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333B1 -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333B1
KR101551333B1 KR1020150017366A KR20150017366A KR101551333B1 KR 101551333 B1 KR101551333 B1 KR 101551333B1 KR 1020150017366 A KR1020150017366 A KR 1020150017366A KR 20150017366 A KR20150017366 A KR 20150017366A KR 101551333 B1 KR101551333 B1 KR 10155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cotton
manufacturing
germina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이푸른
김영일
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푸른, 김영일, 박종문 filed Critical (주)이푸른
Priority to BR11201602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16028104A2/pt
Priority to US15/316,181 priority patent/US10440976B2/en
Priority to AU2015269119A priority patent/AU2015269119B2/en
Priority to PCT/KR2015/005459 priority patent/WO20151869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K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23K1/16
    • A23K1/1813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23K40/35Making capsules specially adapted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고 제조과정에서 전분을 호화시켜 호화된 고점도의 전분을 이용한 고강도의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의 제조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의 코팅된 전지면실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여 그 사용과정에서 외래 유전자가 국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국내 식물유전자 환경을 보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전분을 호화시켜 점도가 증가된 전분을 활용함에 따라 코팅제의 선택폭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건조과정 없이 코팅된 전지면실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가 높게 소요되는 경제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ated Whole Cottonseed of which germination is inhibited}
본 발명은 반추동물 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고 제조과정에서 전분을 호화시켜 호화된 전분을 이용하여 전지면실을 코팅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함과 동시에 코팅제로 첨가된 전분을 호화시켜 호화된 고점도의 전분을 이용하여 고강도의 코팅된 가축용 전지면실을 건조과정 없이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Arieli, A. 1998. Whole cottonseed in dairy cattle feeding: a review.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72 (1-2) : 97-110
[문헌 2] Moreira, V. R., Satter, L. D. and Harding, B. 2004. Comparison of Conventional Linted Cottonseed and Mechanically Delinted Cottonseed in Diets for Dairy Cows. Journal of Dairy Science. 87:131138.
[문헌 3] Beranrd, J. K. 1999, Performance of Lactating Dairy Cows Fed Whole Cottonseed Coated with Gelatinized Cornstarch. Journal of Dairy Science. 82:1305-1309.
[문헌 4] ISAAA, 2011. Int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http://www.isaaa.org/).
[문헌 5] 한인규. 1991. 사료와 영양(Feeds & Nutrition), 한국영양사료학회, 선진 문화사.
[문헌 6] 한국 특허등록 제 10-1337883호
[문헌 7] Lai HM. 2001. Effects of hydrothermal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egelatinized rice flour. Food Chem 72:455-463.
[문헌 8] Khan, N.U., K.B. Marwat, G. Hassan, Farhatullah, S. Batool, K. Makhdoom, W. Ahmad and H. U. Khan., 2010. Genetic variation and heritability for cotton seed, fiber and oil traits in GOSSYPIUM HIRSUTUM L. Pak. J. Bot., 42(1):615-625
[문헌 9] 이부용, 목철균, 이철호. 1993. DSC에 의한 전분의 Endothermic pear와 효소분석법에 의한 호화도 비교.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5:400-403.
[문헌 10] Wang, S. S., Chiang, W. C., Yeh, A.I., Zhao, B.L. and Kim, I.H. 1991. Experimental analysis and computer simulation of starch-water interaction during phase transition. J. Food Sci., 56:121.
전지면실(Whole cotton seed)은 목화(면화)에서 조면(繰綿)을 제거 후 남는 종실이며 일부 린트(Lint)가 종실외부에 붙어서 발생된다. 전지면실은 사료로 사용될 때 기호성이 좋고 에너지(2.3Mcal NEI/kg)도 높으며, 지방이 약 15∼17%, 단백질이 15∼21%, TDN(가소화 영양소 총량) 85∼90% 그리고 조섬유가 24%(26∼31% ADF) 정도로 영양성분 함량이 높으며, 면실을 싸고 있는 린트는 순수한 셀룰로오스로 반추위 미생물에 의해 100%소화가 되어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Arieli, A. 1998. Whole cottonseed in dairy cattle feeding: a review.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72 (1-2) : 97-110).
