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27B1 -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27B1
KR101549127B1 KR1020120145797A KR20120145797A KR101549127B1 KR 101549127 B1 KR101549127 B1 KR 101549127B1 KR 1020120145797 A KR1020120145797 A KR 1020120145797A KR 20120145797 A KR20120145797 A KR 20120145797A KR 101549127 B1 KR101549127 B1 KR 10154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lassification system
project
construc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065A (ko
Inventor
김선강
영 김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2Hierarchical databases, e.g. IMS, LDAP data stores or Lotus 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장 시공 중심으로 분류되어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가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작업분류체계에 기초해서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의 설계, 구매, 시공의 페이즈별 퍼실리티와 워크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사업관리서버 및 상기 사업관리서버에 설계, 구매, 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사업관리서버에서 산출된 각종 데이터를 열람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는 현장 시공을 중심으로 퍼실리티와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를 표준화하여 구축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EPC 사업의 핵심 관리 포인트인 납기 및 원가에 대한 경향을 가시적으로 분석해서 원가 및 납기에 영향을 미치는 상세 액티비티를 추적 관리하여 주어진 납기 및 예산 내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SYSTEM FOR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시공(Construction)을 중심으로 원가와 공정을 연계하여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WBS)를 생성하고, 생성된 작업분류체계를 중심으로 설계(Engineering) 및 구매(Procurement)를 연계해서 EPC 사업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은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 인도까지 일괄 공급하는 플랜트 건설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따라서 EPC 사업은 기술력과 시공관리 경험, 사업관리 노하우 등을 축적해서 추진해야만 한다.
최근에는 EPC 사업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업무들을 통합 관리하는데 EVM 시스템(Erned Value Management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EVM 시스템은 건설공사의 원가관리, 견적, 공사관리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실행예산을 평가하고, 추후공정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사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비용과 일정계획 대비 성과를 미리 예측하여 현재 공사수행의 문제분석과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EVM 시스템을 이용해 건설이나 조선 등의 사업 관리하는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7953호(2009년 11월 24일 공고,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2-0121634호(2012년 11월 6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2'라 함),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82920호(2005년 8월 24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71214호(2012년 8월 6일 공고, 이하 '특허문헌 4'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클라이언트 서버(CS) 기반의 Http Remoting을 이용한 스마트 클라이언트(Smart Client) 방식으로 통합적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업에서 시행하고 있거나 시행 계획에 있는 토목분야 건설사업에 대한 공정 공사비를 통합함으로써 예산관리, 일정관리, 물량분개, 하도관리, 기성관리, 진도관리 및 성과분석 등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기법(EVM)을 이용한 전사적 프로젝트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특정 프로젝트(예컨대, 건설공사 등)를 수행함에 있어서 프로젝트에 따른 구조물에 대한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 구조물의 2차원 도면 데이터로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 3차원 모델을 EVMS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 3차원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공정과 비용을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3차원 모델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영업 설계부터 생산 설계까지 설계 계획이 진행될 때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 공정과 연계되어 각 공정의 블록별 물량에 원가 코드를 맵핑하여 블록별 재료비를 산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생산 공정에서 구매에 따른 재료비와 비교하여 지속적인 원가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선박 건조 공정의 재료비 원가 모니터링을 통한 설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각 액티비티에 대한 공정 타입별 일정을 하나의 행에 나열하여 관리하고, 전후로 연계된 공정의 일정 조절이 수행되며, 부하 분석이 수행되는 모듈에서 물량/시수/예산/수량 부하를 파악하기 위한 창에서 총 소요시수, 소요인 원, 가용인원, 가용시수, 과부족시수, 과부족인원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실시간 부하 분석을 수행하여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7953호(2009년 11월 24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2-0121634호(2012년 11월 6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82920호(2005년 8월 24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71214호(2012년 8월 6일 공고)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설계, 구매, 시공의 전과정을 