파일과는 별도의 파일로서 입력되는 경우도 있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의 장면에 대하여, 그 장면의 개시시에 장면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경되도록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한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된 입체 동화상의 각 장면에 있어서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체 동화상 (M0) 에는 깊이감이 상이한 3 개의 장면 (S1, S2, S3) 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초의 장면 (S1) 의 개시시에는 전혀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것이고, 장면 (S1) 에 이어지는 장면 (S2, S3) 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입체 동화상 (M0) 은, 수평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촬영함으로써 취득한 2 개의 동화상으로 생성되고, 2 개의 동화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시를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장면의 깊이감은 시차에 의존하는 것으로서, 장면 내의 화상에 있어서의 최대 시차와 최소 시차의 차가 클수록 깊이감이 커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면의 프레임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최대 시차와 최소 시차의 차를 깊이감으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입체 동화상 (M0) 을 표시부 (6) 에 재생하고, 사용자에게 각 장면의 깊이감을 입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입체 동화상 (M0) 에 따라서는, 깊이감을 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촬영시의 초점 위치, 줌 위치, 카메라 사이의 기선 (基線) 길이 및 폭주 (輻輳) 각 등의 깊이감 정보가 부여되어 있거나, 깊이감 정보가 화상 파일과는 별도의 파일로서 장치 (1) 에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입체 동화상 (M0) 에 부여된 깊이감 정보 또는 입력된 깊이감 정보를 취득하여, 깊이감 정보로부터 깊이감을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동일 장면 내에 있어서도 피사체의 깊이감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 되는 경우가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일 장면에 있어서는 깊이감은 일정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부 (4) 는, 먼저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하여, 깊이감이 없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을 생성한다. 여기서, 선두 프레임 (FrT) 은 포함되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각 화소가 시차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깊이감 조정부 (4) 는, 선두 프레임 (FrT) 을 모핑 등에 의해 가공하여, 선두 프레임 (FrT) 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대하여 시차가 없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을 생성한다. 그리고, 2 차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 i 는 프레임 수) 을 생성한다. 또한,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은, 선두 프레임 (FrT) 과 동일한 화상이 된다.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과 그 전 장면 사이에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을 삽입함으로써,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에 실시한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포함되는 피사체가 원형이고,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포함되는 피사체가 정방형인 것으로 한다. 또, 제 1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프레임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시차를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2 개의 피사체의 어긋남량으로 나타낸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의상 시차를 나타내기 위하여 2 개의 피사체를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실제의 프레임은, 입체시를 실시함으로써 1 개의 피사체가 깊이감을 갖고 시인되는 것이다.
먼저,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이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이 표시되고, 2 차원 프레임 (FrT0) 에 이어 소정 수 (여기서는 4 개) 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1 ∼ FrT4) 이 표시되고,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1 ∼ FrT4) 에 이어 선두 프레임 (FrT) 및 선두 프레임 (FrT) 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장면 사이에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1 ∼ FrT4) 을 삽입함으로써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 (M0) 에 실시한다. 이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이 생성된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이 삽입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0 에서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서서히 변화되어, 깊이감이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되면 그 장면의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장면 사이에 삽입되는 프레임 수는 일정하기 때문에, 각 장면 사이에 있어서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이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1) 재생되게 된다. 또, 각 장면 의 재생 시간에 변경은 없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보다 삽입된 프레임 수만큼 길어진다.