전지면실은 에너지 함량과 조섬유소 함량이 동시에 높은 특징이 있어 고능력 젖소의 유량과 정상적인 유지율(milk fat)을 높여주는데 매우 도움이 되며 비육우의 비육후기 에너지 섭취량이 많은 시점에 다량 이용이 된다. 특히 전지면실 내부의 식물성 지방은 전지면실을 둘러싸고 있는 종실외피에 의해 보호가 되어 있기 때문에 반추동물의 반추위에서 분해가 되지 않고 소장에서 분해 이용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다.
세계인구의 증가와 함께 식량자원 확보를 위해 유전자관련 기술들이 농업에 적용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 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s, LMO)의 재배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ISAAA, 2011). LMO 면실은 전체 LMO 작물재배면적의 15.4%를 차지하고 있다(ISAAA, 2011. 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http://www.isaaa.org/). 국내 수입된 LMO 농작물 중 가장 많은 것은 옥수수 이지만 두 번째로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이 면실이며 2011년기준 13만톤 수준이다(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2011, http://www.biosafety.or.kr). 사료용으로 수입된 LMO면실은 발아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임으로 국내 환경에 변형된 유전자가 비의도적으로 유출된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국내 LMO관련법에 따라 사료제조 및 유통과정이 까다로워 사료산업 활성화에 제한요인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사료제조과정에서 발아기능을 억제하는 기술 개발은 국내 사료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며, 나아가 외래 유전자의 비의도적인 국내 자연환경으로의 방출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면화산업에서는 목화에서 조면(繰綿)을 회수하여 최종 생산품으로 한다. 목화종실을 중심으로 외부로 붙어있으며 조면은 가공공정에서 종실로부터 대부분 분리가 되지만 완전하게 분리가 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해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고 있는 전지면실(Whole cotton seeds)은 딱딱한 껍질로 둘러싸인 종실과 함께 일정량의 린트가 껍질에 달라붙어 있게 되는 것이다(Beranrd, J. K. 1999, Performance of Lactating Dairy Cows Fed Whole Cottonseed Coated with Gelatinized Cornstarch. Journal of Dairy Science. 82:1305-1309). 이와 같이 종실표면에 붙어 있는 린트는 서로 뒤엉켜서 쉽게 뭉치게 되며 사료제조공정에서 이송 및 다른 사료와의 혼합을 어렵게 하거나 분리현상을 일으키고, 분진을 발생시켜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Moreira, V. R., Satter, L. D. and Harding, B. 2004. Comparison of Conventional Linted Cottonseed and Mechanically Delinted Cottonseed in Diets for Dairy Cows. Journal of Dairy Science. 87:131138). 국내에 유통되는 전지면실은 미국과 호주에서 수입되어 유통되며, 전지면실 중 린트의 비율은 미국산이 12.8%(w/w), 호주산이 7.5%(w/w) 수준이다. 영양적 가치가 우수한 린트를 최소한으로 제거하여 코팅하는 것은 전지면실의 이용성 및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결착제로 호화된 호화전분과 리그노설페이트의 적정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지면실을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한국 특허등록 제 10-1337883호; 결착제를 이용한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 결착제로 사용되는 호화전분은 물과 혼합되게 되면 특유의 끈적임으로 인해 전지면실과 고르게 혼합되지 잘되지 않아 서로 뒤엉켜져서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생산효율이 떨어진다. 더욱이 호화전분은 일반전분에 비해 가격이 2배 이상 비싸기 때문에 생산비를 증가시켜 경제성을 나쁘게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제 선택폭을 제한하는 단점을 안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 곡류를 포함한 전분을 제조공정상에서 호화시켜 이용하는 방법, 및 코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린트를 적정량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한 기술내용이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지면실에 붙어 있는 린트를 적정량 제거 후 발아기능을 제거함과 동시에 코팅제로 첨가되는 곡류를 포함한 전분을 코팅처리 과정에서 호화시켜 점도를 개선하여 고점도의 코팅제를 이용하여 전지면실에 붙어있는 린트를 코팅처리 하는 방법을 발견함으로서,
(1) 면실이 유통 또는 제조과정에서 발아되어 외래유전자가 환경에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2) 저렴한 전분(곡류 포함)을 코팅제로 하여 코팅처리과정에서 호화시켜 이용함으로 고강도의 코팅면실을 건조과정 없이 생산하여 생산비를 줄여 경제성을 좋게 하며, (3) 최종적으로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을 사용함으로서, 전지면실 표면의 린트가 엉키는 물성을 제거하여 배합사료공장에서 원료로서 사용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전지면실에서 린트를 적정량 제거하여 코팅시 코팅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여 외래 유전자가 환경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전분(곡류 포함)을 코팅제로 하여 코팅면실 제조과정에서 호화시켜 호화된 고점도의 코팅제를 사용함에 따른 경제성을 개선과 코팅효율이 개선될뿐만 아니라 건조과정 없이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함에 따라 생산비가 절감됨을 확인하고, 전지면실 외부의 린트를 코팅처리하여 전지면실 외분의 린트의 엉키는 물성을 제거하여 배합사료 제조공정에서 이용성이 개선됨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면실 표면의 린트를 적정량 제거하여 코팅효율을 높이는 방법 