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255B1 -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255B1
KR101549255B1 KR1020090010998A KR20090010998A KR101549255B1 KR 101549255 B1 KR101549255 B1 KR 101549255B1 KR 1020090010998 A KR1020090010998 A KR 1020090010998A KR 20090010998 A KR20090010998 A KR 20090010998A KR 101549255 B1 KR101549255 B1 KR 10154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igh voltage
vacuum
filling
voltag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687A (ko
Inventor
김성윤
강채홍
김지성
지응서
손시호
하우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2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32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기포 존재 및 밀도 저하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는 복수의 전극이 장착된 코어금형과,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코어금형을 감싸며 하단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공기배출구가 복수 개 형성된 캐버티 금형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충진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시스템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된 상기 충진공간 내부에 채워진 충진물에 압력을 가하는 보압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를 이용한 슬리브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진공시스템을 가동하여 상기 충진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주입구로 충진물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충진물이 상기 충진공간에 채워지면 진공시스템을 정지시키고 보압시스템을 작동하여 충진물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 슬리브, 진공시스템, 보압시스템, 역구배구간

Description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Sleeve Manufacture Apparatus Of Super High Voltage Cable Connect Box and The Sleeve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기포 존재 및 밀도 저하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용 슬리브에 액상고무를 충진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사전에 제작된 고압전극(11)과 차폐전극(13)을 코어 금형(10)에 장착한 후, 캐버티 금형(20)의 중심에 코어 금형(10)을 장착하고, 캐버티 금형(20)에 형성된 주입구(21)를 통해 액상고무를 캐버티 금형(20)의 내부에 충진한다.
그러면 이미 코어 금형(10)에 장착된 고압전극(11)과 차폐전극(13) 바깥쪽에 액상고무가 채워지며, 이 상태에서 고온 고압을 가하면 액상고무는 가교반응을 일으키며 경화된다. 이후 경화되어 형성된 슬리브를 서서히 냉각시키고 금형에서 탈 형하여 슬리브로 제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고무는 주입구(21)를 통해 충진되면 캐버티 금형(20) 안쪽의 충진공간(25) 하부에서부터 채워진다. 액상고무는 캐버티 금형(20)과 코어 금형(10)이 형성하는 충진공간(25)에 채워지면서 점차 상승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전극(11)의 하단부와 상부에 위치한 차폐전극(13)의 안쪽은 역구배구간(15)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 액상고무가 완전 충진되지 않게 된다. 즉 충분한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 역구배구간에 기포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액상고무가 충진된 후 경화공정이 진행되면서 액상고무가 열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액상고무가 캐버티 금형(20)의 상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22)를 통해 넘치게 된다. 상기 액상고무가 넘친 양만큼 제조된 슬리브의 밀도는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에 따르면, 역구배구간에 기포가 형성되고, 슬리브의 재료가 넘쳐 제품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캐버티 금형과 코어 금형 사이에 액상고무가 채워짐에 있어 역구배구간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액상고무가 넘치지 않도록 압력을 가해 제품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구성한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는 복수의 전극이 장착된 코어금형과,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코어금형을 감싸며 하단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공기배출구가 복수 개 형성된 캐버티 금형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충진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시스템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된 상기 충진공간 내부에 채워진 충진물에 압력을 가하는 보압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배출구 각각에는 연결구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구에 상기 진공시스템 및 상기 보압시스템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를 이용한 슬리브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진공시스템을 가동하여 상기 충진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주입구로 