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507B1 -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507B1
KR102242507B1 KR1020200155238A KR20200155238A KR102242507B1 KR 102242507 B1 KR102242507 B1 KR 102242507B1 KR 1020200155238 A KR1020200155238 A KR 1020200155238A KR 20200155238 A KR20200155238 A KR 20200155238A KR 102242507 B1 KR102242507 B1 KR 10224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air
neck
hea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쿠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쿠미
Priority to KR102020015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8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4Portable was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스로 머리 감기가 불가한 장애인을 포함하는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머리 감김 할 때 사용하는 머리 감김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머리감는 사람의 목 쪽을 향하는 단부의 높이가 제일 높고, 등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상부 표면 중앙에 머리감는 사람의 뒷목 일부를 수용하는 목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양 측면에 머리감는 사람의 가슴 부분을 결박하도록 설치된 결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Supply Balloon For Physically Challenge Hair Shampoo}
본 발명은 스스로 머리 감기가 불가한 장애인을 포함하는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머리 감김 할 때에 등과 목을 받쳐주고 머리는 하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인 스스로 신체 컨트롤이 되지 않는 장애인을 포함하는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머리를 감길 수 없어 물수건을 이용하여 머리감기를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물수건으로 머리를 감기게 되면 제대로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두피를 세척할 수 없기 때문에, 보호자들이 환자를 어렵게 이동시켜 세숫대야의 물로 장애인 또는 환자의 머리를 감아주기도 하지만 상기 장애인 또는 환자는 물론 머리를 감기는 보호자 역시 매우 어렵고 번거롭다.
따라서 상기의 어렵고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506호에서는 의료용 세발기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시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의료용 세발기는 머리를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을 수용하는 메인 버킷(10)과, 상기 메인 버킷의 하부에 설치되어 메인 버킷에서 여러 번 세척을 하거나 헴굼을 하는 경우에 메인 버킷에 있는 물을 일시 저장하는 서포트 버킷(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버킷(10)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서, 배수구(12)가 구비된 바닥부(14)와, 상기 바닥부(14)의 상부로 연장된 벽부(16)와, 신체의 목 부위가 놓일 수 있는 소정 곡률의 인입부(18) 및 상기 벽부(1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버킷(30)은 상기 걸림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32)와, 저수공간을 구비하도록 상기 지지부(3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사이드부(34)와, 상기 사이드부(34)로부터 수평 하게 연장된 베이스부(36)로 구성된다.
그러나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관계로 인입부(18)를 소정 곡률로 성형한다고 하더라도 환자의 목 부위에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보호자나 간병인이 환자의 머리를 샴푸 할 때 보호자 등의 팔이 경질의 걸림부(20)에 걸림으로 인하여 상당한 부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메인 버킷(10)과 서포트 버킷(30)으로 2분 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환자의 목 부위에 무리가 따른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10-0780046호의 세발기가 개시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바닥에 누운 채로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머리를 샴푸 할 수 있는 세발기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고, 일 측에는 환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 안착부(120)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와 연결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전방면 중앙에는 환자의 머리가 들어가는 인입부(134)가 구비되는 측면부(130); 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110)와 측면부(130)는 EVA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사출성형 되며, 상기 측면부(130)의 내측 면은 평면이고, 외측 면은 상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3개의 단차 면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도 2 세발기 역시도 본인 스스로 신체 컨트롤이 되지 않는 장애인을 포함하는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머리를 감기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506(2000.06.02.) 한국등록특허 10-0780046(2007.11.21.)