및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고 제조과정에서 코팅제인 곡류를 포함한 전분을 호화시켜 전지면실을 코팅 처리하여 건조과정 없이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린트 제거기를 이용하여 전지면실에 부착된 린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스팀을 이용하여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고 코팅제를 제조공정에서 호화시켜 점도를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과정이 없이 강도 높은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1) 전지면실에서 린트를 제거하는 제 1단계; (2) 전지면실에 코팅제 및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서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3) 상기 혼합물에 고온 및 고압의 스팀을 살포하여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발아기능을 제거하며, 혼합된 코팅제를 호화시켜 결착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4) 상기 결착물을 건조과정 없이 냉각하는 제 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1단계에서, 상기 전지면실은 호주산, 미국, 중국, 인도, 파키스탄, 브라질, 터키, 우즈베키스탄, 그리스, 베트남 등의 수입산 또는 국내산 전지면실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전지면실 중량대비 린트의 양을 1 내지 10%(w/w),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w/w)의 양으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2단계에서, 상기 전지면실에 코팅제로는 당밀, 옥수수전분, 타피오카전분, 밀전분, 쌀전분, 감자전분 등의 전분; 당류, 옥수수가루, 타피오카루, 밀가루, 쌀가루 등의 곡류; 및 셀룰로우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제 단독 또는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제 단독 또는 조합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에서 코팅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제수는 전지면실 중량 대비 1 내지 20% (w/w),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w/w) 중량의 정제수를 첨가 및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에서, 전지면실에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정제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종실에 붙어있는 린트에 물이 스며들게 한 다음, 이를 일정시간 동안 교반하면 뒤엉켜져서 뭉쳐진 린트를 쉽게 분리하여 종실을 중심을 성형되게 하기 위한 목적 및 다음단계에서 전분이 고열의 스팀에 의해 호화반응이 일어날 때 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첨가 범위보다 전지면실 및 정제수 혼합물의 혼합 비율이 적으면 린트의 분리가 어려워져서 코팅효율이 떨어지며 호화반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코팅강도가 떨어지며, 이보다 많아지면 건조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경제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코팅제 투입량은 전지면실 중량대비 0.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w/w)의 코팅제를 투입함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통상 코팅제의 종류에 따라 사용량을 달리 적용할 수 있는데, 전분의 경우에는 1 내지 5%(w/w), 당류는 0.5 내지 2% (w/w), 곡류는 2 내지 6% (w/w) 중량범위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코팅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코팅제의 투입 방법 면에서 코팅제 총 투입량 대비 약 1/100 내지 1/5 (w/w),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1/10 (w/w) 중량으로 수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회 균등 분할하여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교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코팅제의 투입 방법은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코팅제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가능한 여러 차례 나누어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제가 수분을 흡수한 면실에 고르게 분산되어 결착될 경우에는 코팅효과가 클뿐 만 아니라 코팅제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어 경제적 효과가 높아진다. 상기 코팅제 소재를 사용하는 원리는 면실 종실껍질에 붙어있는 린트가 종실껍질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3단계에서, 고온의 스팀을 고압으로 살포하는 단계는 전지면실과 코팅제의 혼합물에 고온의 스팀을 고압으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지면실과 코팅제의 혼합물에 살포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은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고 코팅제를 호화시키기 위함이다. 