통합하여 사업을 관리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즉, 원가 및 공정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프로젝트 성과 분석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고, 시스템 단위로 스케줄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현장 시공 중심의 EPC 사업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EPC 사업의 원가 및 공정을 연계시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EVM 체계를 도입하여 설계, 구매, 시공의 전과정을 연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 구매, 시공의 전과정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VM 시스템을 이용해서 현장의 시공 업무를 중심으로 작업분류 및 일정을 연계시키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를 현장 시공 중심의 관리 체계인 토목, 건축, 기계, 전기 공사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설비와 연계한 작업분류체계를 이용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사별로 시공물량을 매핑할 수 있는 구조의 작업분류체계를 이용해서 하도업체 계약단위인 공사 패키지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현장 시공 중심으로 분류되어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가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작업분류체계에 기초해서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의 설계, 구매, 시공의 페이즈별 퍼실리티와 워크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사업관리서버 및 상기 사업관리서버에 설계, 구매, 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사업관리서버에서 산출된 각종 데이터를 열람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는 현장 시공을 중심으로 퍼실리티와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를 표준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유닛 데이터베이스, 페이즈 데이터베이스,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 데이터베이스와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의 6레벨로 표준화된 데이터 베이스 계층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젝트의 설계, 구매, 시공 각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의 퍼실리티 및 워크를 적용하여 작업분류체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이즈 데이터베이스는 설계, 구매, 시공 및 스타트업을 페이즈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는 현장 시공 워크를 기반으로 해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설비나 목적물로 퍼실리티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크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퍼실리티를 구현하기 위한 필요시공 작업인 워크를 토목, 건축, 기계, 전기 워크 관점에서 액티비티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워크를 구성하는 작업단위인 액티비티를 견적서의 내역항목이나 각 페이즈의 특성을 반영하여 정의해서 원가 및 공정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액티비티에 연계된 자원을 상기 작업분류체계의 제7 레벨로 추가하는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업관리서버는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으로 퍼실리티 및 워크를 생성하여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를 설계 및 구매 페이즈에 연결하는 작업분류체계 생성부, 프로젝트 진행과정의 가치계획을 수립하는 가치계획 수립부, 상기 작업분류체계 생성부에서 생성된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의 실제 지출비용을 집계하는 비용 집계부, 실제 설계, 구매, 시공의 진도율을 집계하는 진도율 집계부 및 상기 가치계획 수립부에서 수립된 가치계획과 상기 비용 집계부 및 진도율 집계부에서 집계된 비용 및 진도율에 따라 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업관리서버는 사내의 인트라넷이나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업관리서버는 상기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견적 및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고, 예산을 배분 및 확정하며, 상기 설계, 구매, 시공 및 스타트업 페이즈의 스케줄을 확정해서 일정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업관리서버는 프로젝트 수행시 외부의 하도업체를 통해 수행되는 각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관리하는 기성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성관리부는 퍼실리티와 워크 테이블에서 하도업체 계약 단위로서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선택받고 선택된 워크 패키지의 발주, 일정, 진도율, 예산, 실제 지불 비용을 포함하는 기성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사업관리서버의 작업분류체계 생성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현장 시공을 중심으로 퍼실리티와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를 표준화해서 작업분류체계 및 액티비티를 확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가치계획 수립부에서 상기 프로젝트 진행과정의 가치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c)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비용 집계부에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예산 관련 정보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제 지출비용을 집계하는 단계, (d)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진도율 집계부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진도율을 집계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지표 산출부에서 상기 (b)단계에서 수립된 가치계획과 상기 (c)단계 및 (d)단계에서 집계된 비용 및 진도율을 포함하는 실적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된 성과 분석 및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분류체계는 프로젝트, 유닛, 페이즈, 퍼실리티,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와 액티비티의 6레벨로 표준화된 