충진물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충진물이 상기 충진공간에 채워지면 진공시스템을 정지시키고 보압시스템을 작동하여 충진물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공간의 진공을 0.1 내지 1.0torr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물을 50 내지 100bar로 가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은 캐버티 금형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캐버티 금형과 코어 금형의 사이에 형성된 충진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역구배구간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하며, 또한 액상고무가 채워진 후에는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가압하여 액상고무의 열팽창 시에 공기배출구를 통해 넘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를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케이 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버티 금형(20)과 코어 금형(10)이 형성하는 충진공간(25)에 액상고무가 채워지면서 충진공간(25)의 공기가 캐버티 금형(20)의 상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캐버티 금형(20)의 안쪽에는 코어 금형(10)이 위치하며, 코어 금형(10)의 길이 중간에는 고압전극(11)이 장착되고, 상기 고압전극(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차폐전극(13)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역구배구간(15)은 고압전극(11)의 하단부와 상부 차폐전극(13)의 하단부이다.
한편, 캐버티 금형(20)의 공기배출구(22)에는 진공시스템(110)과 보압시스템(120)이 각각 연결될 수 있게 연결구(111, 12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111, 121)에는 밸브(113, 123)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구(111, 121)에는 진공시스템(110)과 보압시스템(120)이 각각 연결되며, 연결구(111, 121)에 장착된 밸브(113, 123)를 개폐함으로써, 충진공간(25)의 압력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리브 제조장치를 이용한 슬리브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캐버티 금형(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주입구(21)로 공기를 주입하기 이전에, 공기배출구(22)에 연결된 진공시스템(110)을 가동하여 캐버티 금형(20)의 내부를 진공 조건으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주입구(21)를 통해 액상고무를 주입하면 액상고무가 충진공간(25)에 채워지면서 액상고무의 상면이 상승한다. 이때 액상고무가 역구배구간(15)에 채워지더라도 빈공간 없이 액상고무가 완전하게 충진된다.
액상고무가 공기배출구(22)에 도달하면 진공시스템(110)을 정지하고 진공시스템(110)에 연결된 연결구(111)의 밸브(113)를 잠금하여 차단하고, 보압시스템(120)을 작동시켜 충진공간(25)의 내부압력이 50 내지 100bar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충진공간(25)의 내부압력을 50 내지 100bar를 유지함으로써, 충진된 액상고무가 열팽창하더라도 보압시스템(120)에서 가하는 압력으로 넘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가교반응 후의 액상고무의 밀도를 증가시킨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를 이용한 슬리브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버티 금형(20)의 연결구(111, 121)에 진공시스템(110)과 보압시스템(120)을 연결한다(S10).
그리고 진공시스템(110)을 가동시켜 캐버티 금형(20) 내부의 충진공간(25)을 0.1~1.0 torr의 진공상태로 유지한다(S20). 여기에서 0.1torr 미만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진공시스템(110)의 용량이 크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1.0 torr를 초과하게 되면 역구배구간(15)에 기포가 존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상태에서 캐버티 금형(20)의 하부에 형성된 주입구(21)를 통해 액상고무를 주입한다. 그러면 액상고무는 충진공간(25)의 내부를 채우면서 상승하게 되고, 결국 액상고무가 충진공간(25)을 채워 공기배출구(22)에 이르면(S30), 진공시스템(110)의 작동을 중지하고, 보압시스템(120)을 작동하여 채워진 액상고무에 압력을 가한다(S40). 이때 가해지는 압력은 최소 50~100bar 이상이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압력을 50bar 미만으로 가압하면 액상고무가 열에 의해 팽창하는 압력보다 작아 액상고무의 밀도가 떨어지며, 100bar를 초과한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해서는 보압시스템(120)의 용량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가압된 상태에서 액상고무는 가교반응을 하면서 슬리브가 제조된다(S50).
앞에서 충진공간(25)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충진공간(25)에 액상고무가 채워지면서 상부 차폐전극(13)과 고압전극(11)의 역구배구간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액상고무가 충진공간(25)에 채워진 상태에서 보압시스템(120)을 작동하여 액상고무를 가압하는 것은 액상고무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도 1은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용 슬리브에 액상고무를 충진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를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코어 금형 11 : 고압전극
13 : 차폐전극 15 : 역구배구간
20 : 캐버티 금형 21 : 주입구
22 : 공기배출구 25 : 충진공간
110 : 진공시스템 111, 121 : 연결구
113, 123 : 밸브 120 : 보압시스템