스팀의 온도는 8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0℃로 하며 살포되는 스팀의 압력은 1 내지 15 kg/㎠,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 kg/㎠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 고압의 스팀을 살포하는 시간은 30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2분 내지 8분 동안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 고압의 스팀의 온도와 압력이 낮을 경우 또는 스팀을 살포하는 시간이 상기 제시된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발아기능을 제거하는 효율이 감소되며 투입된 코팅제의 호화도가 낮게 하여 전지면실의 코팅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 3단계에서, 호화된 코팅제의 바람직한 최종 호화도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8%,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3단계에서, 최종 코팅제품의 기호성 증진을 위해 추가적으로 당밀, 소금, MSG(Monosodium Glutamate), MSG부산물, 당류(설탕, 포도당, 사카린나트륨), 향미제(바닐라향, 딸기향, 휘발성지방산(Volatile fatty acid) 및 CMS(Condensed Molasses Fermentation Solubl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호증진용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당밀 및 CMS(Condensed Molasses Fermentation Solubl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호증진용 첨가제, 여기에서, 통상 기호증진용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사용량을 달리 적용할 수 있는데, 당밀의 경우에는 0.1 내지 10%(w/w), CMS (Condensed Molasses Fermentation Solubles)는 0.1 내지 10% (w/w) 중량범위로 단독 또는 조합하여 첨가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코팅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당밀의 경우에는 0.5 내지 5%(w/w), CMS (Condensed Molasses Fermentation Solubles)는 0.5 내지 5% (w/w) 중량범위로 단독 또는 조합하여 첨가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2단계 및 3단계에서, 상기 2단계에서의 정제수 투입 및 상기 3단계의 고온고압의 스팀공정을 단독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4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에 열을 사용하는 건조과정 없이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종 코팅제품의 수분함량을 제 2단계에서의 정제수의 투입량과 제 3단계에서의 스팀의 투입량 및 전분이 호화 될 때 소모되는 수분량을 조절하여 건조과정 없이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최종제품의 수분함량을 10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지면실과 코팅제의 혼합물에 상온의 공기를 이용한 냉각 시간은 1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코팅된 전지면실은 종래의 전지면실과 비교하여 볼 때 제조과정에서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이 제거되어 외래 유전자가 국내 자연환경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국내 식물유전자원보호에 기여하는 바가 크며, 양양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전지면실 외부의 린트가 엉키는 물성을 제거 하여 사료제조업체에서의 계랑작업과 혼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그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조과정에서 건조과정 없이 제조함에 따라 생산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면실의 발아기능을 제거하여 코팅 처리하는 방법은 전지면실의 자체의 영양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발아기능을 제거되었기 때문에 외래 면실 유전자가 국내 자연환경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국내 유전자보호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국내 LMO관리에 관한 법률과 사료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한 사료제조사는 행정적 업무 간소화에 기여 하는 바 또한 크다.
또한, 고온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코팅제를 호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전분 및 곡류를 코팅제로 활용 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이 개발되어 생산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크다. 더욱이 종래의 고열을 사용하는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코팅기술과 비교해 볼 때 열원을 사용하는 건조과정 없이 바로 자연냉각하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며 이는 국가적인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는 바도 크다.
종합적으로 볼 때,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면실은 사료자원으로서의 이용성이 증대되며, 코팅제를 직접 호화시키는 방법과 무건조 방법에 의해 코팅면실을 생산함에 따라 생산비가 절감되어 사료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린트가 제거된 전지면실의 제조예
본 실시예에서는 린트가 제거된 전지면실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지면실 무게 대비 린트의 비율을 우선 측정하였다. 제조에 사용된 전지면실은 미국산 (MOTU0796660, Feedwill, Korea)과 호주산(UACU8445073, Feedwill, Korea)으로 하였다.
105℃ 드라이오븐(JSON-050, JCR, Korea)에서 전지면실을 24시간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완전 건조된 전지면실에 순도 95%의 H2SO4(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 Korea)를 완전 건조된 전지면실 kg당 100㎖의 비율로 처리하여 린트를 녹인 후 물로 씻어낸 후 건조(105℃, 24시간)하여 무게비율을 산출하여 전지면실 대비 린트 무게 비율을 구하였다(Khan, N.U., K.B. Marwat, G. Hassan, Farhatullah, S. Batool, K. Makhdoom, W. Ahmad and H. U. Khan., 2010. Genetic variation and heritability for cotton seed, fiber and oil traits in GOSSYPIUM HIRSUTUM L. Pak. J. Bot., 42(1):615-625).
미국산 전지면실 무게대비 린트의 비율은 12.8±0.4(w/w)수준이었으며 호주산 전지면실은 7.5±0.3 (w/w)수준이었다. 호주산 전지면실에 비해 미국산 전지면실은 린트의 비율이 5.3% (w/w)수준 더 많았다.
