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567B1 - 연속 주조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567B1
KR101550567B1 KR1020150049099A KR20150049099A KR101550567B1 KR 101550567 B1 KR101550567 B1 KR 101550567B1 KR 1020150049099 A KR1020150049099 A KR 1020150049099A KR 20150049099 A KR20150049099 A KR 20150049099A KR 101550567 B1 KR101550567 B1 KR 10155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casting
cooling water
cooling
casting m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준
Original Assignee
장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준 filed Critical 장용준
Priority to KR102015004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의 연속 주조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용강이 수용되는 턴디쉬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 본체와; 상기 연속 주조 장치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턴디쉬와 연통되며 출강부와; 상기 출강부에 배치되는 제1연속 주조 몰드와;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 외주면에 배치되고, 냉각수가 유출입되어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를 냉각시키는 제1냉각 유닛과;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연속 주조 몰드와; 상기 제1냉각 유닛 및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속 주조 몰드를 수용하되, 냉각수가 유출입되어 제2연속 주조 몰드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 주조 장치{ A continuous casting appartus}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의 연속 주조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를 제공한다.
주조(鑄造, casting)는 주물을 만들기 위하여 실시되는 작업으로, 주물의 원료가 되는 금속을 녹여 용강으로 만든 후, 주물과 대응되는 성형부가 구비된 주형에 용강을 장입하여 응고시키는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한편, 주조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주조품(casting product)을 제조한 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고, 후속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주물을 제조하는 공정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이를 연속 주조 라고 한다.
한국 공개 특허 공보 10-2011-004667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연속주조장치는 내화 단열재로 이루어진 턴디쉬(Tundish)내에 일정수준 용강을 채운 후, 턴디쉬 하부에 위치한 출강부를 통해 몰드 내부로 용강을 공급해 주고 몰드를 둘러싸는 냉각 유닛에 의하여 용강을 냉각시켜 냉각 주형을 주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연속 주조 방법의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냉각 주형이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 제품이 주조될 수 있다.
그런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연속 주조품을 제작하는 경우, 해당 직경에 맞는 몰드 및 냉각 유닛을 이미 설치된 몰드 및 냉각 유닛을 분리 제거하고 설치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공정에 따른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냉각 유닛의 경우, 냉각수를 공급하여 몰드를 냉각시키는데, 냉각수를 제공하거나 빼내는 분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 예비적인 루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 제품의 다양화를 구현하고, 연속 주조를 위한 부품의 조립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속 주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유닛에 공급되는 냉각수 공급 및 배출 라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속 주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용강이 수용되는 턴디쉬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 본체와; 상기 연속 주조 장치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턴디쉬와 연통되며 출강부와; 상기 출강부에 배치되는 제1연속 주조 몰드와;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 외주면에 배치되고, 냉각수가 유출입되어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를 냉각시키는 제1냉각 유닛과;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연속 주조 몰드와; 상기 제1냉각 유닛 및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속 주조 몰드를 수용하되, 냉각수가 유출입되어 제2연속 주조 몰드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냉각 유닛은; 제1 연속 주조 몰드가 삽입되는 제1삽입관과; 상기 제1삽입관 전면에 배치되고 연속 주조 장치 본체에 마련되는 결합볼트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제1블럭부와; 상기 제1삽입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냉각수가 유출입되며 냉각수 호스가 연결되는 제1유입 포트 및 제1배출 포트과; 상기 제1삽입관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냉각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냉각 유닛은; 제1연속 주조 몰드 내부에 삽입되는 관 형태의 제2 삽입관과; 상기 제2삽입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블럭부 전면에 마련되는 결합 볼트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제2블럭부와; 상기 제2삽입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냉각수가 