계층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분류체계는 프로젝트의 설계, 구매, 시공 각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의 퍼실리티 및 워크를 적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a1)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에서 생성된 견적 작업분류체계의 유닛을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유닛으로 생성하는 단계, (a2)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견적 작업분류체계와 동일하게 표준화되어 저장된 퍼실리티 및 워크 패키지를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퍼실리티 및 워크 패키지로 생성하는 단계 및 (a3) 공정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견적 작업분류체계의 퍼실리티를 구성하는 워크 패키지에 해당하는 액티비티를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액티비티로 생성해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으로부터 전달되는 예산관련 정보와 실제 프로젝트 진행시 지불되는 실제 지출비용을 집계하는 단계 및 (c2) 상기 (c1)단계에서 집계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전체 프로젝트 레벨부터 각 액티비티 레벨까지 세부적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3) 미리 저장된 표준 신용 규정을 이용해서 실제 프로젝트의 신용 규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로젝트 신용 규정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단계는 (e1) 상기 가치계획과 집계된 비용 및 실적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e2) 상기 (e1)단계에서 산출된 지표를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하는 단계 및 (e3) 다수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설계, 구매, 시공, 스타트업 전체를 대상으로 일정성과지수 및 비용성과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단계는 (e4) 상기 (e1)단계에서 산출된 지표를 공정관리 시스템에서 공종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실적 데이터를 내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3)단계는 다수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주간 또는 월간 단위의 일정성과지수 및 비용성과지수를 제공하고, 제공되는 지수를 이용해서 전체 프로젝트부터 작업분류체계의 각 레벨별 성과 경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f) 전체 프로젝트 중에서 일부 워크나 워크 패키지에 대한 기성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단계는 (f1) 퍼실리티와 워크 테이블에서 하도업체 계약 단위로서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선택받는 단계 및 (f2) 상기 (f1)단계에서 선택된 워크 패키지의 발주, 일정, 진도율, 예산, 실제 지불 비용을 포함하는 기성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EPC 사업의 핵심 관리 포인트인 납기 및 원가에 대한 경향을 가시적으로 분석해서 원가 및 납기에 영향을 미치는 상세 액티비티를 추적 관리하여 주어진 납기 및 예산 내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현장 시공 중심으로 작업분류체계의 각 계층(hierarchy)을 구성하고, 시공 워크를 세분화하여 관리하도록 작업분류체계 및 액티비티를 표준화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생성된 작업분류체계를 이용해서 프로젝트 수행시 설계, 구매, 시공의 전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분류체계 구조의 상위 레벨인 제3 레벨에서 시공, 구매 및 설계 페이즈로 구분하여 조직별 업무 범위와 책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시공에 설정된 퍼실리티와 워크 패키지를 설계 및 구매 단계에도 동일한 구조를 유지하고, 설계, 구매 및 시공 사이의 공정 연계성을 부여함으로써, 작업분류체계 구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설계, 구매, 시공의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필요한 공사용 도면 및 자재를 신속하게 추적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분류체계의 최하 단위인 액티비티를 각 페이즈, 즉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의 특성을 반영하여 정의함으로써, 원가 및 공정 정보를 연계관리하는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퍼실리티와 워크 테이블에서 하도계약을 하고자 하는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선택하여 선택된 워크나 워크 패키지의 하도계약을 용이하게 발주할 수 있고, 기성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함으로써 기성관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프로젝트 수행 평가를 원가 및 공정을 동시에 분석하여 통합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하며, 프로젝트 수행 실적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설계, 구매, 시공의 원가 투입, 투입된 자원 분석을 통한 생산성 확인 및 후속 프로젝트 진행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의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퍼실리티 중에서 시공 워크를 산출하는 매트리스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EPC 사업 관리 시스템에서 최종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퍼실리티와 워크 패키지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의 계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퍼실리티 중에서 시공 워크를 산출하는 매트리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EPC 사업 관리 시스템에서 최종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퍼실리티와 워크 패키지 테이블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시공 중심으로 분류되어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가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 및 작업분류체계에 기초해서 EPC 사업의 설계, 구매, 시공의 페이즈별 퍼실리티와 워크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사업관리서버(20) 및 설계, 구매, 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고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데이터와 사업관리서버(20)에서 산출된 각종 데이터를 열람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한다.
