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225B1 - 덮개 구조체 - Google Patents

덮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225B1
KR101551225B1 KR1020140100026A KR20140100026A KR101551225B1 KR 101551225 B1 KR101551225 B1 KR 101551225B1 KR 1020140100026 A KR1020140100026 A KR 1020140100026A KR 20140100026 A KR20140100026 A KR 20140100026A KR 101551225 B1 KR101551225 B1 KR 10155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lder
elastic
accommodation spac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802A (ko
Inventor
이해분
Original Assignee
이해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분 filed Critical 이해분
Priority to KR102014010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2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8Protecting mantles; Shoulder-shields; Collars; B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덮개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덮개 구조체는 대상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용부; 상기 대상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고정부로부터 부착 해제되어 상기 수용부로 회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덮개부가 내장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상기 덮개부의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귀시키는 탄성 회복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덮개 구조체{COVER STRUCTURE}
본원은 덮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과 같은 업소에서는 파마, 컷트 등의 미용작업을 실시한 후 고객을 샴푸대에 인접한 의자에 앉히거나 눕혀 머리를 머리를 감겨주는데, 이때 미용사는 고객의 무릎을 무릎 덮개나 수건으로 덮어 고객의 무릎을 가려준다. 특히, 고객이 치마를 입은 여자 고객인 경우, 고객의 무릎을 가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2136호(고안의 명칭: 기능성 무릎담요)에는 무릎을 가려주는 무릎 담요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고객의 무릎을 가리는 것은 미용사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미용사는 미용 약품, 물 등이 묻은 손으로 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은 무릎 덮개 또는 수건을 집어 고객의 무릎을 덮는다.
이에 따라, 미용사의 손에 묻어있는 미용 약품, 물 등이 고객의 옷차림에 손상을 줄 수 있었다. 또한, 미용사가 손을 씻고 닦은 후, 고객의 무릎을 덮을 수도 있으나, 이는 미용사의 행동 반경을 더욱 크게 하고, 또한, 미용사가 무릎 덮개, 수건 등을 직접 가져와 고객의 무릎을 가리는바, 미용사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좁은 샴푸실을 번잡하게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도, 무릎이 가려지는데 소정의 시간이 걸리는바, 불만족감을 느낄 수 있었다.
본원은 미용실과 같은 업소에서 고객의 무릎을 가리는데 있어 미용사 및 고객의 편의 및 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덮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덮개 구조체는, 대상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용부; 상기 대상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고정부로부터 부착 해제되어 상기 수용부로 회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덮개부가 내장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상기 덮개부의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귀시키는 탄성 회복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상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용부로부터 연장된 덮개부가 대상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에 고정됨으로써, 덮개부가 대상의 무릎을 덮을 수 있어, 수건, 무릎 덮개 등을 찾아서 가져올 필요 없이 고객의 무릎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가려질 수 있고, 고객의 무릎을 덮기 위한 미용사의 행동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회복력을 이용하여 덮개부를 수용부의 수용공간으로 회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함으로써, 덮개부를 고정부로부터 부착 해제시키기만 하면 덮개부가 수용공간으로 회귀될 수 있어, 신속한 덮개부의 제거 및 덮개부를 치우기 위한 미용사 및 고객의 행동 반경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및 미용사의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구조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덮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구조체(이하 '본 덮개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덮개 구조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는 대상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덮개 구조체는 대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대상은 예시적으로, 사람일 수 있다. 또한, 본 덮개 구조체는 미용실, 이발소와 같은 업소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상은 상기와 같은 업소의 고객일 수 있다. 또한, 본 덮개 구조체는 대상의 무릎을 덮을 수 잇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덮개 구조체는 대상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용부(1), 대상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 및 수용부(1)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고정부(3)에 부착되거나, 고정부(3)로부터 부착 해제되어 수용부(1)로 회귀하는 덮개부(5)를 포함한다.