유출입되며 냉각수 호스가 연결되는 제2유입 포트 및 제2배출 포트과; 상기 제2삽입관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2냉각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연속 주조 몰드는 다단으로 분리되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2삽입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속 주조 장치 본체의 옆에 배치되어 제1 냉각 유닛 또는 제2냉각 유닛에 유입되어야할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제1냉각 유닛 또는 제2냉각 유닛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수거하는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하되,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는 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에는 각각 복수의 분지관이 마련되되, 상기 분지관은 작업용 분지관 및 예비용 분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냉각 유닛의 외경은, 제1연속 주조 몰드의 이동 통로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냉각 유닛은 그 내면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으면서 제1연속 주조 몰드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1냉각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각 유닛은 그 내면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으면서 제2연속 주조 몰드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냉각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폭이나 직경을 갖는 연속 주조품을 하나의 연속 주조 장치에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제1 연속 주조 몰드에 제2연속 주조 몰드 및 제2냉각 유닛을 삽입함으로써, 제2연속 주조 몰드 및 제2냉각 유닛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제1블럭부와 본체, 그리고 제1블럭부와 제2블럭부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제1연속 주조 몰드의 배치 상태 및 제2연속 주조 몰드의 배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속 주조 몰드를 이용하여 연속 주조를 하는 경우, 제2냉각 유닛 뿐만 아니라 제1냉각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에 다수의 분지관을 설치함으로써 상황에 따라서 분지관을 선택하여 냉각 유닛들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분지관 일부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주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2냉각 유닛 및 제1,2연속 주조 몰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제2연속 주조 몰드 및 제2냉각 유닛이 장착되는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제1연속 주조 몰드 및 제1냉각 유닛의 측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제2연속 주조 몰드 및 제2냉각 유닛의 측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제1연속 주조 몰드에 의하여 연속 주조품이 제작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제2연속 주조 몰드에 의하여 연속 주조품이 제작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예비용 분지관을 이용하여 냉각수 공급 및 배출을 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주조 장치(1)는 내화 단열재로 이루어져서 용강이 수용되는 턴디쉬(Tundish)(11) 및 턴디쉬(11)의 하부에 마련되어 턴디쉬(11)에 수용된 용강을 연속 주조 몰드에 주입하는 출강부(12)를 포함하는 본체(10)와, 본체(10) 전면에 삽입되어 연속되어 연속 주조품을 형성하는 연속 주조 몰드(100,200)와, 연속 주조 몰드(100,20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연속 주조 몰드(100,200)를 냉각하는 냉각 유닛(150, 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속 주조 몰드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연속 주조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1 연속 주조 몰드(100)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연속 주조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2연속 주조 몰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각 유닛(150,250)은 제1 연속 주조 몰드(100) 외주에 배치되는 제1 냉각 유닛(150)과, 제1냉각 유닛(15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2 연속 주조 몰드(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냉각 유닛(250)을 포함한다.
제1 연속 주조 몰드(100)는 제1냉각 유닛(150)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연속 주조 장치 본체(1)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연속 주조 몰드(100)는 출강부(12)와 연통되어 출강부(12)에서 출강되는 용강이 지나갈 수 있고, 제1연속 주조 몰드를(100) 지나가는 용강은 제1냉각 유닛(150)의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되어 응고되어 제1 연속 주조 몰드(100)로부터 연속체 형태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철근과 같이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속 주조품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2연속 주조 몰드(200)를 사용한다.
제2연속 주조 몰드(200)는 제2 냉각 유닛(250)에 삽입되고, 제2 냉각 유닛(250)은 제1 연속 주조 몰드(100)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출강부에서 용강이 출강되면 용강은 제2 연속 주조 몰드(200)를 통과하면서 직경이 작은 연속 주조품이 형성되는데, 제2 냉각 유닛(250)에 냉각수가 공급됨으로써, 제2연속 주조 몰드(200)를 통과하는 용강을 냉각시켜 연속 주조품을 만든다.
한편, 본체의 일측에는 냉각수 공급부(300)가 마련되고, 그 반대편에는 냉각수 배출부(400)가 마련된다.