목적하는 정도의 린트를 제거할 수 있는 린트제거기(MR114D, SDMT, China)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미국산 전지면실은 전지면실대비 린트의 비율(중량)을 100으로 보았을 때 10% 단위로 린트 제거비율을 증가시키면서 다양한 비율로 린트가 제거된 전지면실을 제조하였다. 린트제거 비율이 70%(중량)이상일 경우 전지면실 내부의 종실의 검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검은색을 띄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0% (중량)수준에서 린트를 제거하여 제조된 전지면실이 전지면실 고유의 색을 유지하면서 린트가 제거되는 우수한 비율임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2. 발아능력이 제거된 전지면실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발아기능이 제거된 전지면실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스팀이 발생되는 장치(STE2600, 상록전자,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미국산 전지면실에 스팀을 가하였으며, 이때 온도는 120℃, 압력은 6kg/㎠으로 실시하였다. 스팀은 1분단위로 증가시키면서 최대 10분까지로 하여 제조하였다. 각 시간대별로 스팀처리된 전지면의 발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처리구별로 50개의 스팀처리된 전지면실을 발아상(120 mm×115 mm)에 치상하고, 25℃의 암조건 상태의 배양기(JSGI-100T, ㈜제이에스리서치, 대한민국)에서 배양하였다. 2주 동안 24시간마다 발아를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스팀 무처리구는 배양 3일차부터 발아가 진행되어 2주 동안 총 87%가 발아 되었다. 1분간 스팀처리된 처리구는 2주간 총 13%가 발아되었다. 2분 이상 스팀처리된 처리구는 모두 발아가 되지 않았다. 전지면실에 120℃의 온도와 6kg/㎠의 압력으로 2분 이상 스팀처리는 발아기능이 제거된 전지면실을 제조하기 위한 우수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스팀처리에 의해 점도가 개선된 호화전분의 제조
일반적으로 전분은 물과 함께 가열하면 전분이 호화되어 점도가 매우 높은 투명하거나 유백색의 콜로이드 용액을 형성한다(이부용, 목철균, 이철호. 1993. DSC에 의한 전분의 Endothermic pear와 효소분석법에 의한 호화도 비교.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5:400-403.).
본 실험에서는 코팅제로서 사용한 옥수수 전분(C0022, 삼양사,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옥수수전분이 충분히 호화되기 위해서는 65% 이상의 수분이 필요하다(Wang 등, 1991, experimental analysis and computer simulation of starch-water interaction during phase transition, J. Food Sci, 56 121).
스팀처리에 따른 호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옥수수 전분과 증류수의 무게비율을 35:55로 하여 수분함량이 65% 수준이 되도록 전분과 물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전분 현탁액을 아래에 가지가 달린 500㎖ 삼각플라스크에 100㎖을 넣고 스팀이 발생되는 장치(STE2600, 상록전자,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삼각플라스크 하단으로 120℃의 스팀장치를 투입하였다. 이때 삼각플라스크 내부에 자석 스틱(magnetic stick)을 삽입하여 교반하면서 스팀장치를 투입하였다. 스팀을 투입하는 시간을 달리하여 1분에서 최대 10분까지로 하여 총 10종의 다양하게 스팀처리 되어 다양하게 호화된 전분현탁액을 제조하였다.
다양하게 제조된 호화된 전분 현탁액 시료를 호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급속 동결(-70℃)한 후, 동결건조기(Ilshin Co., Korea)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작동조건: -50℃, 1.33 Pa)를 수행하였다. 동결건조한 각각의 시료를 분말화하여 표준체(100 mesh; 150㎛)를 통과시켜 일정한 입자 크기의 고형분을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말시료 20 ㎎을 50 ㎖ 원심분리용 튜브(centrifuge tube)에 넣고 증류수 5 ㎖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각각 튜브(tube)에 아밀라제 용액[a-amylase solution(Sigma, A3306, USA); 20.1 units/g solid, acetate buffer, pH 4.5] 25 ㎖를 넣어 4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 25% trichloroacetic acid(Wako, 204-02405, Japan) 2 ㎖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원심분리기로(Hanil, UNION32R, Korea)로 원심분리(16,000 × g, 5 min)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호화도를 측정하였다.
