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495B1 -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495B1
KR101550495B1 KR1020130080624A KR20130080624A KR101550495B1 KR 101550495 B1 KR101550495 B1 KR 101550495B1 KR 1020130080624 A KR1020130080624 A KR 1020130080624A KR 20130080624 A KR20130080624 A KR 20130080624A KR 101550495 B1 KR101550495 B1 KR 10155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layer
concrete layer
concret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469A (ko
Inventor
장혁수
Original Assignee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filed Critical 장혁수
Publication of KR2014014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에 다수 개의 분리공을 천공하는 타공단계와; 상기 건물 내부에 가압부재를 고정설치하고, 가압부재의 일부가 분리공을 통과하여 방수층 및 방수보호층 또는 방수층 및 누름콘크리트층을 가압하여 외벽 또는 슬라브로부터 일정한 두께의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waterproof method for interlayer of building concrete}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을 구성하는 슬라브와, 슬라브의 상부에 타설되는 보호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층간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시공하고자 하는 슬라브 상부에 타설된 누름콘크리트의 분할절개 공정을 통해 하중을 경감시킨 뒤, 일정한 가압 수단을 통해 분할절개된 누름콘크리트를 들어 올림으로서 발생된 간극에 액상의 방수액을 주입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층간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에 형성된 방수층 및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된 보호콘크리트 또는 방수 보호층이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방수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층 및 방수 보호층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리거나 밀어내어 형성된 일정 크기의 간극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방수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옥상이나 구조체 외벽, 욕실이나 화장실 등 누수가 우려되며, 물기의 접촉이 빈번한 부분에 대하여 중점적인 방수시공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최상부 층이나, 토사 되메우기가 이루어지는 건물 외벽(1)에는 통상적으로 시공되어 오던 방수공법이 다양하게 채택적용된다.
이러한 건물 외벽(1)에 시공된 방수재(2)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손상이 누수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 중 다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슬라브(3) 상부에는 건축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보호콘크리트(4)를 타설하면서도 대부분 방수시공을 하지 않는 경우가 흔하며, 방수 시공을 한경우에도 차량의 이동에 따른 충격 등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층간 슬라브(3)의 경우, 동절기에 차량이 차체 하부에 눈과 얼음이 빙결된 상태에서 주차장에 차를 주차되면, 상기 차체 하부에 빙결되었던 눈과 얼음이 해빙되면서 주차장 바닥면에 떨어지게 되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되는 물이 콘크리트 구조체에 형성된 크랙 등을 타고 아래층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에 형성된 방수층(2) 및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한 보호콘크리트(4) 또는 PE폼 등 방수 보호재(5) 순으로 시공된 구조물의 경우나 슬라브(3) 및 보호콘크리트(4) 순으로 시공된 구조물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수방법으로는, 슬라브(3) 또는 보호콘크리트(4)가 관통되도록 천공하여 주입공을 형성한 후 기계적 압력을 이용하여 액상의 방수재를 이들 사이의 간극에 주입하여 방수층을 새롭게 형성함으로써, 누수가 차단되도록 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었다.
이러한 주입식 방수공법은 이들 간극에 방수액이 일정 두께로 간극 전면에 충진 되었을 때 가장 높은 누수 차단 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간극의 크기는 시공방법에 따라 결과적으로 부분적인 두께 차가 형성되게 되는데, 간극이 극미할 경우 주입 방수액이 방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적정 두께가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방수에 대한 목표효과를 얻지 못하게 된다.
