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119B1 - 핸드리스 칫솔 - Google Patents

핸드리스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119B1
KR101529119B1 KR1020130168053A KR20130168053A KR101529119B1 KR 101529119 B1 KR101529119 B1 KR 101529119B1 KR 1020130168053 A KR1020130168053 A KR 1020130168053A KR 20130168053 A KR20130168053 A KR 20130168053A KR 101529119 B1 KR101529119 B1 KR 10152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teeth
toothbrush
inner body
hand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래
고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6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in the form of tapes, chains, flexible shafts, springs, ma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05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by moulding or casting a body aroun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다수 배열되어 치아에 닿아 치아를 닦을 수 있게 마련되는 브러쉬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은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칫솔질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리스 칫솔{HANDLESS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구강의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서, 위생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하루에도 여러 번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 및 입안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칫솔의 일반적인 형태는 칫솔을 손으로 잡고 다루는 데 사용하기 위한 손잡이가 있고, 브러쉬가 부착되는 헤드가 있으며, 헤드에 브러쉬가 열을 맞춰 부착됨으로써, 브러쉬에 치약을 묻혀서 치아를 닦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칫솔은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서 치아의 열에 맞게 칫솔을 왕복 운동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칫솔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들 또한 있게 마련이다.
즉, 일시적으로 손을 사용할 수 없는 환자나 영구적으로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유아나 노인과 같이 스스로 손잡이를 잡고 칫솔을 다루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히, 유아나 노인과 같은 경우에는 보호자에 의해 칫솔질을 할 수밖에 없지만, 본인이 아닌 다른 이를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하는 것은 칫솔 손잡이의 길이로 인해서 그리 쉽지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칫솔질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은,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다수 배열되어 치아에 닿아 치아를 닦을 수 있게 마련되는 브러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 각각은, 치아 중 어금니에 대응될 수 있게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바디부, 치아 중 앞니와 송곳니에 대응될 수 있게 중앙에 배치되는 내측바디부 및 상기 측면바디부와 상기 내측바디부 간에 형성되는 연결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바디부, 상기 내측바디부 및 상기 연결바디부는 서로 분절되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측면바디부는 일체로 구성되되, 상부 측면바디부와 하부 측면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획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바디부의 상부 연결바디부와 하부 연결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대칭축과 나란하지 않거나,
상기 연결바디부의 상부 연결바디부와 하부 연결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상부 측면바디부와 상기 하부 측면바디부의 대칭축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바디부는 상부 측면바디부와 하부 측면바디부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내측바디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분절되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내측바디부의 상부 내측바디부와 하부 내측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내측바디부와 상기 하부 내측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상부 내측바디부와 상기 하부 내측바디부의 대칭축과 나란하지 않거나,
상기 내측바디부의 상부 내측바디부와 하부 내측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내측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상기 하부 내측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바디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분절되어 연결된 것을 보다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을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칫솔을 손으로 다루기 어려운 사람의 경우에도 칫솔질을 잘 할 수 있게 하여 구강의 위생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보호자에 의해 칫솔질을 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칫솔 손잡이의 길이로 인해 다루기가 어려운 불편이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을 하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일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일 구성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전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후면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바디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10)은, 바디(100)와 브러쉬(200)로 구성되고, 기존의 칫솔에 필수적으로 고려되었던 손잡이가 없이 구성됨으로써,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칫솔이다.
바디(100)는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고, 바디(100)에는 도시와 같이 기존의 칫솔에 적용되는 브러쉬(200)가 바디(100) 전면 전체에 부착되어 브러쉬(200)에 의해 치아를 닦을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디(100)는 치아의 모양과 같은, 소위 마우스피스와 같은 형태로 마련되어, 입 안에 치아의 전면에 마치 마우스피스를 끼우듯이 물고서 입을 움직임으로써 치아가 닦이거나 손으로 움직임으로써 치아를 닦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바디(100)와 브러쉬(200)는 2차례에 걸쳐서 성형, 융착하는 것이 아닌 이중 사출에 의해서 한번에 사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사출은 2종의 다른 수지 또는 다른 2가지 색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브러쉬(200)는 바디(100)와 다른 수지에 의해, 또는 다른 색으로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회전기구를 설치한 구조의 사출기 또는 코아나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하여 이중사출 가능하게 설계된 금형에 의해서 우선 바디(100)를 1차 성형한 후 2차 캐비티 공간 상에 브러쉬(200)로 사용 가능한 재질의 2차 수지를 충진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번의 성형에 의할 경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가져온다.