덮개부(5)는 외력에 의해 수용부(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덮개 구조체에 의하면, 덮개부(5)가 수용부(1)와 고정부(3) 사이에 위치하는 대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덮개 구조체는 미용실, 이발소와 같은 업소에서 미용사가 고객의 머리를 감겨줄 때(샴푸 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용실에서, 미용사는 고객의 머리를 감길 때, 무릎 덮개나 수건으로 고객의 무릎을 덮어준다. 본 덮개 구조체에 의하면, 미용사가 수용부(1)로부터 덮개부(5)를 연장시켜 덮개부(5)의 타단을 고정부(3)에 고정시킴으로써, 고객의 무릎을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용사는, 고객의 무릎을 가리기 위해 수건, 무릎 덮개 등을 찾아서 가져올 필요가 없어 행동 반경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미용사의 편의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무릎을 가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어 미용사 및 고객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객의 무릎을 덮을 때, 미용 약품 및 물이 묻은 미용사의 손과 고객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고객의 만족감 및 편의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용부(1)는 덮개부(5)가 내장되는 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수용공간(111)에 대한 덮개부(5)의 입출구(113)가 형성된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수용공간(111)에 내장되어 있던 덮개부(5)는 입출구(113)를 통해 수용공간(111)으로부터 벗어나 고정부(3)를 향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로부터 부착 해제된 덮개부(5)는 입출구(113)를 통해 수용공간(111) 내로 회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는 덮개부(5)의 일단과 연결되어 덮개부(5)를 수용공간(111)으로 회귀시키는 탄성 회복력을 갖는 탄성부(13)를 포함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덮개부(5)는 고정부(3)로부터 부착 해제되면, 탄성부(13)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로 회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5)를 제거하기 위해 덮개부(5)를 고정부(3)로부터 부착 해제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덮개부(5)의 제거가 신속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5)는 제거되면서 수용공간(111)으로 회귀되므로, 미용사는 제거된 덮개부(5)를 다른 곳에 보관할 필요가 없어 미용사의 편의가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덮개 구조체와 관련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13)는, 덮개부(5)를 수용공간(111)으로 회귀시키는 탄성 회복력을 갖도록 수용공간(111)에서 탄성 인장되는 탄성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5)는 외력에 의해 수용부(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덮개부(5)에 외력이 작용하면, 탄성 부재(131)는 탄성 인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부(5)에 인장력이 상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탄성부재(131)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인장될 수 있다.
덮개부(5)에 덮개부(5)를 수용부(1)로부터 연장시키는 외력이 작용하면, 동시에 덮개부(5)에는 탄성 인장되면서 덮개부(5)를 수용공간(111) 내로 당기는 탄성부재(131)의 탄성 회복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5)를 연장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31)에 의해 덮개부(5)는 수용공간(111)에 재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덮개부(5)를 연장시키는 외력이라 함은, 덮개부(5)를 수용공간(111) 내로부터 이탈시키려는 외력 및 수용공간(111) 내로부터 이탈된 덮개부(5)의 타단을 고정부(3)에 고정시키는 외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부(13)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탄성부재(131)는 덮개부(5)의 폭 방향(도 2 참조 3시-9시 방향)으로 균일한 탄성 회복력이 작용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부재(131)는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13)는 덮개부(5)의 일단과 탄성부재(1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3)는, 고리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부(5)의 그 일단에는 고리 부재가 걸림 체결되는 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3)는 홀(51)에 대하여 체결 해제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덮개 구조체는 덮개부(5)의 타단에 구비되는 홀더(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홀더(7)는 덮개부(5)의 타단이 장착되는 몸체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5)의 일단은 몸체부(71)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5)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덮개부(5)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덮개부(5)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을 연결부재(133) 및 홀더(7)의 몸체부(71)로부터 이탈시켜 새 덮개부(5)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용 약품 등으로 덮개부(5)가 더렵혀진 경우에 덮개부(5)를 새 덮개부(5)로 교체함으로써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홀더(7)는 몸체부(7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공간(1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몸체부(71)를 입출구(113)에 대하여 위치 정지시키는 걸림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73)에 의해, 홀더(7)는 입출구(113) 상에 걸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5) 및 홀더(7)가 수용공간(11) 내로 인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홀더(7)가 입출구(113) 상에 위치하는바, 사용자는 홀더(7)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다.