또한, 미세 간극 부위의 경우 이들보다 상대적으로 큰 간극과 연결될 경우 압력을 받아 이동되는 유체의 특성상 방수액은 큰 간극을 통해 이동하게 되므로 주입과정에서 큰 간극으로 이동되는 방수액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부위 예를 들면, 되메우기 토사층 또는 상부의 외부 공간으로 이동되므로 미세 간극에 방수재를 주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수액을 주입하기 전단계에서 슬라브 및 외벽과 방수 보호재를 포함한 방수층 및 보호콘크리트 사이에 일정 간극을 확보한 뒤 방수액을 주입하여 적정 두께 이상의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주입 방수재가 방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정 두께를 확보하게 함은 물론 미세 공간의 주입 한계에 따른 주입 방수재간의 단절 구간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와; 상기 건물 내부에 가압부재(200)를 고정설치하고, 가압부재(200)의 일부가 분리공(106)을 통과하여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을 가압하여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로부터 일정한 두께의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00)는, 유압, 공압, 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는 실린더(202)에 의해 피스톤로드(204)가 분리공(106)을 통과하면서 수직 또는 수평 왕복동하는 것이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200)는, 일정방향으로 굴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flexible)한 밀대(206)로 구성되어 분리공(106)까지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 표면으로 부터의 외측 물체에 접하면서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굴절된 후 직진하면서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00)는, 상기 분리공(106)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고정설치하여 조임에 의해 분리공(106)을 통과한 볼트(208)가 직진하며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하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리프팅(lifting)하여 슬라브(104) 상부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하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리프팅(lifting)하여 슬라브(104) 상부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층을 천공하여 주입공(114)을 형성하는 주입공형성단계와; 상기 주입공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주입공(114)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앵커(116)를 설치하고, 이 앵커(116)를 양중기(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시켜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에 유압, 공압, 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는 실린더(202)를 고정설치하며, 실린더(202)의 피스톤로드(204)를 승, 하강시켜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직진가압함에 따라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분리공(106)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고정설치하여 볼트(208)가 직진하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 표면에 볼트(208)가 직진가압됨에 따라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공(106)과 바닥면에는 상부의 승하강부(118)와 하부의 지지부(120)가 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부(118)가 승, 하강하는 서포트(122)(support)를 설치하여 슬라브(104) 상부의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하강부(118)가 승강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한 쌍이 한 조로서 이격설치되며, 받침턱(142a)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구(142)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양측의 고정구(142)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양측에 제1통공이 형성된 받침부(144)와, 상기 받침부(144)의 제1통공으로 돌출된 고정구(142)로 각각 삽입되는 일정 높이의 스페이서(146)와, 상기 스페이서(146)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42)에 동시 삽입되도록 양측에 제2통공(148a)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제2통공(148a)으로 돌출된 고정구(14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150)와, 상기 다수 개의 받침부(144)와 그 상부의 고정판사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로스바(152)와, 상기 다수 개의 크로스바(152)의 양단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바(154)와, 상기 연결바(154)의 하단과 누름콘크리트층(112) 사이에 삽입되는 유압잭(156)으로 이루어진 가압부재(200)를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외측과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상부에 설치하고, 유압잭(156)의 가동에 의해 연결바(154)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하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와; 상기 슬라브(104)의 하부 또는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상부에 주입공(114)을 형성하고, 이 주입공(114)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하되, 방수재가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어 간극이 형성됨과 동시에 일정 두께의 방수층(108)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104)의 저부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와; 상기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강시켜 슬라브(104) 상부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분리공(106)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분리공(106)과 바닥면에는 상부의 승하강부(118)와 하부의 지지부(120)가 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부(118)가 승, 하강하는 서포트(122)(support)를 설치하여 슬라브(104) 상부의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하강부(118)가 승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보호콘크리트를 일정크기로 절개하여 슬라브로부터 이격되도록 들어올린 후 발생하는 틈새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함으로써, 슬라브와 보호콘크리트 사이에 간편하게 방수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호콘크리트를 철거할 때 발생하는 철거비용의 지출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보호콘크리트를 철거하는데 소요되는 기간과 철거 후 방수시공에 소요되는 기간 및 방수시공이 완료된 후 다시 보호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데 까지 발생하는 소요시간을 대폭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시공비용은 물론 시공기간의 단축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비용을 대폭 절감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콘크리트를 리프팅한 후 마감캡을 회전시켜 보호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밀착시키는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작용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에 형성된 주입구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작용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주입구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작용도.