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650B1 -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650B1
KR101549650B1 KR1020090070232A KR20090070232A KR101549650B1 KR 101549650 B1 KR101549650 B1 KR 101549650B1 KR 1020090070232 A KR1020090070232 A KR 1020090070232A KR 20090070232 A KR20090070232 A KR 20090070232A KR 101549650 B1 KR101549650 B1 KR 101549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cking
nonwoven fabric
carpet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495A (ko
Inventor
방희동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6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Carpe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플록킹 카페트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 유리섬유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는 기포층이 종래의 유리섬유 직물 대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리섬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극, 피부장애, 호흡곤란, 구역, 구토, 설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가격이 유리섬유 직물 가격의 2/5 수준임을 감안할때 제조단가가 낮아 종래의 플록킹 카페트보다 더 뛰어난 가격 경쟁력을 가진다.
플록킹 카페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올레핀 코팅, 식모,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

Description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Flocking carp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포층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페트(Carpet)는 오래전부터 실내 바닥재로 사용되어오고 있는데, 카페트의 파일층을 수직(手織) 또는 제직(製織) 한 경우 카페트의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들이 루프(Loop)형이거나 경사진 직립형으로 되어 있고 섬유의 밀도가 높지 않아 섬유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카펫은 먼지나 진드기가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인체에 이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가 등장하였는데,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는 정전기를 이용해 원사(原絲)를 수직으로 세우는 플로킹(Flocking) 공법을 사용해 파일층의 섬유가 일반 카펫의 10배 이상인 8000만/m²개의 고밀도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고밀도 구조로 인해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는 조직이 치밀해 오염 물질의 침투와 진드기, 박테 리아의 번식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물청소도 가능해 카펫의 위생성에 대한 우려를 해결하였고, 또한 원사가 독립된 수직구조로 돼 있어 일반 카펫처럼 올이 쉽게 풀리지 않아 항상 새것 같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플록킹 카페트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85632호에는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이용하여 플록킹 카페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플록킹 카페트(100)는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10)과, 나일론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시켜 형성한 파일층(20),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30), 유리섬유층(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의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미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를 바닥에 시공하는 경우,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이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비록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을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는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은 뛰어나나 유리섬유 직물의 높은 가격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고 작업시 간지럼움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유리섬유 직물(Fiberglass Fabric)에 대해 좀더 살펴보면, 유리섬유가 호흡기에 흡입되거나 피부와 접촉되는 경우 자극, 피부장애,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고, 섭취되는 경우 구역, 구토,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한국산업안전공단, 유리섬유 직물에 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aterial Safety Data Sheet)]). 특히, 플록킹 카페트가 주로 상업시설, 관공서, 병원, 유아시설, 복지시설 등에 사용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기포층의 유리섬유 직물을 좀더 안전한 소재로 바꿀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포층이 유리섬유 직물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소재로 이루어지고,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 플록킹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 유리섬유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플록킹 카페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b)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파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제 1 고분자 패드층, 유리섬유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의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상부면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는 기포층이 종래의 유리섬유 직물 대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리섬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극, 피부장애, 호흡곤란, 구역, 구토, 설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가격이 유리섬유 직물 가격의 2/5 수준임을 감안할때 제조단가가 낮아 종래의 플록킹 카페트보다 더 뛰어난 가격 경쟁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포층이 유리섬유 직물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소재로 이루어지고,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 플록킹 카페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플록킹 카페트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포함한다.