사용자가 홀더(7)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홀더(7)의 몸체부(71)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용사의 손에 미용 약품, 물 등이 묻어 미용사의 손이 미끄러울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본 덮개 구조체에 의하면 미용사는 홀더(7)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는, 예시적으로, 홀더(7)와 고정부(3)의 부착을 위한 제1 자석(711)과 제2 자석의 인력의 작용(후술함)을 간섭하지 않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걸림부(73)는 입출구(113)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몸체부(71)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73)는 입출구(113)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덮개부(5)의 회귀시, 홀더(7)에는 탄성부재(131)에 의해 수용공간(11) 내로의 당김 힘이 작용할 수 있는바, 홀더(7)의 수용공간(11) 내로의 인입을 차단하기 위한 견고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무릎 가림개에 의하면, 홀더(7)가 수용공간(11) 내로 인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73)가 몸체부(71)를 관통하며 형성되는바, 걸림부(73)는 그 손상 없이 보다 견고하게 입출구(113)에 대하여 몸체부(71)를 지지할 수 있다.
홀더(7)는 고정부(3)에 착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3)에 대한 덮개부(5)의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홀더(7)는 제1 자석(7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711)과 제2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홀더(7)는 고정부(3)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부(3)의 상부에는 홀더(7)의 부착이 이루어지는 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자석(711)은, 홀더(7)와 부착부의 부착시, 홀더(7)의 부착부에 대향하는 면에 내장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홀더(7)와 부착부의 부착시, 부착부의 홀더(7)에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제2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711) 및 제2 자석 각각은 홀더(7)와 부착부의 부착시, 서로의 반대극이 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석(711)과 제2 자석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홀더(7)의 고정부(3)에 대한 부착 해제는, 제1 자석(711)과 제2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보다 더 큰 외력에 의해 홀더(7)가 고정부(3)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무릎 가림개에 의하면, 홀더(7)가 자석의 인력에 의해 고정부(7)에 부착되는바, 그 부착이 매우 용이하고, 홀더(7)와 고정부(3)의 고정을 해제하고자 할 때, 단순히 인력보다 센 힘으로 홀더(7)를 고정부로(3)부터 이격시키면 되는바, 미용사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미용사의 손에는 물기, 미용 약품 등이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미용사의 손은 고객의 머리를 감기는 작업 외의 다른 일을 하기에는 그 상태가 용이치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무릎 가리개에 의하면, 홀더(7)의 고정부(3)와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5)는 직물 및 비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5)는, 외력에 의해 수용부(1)로부터 연장될 때, 일단에 작용하는 탄성부재(131)의 탄성 회복력과 타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강성 및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덮개부(5)가 직물일 경우, 덮개부(5)는 수건, 방수천 등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용부(1)는 하우징(11)을 지지하는 지지대(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5)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하우징(11)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지지대(15)는 하우징(11)가 대상이 위치하는 의자에 장착되도록, 하우징(11)의 하면과 의자의 다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시적으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대(15)는 ‘ㄴ’ 형상의 아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는 높낮이 조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체격을 갖는 고객 각각의 무릎을 가리는데 있어서, 능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대(15)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부(3)는 하우징(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의 제2 자석은 하우징(31)의 상부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는 하우징(31)을 지지하는 지지대(3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5)는 지면에 대하여 하우징(31)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지지대(35)는 하우징(31)이 대상이 위치하는 의자에 장착되도록, 하우징(31)의 하면과 의자의 다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시적으로,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대(35)는 ‘ㄴ’ 형상의 아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는 높낮이 조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체격을 갖는 고객 각각의 무릎을 가리는데 있어서, 능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대(35)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3)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수용부 11: 하우징