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작용 및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a와 도 7b,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작용 및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리피팅단계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마감캡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건물의 층간 구조를 도 1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지하 1층부터 지하 2층(지하 3층은 중간생략됨)을 도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102) 구조를 살펴보면, 구조체의 외벽(102)에는 방수층(108)이 시공되어 있으며, 방수층(108)에는 토사로부터 방수층(108)을 보호하도록 된 방수보호층(110)이 시공된 상태를 도 1에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아울러, 지하 1층의 상부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각 구조물에 따라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으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물의 구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하 1층의 상부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방수시공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나, 지하 2층의 상부 즉, 지하 1층의 바닥면은 실내에 속하므로 방수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지하 1층의 상부나 지하 2층의 상부(지하 1층의 바닥면)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슬라브(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라브(104)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누름콘크리트층(112)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102)에 형성된 방수층(108)과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방수층(108)이 노후되거나 파손되어 방수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이를 보수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102)과 외벽(102)에 형성된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거나, 슬라브(104)와 이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액상의 방수액을 주입하여 방수성능을 보강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건물의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분리공(106)은 외벽(102)이나 슬라브(104)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벽(102)에 형성된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만을 직접적으로 밀어내거나 들어올릴 때 사용되는 통로 또는 경우에 따라서 후술하게 될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분리공(106)을 통로로서의 목적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타공단계에서 분리공(106)이 형성되면, 상기 건물 내부에 가압부재(200)를 고정설치하고, 가압부재(200)의 일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공(106)을 통과하여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을 가압하여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로부터 일정한 두께의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간극형성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00)는 각 층의 바닥면 또는 외벽(102)이나 슬라브(104)의 저부에 앵커(116)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야 가압부재(200)의 가압력이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설치구조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그 방법을 고안할 수 있으며, 그 방법 또한 무수히 많은 수가 존재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설치방법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외벽(102)과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의 간극 또는 슬라브(104)와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의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가압부재(200)는 다수의 기계적인 장치로 발명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압부재(200)의 실시종류를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재(200)에 대하여 열거한 기술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는 않으며, 더욱 다양한 방법을 채택변경할 수 있다.
첫 번째의 가압부재(200)는, 유압, 공압, 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는 실린더(202)에 의해 피스톤로드(204)가 수직 또는 수평 왕복동하는 바, 외벽(102)의 방수층(108)과 방수보호층(110)을 가압하여 간극을 형성하고자 한다면, 상기 피스톤은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동하게 될 것이며, 슬라브(104) 상부의 방수층(108)과 누름콘크리트층(112)을 가압하여 간극을 형성하고자 한다면, 상기 피스톤은 수직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동하게 된다.