Claims (5)

  1. 복수의 전극이 장착된 코어 금형(10)과,
    내부에 충진공간(25)이 형성되도록 상기 코어금형을 감싸며 하단에는 주입구(2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공기배출구(22)가 복수 개 형성된 캐버티 금형(20)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충진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시스템(110)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된 상기 충진공간 내부에 채워진 충진물에 압력을 가하는 보압시스템(12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배출구에는 밸브(113, 123)를 각각 구비한 연결구(111, 121)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구에 상기 진공시스템(110) 및 상기 보압시스템(12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2. 삭제
  3. 복수의 전극이 장착된 코어금형과,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코어금형을 감싸며 하단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공기배출구가 복수 개 형성된 캐버티 금형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되어 상기 충진공간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진공시스템과, 상기 공기배출구에 장착된 상기 충진공간 내부에 채워진 충진물에 압력을 가하는 보압시스템을 포함하는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를 이용한 슬리브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진공시스템을 가동하여 상기 충진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주입구로 충진물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충진물이 상기 충진공간에 채워지면 진공시스템을 정지시키고 보압시스템을 작동하여 충진물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진공간의 진공을 0.1 내지 1.0torr를 유지하며,
    상기 충진물을 50 내지 100bar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90010998A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 KR10154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98A KR101549255B1 (ko)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98A KR101549255B1 (ko)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87A KR20100091687A (ko) 2010-08-19
KR101549255B1 true KR101549255B1 (ko) 2015-09-02

Family

ID=4275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998A KR101549255B1 (ko) 2009-02-11 2009-02-11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309B1 (ko) * 2010-10-14 2012-01-25 대한전선 주식회사 종단접속함의 절연유 주입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어댑터
KR101290762B1 (ko) * 2012-05-02 2013-07-29 주식회사 루프 잔사가스 배출용 릴리프밸브를 구비한 케이블 엔드캡
RU2568666C1 (ru) * 2014-12-12 2015-1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Федеральная сетевая компания Единой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астомерного узла выравн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оля для кабельной муфт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87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6311B (zh) 用于通过高压树脂传递模塑来由塑料制造复合材料构件的方法和所属的高压树脂传递模塑模具
JP4825899B2 (ja) 繊維強化樹脂の製造方法、繊維強化樹脂の製造装置
US9457503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molded article of fiber-reinforced plastic
KR101549255B1 (ko)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슬리브 제조장치 및 슬리브 제조방법
JP6133250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23130B1 (ko) 진공 사출성형장치
US9238312B2 (en) Plastic injection mould with inner air extraction and extraction method for extracting the air carried out with said mould
JP2010165938A (ja) 樹脂封止装置
KR20170010987A (ko) 타이어 가류기의 분사노즐 장치
JP6133879B2 (ja) 相変化を生じる体積減少材を用いて電子部品を封止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2602010A (zh) 一种用于方形薄壁平板件rtm单向注射成形的装置及方法
KR101742953B1 (ko) 고압주조용 오버플로우 벤팅 시스템
KR100754277B1 (ko) 에폭시수지 진공가압 클램핑 머신(apg)용 성형장치
JPH11121487A (ja) 半導体素子の樹脂封止装置
KR20100041087A (ko) Eva제품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2417278B1 (ko) 주형 우레탄용 사출장치
KR102261932B1 (ko) 주형 우레탄용 사출장치
KR101953260B1 (ko) 수지역류 가스 인젝션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JP2012170965A (ja) 減圧鋳造装置
KR101608206B1 (ko) 몰딩용 콜드런너 노즐의 누수검사장치
KR101445728B1 (ko) 수지성형물 성형몰드
KR101091712B1 (ko) 그린타이어 가류장치
KR100534729B1 (ko) 사형 주조 공법용 가압식 압탕 장치
KR200364203Y1 (ko) 타이어 가류용 브래더금형
JP2005053165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硬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