기포층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들이 스펀본드 방식, 멜트브라운 방식, 니들펀칭 방식 및 수분사교락방식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방식으로 웹(Web) 형태로 접합된 구조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 방식으로 제조되어 강도가 뛰어난 PET(Polyethylene terphethalate) 부직포가 사용된다. 기포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60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평량이 60 g/㎡ 미만인 경우 부직포가 너무 얇아 상부면에 올레핀을 코팅(후술하는 내용 참조)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파일층을 형성하는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식모 하는데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부직포 평량의 상한에는 제한이 없으나, 부직포의 원료 및 제조방법 등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상부면이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다. 부직포 상부면에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식모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섬유)를 부착시킨 후 정전기장을 이용하여 섬유를 세워 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올레핀 코팅되지 않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가 부직포 표면을 투과하여 아래로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접착제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부직포의 상부면을 코팅하는데 사용되는 올레핀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작업성이 편리한 폴리에틸렌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파일층
파일층은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형성되며, 카페트 원단의 표면을 구성하고, 카페트 제품에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일론 섬유는 화재 발생시 스스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기소화성(Self-extinguishing property)을 가지므로,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로 나일론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플록킹 카페트의 내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길이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하게는 1~5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의 길이가 1 ㎜ 미만이면 플록킹 카페트의 쿠션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섬유의 길이가 5 ㎜를 초과하면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한 식모 과정에서 섬유간의 간섭 현상이 일어나 파일층의 섬유를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50 데니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데니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의 섬도가 5 데니어 미만이면 너무 가늘어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한 식모가 어려워질 수 있고, 섬유의 섬도가 50 데니어를 초과하면 기포층의 단위면적당 식모 할 수 있는 섬유수가 제한되고 파일층의 섬유수 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플록킹 카페트로부터 발현되는 특성(오염물질의 침투 차단, 진드기, 박테리아의 번식 차단, 물청소 가능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파일층의 식모 섬유수는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6 천만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8천만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식모 섬유수가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6천만개 미만이면 파일층을 형성하는 섬유 사이의 공간이 커져서(즉, 섬유수 밀도가 낮아져서), 플록킹 카페트로부터 발현되는 특성(오염물질의 침투 차단, 진드기, 박테리아의 번식 차단, 물청소 가능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식모 섬유수의 상한에는 제한이 없으나,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 길이 및 플록가공(Flocking)의 공정조건들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지지층
지지층은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형성되며,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진다. 이중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플록킹 카페트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유리섬유층은 플록킹 카페트에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부여한다.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작업성, 경제성, 및 범용성을 고려할 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발포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유리섬유층에 의해 구현되는 플록킹 카페트의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바닥에 시공된 플록킹 카페트를 사용자가 밟았을 때 탄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감각을 편안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록킹 카페트가 실제 바닥에 적용되는 경우 크게 타일 타입(Tile type)과 롤 타입(Roll type)으로 나뉘는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비발포체 형태인 경우 주로 타일 타입(Tile type)으로 가공되고, 이 경우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이 비발포체 형태인 경우 주로 롤 타입(Roll type)으로 가공되고, 이 경우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의 중요도가 떨어져서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지지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을 가지는 플록킹 카페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강도(평균 평량이 약 80 g/㎡ 임)가 유리섬유 직물의 강도(평균 평량이 약 170 g/㎡ 임)보다 작기 때문에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지층은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 사이에 유리섬유 직물이 함침되어 있는 형태의 유리섬유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층은 유리섬유 직물로 형성된 기포층과 달리 두개의 고분자 패드층에 갇혀 있어서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를 바닥에 시공하는 경우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으므로, 유리섬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극, 피부장애, 호흡곤란, 구역, 구토, 설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층에 사용되는 유리섬유 직물은 평량에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 플록킹 카페트에서 기포층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 직물보다 단위면적당 위사 및 경사의 수가 더 작은 느슨한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종래 플록킹 카페트에서 기포층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 직물의 평량은 약 170 g/㎡ 인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보다 더 작은 평량을 가진 유리섬유 직물로 유리섬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유리섬유 직물을 기포층으로 사용하는 플록킹 카페트와 거의 동일한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앞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일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은 (a)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b)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나일론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레이온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파일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의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 단계의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상부면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아크릴계 접작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b) 단계에서 파일층을 형성하는 섬유는 염색(침염)된 섬유인 것이 바람직한데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되는 경우 색깔을 나타내어 플록킹 카페트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을 날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원하는 문양을 파일층에 프린트 함으로써 플록킹 카페트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c) 단계에서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키는 공정은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블레이드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에서 선책되는 코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중, 콤마 코터(comma coater)는 높은 점도를 가진 용액 또는 페이스트를 코팅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
실시예 1.
스펀본드 PET 부직포(평량 : 80 g/㎡)의 상부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라미네이트 방법으로 코팅시켜 기포층을 제조하였다. 기포층의 상부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시키고, 여기에 나일론 섬유(길이 : 2~4 ㎜, 섬도 : 10~20 데니어)를 접착시킨 후 고전압의 정전기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접착된 섬유를 수직으로 식모하여 파일층을 형성하였다. 파일층을 로터리 스크린 프린터(프린트 속도 : 12 m/min) 로 염색(날염)하고, 콤타코터(코팅 속도 : 3 m/min)를 이용하여 기포층의 하부면에 PVC 수지, 유리섬유 직물(평량 : 150 g/㎡), PVC 수지를 차례로 코팅하여 지지층을 형성하여 플록킹 카페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부면에 폴리에틸렌 수지가 코팅되지 않은 유리섬유 직물(평량 : 170 g/㎡)을 기포층으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플록킹 카페트를 제조하였다.
2. 플록킹 카페트의 물성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플록킹 카페트의 기포층 단위 면적당 식모수, 치수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치수 안정성의 측정은 KSK 2621 7.8항의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구체적으로 가로 50㎝, 세로 50㎝의 샘플을 일정시간 물속에 방치한 후 꺼내어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아래의 식으로 치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치수변화량(%) = (I-Io)의 절대값*100/Io
여기서, Io는 최초 샘플의 길이이고, I는 건조 후 샘플 길이이다.