두 번째의 가압부재(200)는, 일정방향으로 굴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flexible)한 밀대(206)로 구성되어 분리공(106)을 통과할 때까지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벽면 또는 슬라브(104) 표면으로 부터의 외측 물체에 접하면서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굴절된 후 직진하면서 밀대(206)의 두께만큼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플렉시블한 밀대(206)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롤러체인(Roller Chain)이나 단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렉시블한 선재 등을 일컫는 것으로, 밀대(206)의 일단은 직선이동하면서 분리공(106)을 관통하고, 분리공(106)을 관통하면서 접하는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08)과 누름콘크리트층(112)에 의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외벽(102)과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의 사이로 파고들면서 틈새를 만들거나, 슬라브(104)와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사이로 파고들면서 틈새를 만듦으로서 간극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세 번째의 가압부재(200)는, 상기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에 형성된 분리공(106)의 내측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앵커(116)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설치하고, 볼트(208)를 체결하거나 해체함으로써, 볼트(208)가 직선 왕복동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가 내측 외벽(102)에 설치될 경우 볼트(208)가 체결되면 될수록 볼트(208)가 분리공(106)을 관통하여 이동하면서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을 가압하여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이 외벽(102)으로부터 이격되게 함으로써,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가 슬라브(104)의 저부에 설치될 경우 볼트(208)가 체결되면 될수록 볼트(208)가 분리공(106)을 관통하면서 상승하여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을 가압하여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상승하여 슬라브(104)와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가압부재(200)를 이용하여 외벽(102)과 외벽(102) 외측에 형성된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거나 슬라브(104)와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한 후,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하여 건조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방수층(108)이 보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은 중량체이면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전체를 상승시켜 간극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자칫,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자중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누름콘크리트의 중량을 경감시킨 후 방수보수시공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하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를 통하여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들어올리거나 상승시킬 때 자중에 의한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리프팅(lifting)하는 간극형성단계를 통하여 슬라브(104)와 방수층(108) 및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한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슬라브(104)와 방수층(108) 및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이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방수보수공법이 완성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의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와 간극형성단계와 방수재 주입단계는 동일한 매커니즘으로 구성되나,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층에 주입공(114)을 천공하는 주입공형성단계가 추가로 구성되며, 방수재 주입단계에서는 상기 주입공(114)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의 간극형성단계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실시될 수 있는 바, 이 간극형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그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간극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앵커(116)를 설치하고, 이 앵커(116)를 양중기에 고정시켜 상승시킴으로써, 슬라브(104)와 방수층(108) 및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양중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크레인, 호이스트(hoist), 리프트, 곤돌라, 승강기 등 현재 유통되고 있는 모든 장비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여기서 예시한 장비 외에도 무거운 중량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든 장비를 포함한다.
두 번째 간극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유압, 공압, 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는 실린더(202)를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에 고정설치한 후, 상기 실린더(202)의 피스톤로드(204)가 분리공(106)을 관통하여 승, 하강하면서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직접 직진가압함으로써,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분리공(106)이 형성될 경우, 이 분리공(106)의 외주변에 실린더(202)를 고정설치하되, 실린더(202)의 피스톤로드(204)가 분리공(106)을 관통하여 슬라브(104)에 직접 직진가압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202)의 피스톤로드(204)가 슬라브(104)를 직진가압하게 되면, 그 반발력에 의하여 실린더(202)가 승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린더(202)는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고정설치된 상태이므로, 결국, 절개된 누름 콘크리트층이 승강하게 됨으로써, 슬라브(104)와 누름콘크리트층(112)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브(104)에 분리공(106)이 형성될 경우, 이 분리공(106)의 외주변에 실린더(202)를 고정설치하되, 실린더(202)의 피스톤로드(204)가 분리공(106)을 관통하여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직접 직진가압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브(104)에 실린더(202)가 설치고정된 상태이므로, 피스톤로드(204)의 직진가압력에 의하여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하면서 슬라브(104)와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 간극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분리공(106)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고정설치하여 볼트(208)가 직진하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가 직진가압됨에 따라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분리공(106)이 형성될 경우, 이 분리공(106)의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설치고정하고, 볼트(208)가 체결될수록 볼트(208)는 직진하면서 분리공(106)을 관통하여 슬라브(104)에 직접 