냉각수 공급부(300)는 주 공급관(310)과, 주 공급관(310)에서 분지되는 복수의 분지관(320)을 포함하며, 각각의 분지관(320)에는 밸브(330)가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냉각수 배출부(400)는 주 배출 포트(410)과, 주 배출 포트(410)에서 분지되는 복수의 분지관(420)을 포함하고, 각각의 분지관(420)에는 밸브(430)가 마련된다.
그리고 분지관(320,420)에는 호스(340,44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호스들은 제1냉각 유닛(150) 또는 제2냉각 유닛(250)에 연결된다.
냉각수 공급부(300)와 냉각수 배출부(400)에 복수의 분지관(320, 420)이 배치된 이유는 냉각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분지관 측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 냉각수 공급 및 배출 루트를 바로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냉각 유닛(150)의 전방에는 제1블럭부(151)가 마련되고, 제1블럭부(151)는 본체 전면에 돌출되어 있는 제1결합볼트(13)와 결합된다.
제1블럭부(151)가 제1결합 볼트(13)에 결합된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1와셔(161)와 제1너트(162)가 배치된다.
한편, 제1블럭부(151)의 전면에는 제2결합볼트(152)가 마련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2결합볼트(152)에는 제2냉각 유닛(25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블럭부(251)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2결합볼트(152)에 제2블럭부(251)가 결합되고, 제2와셔(261)와 제2너트(262)가 배치되어 제2냉각 유닛(250)이 제1 연속 주조 몰드(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연속 주조 몰드(100)는 주조품의 외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이동 통로(10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 의하여 제작되는 주조품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이나 큰 폭을 갖는 연속 주조품이다.
도2에서는 그 단면이 원통형인 것을 나타냈으나, 원형 이외에, 사각형이나, 기타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제1연속 주조 몰드(100)는 제1 냉각 유닛(150)에 삽입된다.
제1 냉각 유닛(150)은 제1 연속 주조 몰드(100)가 삽입되는 제1삽입관(155)과, 상기 제1삽입관(155)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블럭부(151)를 포함한다. 한편, 제1삽입관(155)의 외주면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 포트(155a)와 냉각수가 유출되는 제1배출 포트(155b)가 형성되며, 제1유입 포트(155a)과 제1배출 포트(155b)는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블럭부(151)에는 제1결합 볼트(13)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체결공(151a)이 마련된다. 제1체결공(151a)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제1 블럭부(151)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너트(162)와 제1와셔(161)는 제1결합 볼트(13)에 삽입되어 제1결합 볼트(13)와 제1블럭부(151)를 결합시킨다.
제1블럭부(151)의 전면에는 제2결합 볼트(152)가 돌출되어 배치되고, 제2결합볼트(152)는 제1블럭부(151)의 전면에 형성된 제1관통공(151b) 주위에 배치된다.
제2 냉각 유닛(250)은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고, 제2관통공(251b)을 통과하여, 제1 연속 주조 몰드(100) 내부에 마련되는 이동 통로(101) 내부에 삽입된다.
제1 연속 주조 몰드(100)의 이동 통로(101)가 복수개인 경우, 제2 냉각 유닛()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제1연속 주조 몰드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냉각 유닛(250)은 제2삽입관(255)과, 제2삽입관(255)의 외주면에는 마련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 포트(255a)과,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 포트(255b)를 포함한다.
제2유입 포트(255a) 및 제2 배출 포트(255b)은 단일의 제2 냉각 유닛(250)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신속하게 다량의 냉각수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함이다.
제2 냉각 유닛(250)의 내부에는 제2연속 주조 몰드(200)가 삽입된다.
제2 연속 주조 몰드(200)는 다단 관 형태로 마련되어 제2 냉각 유닛(250)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한편, 제2 연속 주조 몰드(200)의 맨 마지막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냉각 유닛(250)의 후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연속 주조 몰드(200)를 다단 관 형태로 마련한 이유는 조립성을 개선하고, 제2연속 주조 몰드(200)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냉각 유닛(250)의 전방에는 제2블럭부(251)가 배치되고, 제2 블럭부(251)에는 제2 냉각 유닛(250)의 전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공(251b)이 형성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냉각유닛(250)이 제1 냉각 유닛(150) 및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블럭부(251)가 제2 냉각 유닛(250)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제2 결합 볼트(152)가 제2블럭부(251)를 관통한다.