상등액 0.5 ㎖를 취하여 550nm에서 흡광도 값이 0.1~0.9범위가 되도록 적정 증류수에 희석하여 시험용 튜브(test tube)에 넣은 후 1.5 ㎖의 DNS시약과 혼합하고 끓는 물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빙수에 담아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분광기 (UV-Vis spectrophotometer, S-100, Sinco, Korea)를 이용하여 5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 값을 순수한 글루코스 (glucose, G0350500, Sigma, USA)를 이용하여 산출된 검량선을 이용하여 환원당을 계산하였다.
구체적인 호화도 산출을 위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팀을 30분 동안 수행하여 완전히 호화된 옥수수전분의 환원당 대비 각 시간대별 환원당의 비율을 이용하여 호화도를 산출하였다. 전지면실에 스팀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는 호화도가 약 26% 수준이었으며, 120℃의 온도와 6kg/㎠의 압력으로 2분 이상 스팀처리시 호화도가 73% 수준까지 높아져 콜로이드를 형성하여 점도가 개선된 호화전분이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의 제조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호주산 전지면실(UACU8445073, Feedwill, Korea)을 린트제거기(MR114D, SDMT, China)를 이용하여 무게대비 2%의 린트가 제거된 전지면실을 제조하여 ‘린트제거(de-linted) 전지면실’로 하였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팀이 발생되는 장치(STE2600, 상록전자,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de-linted 전지면실’을 120℃, 압력 6kg/㎠ 조건으로 2분간 스팀처리하여 발아기능이 제거된 전지면실을 제조하여 ‘발아기능제거 전지면실’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옥수수 전분(C0022, 삼양사,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수분 65%수준의 전분 현탁액을 제조 후 스팀이 발생되는 장치(STE2600, 상록전자,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120℃, 압력 6kg/㎠ 조건으로 2분간 스팀처리하여 점도가 높아진 호화전분을 제조하여 ‘Gelatinized 전분’으로 하였다. ‘발아기능제거 전지면실’ 100kg을 교반기(DDK-801M, Daedong, Korea)에 넣고 정제수 5kg을 투입하여 5분간 교반하여 ‘발아기능제거 전지면실’을 성형후 ‘Gelatinized 전분’ 5.7kg을 넣은 후 5분간 교반하여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을 제조하였다.
외관상 표면의 결착정도는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수분함량은 13.2%로 측정되어 건조과정이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100개를 발아상(120 mm×115 mm)에 치상하고, 25℃의 암조건 상태의 배양기(JSGI-100T, ㈜제이에스리서치, 대한민국)에서 배양하였다. 2주 동안 24시간마다 발아를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발아율이 0%로 측점됨에 따라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임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5. 기호성이 개선된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의 제조
기호성이 개선된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아기능제거 전지면실’과 ‘Gelatinized 전분’을 제조하였다. ‘발아기능제거 전지면실’ 100kg을 교반기(DDK-801M, Daedong, Korea)에 넣고 정제수 5kg을 투입하여 5분간 교반하여 ‘발아기능제거 전지면실’을 성형후 ‘Gelatinized 전분’ 5.7kg과 당밀(D1PAM-00700, Evermiracle, Korea) 5kg, Condensed Molasses Fermentation Solubles(CMS, 에스엠바이오텍, 대한민국) 5kg를 넣은 후 5분간 교반하여 기호성이 개선된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을 제조하였다.
기호성평가를 위하여 10두의 홀스타인 젖소를 대상으로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배합사료 급여 후 3시간이 경과했을 때 톱 드래싱(top dressing) 방법으로 전지면실을 두당 500g씩 급여하여 기호도를 조사하였다(한인규. 1991. 사료와 영양(Feeds & Nutrition), 한국영양사료학회, 선진 문화사).