직진가압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208)가 슬라브(104)를 직진가압하게 되면, 그 반발력에 의하여 고정부재(210)가 승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210)는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고정설치된 상태이므로, 결국, 절개된 누름 콘크리트층이 승강하게 됨으로써, 슬라브(104)와 누름콘크리트층(112)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브(104)에 분리공(106)이 형성될 경우, 이 분리공(106)의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고정설치하되, 고정부재(210)의 볼트(208)가 체결될수록 분리공(106)을 관통하여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직접 직진가압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브(104)에 고정부재(210)가 설치고정된 상태이므로, 볼트(208)의 직진가압력에 의하여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하면서 슬라브(104)와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네 번째 간극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공(106)과 바닥면에는 상부의 승하강부(118)와 하부의 지지부(120)가 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부(118)가 승, 하강하는 서포트(122)(support)를 설치하여 슬라브(104) 상부의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하강부(118)가 승강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서포트(122)는 바닥면에 접하도록 지지부(120)가 설치되고, 지지부(120)에 나합되는 상부의 승하강부(118)는 분리공(106)으로 삽입되어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지지하면서, 작업자의 조정에 의하여 승하강부(118)가 승하강하면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들어올리는 리프팅(lifting)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섯 번째 간극형성단계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상부에 서로 이격설치되며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는 고정구(142)가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다수 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42)의 외경면 소정위치에는 받침턱(1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구(142)에는 양측에 제1통공이 형성된 판상의 받침부(144)가 동시에 삽입되어 받침턱(142a)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 받침부(144)의 제1통공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4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146)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46)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42)에는 양측에 제2통공(148a)이 형성된 판상의 고정판을 삽입하고, 이 고정판의 제2통공(148a)으로 돌출된 고정구(142)에는 고정나사(150)를 나사결합시켜 고정구(142)에 받침부(144), 스페이서(146), 고정판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142)에는 받침부(144)와 고정판사이에 스페이서(146)의 높이만큼의 공간이 확보되며, 모든 고정구(142)에 받침부(144), 스페이서(146), 고정판이 결합되어 공간이 확보되면, 크로스바(152)를 이 공간에 각각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크로스바(152)의 양단은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양단을 지나쳐 전체 누름콘크리트층(112)까지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크로스바(152)의 양단이 전체 누름콘크리트층(112)까지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크로스바(152)의 양단 하부에 연결바(154)를 연결하고, 그 하부에는 잭 또는 유압잭(156)을 삽입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잭 또는 유압잭(156)을 작동하여 연결바(154)와 크로스바(152)를 들어올리면(리프팅(lifting)), 크로스바(152)와 고정판, 스페이서(146), 받침부(144) 및 고정구(142)가 리프팅됨과 동시에 분할 보호콘크리트가 동반하여 리프팅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압잭(156)은 크레인과 크레인에 연결되는 와이어 또는 후크로 대체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프팅장치에 대한 구조 및 구성에 대하여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도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은 중량체이면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전체를 상승시켜 간극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자칫,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자중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누름콘크리트의 중량을 경감시킨 후 방수보수시공을 하고자 하는 것은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상기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하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를 통하여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들어올리거나 상승시킬 때 자중에 의한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게 한다.
그러나, 제4실시예는 제2, 제3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간극형성단계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차이점이 있다.
즉, 제4실시예에서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에 의하여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중량이 경감되면, 간극형성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브(104)의 하부 또는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상부에 주입공(114)을 형성하고, 이 주입공(114)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곧바로 주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은 방수재가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승강되어 슬라브(104)와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됨과 동시에 주입되는 방수재에 의하여 일정 두께의 방수층(108)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중량을 최소한으로 경감시키고, 주입공(114)을 통하여 주입되는 방수재의 주입압력을 크게 함으로써, 방수재의 주입력으로 간극을 형성하면서 방수재가 주입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제2, 제3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는, 상기 슬라브(104)의 저부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강시켜 슬라브(104) 상부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단계 및 상기 분리공(106)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로 구성된다.