그리고, 제2너트(262)와 제2와셔(261)가 제2 결합볼트(152)에 결합되어, 제2블럭부(251)를 제2결합볼트(152)에 고정시킨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냉각 유닛(150)의 삽입관 내면에는 제1냉각수 유로(156)가 홈 형태로 마련된다.
제1냉각수 유로(156)는 제1연속 주조 몰드(100)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다.
제1냉각수 유로(156)는 제1냉각 유닛(1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고 제1유입 포트(155a) 및 제1배출 포트(155b)과 연통되게 마련된다.
도4와 같은 구조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D1)을 갖는 연속 주조품을 생산하기위한 배치 구조이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냉각 유닛(250)의 내부에는 제2 연속 주조 몰드(200)가 삽입되고, 이 결합체는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 삽입되며, 제2냉각 유닛(250) 및 제2연속 주조 몰드(200)의 전방은 제1블럭부(151)보다 앞으로 돌출된다.
제2냉각 유닛(250)의 내면에는 제2냉각수 유로(256)가 홈 형태로 마련되며, 제2냉각수 유로(256)는 제2연속 주조 몰드(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2냉각수 유로(256)는 제2냉각 유닛(2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고 제2유입 포트(255a) 및 제2배출 포트(255b)과 연통되게 마련된다.
도5의 배치구조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D2)를 갖는 연속 주조품을 생산하기위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직경을 주조품을 형성하는 경우, 도4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턴디쉬(11)에 수용된 용강이 출강부(12)를 거쳐서 제1연속 주조 몰드(100)로 진입하한다.
제1냉각 유닛(150)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제1연속 주조 몰드(100)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 유입된 용강은 응고되면서 제1연속 주조 몰드(100)의 출구를 향하여 이동한다.
제1냉각 유닛(150)에는 제1유입 포트(155a) 및 제1배출 포트(155b)가 마련되고, 제1유입 포트(155a)는 냉각수 공급부(300)의 분지관(320)과 호스(340)로 연결되고, 제1배출 포트(155b)는 냉각수 배출부(400)의 분지관(320)과 호스(440)로 연결된다.
따라서, 냉각수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는 제1유입 포트(155a)로 유입되어 제1냉각수 유로(156)를 거쳐서 제1배출 포트(155a)과 냉각수 배출부(155b)를 통해서 배출된다.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 진입하는 당시에는 액체 상태였던 금속이, 냉각된 제1연속 주조 몰드(100)를 거치면서 응고되고,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서 토출되는 경우에는 완전하게 응고된 상태로 상변이 한다.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서 나오는 연속 주조품의 단부를 지그 등을 이용하여 지지하면 긴 길이를 갖는 주조품이 연속체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한편, 철근이나 블룸(bloom)과 같이 작은 직경을 갖는 주조품을 형성하는 경우, 도5 및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턴디쉬(11)에 수용된 용강이 출강부(12)를 거쳐서 제2연속 주조 몰드(200)로 진입한다.
제2냉각 유닛(250)에 냉각수가 유입되어 제2연속 주조 몰드(200)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제2연속 주조 몰드(200)에 유입된 용강은 응고되면서 제2연속 주조 몰드(200)의 출구를 향하여 이동한다.
제2냉각 유닛(250)에는 제2유입 포트(255a) 및 제2배출 포트(255b)가 마련되고, 제2유입 포트(255a)는 냉각수 공급부(300)의 분지관(320)과 호스(330)로 연결되고, 제2배출 포트(255b)는 냉각수 배출부(400)의 분지관(420)과 호스(430)로 연결된다.
