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95B1 -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 Google Patents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95B1
KR101549195B1 KR1020140022578A KR20140022578A KR101549195B1 KR 101549195 B1 KR101549195 B1 KR 101549195B1 KR 1020140022578 A KR1020140022578 A KR 1020140022578A KR 20140022578 A KR20140022578 A KR 20140022578A KR 101549195 B1 KR101549195 B1 KR 10154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lock
brushing
handle
by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환
정지환
Original Assignee
정세환
정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2469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491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세환, 정지환 filed Critical 정세환
Priority to KR102014002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는 칫솔; 및 상기 칫솔의 헤드부를 통해 목부에 삽입장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1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바이트블록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칫솔은 물지 않고 바이트블록만을 물은 채로 자유롭게 양치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을 작게 벌려서 양치질을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양치질과 함께 충치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Byte block is equipped with a toothbrush}
본 발명은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에 바이트블록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칫솔은 물리지 않고 바이트블록만을 물은 채로 자유롭게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한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와 잇몸의 건강을 위해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보편적으로 칫솔은 막대형의 칫솔의 선단에 칫솔모가 심겨져 있고, 칫솔의 후단에는 손잡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은 사용자가 치아에 칫솔모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하 및 좌우로 왕복동작을 하면서 양치질을 한다.
이때 치아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치아의 바깥쪽과 안쪽을 번갈아 가면서 꼼꼼하게 칫솔모로 치아를 칫솔질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며 정확한 동작이 필요하다.
그러나 어린이나 지체 장애인, 환자 등의 경우에는 정확한 양치질이 이루어지지 않아 충치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된 칫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어린이나 지체 장애인 등의 경우에는 양치질의 수행시 오랫동안 입을 벌릴 수 없어 이를 잘 닦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환자 등의 경우에는 양치시 턱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어서 양치시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53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26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칫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바이트블록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칫솔은 물지 않고 바이트블록만을 물은 채로 자유롭게 양치질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바이트블록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나 고정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바이트블록을 물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은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는 칫솔; 및 상기 칫솔의 헤드부를 통해 목부에 삽입장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1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다.
또한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은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목부의 양측면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칫솔;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하부는 개방되고 내면 양측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제2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2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다.
또한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은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에는 내면 양측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칫솔; 및 상기 칫솔의 가이드 공에 배치되고 양측에는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대칭형성되는 제3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3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다.
또한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은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는 칫솔; 및 상기 칫솔 헤드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면에 슬라이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슬라이드 홈에 끼움 장착되어 슬라이딩 작동하는 끼움돌기가 구비된 상부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는 제4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4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바이트블록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칫솔은 물지 않고 바이트블록만을 물은 채로 자유롭게 양치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을 작게 벌려서 양치질을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양치질과 함께 충치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이트블록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나 고정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바이트블록을 물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나 지체 장애인, 환자 등의 이외에도 입에 무언가 들어가면 물게 되는 강아지 등의 애완동물의 치아 관리에 안전하게 적용하여 상기 애완동물을 안정감있게 양치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1실시 예를 구성하는 제1바이트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a) 내지 13(h)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을 구성하는 바이트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제1실시 예>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및 3(b)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1실시 예를 구성하는 제1바이트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은 칫솔(20)과 상기 칫솔(20)에 삽입장착되는 제1바이트블록(30)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은 일 측에 손잡이(21)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가 식재된 헤드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와 헤드부(22)의 사이에는 목부(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칫솔(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 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21)를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손잡이(21)의 작동에 따라 양치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칫솔모(23)가 식재된 헤드부(22)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21)는 사용자의 원활한 파지와 함께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이 상기 손잡이(21)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2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22)는 제1바이트블록(30)의 원활한 삽입과 함께 양치질시 사용자의 잇몸 또는 이빨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끝단(25)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20)에 삽입장착되는 제1바이트블록(3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공(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은 사용자의 이(tooth)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상기 칫솔(20)의 헤드부(22)를 통해 목부(24)에 삽입장착될 수 있도록 관통공(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은 사용시 사용자의 이(tooth)의 