이때 당밀과 CMS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된 ‘발아기능제거 전지면실’을 대조구로 하여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기호성이 개선된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은 기호도 평가 결과 즉시섭취 6두, 5분이내 섭취 4두, 섭취를 거부한 젖소는 없었다. 당밀과 CMS가 처리되지 않고 제조된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은 기호도 평가 결과 즉시섭취 4두, 5분이내 섭취 5두, 섭취거부한 두수는 1두 이었다.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에 당밀과 CMS를 첨가는 기호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Claims (16)

  1. (1) 전지면실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전지면실 중량대비 린트의 양을 1 내지 10%(w/w)의 양으로 린트를 제거하는 제 1단계; (2) 전지면실에 전지면실 중량대비 0.01 내지 30%중량(w/w)의 옥수수전분, 타피오카전분, 밀전분, 쌀전분, 감자전분; 당류, CMS(Condensed Molasses Fermentation Solubles), 당밀; 옥수수가루, 타피오카 가루, 밀가루, 쌀가루; 및 셀룰로우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제 단독 또는 조합 및 전지면실 중량 대비 1 내지 20% (w/w) 중량의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서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2단계; (3) 상기 혼합물에 80 내지 140℃로 1 내지 15 kg/㎠ 의 압력으로 30초 내지 10분 동안 스팀을 살포하여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발아기능을 제거하며, 혼합된 코팅제를 최종 호화도가 60 내지 98% 범위가 되도록 호화시켜 결착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4) 상기 결착물을 건조과정 없이 1 내지 60분 동안 냉각하여 수분함량이 11 내지 15%로 조절된 최종 코팅제품을 제조하는 제 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의 제 1단계에서, 상기 전지면실은 호주산, 미국, 중국, 인도, 파키스탄, 브라질, 터키, 우즈베키스탄, 그리스, 베트남 수입산 또는 국내산 전지면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의 제 2단계 및 3단계에서, 상기 2단계에서의 정제수 투입 및 상기 3단계의 고온고압의 스팀공정을 단독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을 제조함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의 제 2단계에서, 상기 코팅제의 투입 방법 면에서 코팅제 총 투입량 대비 1/100 내지 1/5 (w/w), 중량으로 2 내지 5회 균등 분할하여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교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의 제 3단계에서, 최종 코팅제품의 기호성 증진을 위해 추가적으로 당밀, 소금, MSG(Monosodium Glutamate), MSG부산물, 당류(설탕, 포도당, 사카린나트륨), 향미제(바닐라향, 딸기향, 휘발성지방산(Volatile fatty acid) 및 CMS(Condensed Molasses Fermentation Solubl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호증진용 첨가제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첨가함을 특징을 하는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17366A 2014-06-03 2015-02-04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KR10155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16028104A BR112016028104A2 (pt) 2014-06-03 2015-06-01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a semente de algodão integral revestida, e, semente de algodão integral revestida
US15/316,181 US10440976B2 (en) 2014-06-03 2015-06-01 Method for preparing coated, whole cottonseed from which germination function is removed
AU2015269119A AU2015269119B2 (en) 2014-06-03 2015-06-01 Method for preparing coated, whole cottonseed from which germination function is removed
PCT/KR2015/005459 WO2015186935A1 (ko) 2014-06-03 2015-06-01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744 2014-06-03
KR20140067744 2014-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333B1 true KR101551333B1 (ko) 2015-09-18

Family

ID=5424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366A KR101551333B1 (ko) 2014-06-03 2015-02-04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40976B2 (ko)
KR (1) KR101551333B1 (ko)
AU (1) AU2015269119B2 (ko)
BR (1) BR112016028104A2 (ko)
WO (1) WO201518693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636B1 (ko) 2017-10-26 2018-01-22 (주)이푸른 가축사료용 코팅면실의 꼬리제거장치
KR101824133B1 (ko) * 2017-08-21 2018-02-01 (주)이푸른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KR101824132B1 (ko) * 2017-08-21 2018-02-01 (주)이푸른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린트 함유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WO2020060034A1 (en) * 2018-09-19 2020-03-26 Egreen Co., Ltd. A double-coating and non-drying preparation method of whole cottonseed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KR20210050179A (ko) 2019-10-28 2021-05-07 (주)이푸른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KR2021006754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대풍 전지면실의 외피를 크래킹하여 발아기능을 제거하는 발아기능이 제거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33B1 (ko) 2014-06-03 2015-09-18 (주)이푸른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CN106070023A (zh) * 2016-06-20 2016-11-09 宾阳县古辣镇新民特色农业养殖农民专业合作社 一种利用盐水发酵皇竹草饲喂火鸡的方法