한편, 복수 개의 제2연속 주조 몰드(200)가 제1연속 주조 몰드(100)에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그에 따라서 제2냉각 유닛(250)도 병렬적으로 배치된 경우, 하나의 제2냉각 유닛(250)의 제2배출포트(255b)와, 다른 하나의 제2 냉각 유닛(250)의 제2유입포트(255a)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가 두 개의 병렬 배치된 제2 냉각 유닛(250)을 거치면서 냉각동작을 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제2냉각 유닛(250)의 제2유입포트(255a)가 각각 냉각수 공급부(300)의 분지관(320)과 연결되고, 각각의 제2냉각 유닛(250)의 제2배출포트(255b)가 각각 냉각수 배출부(400)의 분지관(4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냉각 유닛(250)에서의 냉각수의 흐름 방향은 작업자의 의도나 작업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냉각수가 제1냉각 유닛(150)에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냉각 유닛(150)에 공급된 냉각수는 제1연속 주조 몰드(100)를 냉각시키고, 냉각열은 제2냉각 유닛(250)에 전달되어 제2냉각 유닛(250)의 냉각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제2연속 주조 몰드(200)에 진입하는 당시에는 액체 상태였던 금속이, 냉각된 제2연속 주조 몰드(200)를 거치면서 응고되고, 제2연속 주조 몰드(200)에서 토출되는 경우에는 완전하게 응고된 상태로 상변이 한다.
제2연속 주조 몰드(200)에서 나오는 연속 주조품의 단부를 지그 등을 이용하여 지지하면 긴 길이를 갖는 주조품이 연속체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
도8은 냉각수 공급부(300) 또는 냉각수 배출부(400)의 분지관(320,420) 또는 분지관의 밸브(330,430) 일부가 문제가 발생하여, 다른 분지관에 연결된 호스를 제1냉각 유닛(150) 또는 제2냉각 유닛(250)에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과 비교하면, 도1에서는 냉각수 공급부(300)의 아래 2개의 분지관과 제2냉각 유닛이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데, 도8에서는 냉각수 공급부(300)의 위 2개의 분지관과 제2냉각 유닛(250)이 호스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도1에서는 냉각수 배출부(400)의 중간 2개의 분지관과 제2냉각 유닛(250)이 호스에 의해서 연결되는데, 도8에서는 냉각수 배출부(400)의 아래 2개의 분지관과 제2냉각 유닛(250)이 호스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 변경은 냉각수 배출부(400)의 분지관(420)과 제1냉각 유닛(150) 간, 그리고 냉각수 공급부(300)의 분지관(320)과 제1냉각 유닛(150)간에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냉각수 공급부(300) 및 냉각수 배출부(400)에 복수의 분지관(320,420)을 마련하여 작업용 분지관과 예비용 분지관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1: 턴디쉬 12: 출강부
100: 제1연속 주조 몰드 150: 제1 냉각 유닛
155a: 제1유입 포트 155b: 제1배출 포트
151: 제1블럭부 200: 제2연속 주조 몰드
250: 제2 냉각 유닛 251: 제2 블럭부
255a: 제2유입 포트 255b: 제2배출 포트
300: 냉각수 공급부 400: 냉각수 배출부

Claims (7)

  1. 내부에 용강이 수용되는 턴디쉬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 본체와;
    상기 연속 주조 장치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턴디쉬와 연통되며 출강부와;
    상기 출강부에 배치되는 제1연속 주조 몰드와;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 외주면에 배치되고, 냉각수가 유출입되어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를 냉각시키는 제1냉각 유닛과;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연속 주조 몰드와;
    상기 제1냉각 유닛 및 상기 제1연속 주조 몰드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속 주조 몰드를 수용하되, 냉각수가 유출입되어 제2연속 주조 몰드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냉각 유닛은; 제1 연속 주조 몰드가 삽입되는 제1삽입관과;상기 제1삽입관 전면에 배치되고 연속 주조 장치 본체에 마련되는 결합볼트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제1블럭부와; 상기 제1삽입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냉각수가 유출입되며 냉각수 호스가 연결되는 제1유입 포트 및 제1배출 포트와; 상기 제1삽입관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냉각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각 유닛은; 제1연속 주조 몰드 내부에 삽입되는 관 형태의 제2 삽입관과; 상기 제2삽입관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블럭부 전면에 마련되는 결합 볼트에 장착되어 결합되는 제2블럭부와; 상기 제2삽입관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냉각수가 유출입되며 냉각수 호스가 연결되는 제2유입 포트 및 제2배출 포트와; 상기 제2삽입관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2냉각수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속 주조 몰드는 다단으로 분리되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2삽입관에 삽입되고,