사업관리서버(20)는 사내의 인트라넷이나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30),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 및 공정관리 시스템(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은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 및 사업관리서버(20)에 접속해서 EPC 사업과 관련한 현황을 신속하게 열람하거나 사업 진행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Project), 유닛(unit), 페이즈(phase), 퍼실리티(facility), 워크(works)(또는 워크 패키지) 및 액티비티(Activity)의 6단계로 표준화된 계층(hierarchy)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는 각 레벨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젝트, 유닛, 페이즈, 퍼실리티, 워크 및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11 내지 16)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구축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는 현장 시공을 중심으로 퍼실리티와 워크 패키지를 표준화하여 전체 구조를 구성하고, 프로젝트의 설계, 구매, 시공 각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의 설비 및 공사를 적용한 하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다.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의 계층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레벨인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11)는 시설물의 개념을 갖는 명칭으로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제2 레벨인 유닛을 저장하는 유닛 데이터베이스(12)는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사업에 필요한 유닛이 있는 경우에 프로젝트 하위 레벨에 유닛을 설정해서 저장한다. 만약, 유닛이 없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제3 레벨인 페이즈를 저장하는 페이즈 데이터베이스(13)는 설계(Engineering), 구매(Procurement), 시공(Construction)과 스타트업(start-up)을 페이즈 명으로 설정해서 저장할 수 있다.
제4 레벨인 퍼실리티를 저장하는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시공 워크를 기반으로 해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설비나 목적물로 퍼실리티를 설정해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은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서 표준화된 퍼실리티 리스트이다.
즉,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인 경우, 퍼실리티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보일러, 터빈 및 발전기, 스팀 시스템, 워터 시스템 등 총 90여 개의 항목으로 표준화되어 설정되며, 각 퍼실리티 항목에는 고유의 코드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Figure 112012103952591-pat00001
이와 같이 표준화된 항목은 현장 시공 워크에 따라 변경이나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14)는 계통이나 구역(area), 설비유형(system)을 페이즈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토목/건축 퍼실리티는 관련 퍼실리티 유형의 구역 혹은 해당 빌딩 명으로 설정되고, 기계/전기설비는 설비유형(system)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퍼실리티는 시공 페이즈와 동일하게 설계 및 구매 페이즈에도 동일한 명칭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5 레벨인 워크를 저장하는 워크 데이터베이스(15)는 퍼실리티를 구현하기 위한 필요시공 작업인 워크를 토목, 건축, 기계, 전기 워크 관점에서 액티비티의 그룹으로 설정해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워크는 공정 및 원가 통합관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표 2는 워크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는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서 표준화된 워크 리스트이다.
본 실시 예에서 워크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일링 워크, 콘크리트 워크, 스틸 워크 등 30여 개의 항목으로 표준화되어 설정되며, 각 워크 항목에는 고유의 코드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Figure 112012103952591-pat00002
제6 레벨인 액티비티를 저장하는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16)는 워크를 구성하는 작업단위인 각 액티비티를 견적서(Bill of Quantities, BOQ)의 내역항목이나 각 페이즈, 즉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의 특성을 반영하여 정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비티는 자원(Resource)의 단가 매핑 최저단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16)는 현장 시공 과정에서 실제 수행되는 액티비티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에서 서로 다른 명칭을 액티비티에 부여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실시 예에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는 액티비티에 연계된 자원(resource)을 제7 레벨로 추가해서 자원 데이터베이스(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자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자원은 내부 매입원가, 자재, 장비, 인력 및 경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장시공 중심으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의 각 계층(hierarchy)을 구성하고, 시공 워크를 세분화하여 관리하도록 작업분류체계 및 액티비티를 표준화한 각 레벨별 하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분류체계 구조의 상위 레벨인 제3 