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223B1 - 선박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223B1 KR101549223B1 KR1020130078911A KR20130078911A KR101549223B1 KR 101549223 B1 KR101549223 B1 KR 101549223B1 KR 1020130078911 A KR1020130078911 A KR 1020130078911A KR 20130078911 A KR20130078911 A KR 20130078911A KR 101549223 B1 KR101549223 B1 KR 101549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gas
- support
- transfer line
- helideck
- 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데크 등의 선상 구조물 상에 생성된 결빙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원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며, 상기 헬리콥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헬리데크; 및 상기 열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지지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배기가스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빙용 선박 등 0℃ 이하의 저온 환경에서 운항되는 선박의 경우, 갑판 등의 구조물에 눈이 쌓이거나, 수분이 얼어서 결빙이 생성되기 쉽다.
특히, 상기 선박에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있는 헬리데크가 탑재된 경우, 상기 헬리데크상에 눈이 쌓이거나 결빙이 생성된 후 제거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면 헬리콥터가 착륙을 시도할 때 눈이나 결빙에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헬리데크에 별도의 열원을 탑재하여 헬리데크상에 있는 눈 또는 결빙을 제거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으나, 이렇게 별도의 열원을 탑재하면 그만큼 설비 마련을 위한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열원을 구동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데크 등의 선상 구조물 상에 생성된 결빙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폐열 재활용 선박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원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며, 상기 헬리콥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헬리데크; 및 상기 열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지지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배기가스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에는 상기 열원에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가 제공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펀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은 분지되어 상기 펀넬에 연결되는 선박 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헬리콥터가 안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격벽의 일측 공간으로부터 타측 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기구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선박 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은 복수 개의 상기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선박 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일측을 밀폐하여 상기 지지체의 일측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도입벽을 포함하고, 상기 도입벽에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이 접속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이 연결되는 상기 지지체의 타측을 차폐하며, 상기 지지체 내부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벽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에 결빙이 생겼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결빙감지부;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에 제공되며,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결빙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빙감지부는, 상기 지지체에 결빙이 생긴 경우에는 생성된 결빙의 양을 감지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열원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헬리데크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열원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압축기에서 압축하여 상기 헬리데크의 지지체 내부로 공급하는 선박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리데크에 결빙이 생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헬리데크 상에 결빙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열원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선박에 제공되는 펀넬을 통해 상기 선박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리데크에 생성된 결빙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결빙의 양에 따라 상기 헬리데크로 제공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에 탑재된 헬리데크 등의 구조물 상에 결빙 등이 생성되었을 때, 엔진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상기 결빙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결빙 제거를 위해 별도의 열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비용 및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헬리데크의 내부 구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 지지체에 공급라인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 지지체의 공급라인이 연결된 측의 반대측 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상부 지지체의 중간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헬리데크의 내부 구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 지지체에 공급라인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 지지체의 공급라인이 연결된 측의 반대측 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상부 지지체의 중간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체, 선체에 설치되며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있는 헬리데크(10), 선박(1)에 포함되고, 고열의 배기가스 등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20), 열원(2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라인(202)과 펀넬(220), 헬리데크(10)에 배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210), 및 압축기(210)로부터 압축된 배기가스를 헬리데크(1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2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라인(202), 압축기(210) 및 공급라인(204)을 통틀어서, 배기가스 이송라인이라고 부를 수 있다.
열원(20)은 연료를 소모하면서 선박(1)의 운항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일 수 있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250℃ ~ 400℃ 정도의 고열의 배기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원(20)이 선박(1)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열원(20)은 선박(1)에 포함된 발전기 또는 터빈일 수 있고, 선박에 포함되면서 고열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든 열원(20)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선박(1)이 0℃ 이하의 저온 환경에서 운항되는 경우, 헬리데크(10) 상에 결빙(2)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결빙(2)이 제거되지 않으면 헬리데크(10)에 헬리콥터가 착륙할 때 결빙(2)에 의해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빙(2)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결빙(2)을 제거하기 위해 헬리데크(10)에 별도의 열원을 탑재하여 헬리데크(10) 상에 있는 결빙(2)을 제거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으나, 이렇게 별도의 열원을 탑재하면 그만큼 설비 마련을 위한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열원을 구동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열원(20)에서 발생되는 고열의 배기가스를 결빙(2)이 생성된 헬리데크(10)로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결빙(2)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열원(2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활용하여 헬리데크(10) 상의 결빙(2)을 제거하기 위한 선박(1)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의 헬리데크(10)의 내부 구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상부 지지체(110)에 공급라인(204)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상부 지지체(110)의 공급라인(204)이 연결된 측의 반대측 면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상부 지지체(110)의 중간 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열원(20)의 배기가스가 발생하는 배출구에 배기라인(202)이 접속되고, 배기라인(202)은 분기점(201)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점(201)에서 배기라인(202)은 두 개의 라인으로 갈라지고, 한 쪽 라인은 압축기(210)에 연결되며, 다른 쪽 라인은 펀넬(220)로 연결될 수 있다. 두 라인은 각각 밸브(203, 205)를 포함할 수 있고, 밸브(203, 205)는 각각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 또는 개도량 등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기라인(202)은 세 개 이상의 라인으로 분기되는 것도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기점(201)을 복수 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기(210)는 공급라인(204)의 일단측과 연결될 수 있고, 공급라인(204)의 타단측이 헬리데크(10)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210)는 가스를 압축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압축기일 수 있으며, 압축기(210)의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통상적인 기술 수준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겠다.