구분 기포층 단위 면적당 식모수(개수/㎡) 치수 변화량(%)
실시예 1 8천만 0.15
비교예 1 8천만 0.1
표 1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플록킹 카페트는 비교예 1의 플록킹 카페트와 마찬가지로 뛰어난 형태 안정성(치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도 1은 유리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층을 가진 일반적인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록킹 카페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2)

  1.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
    플록가공(Flocking)에 의해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 및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포함하며,
    상기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상부면이 올레핀 수지로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층의 섬유는 나일론 섬유이며,
    상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길이는 1~5 ㎜이고, 섬도는 5~5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의 식모 섬유수는 기포층의 제곱미터 면적당 6 천만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6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패드층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은 발포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
  7. (a)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포층(110)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b) 접착제가 도포된 기포층의 상부면에 나일론 섬유를 플록가공(Flocking)으로 식모하여 파일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섬유가 식모된 기포층의 하부면에 제1 고분자, 유리섬유 직물, 및 제 2 고분자를 순서대로 코팅시켜 제 1 고분자 패드층(130), 유리섬유층(140), 및 제 2 고분자 패드층(15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지지층(1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의 제 1 고분자 및 제 2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이며,
    상기 (a) 단계의 기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는 상부면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아이소부틸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올레핀 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기포층의 상부면에 식모된 섬유로 이루어진 파일층(120)을 날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록킹 카페트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70232A 2009-07-30 2009-07-30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KR101549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32A KR101549650B1 (ko) 2009-07-30 2009-07-30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32A KR101549650B1 (ko) 2009-07-30 2009-07-30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95A KR20110012495A (ko) 2011-02-09
KR101549650B1 true KR101549650B1 (ko) 2015-09-03

Family

ID=4377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32A KR101549650B1 (ko) 2009-07-30 2009-07-30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42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금진 플로킹 카펫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730B1 (ko) * 2012-09-28 2013-11-14 주식회사 피앤씨 친환경 경량 카페트 타일
CN103271619A (zh) * 2013-05-31 2013-09-04 杭州墨阳科技有限公司 一种竹炭脚垫的制备方法
KR101841815B1 (ko) 2015-07-28 2018-05-04 주식회사 주노데코 빅볼사로 루프를 형성한 카페트직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104A (ja) * 2004-01-27 2005-08-11 Suminoe Textile Co Ltd 燃焼安全性に優れたクッション性タイルカーペ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8245825A (ja) * 2007-03-29 2008-10-16 Sanikleen Corp レンタル用タイル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104A (ja) * 2004-01-27 2005-08-11 Suminoe Textile Co Ltd 燃焼安全性に優れたクッション性タイルカーペ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8245825A (ja) * 2007-03-29 2008-10-16 Sanikleen Corp レンタル用タイル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42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금진 플로킹 카펫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7572B1 (ko) 2019-06-28 2021-07-15 주식회사 금진 플로킹 카펫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95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595B2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s
KR101403302B1 (ko) 터프티드 부직포 및 본디드 부직포
US8695151B2 (en) Covers for paint rollers
JP2000505845A (ja) 装飾複合床敷物
US20100260966A1 (en) Dimensionally-Stabilized Cushioned Carpet Til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1623425B2 (en) Carrier material for vinyl floor covering
US20130273297A1 (en) Fabric-Faced Floor Coverings with Micro-Spring Face Structures
KR101549650B1 (ko)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TW415983B (en) Modified secondary backing fabric,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carpet containing the same
WO2019059573A2 (ko) 인발강력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4249B1 (ko) 복합 원단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JP5356268B2 (ja) クッション性のあるタイルカーペット
WO1997001665A1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s
EP3030417A1 (en) Vinyl floor covering
KR20140003667U (ko) 부직포 바닥재
KR20210148553A (ko) 경량화 매트 구조체
JP2008188202A (ja) 防水性及び通気性のあるカーペット
JP2006183161A (ja) 交織織地およびその用途
JPH10155633A (ja) カーペット
JP2001161541A (ja) タフテッド製品
CA2668084C (en) Covers for paint rollers
Same Inventor: Gabino, Luciano Assignee: Alpe Adria Textil SRL Document Number: EP1245708
CA2927613A1 (en) Vinyl floor covering
ITTO980070U1 (it) Tappeto a pelo tagliato e/o imboccolato avente caratteristiche antisci volo, particolarmente tappeto da bagno.
MXPA98005886A (en) Modified fabric of secondary backrest, metodopara the manufacture of the same and carpet quecontain the 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