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128B1 -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128B1
KR101550128B1 KR1020140002251A KR20140002251A KR101550128B1 KR 101550128 B1 KR101550128 B1 KR 101550128B1 KR 1020140002251 A KR1020140002251 A KR 1020140002251A KR 20140002251 A KR20140002251 A KR 20140002251A KR 101550128 B1 KR101550128 B1 KR 10155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battery case
vibration
rib
vibration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156A (ko
Inventor
이규형
김남일
박승복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4000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1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02Shape, form of a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케이스;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셀(Cell); 및 셀과 마주하는 배터리 케이스 내벽에 구비되고, 셀의 외면과 접촉하는 셀 지지편이 구비된 내진동 리브; 를 포함하되, 내진동 리브의 셀 지지편 일면이 셀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내진동 리브의 셀 지지편을 통해 셀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진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사이판 삽입이 불필요한 경제적인 구조의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ANTI-VIBRATION RIB EQUIPPED WITH A BATTERY CASE}
본 발명은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케이스 내측에 내진동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내진동 리브의 셀 지지편을 통해 셀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진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사이판 삽입이 불필요한 경제적인 구조의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축전지(Lead Storage Battery)는 2차 전지의 하나로, 양극에 과산화연(Pbo2), 음극에 납(Pbo2) 및 전해액에 묽은 황산용액을 사용하고, 내충격에 강하며 화재시 불에 타지 않는 난연성(V~O급) ABS RESIN 등으로 이루어져 극판과 전해액을 보관하는 전조(Battery Jar) 및 카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축전지는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화학반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반응 물질인 수소와 산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으므로 충전이 필요없고, 전기를 발생시키는 동력원으로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연축전지의 기본적인 구조는, 수소 이온을 통하게 하는 전해질 막, 전해질 막의 양측에 배치된 연료극과 산소극, 전극에서 전기를 꺼내는 집전체, 전극으로의 연료나 산소(또는 공기)의 공급로를 나눔과 동시에 단위 셀 사이를 전기적(電氣的)으로 접속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축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용융탄산염형, 고체산화물형, 인산형 또는 고체고분자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연료의 연소반응없이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유독공해물질의 배출이 없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연축전지는 차량의 종류, 오프로드(Off Road)와 같은 도로조건, 마운팅 방법 등 사용환경에 따라서 셀(Cell) 내부의 진동분포가 다양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셀이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의 경우, 내벽에 셀의 긴압(Pressure) 유지를 위한 약 2㎜ 두께의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바, 진동이 심한 오프로드(Off Road)와 같은 사용환경에서 효과적인 내진동 성능의 보장이 어려워 셀이 손상되거나 전해액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필요 시(時), 셀에 대한 내진동을 위해 별도의 사이판을 삽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케이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1165511호, 등록특허 제10-1321371호 등이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 케이스 내측에 내진동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내진동 리브의 셀 지지편을 통해 셀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진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사이판 삽입이 불필요한 경제적인 구조의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셀(Cell)과, 상기 셀과 마주하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 내벽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케이스 내벽으로부터 셀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가 구비된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에 셀의 외면과 밀접되는 셀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셀 지지편의 높이는 상기 지지돌기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에 의하면, 배터리 케이스 내측에 내진동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내진동 리브의 셀 지지편을 통해 셀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진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사이판 삽입이 불필요한 경제적인 구조의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셀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내에 셀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는 바,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르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게재되는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셀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내에 셀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100)에 의하면, 배터리 케이스(100)와, 셀(110)과, 배터리 케이스(100) 내벽에 구비되어 셀(110)을 지지하는 내진동 리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터리 케이스(100)는 전·후·좌·우 측면을 이루는 벽면(102)에 의해 셀(11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04)이 마련된다.
수납공간(104)은 배터리 케이스(100)의 양측 에 각각 고정되어 직립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108)에 의해 구획되어 셀(110)의 수납공간(104)을 분할할 수 있다.
수납공간(104)에 셀(110)은 ⅰ)격리판 사이에 양극판이 적층된 극판조립체를 구비 → ⅱ)극판조립체 일면에 음극판을 구비하여 일정 개수만큼 적층 → ⅲ)지그에 차입 → ⅳ)양극판 및 음극판의 이부에 플락스를 도포하여 건조 → ⅴ)양극판 및 음극판의 이부를 동일 극끼리 납용착하는 C.O.S 몰딩 수행 등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내진동 리브(120)는 셀(110)과 마주하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내벽(106)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구조로 마련된다.
내진동 리브(120)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내벽(106)으로부터 셀(110)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셀(110)의 외면과 밀접되어 셀(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내진동 리브(120)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내벽(106)에 셀(110)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22)와, 지지돌기(122)의 단부에 구비되는 셀 지지편(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돌기(122)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격벽(108)에 의해 구획된 셀(110)의 수납공간(104) 측에 구비된다.
지지돌기(122)의 높이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납되는 셀(110)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지지돌기(122)의 높이는 셀(1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함이 적절하다.
지지돌기(122)의 돌출폭(D1)은 일단부에 구비되는 셀 지지편(124)과 배터리 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4)에 수납되는 셀(110)과의 거리(D2)를 고려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지돌기(122)가 셀(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나치게 돌출 형성된 경우에는 셀(110)을 수납공간(104)에 수납할 수 없고, 짧게 형성된 경우에는 셀(110)을 지지할 수 없는 바, 셀(110)과의 적정 거리를 설정하여 구비하도록 한다.
지지돌기(122)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배터리 케이스(10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몸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돌기(122)의 두께(T1)는 셀(110)과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셀(110)과의 거리 대비 산정하여 설계되도록 한다.
셀 지지편(124)은 셀(110)의 수납공간(104) 측에 구비된 지지돌기(122)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셀 지지편(124)의 두께(T2)는 배터리 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4)에 수납되는 셀(110)과의 거리(D2)를 고려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셀 지지편(124)의 두께(T2)는 셀(110)과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셀(110)과의 거리 대비 산정하여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셀 지지편(124)의 두께가 너무 두꺼울 경우에는 셀(110)을 수납공간(104)에 수납할 수 없고, 얇게 형성된 경우에는 셀(110)을 지지할 수 없는 바, 셀(110)과의 적정 거리를 설정하여 구비한다.
셀 지지편(124)은 셀(110)의 높이(H)를 고려하여 수직하는 방향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지지돌기(12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되도록 한다.
셀 지지편(124)의 길이를 지지돌기(12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100)의 개구부에 덮개(미도시)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셀 지지편(124)은 배터리 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4)에 수납되는 셀(110)의 외면과 밀접될 수 있도록 판상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셀 지지편(124)은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배터리 케이스(100) 및 지지돌기(122)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몸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100)에 의하면, 배터리 케이스(100) 내측의 셀(11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04)에 내진동 리브(120)를 구비함으로써, 내진동 리브(120)의 셀 지지편(124)을 통해 셀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진동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사이판 삽입이 불필요한 경제적인 구조의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배터리 케이스, 102 : 벽면,
104 : 수납공간, 106 : 내벽,
108 : 격벽, 110 : 셀,
120 : 내진동 리브, 122 : 지지돌기,
124 : 셀 지지편, D1 : 지지돌기 돌출폭,
D2 : 배터리 케이스 내벽과 셀 외면 거리, T1 : 지지돌기 두께,
T2 : 셀 지지편 두께.