레벨에서 시공, 구매 및 설계 페이즈로 구분하여 조직별 업무 범위와 책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시공에 설정된 퍼실리티와 워크 패키지를 설계 및 구매 단계에도 동일한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설계, 구매 및 시공 사이의 공정 연계성을 부여함으로써, 작업분류체계 구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설계, 구매, 시공의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분류체계의 최하 단위인 액티비티를 각 페이즈, 즉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의 특성을 반영하여 정의함으로써, 원가 및 공정 정보를 연계관리하는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사업관리서버(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으로 퍼실리티 및 워크를 생성하여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를 설계 및 구매 페이즈에 연결하는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 프로젝트 진행과정의 가치계획(plan the value)을 수립하는 가치계획 수립부(22),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에서 생성된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의 실제 지출비용을 집계하는 비용 집계부(23), 실제 설계, 구매, 시공의 진도율을 집계하는 진도율 집계부(24) 및 집계된 비용 및 진도율에 따라 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관리서버(20)는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40) 및 공정관리 시스템(50)과 연계하여 견적 및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고, 예산을 배분 및 확정하며, 제3 레벨인 페이즈, 즉 설계, 구매, 시공 및 스타트업의 스케줄을 확정해서 일정을 계산할 수 있다.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은 퍼실리티 레벨에서 견적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고, 실제 프로젝트 진행시 수행되는 수행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며, 예산배분, 예산확정, 일정계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은 페이즈 레벨에서 확정된 스케줄을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로 전달하고, 예산관련 정보를 비용 집계부(23)로 전달하며, 프로젝트 수행 일정을 계산해서 지표 산출부(25)로 전달한다.
공정관리 시스템(50)은 공사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작업에 대하여 현장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순서를 설정하고, 이들 작업의 상호관계를 시각적으로 알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하며, 시설물의 완공에 이르기까지 작업활동의 일정을 분석 및 관리한다.
이에 따라,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는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표준화되어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 및 액티비티 중에서 실제 프로젝트 진행시 수행되는 수행 작업분류체계에 따라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를 설계 및 구매 페이즈에 연결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 및 공정관리 시스템(50)과 연계하여 작업분류체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작업분류체계에 따라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으로 퍼실리티 및 워크를 생성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의 견적 작업분류체계의 유닛을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유닛으로 생성하고,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견적 작업분류체계와 동일하게 표준화되어 저장된 퍼실리티 및 워크 패키지를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퍼실리티 및 워크 패키지로 생성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한다.
그리고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는 공정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견적 작업분류체계의 퍼실리티를 구성하는 워크 패키지에 해당하는 액티비티를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액티비티로 생성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고, 저장된 작업분류체계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작업분류체계는 예산 확정 단계를 거치면 삭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비용 집계부(23)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으로부터 전달되는 예산관련 정보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되는 실제 프로젝트 진행시 지불되는 실제 지출비용(actual cost), 즉 구매오더(purchaes order) 및 자재구매요청(purchase Requisition), 시공작업자의 맨 아워(man-hour) 등을 집계한다.
그리고 비용 집계부(23)는 집계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전체 프로젝트 레벨부터 각 액티비티 레벨까지 세부적인 비용을 산출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요청에 따라 산출된 비용을 사용자 단말(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용 집계부(23)는 미리 저장된 표준 신용 규정(Rule Of Credit)을 이용해서 실제 프로젝트의 신용 규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로젝트 신용 규정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 신용 규정은 설계, 구매, 시공 및 스타트업 페이즈별로 관리되고, 진도를 측정하는 관리기준 단위와 유사하게 설정되는 다수의 상세 프로젝트 신용 규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프로젝트 신용 규정은 자원 신용 규정(Resource ROC)에 상속되어 활용될 수 있다.