CN109647859A (zh) * 2018-12-28 2019-04-19 肇庆市珈旺环境技术研究院 一种垃圾焚烧飞灰中铅、铬的固化/稳定化材料及其固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83B1 (ko) * 2012-12-28 2013-12-06 주식회사 피드윌 결착제를 이용한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4824A (en) * 1952-11-24 1956-05-08 Erly Fat Livestock Feed Co Ruminant feed from cotton gin waste
JPH01252256A (ja) * 1988-03-31 1989-10-06 Samitsuto Seiyu Kk 飼料用綿実種子
JPH0463549A (ja) * 1990-06-30 1992-02-28 Hotsukou Kakoki Kk 綿実綿毛飼料あるいは造粒錦実綿毛飼料の製造方法
AU621784B1 (en) * 1991-01-14 1992-03-19 Grainco Australia Limited Animal feedstuff
JP3057388B2 (ja) * 1991-08-08 2000-06-26 株式会社キヨクトーインターナシヨナル ペレット状飼料
US5571546A (en) * 1991-09-13 1996-11-05 Ciracor Limit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50466A (en) * 1996-08-02 1998-05-12 Cotton Incorporated Coated cottonseed an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101551333B1 (ko) 2014-06-03 2015-09-18 (주)이푸른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83B1 (ko) * 2012-12-28 2013-12-06 주식회사 피드윌 결착제를 이용한 코팅된 가축사료용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133B1 (ko) * 2017-08-21 2018-02-01 (주)이푸른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KR101824132B1 (ko) * 2017-08-21 2018-02-01 (주)이푸른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린트 함유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KR101820636B1 (ko) 2017-10-26 2018-01-22 (주)이푸른 가축사료용 코팅면실의 꼬리제거장치
WO2020060034A1 (en) * 2018-09-19 2020-03-26 Egreen Co., Ltd. A double-coating and non-drying preparation method of whole cottonseed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KR102075948B1 (ko) * 2018-09-19 2020-05-18 (주)이푸른 저장성이 증진된 이중코팅 무건조 코팅면실 제조방법
KR20210050179A (ko) 2019-10-28 2021-05-07 (주)이푸른 면실집합체내 이물질제거용 정선기
KR20210067547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대풍 전지면실의 외피를 크래킹하여 발아기능을 제거하는 발아기능이 제거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KR102340788B1 (ko) 2019-11-29 2021-12-17 주식회사 대풍 전지면실의 외피를 크래킹하여 발아기능을 제거하는 발아기능이 제거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69119B2 (en) 2017-11-02
US20170196241A1 (en) 2017-07-13
WO2015186935A1 (ko) 2015-12-10
US10440976B2 (en) 2019-10-15
BR112016028104A2 (pt) 2017-08-22
AU2015269119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333B1 (ko) 발아기능이 제거된 코팅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CN103875492B (zh) 一种有机糯米种植方法
CN105724760A (zh) 一种农作物秸秆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ngh et al. Productivity and quality of malt barley (Hordeum vulgare) as affected by sowing date, rate and stage of nitrogen application
CN106035991A (zh) 一种利用发酵辣木籽制作的高蛋白高钙饲料原料及其制作方法
Ou et al. Phytase activity in brown rice during steeping and sprouting
CN1118570C (zh) 使用谷物种子生产酶制品及饲料原料
Ojokoh et al. Proximate composition, antinutritional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fruit (Treculia africana) and cowpea (Vigna unguiculata) flour blend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PILAR-IZQUIERDO et al. Barley seed coating with free and immobilized alkaline phosphatase to improve P uptake and plant growth
de Barros Mesquita et al. Phosphate fertilization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Maçã’banana starch
US9351445B2 (en) Strain of Pleurotus nebrodensis and method for cultivating the same
US9699972B2 (en) Strain of Pleurotus nebrodensis
CN109722392A (zh) 能够促进枯草芽孢杆菌产芽孢的培养基及其应用
CN1736208A (zh) 一种发芽玉米营养高筋面粉
KR101824133B1 (ko)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KR101824132B1 (ko)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린트 함유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CN107484704A (zh) 一种稻鸭共作养殖模式中鸭的喂养方法
KR102075948B1 (ko) 저장성이 증진된 이중코팅 무건조 코팅면실 제조방법
JP2005343772A (ja) 有機質肥料用組成物および有機質肥料の製造方法
CN106753767A (zh) 一种油用牡丹籽综合加工利用方法
Yudiarti et al. Nutritive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ome selected agro-industrial by-products fermented with the fungus Chrysonillia crassa as alternative feedstuffs for poultry
KR101951359B1 (ko) 증숙 기반의 화식사료 제조 방법
Visarada et al. Breeding Sorghum for Specific End Uses
KR102340788B1 (ko) 전지면실의 외피를 크래킹하여 발아기능을 제거하는 발아기능이 제거된 전지면실 제조방법
CN106518360A (zh) 一种持续性利用的高效食用菌培养基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