제어부 (7) 는, CPU (7A),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의 작업 영역이 되는 RAM (7B), 및 장치 (1) 의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상수 등을 기억한 ROM (7C)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장치 (1) 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입체 동화상 (M0) 에 대한 처리의 지시가 입력부 (5) 로부터 실시됨으로써 제어부 (7) 가 처리를 개시하고, 화상 입력부 (2) 가 미디어 (2A) 로부터 입체 동화상 (M0) 을 판독하고 (스텝 (ST 1)), 장면 검출부 (3) 가 입체 동화상 (M0) 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한다 (스텝 (ST 2)). 그리고, 깊이감 조정부 (4) 가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 (M0) 에 실시하고,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을 생성한다 (스텝 (ST 3)).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11)),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을 생성한다 (스텝 (ST 12)). 또한, 여기서 말하는 최초의 장면이란, 입체 동화상 (M0) 의 최초의 장면의 다음 장면, 즉 도 3 에 나타내는 장면 (S2) 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2 차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을 생성한다 (스텝 (ST 13)).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 및 그 전 장면과의 사이에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을 삽입한다 (프레임 삽입, 스텝 (ST 14)).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15)), 스텝 (ST 15)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16)), 스텝 (ST 12)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15)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도 5 로 돌아와서, 제어부 (7) 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을 미디어 (2A) 에 기록하고 (스텝 (ST 4)),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경되도록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입체 동화상의 장면이 전환될 때에 깊이감이 돌연 전환되는 경우가 없어지고, 그 결과,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깊이감 조정부 (4) 가 실시하는 처리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장면 (S1 ∼ S3) 을 포함하는 입체 동화상 (M0) 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하여,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생성한다. 여기서, 최종 프레임 (FrL) 과 선두 프레임 (FrT) 은 깊이감이 상이하기 때문에, 깊이감 조정부 (4) 는,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최종 프레임 (FrL) 의 깊이감과 동일해지도록, 선두 프레임 (FrT) 을 모핑 등에 의해 가공하여,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생성한다. 그리고,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의 깊이감으로부터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 i 는 프레임 수) 을 생성한다. 또한,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은 선두 프레임 (FrT) 과 동일한 화상이 된다. 그리고, 장면 사이에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을 삽입함으로써,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에 실시한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이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이 표시되고,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에 이어 소정 수 (여기서는 4 개) 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1 ∼ FrTc4) 이 표시되고,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1 ∼ FrTc4) 에 이어 선두 프레임 (FrT) 및 선두 프레임 (FrT) 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장면 사이에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1 ∼ FrTc4) 을 삽입함으로써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 체 동화상 (M0) 에 실시한다. 이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이 생성된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이 삽입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전 장면의 깊이감으로부터 그 장면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화되어, 깊이감이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되면 그 장면의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장면 사이에 삽입되는 프레임 수는 일정하기 때문에, 각 장면 사이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이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2) 재생되게 된다. 또, 각 장면의 재생 시간에 변경은 없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보다 삽입된 프레임 수만큼 길어진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21)),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생성한다 (스텝 (ST 22)).
다음으로,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으로부터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을 생성한다 (스텝 (ST 23)).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 및 그 전 장면과의 사이에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을 삽입한다 (프레임 삽입, 스텝 (ST 24)).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25)), 스텝 (ST 25)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26)), 스텝 (ST 22)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24)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을 프레임 사이에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 사이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전환되는 시간은 일정 시간 (Δt1) 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장면 사이에 삽입되는 프레임 수가 일정하면, 장면의 깊이감이 큰 경우에 급격하게 깊이감이 전환되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장면의 깊이감이 클수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의 수를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이것을 제 3 실시형태로 하여 설명한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31)),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을 생성한다 (스텝 (ST 32)).
다음으로,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에 따라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의 수를 설정한다 (프레임 수 설정, 스텝 (ST 33)). 구체적으로는, 깊이감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의 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2 차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설정된 프레임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을 생성한다 (스텝 (ST 34)).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 및 그 전 장면과의 사이에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을 삽입한다 (프레임 삽입, 스텝 (ST 35)).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36)), 스텝 (ST 36)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37)), 스텝 (ST 32)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36)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장면의 깊이감에 따른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이 삽입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0 에서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서서히 변화되어, 깊이감이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되면 그 장면의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또, 장면의 깊이감이 클수록 삽입되는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의 수가 커지기 때문에, 각 장면 사이에 있어서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이 삽입된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3, Δt4) 재생되게 된다. 또한, 장면 (S3) 은 장면 (S2) 보다 깊이감이 크기 때문에, Δt4 > Δt3 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장면의 재생 시간에 변경은 없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보다 삽입된 프레임 수만큼 길어진다.
이와 같이, 장면의 깊이감이 클수록 삽입되는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의 수를 크게 함으로써 장면의 전환에 있어서 깊이감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의 깊이감과,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i) 의 수를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이것을 제 4 실시형태로 하여 설명한다.
도 12 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41)),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생성한다 (스텝 (ST 42)).