즉, 제5실시예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층(112)에서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하부에 위치한 슬라브(104)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시키고, 이 분리공(106)을 통하여 해당 영역의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강시킴으로써, 보수가 필요한 부분에 간극이 강제적으로 형성되게 한 후, 상기 간극에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간극형성단계에서는, 상기 분리공(106)과 바닥면에 서포트(122)(support)를 설치하되, 상기 서포트(122)는 상부의 승하강부(118)와 하부의 지지부(120)가 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부(118)가 승, 하강하여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강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서포트(122)는 바닥면에 접하도록 지지부(120)가 설치되고, 지지부(120)에 나합되는 상부의 승하강부(118)는 분리공(106)으로 삽입되어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지지하면서, 작업자의 조정에 의하여 승하강부(118)가 승하강하면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들어올리는 리프팅(lifting)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122)가 적용된 실시예는 제2,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나, 제2, 제3실시예는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시킨 상태에서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리프팅하는 것인 반면에, 제4실시예에서는 절개되지 않은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일부 영역을 리프팅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한 분리공(106)과 주입공(114)은 누름콘크리트층(112)의 하부까지 관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분리공(106)을 주입공(114)으로서 활용하여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주입공(114)을 형성하여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102 : 외벽 104 : 슬라브
106 : 분리공 108 : 방수층
110 : 방수보호층 112 : 누름콘크리트층
114 : 주입공 116 : 앵커
118 : 승하강부 120 : 지지부
122 : 서포트 142 : 고정구
144 : 받침부 146 : 스페이서
148 : 고정판 150 : 고정나사
152 : 크로스바 154 : 연결바
156 : 유압잭
200 : 가압부재 202 : 실린더
204 : 피스톤로드 206 : 밀대
208 : 볼트 210 : 고정부재
212 :

Claims (14)

  1. 삭제
  2.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와;
    상기 건물 내부에 가압부재(200)를 고정설치하고, 가압부재(200)의 일부가 분리공(106)을 통과하여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을 가압하여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로부터 일정한 두께의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200)는,
    유압, 공압, 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는 실린더(202)에 의해 피스톤로드(204)가 분리공(106)을 통과하면서 수직 또는 수평 왕복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3.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와;
    상기 건물 내부에 가압부재(200)를 고정설치하고, 가압부재(200)의 일부가 분리공(106)을 통과하여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을 가압하여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로부터 일정한 두께의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200)는,
    일정방향으로 굴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flexible)한 밀대(206)로 구성되어 분리공(106)까지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 표면으로부터의 외측 물체에 접하면서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굴절된 후 직진하면서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4.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와;
    상기 건물 내부에 가압부재(200)를 고정설치하고, 가압부재(200)의 일부가 분리공(106)을 통과하여 방수층(108) 및 방수보호층(110) 또는 방수층(108) 및 누름콘크리트층(112)을 가압하여 외벽(102) 또는 슬라브(104)로부터 일정한 두께의 간극이 형성되게 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간극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200)는,
    상기 분리공(106)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고정설치하여 조임에 의해 분리공(106)을 통과한 볼트(208)가 직진하며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5. 삭제
  6.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하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와;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리프팅(lifting)하여 슬라브(104) 상부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층을 천공하여 주입공(114)을 형성하는 주입공형성단계와;
    상기 주입공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주입공(114)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에 앵커(116)를 설치하고, 이 앵커(116)를 양중기에 고정시켜 상승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에 유압, 공압, 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는 실린더(202)를 고정설치하며, 실린더(202)의 피스톤로드(204)를 승, 하강시켜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직진가압함에 따라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분리공(106) 외주변에 볼트(208)가 체결된 고정부재(210)를 고정설치하여 볼트(208)가 직진하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또는 슬라브(104) 표면에 볼트(208)가 직진가압됨에 따라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슬라브(104)를 천공하여 분리공(106)을 형성하고, 상기 분리공(106)과 바닥면에는 상부의 승하강부(118)와 하부의 지지부(120)가 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부(118)가 승, 하강하는 서포트(122)(support)를 설치하여 슬라브(104) 상부의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하강부(118)가 승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한 쌍이 한 조로서 이격설치되며, 받침턱(142a)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구(142)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양측의 고정구(142)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양측에 제1통공(144a)이 형성된 받침부(144)와, 상기 받침부(144)의 제1통공(144a)으로 돌출된 고정구(142)로 각각 삽입되는 일정 높이의 스페이서(146)와, 상기 스페이서(146)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42)에 동시 삽입되도록 양측에 제2통공(148a)이 형성된 고정판(148)과. 