물림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칫솔(20)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은 도시된 도 13(a) 및 13(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13(a)의 제1바이트블록(30)은 사용시 사용자 이(tooth)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32)나 고정홈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13(b)는 제1바이트블록(30)의 외면에 이(tooth)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면서도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완충부재(33)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의 외면에는 상기 완충부재(33)의 고정을 위하여 다수개의 뾰족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의 외면에는 원활한 작동과 함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도시된 도 3(a) 및 3(b)와 같이 이동부재(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의 외면 도중에는 둘레를 따라 삽입홈(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5)에는 일 측 끝단에 손잡이(41)가 배치되고, 반대 측에는 삽입홈(3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삽입돌기(42)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1)와 삽입돌기(42)에는 탄력선(43)이 연결되는 이동부재(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측에 손잡이(21)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가 식재된 헤드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와 헤드부(22)의 사이에는 목부(24)가 형성되는 칫솔(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의 목부(24)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칫솔(20)의 헤드부(22)를 통해 목부(24)에 삽입장착될 수 있도록 내부 길이방향으로 관통공(31)이 형성되는 제1바이트블록(30)을 삽입하면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이 구비된 칫솔(20)을 양치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입안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을 물게 되면, 상기 제1바이트블록(30)은 사용자 이(tooth)의 상, 하를 지지하고, 상기 관통공(31)의 내부에 위치한 칫솔(20)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월하게 양치질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은 칫솔(20a)과 상기 칫솔(20a)에 삽입장착되는 제2바이트블록(30a)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a)은 일 측에 손잡이(21a)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a)가 식재된 헤드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a)와 헤드부(22a)의 사이에는 목부(24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2a)와 목부(24a)의 양측면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2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22a)와 목부(24a)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슬라이드 홈(25a)은 일 측에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면 슬라이드 홈(25a)의 길이는 사용자의 연령과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칫솔(20a)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 측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21a)를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손잡이(21a)의 작동에 따라 양치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칫솔모(23a)가 식재된 헤드부(22a)를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22a)와 목부(24a)의 양측에는 제2바이트블록(30a)를 장착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 홈(25a)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2a)는 제2바이트블록(30a)의 원활한 삽입과 함께 양치질시 사용자의 잇몸 또는 이빨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끝단(26a)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20a)에 삽입장착되는 제2바이트블록(30a)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공(31a)이 형성되면서 하부는 개방되고, 내면 양측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25a)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 돌기(32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바이트블록(30a)은 사용자의 이(tooth)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면 양측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25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 돌기(32a)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바이트블록(30a)은 사용시 사용자의 이(tooth)의 물림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칫솔(20a)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바이트블록(30)은 도시된 도 13(c) 및 13(d)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13(c)의 제2바이트블록(30a)은 사용시 사용자 이(tooth)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이트블록(30a)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33a)나 고정홈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13(d)는 제2바이트블록(30a)의 제2바이트블록(30a)의 외면에 이(tooth)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면서도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완충부재(34a)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바이트블록(30a)의 외면에는 상기 완충부재(34a)의 고정을 위하여 다수개의 뾰족돌기(35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측에 손잡이(21a)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a)가 식재된 헤드부(22a)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a)와 헤드부(22a)의 사이에는 목부(24a)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2a)와 목부(24a)의 양측면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25a)이 형성되는 칫솔(20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a)의 측면 슬라이드 홈(25a)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공(31a)이 형성되면서 하부는 개방되고 내면 양측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25a)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 돌기(32a)가 형성되는 제2바이트블록(30a)를 장착하면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바이트블록(30a)이 구비된 칫솔(20a)을 양치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입안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2바이트블록(30a)을 물게 되면, 상기 제2바이트블록(30a)은 사용자 이(tooth)의 상, 하를 지지하고, 상기 칫솔(20)은 측면 슬라이드 홈(25a) 구간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양치질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3실시 예>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은 칫솔(20b)과 상기 칫솔(20b)에 삽입장착되는 제3바이트블록(30b)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b)은 일 측에 손잡이(21b)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b)가 식재된 헤드부(22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b)와 헤드부(22b)의 사이에는 목부(24b)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24b)에는 내면 양측에 슬라이드 홈(26b)이 형성되는 가이드 공(25b)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칫솔(20b)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 측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21b)를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손잡이(21b)의 작동에 따라 양치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칫솔모(23b)가 식재된 헤드부(22b)를 형성하며, 상기 목부(24b)에는 제3바이트블록(30b)의 설치 및 슬라이딩 작동을 위하여 슬라이드 홈(26b)이 구비된 가이드 공(25b)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2b)는 양치질시 사용자의 잇몸 또는 이빨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끝단(27b)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20b)에 삽입장착되는 제3바이트블록(30b)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가이드 공(25b)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양측에는 슬라이드 홈(26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31b)가 대칭형성된다.