다음으로,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과,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의 차에 따라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의 수를 설정한다 (프레임 수 설정, 스텝 (ST 43)). 구체적으로는, 깊이감의 차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의 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으로부터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설정된 프레임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을 생성한다 (스텝 (ST 44)).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 및 그 전 장면과의 사이에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을 삽입한다 (프레임 삽입, 스텝 (ST 45)).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46)), 스텝 (ST 46)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47)), 스텝 (ST 42)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46)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 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전 장면의 깊이감과의 차에 따른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이 삽입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전 장면의 깊이감으로부터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화되어, 깊이감이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되면 그 장면의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또, 장면 사이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삽입되는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의 수가 커지기 때문에, 각 장면 사이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이 삽입된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5, Δt6) 재생되게 된다. 또한, 장면 (S2, S3) 사이의 깊이감의 차는 장면 (S1, S2) 사이의 깊이감의 차보다 크기 때문에, Δt6 > Δt5 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장면의 재생 시간에 변경은 없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보다 삽입된 프레임 수만큼 길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깊이감 조정부 (4) 가 실시하는 처리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그 도중의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에 대하여, 깊이감이 0 에서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도록,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 (M0) 에 실시한다.
도 14 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제 5 실시형태 및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포함되는 피사체가 원형이고,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포함되는 피사체가 정방형이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 정방형의 피사체가 화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이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이 표시되고, 2 차원 프레임 (FrT0) 에 이어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선두로부터 6 프레임째의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선두 프레임 (FrT0) 과 기준 프레임 (FrB) 사이의 프레임 수 (- 여 기서는 4 개) 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1 ∼ Fr4) 이 표시되고,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1 ∼ Fr4) 에 이어 기준 프레임 (FrB) 및 기준 프레임 (FrB) 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 (M0) 에 실시한다. 즉,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을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1 ∼ Fr4) 으로 치환함으로써,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 (M0) 에 실시한다. 이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이 생성된다.
도 15 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 있어서는,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이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으로 치환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깊이감이 0 에서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서서히 변화되게 된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 수는 일정하기 때문에,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이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7) 재생되게 된다. 또, 각 장면 사이에는 프레임은 전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의 재생 시간과 동일해진다.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51)),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선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 수 (기준 프레임 수) 의 차가 임계값 (Th1) 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T 52)). 또한, 스텝 (ST 52) 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은, 처리 대상 장면의 길이와 비교하여, 깊이감이 전환되는 장면의 길이가 지나치게 긴 것이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기준 프레임 수의 차를 대신하여,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스텝 (ST 52) 이 긍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을 생성한다 (스텝 (ST 53)).
다음으로, 2 차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에 대한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을 생성한다 (스텝 (ST 54)).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을,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으로 치환한다 (프레임 치환, 스텝 (ST 55)).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56)), 스텝 (ST 56)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57)), 스텝 (ST 53)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56)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T 52) 이 부정되면,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고 (스텝 (ST 58)), 스텝 (ST 56) 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서,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서서히 변경되도록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입체 동화상의 장면이 전환될 때에 깊이감이 돌연 전환되는 경우가 없어지고, 그 결과,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처리 전의 입체 동화상 (M0) 의 재생 시간과 변함없기 때문에, 깊이감 조정 처리에 의해 입체 동화상 (M0) 의 화상 파일의 용량이 증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깊이감 조정부 (4) 가 실시하는 처리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부 (4) 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하여,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생성한다.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에 대하여, 깊이감이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도록,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에 실시한다.
도 17 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이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이 표시되고,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에 이어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선두로부터 6 프레임째의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선두 프레임 (FrT0) 과 기준 프레임 (FrB) 사이의 프레임 수 (여기서는 4 개) 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1 ∼ Frc4) 이 표시되고,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1 ∼ Frc4) 에 이어 기준 프레임 (FrB) 및 기준 프레임 (FrB) 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 (M0) 에 실시한다. 즉,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을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1 ∼ Frc4) 으로 치환함으로써, 깊이감 조정 처리를 입체 동화상 (M0) 에 실시한다. 이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이 생성된다.
도 18 은 제 6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 있어서는,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이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i) 으로 치환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깊이감이 전 장면의 깊이감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서서히 변화되게 된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 수는 일정하기 때문에,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i) 이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8) 재생되게 된다. 또, 각 장면 사이에는 프레임은 전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의 재생 시간과 동일해진다.