헬리데크(10)는 복수 개의 하부 지지체(120)가 일렬로 일정 간격을 두면서 배열되고, 그 위에 복수 개의 상부 지지체(110)가 서로 접속되어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헬리데크(10)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또한, 하부 지지체(120)는 H형강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지지체(110)는 상판(111), 하판(115), 및 상판(111)과 하판(115)을 지지하는 격벽(1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판(111)이 하판(115)보다 넓어서 단면이 팬케이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체(110)의 내부 공간은 격벽(113)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은 공급라인(204)과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공급되기 위한 배기 가스 공급로(112)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13)들 중 정가운데에 위치한 격벽이 상판(111)에 근접하는 부분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정가운데에 위치한 격벽과 상판(111)으로 둘러싸이고, 단면이 삼각형인 긴 통로가 배기 가스 공급로(112)로서 이용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지지체(110)의 상판(111)에는 상판(111) 상에 결빙(2)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결빙감지부(102)가 더 제공될 수 있다. 결빙감지부(102)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빙(2)의 생성 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또한, 결빙감지부(102)는 상판(111) 상에 결빙(2)이 생성된 경우에, 생성된 결빙(2)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빙감지부(102)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등을 구비하여, 결빙(2)이 생성된 경우에 적외선을 외부로 조사하고, 결빙(2)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의 강도를 검지하는 방식으로 결빙(2)의 생성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지지체(110)의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측 단부는 도입벽(117)이 제공되어 밀폐될 수 있고, 타측 단부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배출구(118)가 형성된 배출벽(119)이 제공될 수 있다.
도입벽(117)에는 공급라인(204)과 접속되기 위한 도입구(116)가 제공될 수 있다. 도입구(116)는 배기 가스 공급로(112)의 도입벽(117) 측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배출벽(119)에 형성되는 배출구(118)는 헬리데크(10)의 내부에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개씩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출구(118)가 배출벽(119)에 한 개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고, 배출벽(119)이 아닌 상부 지지체(110)의 측벽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헬리데크(10)의 격벽(11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통기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114)는 배기 가스 공급로(112)를 이루는 격벽(113)에도 형성될 수 있고, 통기구(114)를 통해 헬리데크(10)에 공급된 배기가스가 헬리데크(10)의 내부 공간에 골고루 확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헬리데크(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헬리데크(10) 상에 결빙(2)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배기라인(202)의 압축기(210)측 라인에 있는 밸브(203)가 잠기고, 펀넬(220) 측 밸브(205)가 열려서, 배기가스가 모두 펀넬(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두 밸브(203, 205)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선박(1)이 눈이 내리는 지역 또는 온도가 매우 낮은 지역을 운항하는 경우에는 헬리데크(10) 상에 결빙(2)이 생성될 수 있다.
결빙(2)이 헬리데크(10) 상에 생성되면, 상판(111)에 제공되는 결빙감지부(102)가 결빙(2)의 생성을 감지할 수 있고, 생성된 결빙(2)의 생성량 또한 측정할 수 있다. 결빙(2)의 생성을 감지하면, 선박(1)에 제공되는 제어부(미도시)에 감지 결과 및 생성량 측정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가 결빙(2)의 감지 결과 및 생성량 측정 결과를 전달받으면, 배기라인(202)의 펀넬(220) 측 밸브(205)를 폐쇄하고, 압축기(210)측 밸브(203)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가스가 압축기(2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결빙감지부(102)에 의해 측정된 생성량을 바탕으로 밸브(203)의 개도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량이 많으면 밸브(203)의 개도량을 크게 하여 많은 양의 배기가스가 압축기(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생성량이 적으면 밸브(203)의 개도량을 작게 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배기가스가 압축기(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축기(210)에 공급된 배기가스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공급라인(204)을 통해 헬리데크(10)로 공급될 수 있다.
헬리데크(10)에 공급된 배기가스는 일차적으로 배기 가스 공급로(112)를 흐르게 되고, 배기 가스 공급로(112)를 형성하는 격벽(113)에 마련된 통기구(114)를 통해 헬리데크(10)의 내부에 확산될 수 있다.