즉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은 사용자의 이(tooth)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 하부가 목부(24b)보다 돌출형성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공(25b)의 슬라이드 홈(26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31b)를 돌출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은 사용시 사용자의 이(tooth)의 물림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칫솔(20b)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은 도시된 도 13(e) 및 13(f)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13(e)의 제3바이트블록(30b)은 사용시 사용자 이(tooth)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32b)나 고정홈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13(f)는 제3바이트블록(30b)의 제3바이트블록(30b)의 외면에 이(tooth)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면서도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완충부재(33b)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측에 손잡이(21b)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b)가 식재된 헤드부(22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b)와 헤드부(22b)의 사이에는 목부(24b)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24b)에는 내면 양측에 슬라이드 홈(26b)이 형성되는 가이드 공(25b)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칫솔(20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b)의 가이드 공(25b)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양측에는 슬라이드 홈(26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31b)가 대칭형성되는 제3바이트블록(30b)을 장착하면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이 구비된 칫솔(20b)을 양치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입안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을 물게 되면,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은 사용자 이(tooth)의 상, 하를 지지하고, 상기 칫솔(20b)은 슬라이드 홈(26b) 구간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양치질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4실시 예>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은 칫솔(20c)과 상기 칫솔(20c)에 삽입장착되는 제4바이트블록(30c)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c)은 일 측에 손잡이(21c)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c)가 식재된 헤드부(22c)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2c)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 슬라이드 홈(24c)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c)와 헤드부(22c)의 사이에는 목부(25c)가 형성된다.
즉 상기 칫솔(20c)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 측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21c)를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손잡이(21c)의 작동에 따라 양치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칫솔모(23c)가 식재되면서 상부에는 상부 슬라이드 홈(24c)이 형성되는 헤드부(22c)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2c)는 양치질시 사용자의 잇몸 또는 이빨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끝단(26c)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20c)에 삽입장착되는 제4바이트블록(30c)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칫솔 헤드부(22c)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면에 슬라이드 공간부(31c)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슬라이드 홈(24c)에 끼움 장착되어 슬라이딩 작동하는 끼움돌기(33c)가 구비된 상부 슬라이드부(32c)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4바이트블록(30c)은 사용자의 이(tooth)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 하부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 슬라이드 홈(24c)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t상부 슬라이드 부(32c)에 끼움돌기(33c)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4바이트블록(30c)은 사용시 사용자의 이(tooth)의 물림을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칫솔(20c)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바이트블록(30c)은 도시된 도 13(g) 및 13(h)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13(g)의 제4바이트블록(30c)은 사용시 사용자 이(tooth)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4바이트블록(30c)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34c)나 고정홈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도 13(h)는 제4바이트블록(30c)의 제4바이트블록(30c)의 외면에 이(tooth)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면서도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완충부재(35c)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 측에 손잡이(21c)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23c)가 식재된 헤드부(22c)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2c)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 슬라이드 홈(24c)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1c)와 헤드부(22c)의 사이에는 목부(25c)가 형성되는 칫솔(20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칫솔(20c)의 상부 슬라이드 홈(24c)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칫솔 헤드부(22c)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면에 슬라이드 공간부(31c)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슬라이드 홈(24c)에 끼움 장착되어 슬라이딩 작동하는 끼움돌기(33c)가 구비된 상부 슬라이드부(32c)로 구성되는 제4바이트블록(30c)을 장착하면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1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4바이트블록(30c)이 구비된 칫솔(20c)을 양치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입안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4바이트블록(30c)을 물게 되면, 상기 제3바이트블록(30b)은 사용자 이(tooth)의 상, 하를 지지하고, 상기 칫솔(20c)은 상부 슬라이드 홈(24c) 구간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양치질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20 : 칫솔,
21 : 손잡이, 22 : 헤드부,
23 : 칫솔모, 24 : 목부,
30 : 제1바이트블록, 31 : 관통공.