도 3과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바디(100)는 상부 바디(110)와 하부 바디(120)로 구분되고 대칭되게 구성되어, 상부 바디(110)는 윗니에 대응되고 하부 바디(120)는 아랫니에 대응되게 된다.
상부 바디(110)와 하부 바디(120)는 각각, 측면바디부, 내측바디부 및 연결바디부를 포함하고, 상부 바디(110)와 하부 바디(120)는 대칭을 이루어서 상부 바디(110)는 상부 측면바디부(111)와 상부 내측바디부(112) 및 상부 연결바디부(113)로 구성되고, 하부 바디(120)는 하부 측면바디부(121)와 하부 내측바디부(122) 및 하부 연결바디부(123)로 구성되게 된다.
측면바디부(111,121)는 바디(100)의 측면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치아 중 어금니에 대응되게 되고, 내측바디부(112,122)는 바디(100)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치아 중 앞니와 송곳니에 대응되며, 연결바디부(113,123)는 측면바디부(111,121)와 내측바디부(112,122) 간에 형성되어 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바디부(111,121)와 내측바디부(112,122) 및 연결바디부(131,132)는 도시와 같이, 서로 분절(分節)되어 연결됨으로써, 마우스피스와 같은 형태로 유연하게 전체를 구부려서 치아에 대응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바디부는 브러쉬(200)가 부착될 수 있고, 치아에 대응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각각은 하단에 구성되는 마디부(130)에 의해 연결되고 마디부(130)의 상측은 비어 있음으로해서 바디부가 유연하게 휘어져서 마우스피스와 같은 형상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측면바디부(111,121)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되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상부 측면바디부(111)와 하부 측면바디부(121)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연결바디부(131,132) 또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고 서로 대칭을 이룬다. 다만, 연결바디부(131, 132)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연결바디부(131,132)의 길이방향(C)이 상부 연결바디부(131)와 하부 연결바디부(132)의 대칭축(A)과 나란하지 않고, 또한 상부 측면바디부(111)와 하부 측면바디부(112)의 길이방향(S)과도 나란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결바디부(131,132)는 측면바디부(111,112)를 기준으로 벌어져 나가는 방향의 길이방향을 가짐으로써, 치아의 구강구조에 맞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내측바디부(121,122)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고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상부 측면바디부(121)와 하부 측면바디부(122)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가 된다. 즉, 상부 측면바디부(121)와 하부 측면바디부(122) 간에 빈 공간이 생기도록 형성되고,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서 마우스피스와 같은 형태로 동작했을 때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보다 유연하면서도 내측바디부들 간에 간섭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측바디부(121,122)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분절되어 연결된다. 분절된 연결은 마디부(130)에 의하게 되고, 치아의 수에 맞게 내측바디부(121,122)가 복수로 마련되어야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내측바디부(121,122)가 각각 4개의 분절 바디를 갖는 것을 도시하였고, 인체 및 구강 상태에 따라 3개 내지 4개가 적당하다.