상기 고정판(148)의 제2통공(148a)으로 돌출된 고정구(14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150)와, 상기 다수 개의 받침부(144)와 그 상부의 고정판(148)사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로스바(152)와, 상기 다수 개의 크로스바(152)의 양단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바(154)와, 상기 연결바(154)의 하단과 누름콘크리트층(112) 사이에 삽입되는 유압잭(156)으로 이루어진 가압부재(200)를 상기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 외측과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상부에 설치하고, 유압잭(156)의 가동에 의해 연결바(154)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12.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슬라브(104)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일정 크기로 절개하여 중량을 경감하는 누름콘크리트 절개단계와;
    상기 슬라브(104)의 하부 또는 누름콘크리트층(112)의 상부에 주입공(114)을 형성하고, 이 주입공(114)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하되, 방수재가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절개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이 승강되어 간극이 형성됨과 동시에 일정 두께의 방수층(108)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13. 삭제
  14.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에 있어서,
    슬라브(104)의 저부에 다수 개의 분리공(106)을 천공하는 타공단계와;
    상기 슬라브(104)의 상부에 형성된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강시켜 슬라브(104) 상부에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형성단계와;
    상기 분리공(106)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주입 충진하는 방수재 주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형성단계는,
    상기 분리공(106)과 바닥면에는 상부의 승하강부(118)와 하부의 지지부(120)가 나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승하강부(118)가 승, 하강하는 서포트(122)(support)를 설치하여 슬라브(104) 상부의 누름콘크리트층(112)을 승하강부(118)가 승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KR1020130080624A 2013-05-29 2013-07-09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KR101550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349 2013-05-29
KR20130061349 2013-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69A KR20140140469A (ko) 2014-12-09
KR101550495B1 true KR101550495B1 (ko) 2015-09-04

Family

ID=5245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624A KR101550495B1 (ko) 2013-05-29 2013-07-09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589B1 (ko) 2021-06-21 2022-09-23 송호진 Tpo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라브의 보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84B1 (ko) * 2017-06-23 2018-07-02 구형용 옥상방수 시공방법
KR102364937B1 (ko) * 2021-08-23 2022-02-18 (주)서진이앤씨 콘크리트 건축물 구조체의 슬래브 방수보수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485B1 (ko) 2008-10-01 2009-01-13 주식회사 아키벤 배면주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균열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485B1 (ko) 2008-10-01 2009-01-13 주식회사 아키벤 배면주입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균열보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589B1 (ko) 2021-06-21 2022-09-23 송호진 Tpo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라브의 보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469A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BO20060414A1 (it) Metodo per sollevare un manufatto edilizio.
CN105863287A (zh) 框架结构建筑物顶升增层和隔震方法
KR1015449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1550495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부 방수보수공법
CN204662669U (zh) 一种充气膜建筑底部密封锚固装置
US10443207B2 (en) Pile foundations for supporting power transmission towers
KR101224160B1 (ko) 구조물의 벽체와 외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시공구조 및 방법
CN105297635A (zh) 墩柱施工使用的组装升降式施工平台及其施工法
JP2010126955A (ja) 沈下床の修正工法
KR101066837B1 (ko) 받침기능을 보유하고 탈락방지가 가능한 탈착식 교량용 인상장치
JP2009174281A (ja) 構造物の建て替え方法
CN102359185A (zh) 一种大型钢结构构件与混凝土构件的连接结构及施工方法
KR101580111B1 (ko) 스틸폼을 이용한 잔교식 구조물의 연속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217419647U (zh) 一种预应力施加结构及基坑张弦梁钢拉杆预应力施加节点
JP2014080781A (ja) 曳家工法
KR102100330B1 (ko) 지하외벽 구조체 및 시공방법
KR101493495B1 (ko) Phc말뚝용 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시공방법
KR102364937B1 (ko) 콘크리트 건축물 구조체의 슬래브 방수보수공법
JP5749620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CN209162863U (zh) 一种止水帷幕施工装置及止水帷幕施工设备
JP6395529B2 (ja) 水平修復可能な建物の基礎構造
CN206539038U (zh) 一种建筑施工用顶升装置
CN106320530A (zh) 一种层间连接节点
CN109024643A (zh) 一种止水帷幕施工装置、设备以及止水帷幕施工方法
KR101131631B1 (ko)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조립식교량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