Claims (7)

  1.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는 칫솔; 및
    상기 칫솔의 헤드부를 통해 목부에 삽입장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1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2.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목부의 양측면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칫솔; 및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면서 하부는 개방되고 내면 양측에는 측면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도록 측면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제2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2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3.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에는 내면 양측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칫솔; 및
    상기 칫솔의 가이드 공에 배치되고 양측에는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대칭형성되는 제3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3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4. 일 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칫솔모가 식재된 헤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와 헤드부의 사이에는 목부가 형성되는 칫솔; 및
    상기 칫솔 헤드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면에 슬라이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슬라이드 홈에 끼움 장착되어 슬라이딩 작동하는 끼움돌기가 구비된 상부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는 제4바이트블록;으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사용자가 상기 제4바이트블록을 물은 상태에서 상기 칫솔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켜 양치질할 수 있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이트블록의 외면 도중에는 둘레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일 측 끝단에 손잡이가 배치되고, 반대 측에는 삽입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삽입돌기에는 탄력선이 연결되는 이동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블록의 외면에는 고정돌기나 고정홈이 형성되는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7.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블록의 외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더 포함되는 구비된 칫솔.
KR1020140022578A 2014-02-26 2014-02-26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KR10154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578A KR101549195B1 (ko) 2014-02-26 2014-02-26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578A KR101549195B1 (ko) 2014-02-26 2014-02-26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195B1 true KR101549195B1 (ko) 2015-09-02

Family

ID=5424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578A KR101549195B1 (ko) 2014-02-26 2014-02-26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08B1 (ko) * 2018-12-18 2019-06-11 남세인 애완동물용 칫솔
KR20220089254A (ko) 2020-12-21 2022-06-28 이민희 노즈워크가 구비된 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6798B1 (en) 1999-11-22 2004-12-07 Urbizu De Cabo Ramon Pedro Toothbrush
JP2006034305A (ja) 2004-07-22 2006-02-09 Osada Res Inst Ltd 口腔内吸引器具及び装置
KR101000514B1 (ko) 2009-11-24 2010-12-14 (주) 덴토존 바이트블럭을 이용한 led 구강조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6798B1 (en) 1999-11-22 2004-12-07 Urbizu De Cabo Ramon Pedro Toothbrush
JP2006034305A (ja) 2004-07-22 2006-02-09 Osada Res Inst Ltd 口腔内吸引器具及び装置
KR101000514B1 (ko) 2009-11-24 2010-12-14 (주) 덴토존 바이트블럭을 이용한 led 구강조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08B1 (ko) * 2018-12-18 2019-06-11 남세인 애완동물용 칫솔
WO2020130501A1 (ko) * 2018-12-18 2020-06-25 남세인 애완동물용 칫솔
KR20220089254A (ko) 2020-12-21 2022-06-28 이민희 노즈워크가 구비된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7584A (en) Toothbrush
CA2574837C (en) A toothbrush with a grip handle
KR102366579B1 (ko) 다중-헤드 칫솔
TW200630074A (en) Oral care implement
ATE514355T1 (de) Zahnbürste mit verbesserter/em reinigung und komfort
KR20180044446A (ko) 애완동물용 칫솔
BRPI0508208A (pt) escova de dentes
US20100319149A1 (en) Infant toothbrush
KR101549195B1 (ko)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KR20170067573A (ko) 칫솔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칫솔
KR200407986Y1 (ko) 잇몸 마사지 겸용 칫솔
KR101331856B1 (ko) 잇몸 마사지 및 프라그 제거 의료용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KR200393316Y1 (ko) 칫솔
KR101486003B1 (ko) 칫솔대
KR20130006411A (ko) 치간 칫솔을 포함하는 칫솔
KR102535512B1 (ko) 칫솔
KR20210111087A (ko) 칫솔모의 착탈식 칫솔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KR101524102B1 (ko) 칫솔
JP3153789U (ja) 歯ブラシ
KR101529119B1 (ko) 핸드리스 칫솔
JP2019030583A (ja) 歯ブラシ
CN104490073A (zh) 一种新型易清洗牙刷
KR102124540B1 (ko)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50901

Effective date: 201509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