다음으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61)),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 수 (기준 프레임 수) 의 차가 임계값 (Th1) 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T 62)). 또한,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기준 프레임 수의 차를 대신하여,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스텝 (ST 62) 이 긍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생성한다 (스텝 (ST 63)).
다음으로,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에 대한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i) 을 생성한다 (스텝 (ST 64)).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을,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i) 으로 치환한다 (프레임 치환, 스텝 (ST 65)).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66)), 스텝 (ST 66)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67)), 스텝 (ST 62)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66)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T 62) 이 부정되면,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고 (스텝 (ST 68)), 스텝 (ST 66) 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서,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을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으로 치환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 사이에 있어서의 깊이감이 전환되는 시간은 일정 시간 (Δt7) 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장면 사이에 삽입되는 프레임 수가 일정하면, 장면의 깊이감이 큰 경우에 급격하게 깊이감이 전환되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장면의 깊이감이 클수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를 증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하, 이것을 제 7 실시형태로 하여 설명한다.
도 20 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71)),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에 따라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를 설정한다 (프레임 수 설정, 스텝 (ST 72)). 구체적으로는, 깊이감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설정된 수의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을 기준 프레임 (FrB) 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73)),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선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 수 (기준 프레임 수) 의 차가 임계값 (Th1) 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T 74)). 또한,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기준 프레임 수의 차를 대신하여,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스텝 (ST 74) 이 긍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 (FrT0) 을 생성한다 (스텝 (ST 75)).
다음으로, 2 차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설정된 프레임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을 생성한다 (스텝 (ST 76)).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을,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으로 치환한다 (프레임 치환, 스텝 (ST 77)).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78)), 스텝 (ST 78)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 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79)), 스텝 (ST 72)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78)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T 75) 이 부정되면,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고 (스텝 (ST 80)), 스텝 (ST 78) 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서,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도 21 은 제 7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 있어서는,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이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으로 치환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깊이감이 0 에서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서서히 변화되게 된다. 또, 장면의 깊이감이 클수록 삽입되는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가 커지기 때문에,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i) 이 삽입된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9, Δt10) 재생되게 된다. 또한, 장면 (S3) 은 장면 (S2) 보다 깊이감이 크기 때문에, Δt10 > Δt9 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장면 사이에는 프레임은 전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의 재생 시간과 동일해진다.
이와 같이, 장면의 깊이감이 클수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를 크게 함으로써 장면의 전환에 있어서 깊이감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입체시를 실시하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의 깊이감과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ci) 의 수를 많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이것을 제 8 실시형태로 하여 설명한다.
도 22 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깊이감 조정부 (4) 는, 처리 대상 장면을 최초의 장면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91)),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에 따라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를 설정한다 (프레임 수 설정, 스텝 (ST 92)). 구체적으로는, 깊이감에 비례하여 커지도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설정된 수의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을 기준 프레임 (FrB) 으로 설정하고 (스텝 (ST 93)),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선두 프레임 (FrT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까지의 프레임 수 (기준 프레임 수) 의 차가 임계값 (Th1) 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T 94)). 또한,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기준 프레임 수의 차를 대신하여,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스텝 (ST 94) 이 긍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생성한다 (스텝 (ST 95)).
다음으로,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설정된 프레임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i) 을 생성한다 (스텝 (ST 96)). 그리고,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을,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c) 으로 치환한다 (프레임 치환, 스텝 (ST 97)).