Claims (4)

  1.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셀(Cell)과, 상기 셀과 마주하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 내벽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케이스 내벽으로부터 셀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가 구비된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단부에 셀의 외면과 밀접되는 셀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지지편의 높이는 상기 지지돌기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KR1020140002251A 2014-01-08 2014-01-08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KR10155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51A KR101550128B1 (ko) 2014-01-08 2014-01-08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51A KR101550128B1 (ko) 2014-01-08 2014-01-08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56A KR20150083156A (ko) 2015-07-17
KR101550128B1 true KR101550128B1 (ko) 2015-09-04

Family

ID=5387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251A KR101550128B1 (ko) 2014-01-08 2014-01-08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9694A (zh) * 2017-11-28 2018-03-13 力信(江苏)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电芯抗挤压性能的电池结构
KR102366507B1 (ko) * 2018-06-26 2022-0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523078B1 (ko) * 2020-09-09 2023-04-18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이중 구조를 갖는 납축전지 전조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중구조 납축전지 전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3Y1 (ko) 2004-07-27 2004-10-21 주식회사 에이코 축전지용 리브 전조
KR100637519B1 (ko) * 2005-07-08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2113898A (ja) * 2010-11-23 2012-06-14 Denso Corp 電池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3Y1 (ko) 2004-07-27 2004-10-21 주식회사 에이코 축전지용 리브 전조
KR100637519B1 (ko) * 2005-07-08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2113898A (ja) * 2010-11-23 2012-06-14 Denso Corp 電池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56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4499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搭載する車両
CN107534107B (zh) 电池组及其制造方法
US20110200865A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180047948A1 (en) Battery cell
KR102411235B1 (ko) 셀 억제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826135B2 (en) Battery pack
KR101275785B1 (ko) 이차 전지
KR20110045304A (ko) 이차 전지
JP6583667B2 (ja) 鉛蓄電池
CN112531299B (zh) 一种安装座、电池及用电设备
KR101550128B1 (ko)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JP2010257652A (ja) バッテリパック
KR20130053026A (ko) 이차전지
CN216213915U (zh) 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JP2020035692A (ja) 電池
US11038245B2 (en) Battery wiring module
CN219658850U (zh) 电池以及用电装置
CN216872177U (zh) 电池箱体上盖、电池箱体、电池及用电设备
US10938014B2 (en) Battery wiring module
KR20160144764A (ko) 배터리 팩
CN114223091A (zh) 电池包
CN116249652A (zh) 连接部件、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JP2011034730A (ja) 電池パック
KR20210033806A (ko) 납축전지의 격리판 두께 변동이 가능한 두께 변동 격리판
CN220796902U (zh) 端盖组件、单体电池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