본 발명의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스스로 머리 감기가 불가한 장애인을 포함하는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머리 감김 때 용이하게 감길 수 있고,
둘째, 누운 자세에서 몸이 움직여지는 장애인의 상체를 머리감기는 동안 결박하여 보호자가 장애인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에 문턱이 있거나 없음에 관계없이 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시켜 장애인의 머리를 감길 수 있도록 한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인 문턱(60) 상단에 위치시켜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보호자가 감길 수 있도록 머리감는 사람의 목 쪽을 향하는 단부의 높이가 제일 높고, 그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에서 등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적으로 낮아지는 상부 표면을 갖으며, 상기 높이가 제일 높은 상부 중앙에서 등 쪽으로는 머리감는 사람의 뒷목 일부를 수용하는 목 수용수(11)를 하향 기울어지며 오목하게 형성시켜 된 경질의 발포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10);
상기 본체의 바닥 4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본체의 높이가 조절되고 머리부가 탄성부재(22)에 인서트 된 볼트부(21)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23)를 설치하여 된 지지수단(20);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신축성을 갖는 밴드(31)의 일 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타 측에 상기 밴드의 선단에 설치된 결속구(34)를 결속하는 결속부재(33)를 설치하여 머리감는 사람의 상체를 결박하며, 상기 밴드는 당기면 인출되고 당김을 해제하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결박수단(30);
상기 본체의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 측벽 또는 바닥면 중 어느 일 측에 본체를 운반하거나 본체를 걸어 보관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링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링이 진입 또는 인출되거나 회동되어 본체에 안착 되도록 하는 결합수단 홈(41,42)을 형성시켜 된 결합수단(40);
상기 결합수단에 결합되어 머리감는 도중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본체의 근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일 측에 상기 링에 걸어 고정하는 고리로 형성된 결합구(5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머리를 감길 때 사용되는 물이 담겨지는 대야(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스로 머리 감기가 불가한 장애인을 포함하는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머리 감김 때 용이하게 감길 수 있고, 또 누운 자세에서 몸이 움직여지는 장애인의 상체를 머리감기는 동안 결박하여 보호자가 장애인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며,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에 문턱이 있거나 없음에 관계없이 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시켜 장애인의 머리를 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머리 감김 보조기구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머리 감김 보조기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에서 결합수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적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스스로 머리 감기가 불가한 장애인을 포함하는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머리 감김 할 때에 등과 목을 받쳐주고 머리는 하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구성은,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인 문턱(60) 상단에 위치시켜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보호자가 감길 수 있도록 머리감는 사람의 목 쪽을 향하는 단부의 높이가 제일 높고, 그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에서 등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적으로 낮아지는 상부 표면을 갖으며, 상기 높이가 제일 높은 상부 중앙에서 등 쪽으로는 머리감는 사람의 뒷목 일부를 수용하는 목 수용수(11)를 하향 기울어지며 오목하게 형성시켜 된 경질의 발포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10);
상기 본체의 바닥 4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본체의 높이가 조절되고 머리부가 탄성부재(22)에 인서트 된 볼트부(21)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23)를 설치하여 된 지지수단(20);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신축성을 갖는 밴드(31)의 일 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타 측에 상기 밴드의 선단에 설치된 결속구(34)를 결속하는 결속부재(33)를 설치하여 머리감는 사람의 상체를 결박하며, 상기 밴드는 당기면 인출되고 당김을 해제하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결박수단(30);
상기 본체의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 측벽 또는 바닥면 중 어느 일 측에 본체를 운반하거나 본체를 걸어 보관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링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링이 진입 또는 인출되거나 회동되어 본체에 안착 되도록 하는 결합수단 홈(41,42)을 형성시켜 된 결합수단(40);