계속해서, 깊이감 조정부 (4) 는, 모든 장면의 처리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T 98)), 스텝 (ST 98) 이 부정되면, 처리 대상 장면을 다음 장면으로 변경하고 (스텝 (ST 99)), 스텝 (ST 92) 으로 돌아온다. 스텝 (ST 98) 이 긍정되면, 깊이감 조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T 94) 이 부정되면,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고 (스텝 (ST 100)), 스텝 (ST 98) 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서,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도 23 은 제 8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각 장면 (S1 ∼ S3) 사이에 있어서는,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1 개 전까지의 프레임이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ci) 으로 치환됨으로써,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 전 장면의 깊이감으로부터 기준 프레임 (FrB)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깊이감이 서서히 변화되게 된다. 또, 장면의 깊이감이 클수록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i) 의 수가 커지기 때문에, 각 장면의 개시 위치에 있어서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이 삽입된 프레임 수에 따른 시간 (Δt11, Δt12) 재생되게 된다. 또한, 장면 (S3) 은 장면 (S2) 보다 깊이감이 크기 때문에, Δt12 > Δt11 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장면 사이에는 프레임은 전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 (M1) 의 재생 시간은 입체 동화상 (M0) 의 재생 시간과 동일해진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에 대한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및 깊이감 조정 프레임 (FrTci) 을 생성하고 있는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을 대신하여,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에 대하여, 깊이감이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연속하여 변화되는 깊이감 조정 프레임을 생성하여, 장면 사이에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장면의 재생이 종료하면, 각 장면의 최종 프레임 (FrL) 의 깊이감이 다음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서서히 변화되어, 깊이감이 다음 장면의 선두 프레임 (FrT) 의 깊이감이 되면, 그 다음 장면의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 (FrTc0) 을 선두 프레임 (FrT) 또는 최종 프레임 (FrL) 을 모핑 등에 의해 가공함으로써 생성하고 있는데, 입체 동화상 (M0) 은 복수의 동화상을 입체시 가능하도록 합성함으로써 생성되고 있기 때문에, 합성 전의 복수의 동화상이 입체 동화상 (M0) 과 함께 장치 (1) 에 입력된 경우에는, 합성 전의 동화상을 사용하여 2 차원 프레임 (FrT0) 및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장치 (1) 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컴퓨터를 상기한 장면 검출부 (3) 및 깊이감 조정부 (4) 에 대응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켜, 도 5, 6, 9, 10, 12, 16, 19, 20,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이다. 또, 그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력된 입체 동화상의 각 장면에 있어서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13 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17 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 은 제 6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 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20 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21 은 제 7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 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깊이감 조정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23 은 제 8 실시형태에 의해 생성되는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2 화상 입력부
3 장면 검출부
4 깊이감 조정부
5 입력부
6 표시부
7 제어부

Claims (16)

  1.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동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장면 검출 수단과,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최종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 및 상기 선두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깊이감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은, 상기 최종 프레임과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상기 소정 수를 크게 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3.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최종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 및 상기 선두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
  4.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순서와,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최종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 및 상기 선두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순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5.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동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장면 검출 수단과,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깊이감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깊이감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은, 상기 최종 프레임과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를 많게 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상기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최종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 및 상기 선두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은, 상기 최종 프레임과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의 차가 클수록 상기 소정 수를 크게 하도록 상기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9.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
  10.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순서와,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순서로서,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순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1.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동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장면 검출 수단과,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2 차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깊이감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깊이감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은,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클수록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를 많게 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상기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2 차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2 차원 프레임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소정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선두 프레임 및 상기 선두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수단은, 상기 선두 프레임의 깊이감이 클수록 상기 소정 수를 크게 하도록 상기 다른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15.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2 차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2 차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