    상기 연속 주조 장치 본체의 옆에 배치되어 제1 냉각 유닛 또는 제2냉각 유닛에 유입되어야할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제1냉각 유닛 또는 제2냉각 유닛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수거하는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는 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배출부에는 각각 복수의 분지관이 마련되되, 상기 분지관은 작업용 분지관 및 예비용 분지관을 포함하되,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에 마련된 복수의 분지관은 호스에 의하여 각각 제1냉각 유닛 또는 제2 냉각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각각의 분지관에는 냉각수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제2냉각 유닛의 외경은, 제1연속 주조 몰드의 이동 통로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 유닛은 그 내면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으면서 제1연속 주조 몰드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1냉각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각 유닛은 그 내면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으면서 제2연속 주조 몰드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2냉각수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1020150049099A 2015-04-07 2015-04-07 연속 주조 장치 KR10155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99A KR101550567B1 (ko) 2015-04-07 2015-04-07 연속 주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99A KR101550567B1 (ko) 2015-04-07 2015-04-07 연속 주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567B1 true KR101550567B1 (ko) 2015-09-04

Family

ID=5424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099A KR101550567B1 (ko) 2015-04-07 2015-04-07 연속 주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5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17B1 (ko) * 2006-09-25 2007-06-2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스케일 고착방지 장치
JP2011183419A (ja) * 2010-03-05 2011-09-22 Dowa Technology Kk 連続鋳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17B1 (ko) * 2006-09-25 2007-06-2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스케일 고착방지 장치
JP2011183419A (ja) * 2010-03-05 2011-09-22 Dowa Technology Kk 連続鋳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411U (ja) 空水冷ハイブリッド方式の金型冷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を備えるホイールハブ低圧鋳造用金型
JP5684225B2 (ja) 湯口スリーブ
RU2010108668A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го литья металлов, имеющих одинаковые или подобные коэффициенты усадки
KR101550567B1 (ko) 연속 주조 장치
CN205811732U (zh) 一种便于清渣的电机水套冷却装置
KR101713680B1 (ko) 이중관 구비된 사출성형기용 금형 냉각 시스템
RU2018111085A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литейных форм для литья металлов или сплавов металлов и форм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т,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ую систему охлаждения 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у литейную форму
CN204396488U (zh) 线棒材穿水器
JP2007276224A (ja) 円弧状コア型の冷却構造、及び該コア型に円弧状冷却水孔を形成する方法
KR20210015427A (ko) 연속 주조용 냉각튜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냉각 장치
CN105386888A (zh) 具有节流塞的缸体水套及其发动机缸体
JP5841197B1 (ja) 湯口スリーブおよびそれを備えた鋳造用金型
KR20140126684A (ko) 유로를 구비한 금형
KR20140005095A (ko) 차단 요소, 롤 라인 및 연속주조장치
KR20140005093A (ko) 롤 맨틀, 롤 라인 및 연속주조장치
KR200484963Y1 (ko) 다이캐스팅 금형 냉각용 쿨러
JP2009131767A (ja) 離型剤塗布ノズル
US20080041552A1 (en) Single-piece cooling blocks for casting and molding
JP2008137014A (ja) ダイカスト金型の離型剤スプレー方法及び離型剤スプレー構造
JP2013022630A (ja) 湯口装置
KR20120110911A (ko) 연속 주조기용 더미바
CN211331220U (zh) 一种可快速冷却的金属板铸造用铸造空腔
KR102312324B1 (ko) 냉각매체 분사장치
KR101304820B1 (ko)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의 주조롤
KR20140119322A (ko) 용강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