상기 결합수단에 결합되어 머리감는 도중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본체의 근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일 측에 상기 링에 걸어 고정하는 고리로 형성된 결합구(5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머리를 감길 때 사용되는 물이 담겨지는 대야(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의 구성에는 본체(10)의 외곽은 4각형으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재질은 경질의 발포 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인 문턱(60) 상단에 위치시켜 사용되는 것으로, 머리 감는 사람(스스로 머리 감기가 불가한 장애인을 포함하는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이 본체(10)의 상부 표면에 누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체(10)의 구성은, 머리 감는 사람의 목 쪽을 향하는 단부의 높이(T)가 제일 높고, 그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에서 등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적으로 낮아지는 상부 표면을 갖으며, 상기 높이가 제일 높은 상부 중앙에서 등 쪽으로는 머리감는 사람의 뒷목 일부를 수용하는 목 수용수(11)를 하향 기울어지며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의 본체(10) 구성에서 목 수용수(11)를 오목하게 형성시킨 이유는, 머리감는 사람의 목 일부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함이고, 목 쪽을 향하는 단부의 높이(T)를 제일 높게 한 이유는, 머리감는 사람이 본체(10)에 누었을 때 머리가 하부로 처지도록 유도하여 대야(50)의 물에 머리 일부가 잠겨 보호자가 머리를 감길 때에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본체(10)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에서 등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적으로 낮아지게 한 이유는, 머리감는 사람이 머리감는 동안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머리감는 사람의 상체를 결박하도록 결박수단(30)을 설치하는데 그 이유는, 장애인의 경우 누운 자세에서 몸이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불규칙하게 움직여짐으로 그 움직임을 제어하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결박수단(30)의 일실시 예는,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 밴드(31)의 일 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타 측에는 상기 밴드(31)의 선단에 설치된 결속구(34)를 결속하는 결속부재(33)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31)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고정부재(32)는 본체(10)의 일 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거나 또는 본체(10)에 매립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고정부재(42)의 일실시 예는 밴드(31)를 당기면 인출되고 당김을 해제하며 자동으로 감기는 자동차의 안전밸트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결속부재(33)는, 상기 밴드(31)의 단부에 설치된 결속구(34)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10) 바닥 4방에는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20)을 설치하여 지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또는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인 문턱(60)에 문틀이 설치되어 단턱이 형성된 경우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본체(10)가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인 문턱(60)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지지수단(2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볼트부(21)와 그 볼트부의 머리가 인서트 된 탄성부재(22)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23)가 설치되어 볼트부(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21)의 머리를 탄성부재(22)로 인서트하는 이유는, 지면과 탄성부재(22)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10)가 지면에 노여진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높이가 제일 높은 본체(10)의 단부 측벽 또는 바닥면 중 어느 일 측에는 머리 감을 때 사용되는 물이 담겨지는 대야(50)의 일 측에 형성된 결합구(51)를 결합하거나, 본체(10)를 운반하거나, 본체(10)를 걸어 보관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수단(40)을 설치하여 대야(50)와 본체(10)가 상호 연결되어 머리감는 도중 대야(50)가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지 않고 근접 위치되게 함으로써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결합수단(40) 실시 예는, 원형 또는 각형의 링으로 형성되어 본체(10)에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구(51)는, 상기 결합수단(40)에 끼워 결합되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형 또는 각형 링 형태의 결합수단(40)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수단(40)이 본체(10)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 홀(41)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수단(40)이 회동하여 본체(10)의 측벽에 안착 되도록 결합수단 홈(4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수단 홀(41)과 결합수단 홈(42)을 형성시킨 이유는, 결합수단(40)을 사용할 때는 결합수단(40)이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사용하고 결합수단(40)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결합수단(40)을 결합수단 홀(41) 또는 결합수단 홈(42)에 진입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히팅 선(H)이 배열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상기 히팅 선(H)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부에 설치된 스위치(S)를 설치하여 본체(10)를 사용할 때에는 스위치(S)를 온 하여 히팅 선(H)에서 발열이 일어나도록 하여 본체(10)와 체온 간을 유사하게 함으로써 머리감는 사람의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스로 머리 감기가 불가한 장애인을 포함하는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머리 감김 때 용이하게 감길 수 있고, 또 누운 자세에서 몸이 움직여지는 장애인의 상체를 머리감기는 동안 결박하여 보호자가 장애인의 머리를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며,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에 문턱이 있거나 없음에 관계없이 본체를 안정적으로 위치시켜 장애인의 머리를 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본체 11 : 목 수용수
20 : 지지수단 21 : 볼트부