  16.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시 (立體視) 가능한 입체 동화상의 입력을 접수하는 순서와,
    상기 입체 동화상의 장면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장면의 전환 위치에 있어서, 처리 대상 장면의 전 장면의 최종 프레임에 이어, 상기 최종 프레임에 상당하는 깊이감을 갖는,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선두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선두 프레임에 이어 상기 처리 대상 장면에 있어서의 기준 프레임의 깊이감이 될 때까지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깊이감이 연속하여 변화되는,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에 대응하는 수의 깊이감 조정 프레임이 표시되고, 상기 깊이감 조정 프레임에 이어 상기 기준 프레임 및 상기 기준 프레임에 이어지는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상기 입체 동화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함으로써 처리 완료 입체 동화상을 생성하는 순서로서, 상기 처리 대상 장면의 프레임 수와 상기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준 프레임까지의 프레임 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깊이감 조정 처리를 상기 입체 동화상에 실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순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090025518A 2008-03-26 2009-03-25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KR101551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9633A JP4695664B2 (ja) 2008-03-26 2008-03-26 立体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8-079633 200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705A KR20090102705A (ko) 2009-09-30
KR101551492B1 true KR101551492B1 (ko) 2015-09-08

Family

ID=4082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18A KR101551492B1 (ko) 2008-03-26 2009-03-25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4997B2 (ko)
EP (1) EP2106150B1 (ko)
JP (1) JP4695664B2 (ko)
KR (1) KR101551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670B1 (ko) 2023-07-28 2024-03-20 (주)코드쓰리 실감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1074B1 (ko) 2023-07-28 2024-04-26 (주)코드쓰리 실감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4424B2 (ja) * 2009-02-23 201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5434231B2 (ja) * 2009-04-24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61618B2 (ja) * 2009-09-04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540746B2 (ja) * 2009-11-20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76541A (ja) * 2010-02-24 2011-09-08 Sony Corp 立体映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GB2478164A (en) 2010-02-26 2011-08-31 Sony Corp Calculating misalignment between a stereoscopic image pair based on feature positions
GB2478157A (en) 2010-02-26 2011-08-31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between a first and second image sequence in a stereoscopic video
EP2547101A4 (en) * 2010-04-14 2013-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BROADCASTING BITSTREAM FOR DIGITAL BROADCASTING WITH SUBTITLES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A BROADBAND RADIO BITSTREAM FOR DIGITAL BROADCASTING WITH SUBTITLES
JP2011223481A (ja) * 2010-04-14 2011-11-04 Sony Corp データ構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12225B2 (en) 2010-05-28 2014-04-29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device for stereoscopic viewing, integrated circuit, and program
US8472786B2 (en) * 2010-06-17 2013-06-25 Fujifilm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WO2012014708A1 (ja) * 2010-07-26 2012-0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29216A (ja) * 2010-07-27 2012-02-09 Sony Corp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54862A (ja) * 2010-09-03 2012-03-1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WO2012037075A1 (en) * 2010-09-14 2012-03-22 Thomson Licensing Method of presen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with disparity adjustments
WO2012042895A1 (ja) * 2010-09-30 2012-04-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映像符号化装置、立体映像撮影装置、および立体映像符号化方法
KR101682208B1 (ko) 2010-10-22 2016-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873076B1 (ko) * 2010-10-29 2018-06-29 톰슨 라이센싱 이미지 내의 그래픽 객체를 인크러스트하는 3차원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2056722A1 (ja) * 2010-10-29 2012-05-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視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105153A (ja) * 2010-11-11 2012-05-31 Sharp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表示方法、立体画像表示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599063B2 (ja) * 2010-12-14 2014-10-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50094B2 (ja) * 2010-12-21 2012-10-17 株式会社東芝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JP5453552B2 (ja) * 2010-12-24 201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99609B2 (ja) * 2011-01-06 2015-04-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9041774B2 (en) 2011-01-07 2015-05-2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ynamic adjustment of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 video settings based on scene content
WO2012094076A1 (en) * 2011-01-07 2012-07-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orphological anti-aliasing (mlaa) of a re-projection of a two-dimensional image
US8514225B2 (en) 2011-01-07 2013-08-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Scaling pixel depth values of user-controlled virtual object in three-dimensional scene
US8619094B2 (en) 2011-01-07 2013-12-3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orphological anti-aliasing (MLAA) of a re-projection of a two-dimensional image
US9183670B2 (en) 2011-01-07 2015-11-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ulti-sample resolving of re-projection of two-dimensional image
WO2012098803A1 (ja) * 2011-01-17 2012-07-2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66773B2 (ja) * 2011-02-03 2014-04-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動画再生装置、立体動画再生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の記録媒体、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立体撮像装置及び立体動画再生方法