111: 수용공간 113: 입출구
13: 탄성부 131: 탄성부재
133: 연결부재 15: 지지대
3: 고정부 31: 하우징
33: 지지대 7: 홀더
71: 몸체부 73: 걸림부
711: 제1 자석

Claims (11)

  1. 대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용부;
    상기 대상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거나, 상기 고정부로부터 부착 해제되어 상기 수용부로 회귀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덮개부가 내장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대한 상기 덮개부의 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귀시키는 탄성 회복력을 갖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덮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덮개부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귀시키는 탄성 회복력을 갖도록 상기 수용공간에서 탄성 인장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덮개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덮개부의 일단과 상기 탄성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덮개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고리 부재이고,
    상기 덮개부는 그 일단에 상기 고리 부재가 걸림 체결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인 덮개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에 착탈 되는 것인 덮개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홀더는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것인 덮개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덮개부의 타단이 장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를 상기 입출구에 대하여 위치 정지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인 덮개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입출구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되,
    상기 입출구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인 덮개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직물 및 비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덮개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높낮이 조절이 되는 것인 덮개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대상이 위치하는 의자에 장착 되도록,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용부의 하면과 상기 의자의 다리를 연결하는 것인 덮개 구조체.
KR1020140100026A 2014-08-04 2014-08-04 덮개 구조체 KR10155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26A KR101551225B1 (ko) 2014-08-04 2014-08-04 덮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26A KR101551225B1 (ko) 2014-08-04 2014-08-04 덮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802A KR20140114802A (ko) 2014-09-29
KR101551225B1 true KR101551225B1 (ko) 2015-09-09

Family

ID=5175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26A KR101551225B1 (ko) 2014-08-04 2014-08-04 덮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2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885B2 (ja) 1998-05-28 2001-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のヒートシンク
KR200341780Y1 (ko) 2003-10-07 2004-02-14 이동우 누운 자세에서 커트와 샴푸가 가능한 미용샴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885B2 (ja) 1998-05-28 2001-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のヒートシンク
KR200341780Y1 (ko) 2003-10-07 2004-02-14 이동우 누운 자세에서 커트와 샴푸가 가능한 미용샴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802A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515B2 (en) Electrically integrated salon styling chair with ergonomic equipment caddy
US9814315B2 (en) Electrically integrated salon styling chair with ergonomic equipment caddy
WO2015129806A1 (ja) 理美容用クロス及び留め具
EP2604143A2 (en) Barbershop/Hair salon cut fabric
KR101457426B1 (ko) 거치대 겸용 가발 보관함
US20130333090A1 (en) Towel
KR101762851B1 (ko) 세면기용 목과 머리 받침장치
KR101551225B1 (ko) 덮개 구조체
US20160309882A1 (en) Hair Extension Multifunctional Styling Bar/Case, Storing and Travel Kit Assembly
US6663176B1 (en) Seating device
US20150374180A1 (en) Towel with snap fasteners
KR20140003055U (ko) 커트보가 일체로 형성된 미용가운
KR102242507B1 (ko)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KR101976292B1 (ko) 샤워 타월
JP2008289788A (ja) 理美容用ケープ
KR200466096Y1 (ko) 머리받침기능을 구비한 샴푸 보조장치
US20200288804A1 (en) Shower cap with hood and headband
KR200493745Y1 (ko) 포니테일 부분가발
JP5891568B2 (ja) 襟ガード付き理美容用クロス
KR200336017Y1 (ko) 샴푸대
KR200338765Y1 (ko) 샴푸대용 샴푸 보관장치
KR200490172Y1 (ko) 밴드를 이용한 집게형 결합 기기
KR101749810B1 (ko) 세발대용 목 받침대
JP5888617B2 (ja) 留め具及び改良ファスナー付き理美容用クロス
KR200431470Y1 (ko) 머리 세척용 의자에 부착된 얼굴 가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