헬리데크(10)의 내부에 확산된 배기가스는 상부 지지체(110)의 상판(111)에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열에 의해 상부 지지체(110)의 상판(111)에 생성된 결빙(2)이 녹게 된다.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녹아버린 결빙(2)은 헬리데크(10)에 별도로 제공된 배수로(미도시)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헬리데크(10)의 내부 공간에 확산된 배기가스는 배출벽(119)에 형성된 배출구(118)를 통해 헬리데크(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선박(1)이 극저온의 환경에서 항해를 하는 경우에, 선박(1)에 탑재된 헬리데크(10) 등의 구조물 상에 결빙(2)이 생성되면, 열원(20)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헬리데크(10)의 내부에 공급함으로써, 결빙(2)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결빙(2)의 제거를 위해 별도의 열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비용 및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선박 10: 헬리데크
20: 열원 110: 상부 지지체
120: 하부 지지체 210: 압축기
220: 펀넬
20: 열원 110: 상부 지지체
120: 하부 지지체 210: 압축기
220: 펀넬
Claims (13)
- 열원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며, 상기 헬리콥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헬리데크; 및
상기 열원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지지체의 내부로 공급하는 배기가스 이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헬리콥터가 안착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격벽의 일측 공간으로부터 타측 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기구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은 상기 복수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선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에는 상기 열원에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가 제공되는 선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펀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은 분지되어 상기 펀넬에 연결되는 선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 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중 정가운데에 위치한 격벽이 상기 상판측 부분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서 단면이 삼각형인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은 상기 단면이 삼각형인 통로에 접속되는 선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일측을 밀폐하여 상기 지지체의 일측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도입벽을 포함하고,
상기 도입벽에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이 접속되는 선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이 연결되는 상기 지지체의 타측을 차폐하며, 상기 지지체 내부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벽을 포함하는 선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결빙이 생겼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결빙감지부;
상기 배기가스 이송라인에 제공되며,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결빙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감지부는,
상기 지지체에 결빙이 생긴 경우에는 생성된 결빙의 양을 감지하는 선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8911A KR101549223B1 (ko) | 2013-07-05 | 2013-07-05 | 선박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8911A KR101549223B1 (ko) | 2013-07-05 | 2013-07-05 | 선박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5810A KR20150005810A (ko) | 2015-01-15 |
KR101549223B1 true KR101549223B1 (ko) | 2015-09-04 |
Family
ID=5247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8911A KR101549223B1 (ko) | 2013-07-05 | 2013-07-05 | 선박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2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646399C1 (ru) * | 2016-11-08 | 2018-03-02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омсомольский-на-Амур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нАГТУ") | Не подверженная обледенению надстройка судна |
KR101850246B1 (ko) * | 2017-04-13 | 2018-04-19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자기변형재료를 이용한 극지 기자재 제빙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056823A (ko) * | 2018-11-15 | 2020-05-2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극지용 선박의 폐열회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극지용 선박 |
KR102125280B1 (ko) * | 2019-06-14 | 2020-07-07 | 세보테크 주식회사 | 헬리데크용 폐열 회수 시스템 |
-
2013
- 2013-07-05 KR KR1020130078911A patent/KR10154922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5810A (ko) | 2015-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9223B1 (ko) | 선박 및 그 제어방법 | |
ES2674880T3 (es) | Un panel refrigerado con un fluido para hornos metalúrgicos, un sistema de refrigeración para hornos metalúrgicos que comprende dicho panel y horno metalúrgico que incorpora los mismos | |
KR101805497B1 (ko) | Lng 이송용 이중 배관 내 공기순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취급 선박 | |
JP2006123893A (ja) | 燃料を船のエネルギー生産設備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 |
KR20110078197A (ko) | Lng 탱크의 lng 누출물 배출 장치 | |
CN101634396A (zh) | 船用低温储罐的隔热保冷装置及隔热保冷方法 | |
KR20110136211A (ko) | 선박 평형수 동결 방지 장치 및 방법 | |
EP2961492B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testing of fire extinguishing systems | |
JP5436248B2 (ja) | 低圧空気供給システム | |
KR20160072452A (ko) | 빙해역운항 선박용 배기열 회수식 내빙 시스템 | |
KR102040044B1 (ko) | 연료유 이송장치 | |
CN113365910B (zh) | 北极船舶及冷却水控制方法 | |
KR101505613B1 (ko) | 헬리데크의 아이싱방지장치 | |
KR101099690B1 (ko) | 불활성가스 공급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설비 | |
KR101722967B1 (ko) | 누출 액화천연가스 수집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 |
KR101399950B1 (ko) | 단열재를 이용한 밸러스트 탱크 결빙 방지 구조 | |
KR101695889B1 (ko) | 극지용 선박의 냉각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
JP2009127873A (ja) | 復水器真空ポンプユニット及び復水器真空ポンプユニットの凍結防止方法 | |
KR101122774B1 (ko) | 해수를 이용한 저장고 온도 조절 장치가 구비된 압축 천연가스 운반선 | |
KR20160000097U (ko) |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 |
KR20120053168A (ko) | 극지 운항선박의 에어 버블링 장치 | |
KR101571545B1 (ko) | 해수 공급장치 | |
KR102140782B1 (ko) | 풍력발전기 및 풍력발전기의 제상방법 | |
KR20120076786A (ko) |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 |
KR20140064367A (ko) | 발라스트 탱크의 결빙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