JP5351915B2 (ja) * 2011-02-24 2013-11-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186652A (ja) * 2011-03-04 2012-09-27 Toshiba Corp 電子機器、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2127843A1 (ja) * 2011-03-24 2012-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処理装置及び立体画像処理方法
JP2012247891A (ja) * 2011-05-26 2012-12-13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53643A (ja) * 2011-06-06 2012-12-20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889821B2 (ja) * 2011-07-06 2012-03-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4889820B2 (ja) * 2011-07-06 2012-03-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2013017146A (ja) * 2011-07-06 2013-01-24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1107765B3 (de) * 2011-07-18 2012-12-06 3Ality Digital Systems, Llc Verfahren zum Glätten von Übergängen zwischen Szenen eines Stereofilms sowie Steuerung oder Regelung mehrerer 3D-Kameras
JP5861293B2 (ja) * 2011-07-20 2016-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輌用映像表示装置
JP2013026943A (ja) * 2011-07-25 2013-02-04 Sharp Corp 立体画像処理装置および立体画像処理方法
US8855472B2 (en) 2011-07-26 2014-10-07 Panasonic Corporation Video editing apparatus, video editing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WO2013046974A1 (ja) 2011-09-29 2013-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制御方法、立体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撮像装置
WO2013081435A1 (ko) * 2011-12-02 2013-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WO2013102790A2 (en) * 2012-01-04 2013-07-11 Thomson Licensing Processing 3d image sequences 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WO2013114887A1 (en) * 2012-02-02 2013-08-08 Panasoni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3d media data generation, encoding, decoding and display using disparity information
WO2013186962A1 (ja) * 2012-06-11 2013-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675172B1 (en) * 2012-06-14 2020-06-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tereoscopic 3-d rendering
US9628770B2 (en) 2012-06-14 2017-04-1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tereoscopic 3-D rendering
KR101469483B1 (ko) * 2012-06-20 2014-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4022888A (ja) * 2012-07-17 2014-02-03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02883175B (zh) * 2012-10-23 2015-06-17 青岛海信信芯科技有限公司 深度图提取、判断视频场景切换及深度图边缘优化方法
CN103024419A (zh) * 2012-12-31 2013-04-03 青岛海信信芯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图像处理方法及系统
WO2014204364A1 (en) * 2013-06-19 2014-12-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3d video switching with gradual depth transition
US10783681B2 (en) * 2017-09-13 2020-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ficially tiltable imag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0420A (ja) * 1996-07-24 1998-02-13 Sanyo Electric Co Ltd 奥行き感制御方法
JPH10172004A (ja) * 1996-12-04 1998-06-26 Canon Inc 立体画像表示方法
JPH11164328A (ja) * 1997-11-27 1999-06-18 Toshiba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
US7254265B2 (en) * 2000-04-01 2007-08-07 Newsigh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2D/3D image conversion and optimization
US6678323B2 (en) * 2001-01-24 2004-01-13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Communications Research Centre Bandwidth reduction for stereoscopic imagery and video signals
JP4183499B2 (ja) 2002-12-16 2008-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方法
JP3698702B2 (ja) * 2003-01-30 2005-09-21 株式会社ソフィア 画像表示装置
JP4121888B2 (ja) * 2003-04-28 2008-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JP2005109568A (ja) * 2003-09-26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映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341760B (zh) * 2005-12-19 2012-12-1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3d图像显示方法和装置
RU2007135972A (ru) * 2007-09-28 2009-04-10 Георгий Русланович Вяхирев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в псевдообъемном виде на двухмерном диспле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670B1 (ko) 2023-07-28 2024-03-20 (주)코드쓰리 실감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1074B1 (ko) 2023-07-28 2024-04-26 (주)코드쓰리 실감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39388A (ja) 2009-10-15
JP4695664B2 (ja) 2011-06-08
US8044997B2 (en) 2011-10-25
EP2106150B1 (en) 2013-12-11
EP2106150A3 (en) 2012-08-29
KR20090102705A (ko) 2009-09-30
US20090244268A1 (en) 2009-10-01
EP2106150A2 (en)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492B1 (ko) 입체 동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CN102165785B (zh) 三维成像装置和方法
US734900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8384802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image regenerating apparatus
KR101527075B1 (ko) 입체 화상 표시 장치와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10169825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110234767A1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US20120263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3D Image
JP5420075B2 (ja) 立体画像再生装置、その視差調整方法、視差調整プログラム、及び撮影装置
JP5647740B2 (ja) 視差調節装置及び方法、撮影装置、再生表示装置
JP4895312B2 (ja) 3次元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73506B2 (en) Image output device, method and program
US20130155204A1 (en) Imaging apparatus and movement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3010701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5571257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80486B2 (ja) 画像出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49231B2 (ja) 3次元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51915B2 (ja) 立体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3098479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图像处理程序
JPH08191460A (ja) 立体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