또한, 내측바디부(121,122)의 길이방향(I)이 상부 내측바디부(121)와 하부 연결바디부(122)의 대칭축(A)과 나란하지 않고, 또한 상부 연결바디부(121)와 하부 연결바디부(121)의 길이방향(C)과도 각각 나란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내측바디부(121,122)는 연결바디부(131,132)를 기준으로 벌어져 나가는 방향의 길이방향을 가짐으로써, 치아의 구강구조에 맞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리스 칫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6과 같이 사용 전의 형태에서 도 7과 같이 마우스피스처럼 휘어진 형상으로 입 속 치아에 대응되게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고, 도시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각 바디부는 마디부에 의해 연결되고 마디부 상측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특히 내측바디부와 연결바디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취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자연스럽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고 휘어졌을 때 각 바디부 간의 간섭이 적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핸드리스 칫솔
100; 바디
110; 상부 바디
111; 상부 측면바디부
112; 상부 내측바디부
113; 상부 연결바디부
120; 하부 바디
121; 하부 측면바디부
122; 하부 내측바디부
123; 하부 연결바디부
130; 마디부
200; 브러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다수 배열되어 치아에 닿아 치아를 닦을 수 있게 마련되는 브러쉬; 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 각각은,
    치아 중 어금니에 대응될 수 있게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바디부;
    치아 중 앞니와 송곳니에 대응될 수 있게 중앙에 배치되는 내측바디부; 및
    상기 측면바디부와 상기 내측바디부 간에 형성되는 연결바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바디부, 상기 내측바디부 및 상기 연결바디부는 서로 분절되어 연결되고,
    상기 측면바디부는 일체로 구성되되, 상부 측면바디부와 하부 측면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부의 상부 연결바디부와 하부 연결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대칭축과 나란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부의 상부 연결바디부와 하부 연결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은 각각 상기 상부 측면바디부와 상기 하부 측면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8.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대응될 수 있도록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다수 배열되어 치아에 닿아 치아를 닦을 수 있게 마련되는 브러쉬; 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 각각은,
    치아 중 어금니에 대응될 수 있게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바디부;
    치아 중 앞니와 송곳니에 대응될 수 있게 중앙에 배치되는 내측바디부; 및
    상기 측면바디부와 상기 내측바디부 간에 형성되는 연결바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바디부, 상기 내측바디부 및 상기 연결바디부는 서로 분절되어 연결되고,
    상기 내측바디부는 상부 측면바디부와 하부 측면바디부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디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분절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디부의 상부 내측바디부와 하부 내측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내측바디부와 상기 하부 내측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상부 내측바디부와 상기 하부 내측바디부의 대칭축과 나란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디부의 상부 내측바디부와 하부 내측바디부는 대칭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내측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상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고,
    상기 하부 내측바디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하부 연결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바디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분절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리스 칫솔.
KR1020130168053A 2013-12-31 2013-12-31 핸드리스 칫솔 KR10152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053A KR101529119B1 (ko) 2013-12-31 2013-12-31 핸드리스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053A KR101529119B1 (ko) 2013-12-31 2013-12-31 핸드리스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119B1 true KR101529119B1 (ko) 2015-06-16

Family

ID=5351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053A KR101529119B1 (ko) 2013-12-31 2013-12-31 핸드리스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618U (ko) * 1987-02-28 1988-09-09
JP2007195901A (ja) * 2006-01-23 2007-08-09 Masahiro Hayakawa シート式歯ぐきマッサージブラ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618U (ko) * 1987-02-28 1988-09-09
JP2007195901A (ja) * 2006-01-23 2007-08-09 Masahiro Hayakawa シート式歯ぐきマッサージブラ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07820A (en) Flexible brush head and means to retain 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W201635948A (zh) 具有多組件握柄之口腔保健用具(一)
CN108471866A (zh) 口腔护理器具
JP6364641B2 (ja) 歯ブラシ
US8938841B1 (en) Tooth brushing system
EP3903634A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RU26642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одержащее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ую ручку
RU255580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ых щеток с универсальным сердечником
KR20170067573A (ko) 칫솔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칫솔
KR101529119B1 (ko) 핸드리스 칫솔
KR20070000185U (ko) 캡슐형 일회용 칫솔
CN205338071U (zh) 一种双刷头牙刷
KR101549195B1 (ko) 바이트블록이 구비된 칫솔
KR20130006411A (ko) 치간 칫솔을 포함하는 칫솔
KR101456623B1 (ko) 칫솔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KR20160071184A (ko) 어린이용 칫솔
JP5514500B2 (ja) 歯ブラシ
TWM507693U (zh) 牙刷刷頭
KR101524102B1 (ko) 칫솔
JP3201621U (ja) 隙間を有する歯ブラシ
JP3182169U (ja) 軟質指歯ブラシ
CN207653786U (zh) 儿童牙刷刷头
KR102069335B1 (ko) 칫솔
TWI516227B (zh) 活動式多功能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