22 : 탄성부재 23 : 너트
30 : 결박수단 31 : 밴드
32 : 고정부재 33 : 결속부재
34 : 결속구 40 : 결합수단
41 : 결합수단 홀 42 : 결합수단 홈
50 : 대야 51 : 결합구
60 : 문턱 H : 히팅 선
S : 스위치 T : 높이

Claims (7)

  1. 세면장 또는 회장실과 실내의 경계부인 문턱(60) 상단에 위치시켜 누운 자세에서 머리를 보호자가 감길 수 있도록 머리감는 사람의 목 쪽을 향하는 단부의 높이가 제일 높고, 그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에서 등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적으로 낮아지는 상부 표면을 갖으며, 상기 높이가 제일 높은 상부 중앙에서 등 쪽으로는 머리감는 사람의 뒷목 일부를 수용하는 목 수용수(11)를 하향 기울어지며 오목하게 형성시켜 된 경질의 발포수지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10);
    상기 본체의 바닥 4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본체의 높이가 조절되고 머리부가 탄성부재(22)에 인서트 된 볼트부(21)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23)를 설치하여 된 지지수단(20);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신축성을 갖는 밴드(31)의 일 측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타 측에 상기 밴드의 선단에 설치된 결속구(34)를 결속하는 결속부재(33)를 설치하여 머리감는 사람의 상체를 결박하며, 상기 밴드는 당기면 인출되고 당김을 해제하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결박수단(30);
    상기 본체의 높이가 제일 높은 단부 측벽 또는 바닥면 중 어느 일 측에 본체를 운반하거나 본체를 걸어 보관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링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링이 진입 또는 인출되거나 회동되어 본체에 안착 되도록 하는 결합수단 홈(41,42)을 형성시켜 된 결합수단(40);
    상기 결합수단에 결합되어 머리감는 도중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본체의 근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일 측에 상기 링에 걸어 고정하는 고리로 형성된 결합구(5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머리를 감길 때 사용되는 물이 담겨지는 대야(5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히팅 선(H)이 배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상기 히팅 선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부에 설치된 스위치(S)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KR1020200155238A 2020-11-19 2020-11-19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KR10224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38A KR102242507B1 (ko) 2020-11-19 2020-11-19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238A KR102242507B1 (ko) 2020-11-19 2020-11-19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507B1 true KR102242507B1 (ko) 2021-04-20

Family

ID=7574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238A KR102242507B1 (ko) 2020-11-19 2020-11-19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157B1 (ko) 2022-03-11 2022-08-12 (주)월드비텍 머리 감김 보조용 도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503A (en) * 1987-04-08 1988-07-05 Martin Ida M Shampoo support for children
US5548853A (en) * 1995-01-11 1996-08-27 Johnson; Loraine Shampooing device
KR200192506Y1 (ko) 2000-02-18 2000-08-16 태원하이테크주식회사 의료용 세발기
KR100780046B1 (ko) 2006-06-07 2007-11-29 송일호 의료용 세발기
KR200447749Y1 (ko) * 2009-07-06 2010-02-16 한상규 배수가 용이한 주방기구용 다리
KR102033425B1 (ko) * 2018-04-27 2019-10-17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휴대용 세발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503A (en) * 1987-04-08 1988-07-05 Martin Ida M Shampoo support for children
US5548853A (en) * 1995-01-11 1996-08-27 Johnson; Loraine Shampooing device
KR200192506Y1 (ko) 2000-02-18 2000-08-16 태원하이테크주식회사 의료용 세발기
KR100780046B1 (ko) 2006-06-07 2007-11-29 송일호 의료용 세발기
KR200447749Y1 (ko) * 2009-07-06 2010-02-16 한상규 배수가 용이한 주방기구용 다리
KR102033425B1 (ko) * 2018-04-27 2019-10-17 주식회사 엠앤비코리아 휴대용 세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157B1 (ko) 2022-03-11 2022-08-12 (주)월드비텍 머리 감김 보조용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9222B2 (en) Shampoo assisting device
KR102242507B1 (ko) 장애인 머리 감김 보조기구
KR101369494B1 (ko) 애완견용 신발
KR101039702B1 (ko) 욕조겸용 침대
KR20130138164A (ko) 유아용 욕조
US20140283293A1 (en) Portable hygiene station
KR102316711B1 (ko) 유아용 욕조
US20210330059A1 (en) Shampoo roll
KR102432157B1 (ko) 머리 감김 보조용 도구
JP2813860B2 (ja) 乳児用補助浴槽
JP2003024410A (ja) 介護用風呂
KR200341780Y1 (ko) 누운 자세에서 커트와 샴푸가 가능한 미용샴푸 장치.
US5181510A (en) Facial vaporizing device
KR200450840Y1 (ko) 접이식 유아용 욕조
JP2958874B2 (ja) 高齢者用浴槽タライ
KR102411553B1 (ko) 직립형 샴푸 캡
KR102307116B1 (ko) 의료침대용 착탈식 세면 장치
KR102546641B1 (ko) 반려동물 목욕 장치
JP3219948U (ja) 快適住宅
KR200362872Y1 (ko) 반신욕조
KR102075850B1 (ko) 세숫대야
KR200430378Y1 (ko) 샴푸용 침대
JP3198691U (ja) 浴室用椅子シート
KR100576055B1 (ko)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JP2987588B1 (ja) 担架型折りたたみ式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