지표 산출부(25)는 가치계획 수립부(22)에서 수립된 가치계획과 비용집계부(23) 및 진도율 집계부(24)에서 집계된 비용 및 진도율 등 실적 데이터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지표 산출부(25)는 수행된 성과 분석 및 평가에 따른 각종 지표를 산출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고, 산출된 지표를 그래프나 표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은 사내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사업관리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형 전화기, 태블릿 PC,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개인휴대정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은 사업관리서버(20)에 접속해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해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작업분류체계의 각 레벨을 선택해서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예산, 실제 지출비용, 진도율, 스케줄, 설계 도서 및 도면 등을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젝트 수행 성과를 원가 및 공정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설계, 구매, 시공의 진도율을 확인하고 진도율이 미진한 원인을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써, EPC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지표 산출부(25)는 산출된 각종 지표를 공정관리 시스템(50)에서 각종 공종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파일 형식으로 실적 데이터 내보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표 산출부(25)는 설계, 구매, 시공 워크에서 실적을 계산한 데이터를 주간 또는 월간 데이터로 내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및 공정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생성된 작업분류체계를 이용해서 프로젝트 수행시 설계, 구매, 시공의 전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지표 산출부(25)는 다수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설계, 구매, 시공, 스타트업 전체를 대상으로 일정성과지수(Schedule Performance Index) 및 비용성과지수(Cost Performance Index)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표 산출부(25)는 선택한 다수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주간 또는 월간 단위의 일정성과지수 및 비용성과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를 이용해서 전체 프로젝트는 물론이고 작업분류체계의 각 레벨별 성과 경향(trend)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EPC 사업의 핵심 관리 포인트인 납기 및 원가에 대한 경향을 가시적으로 분석해서 원가 및 납기에 영향을 미치는 상세 액티비티를 추적 관리하여 주어진 납기 및 예산 내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업관리서버(20)는 프로젝트 수행시 외부의 하도업체를 통해 수행되는 각 워크를 관리하는 기성관리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성관리부(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실리티와 워크 테이블에서 하도업체 계약 단위로서 전체 또는 일부의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선택받고 선택된 워크나 워크 패키지의 발주, 일정, 진도율, 예산, 실제 지불 비용 등의 기성정보를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은 사업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기성 정보를 관리하거나,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기성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여기서, 하도 계약 및 관리는 현장의 가변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퍼실리티와 워크 테이블에서 하도계약을 하고자 하는 워크 패키지를 선택하여 선택된 워크 패키지의 하도계약을 용이하게 발주할 수 있고, 기성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함으로써 기성관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관리서버(20)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에서 확정된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일정 및 예산을 이용해서 실제 수행할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한다.
이를 위해,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은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표준화되어 저장된 작업분류체계를 이용해서 견적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고(S10), 해당 프로젝트의 수행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한다(S11).
그리고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은 EPC 사업의 스케줄을 확정해서 일정을 계산하고, 계산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 베이스(10)로 전달해서 저장한다(S12).
이와 함께,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은 해당 프로젝트의 예산을 배분하고(S13), 예산을 확정해서 사업관리서버(20)에 전달해서 저장한다(S14).
그러면, 사업관리서버(20)의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 및 공정관리 시스템(50)과 연계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최종 작업분류체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작업분류체계에 따라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의 퍼실리티 및 워크를 생성한다.
이와 함께,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는 공정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견적 작업분류체계의 퍼실리티를 구성하는 워크 패키지에 해당하는 액티비티를 이용하여 액티비티를 생성하고, 전체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의 각 레벨별 데이터베이스(11 내지 16)에 저장하여 관리한다(S20).
가치계획 수립부(22)는 프로젝트 진행과정의 가치계획(plan the value)을 수립하고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한다(S21)
그리고 비용 집계부(23)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으로부터 전달된 예산관련 정보와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된 실제 지출비용 등을 집계하여 전체 프로젝트 레벨부터 각 액티비티 레벨까지 세부적인 비용을 산출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한다(S23,S24).
이어서, 진도율 집계부(24)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된 진도율을 집계해서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한다(S24,S25).
그러면, 지표 산출부(25)는 가치계획 수립부(22)에서 수립된 가치계획과 비용집계부(23) 및 진도율 집계부(24)에서 집계된 비용 및 진도율 등 실적 데이터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된 성과분석 및 평가 데이터를 이용해서 각종 지표를 산출한다(S26).
이때, 지표 산출부(25)는 성과 분석 및 평가 데이터와 각종 지표를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30)의 요청에 따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지표 산출부(25)는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예산, 실제 지출비용, 진도율, 스케줄 등에 관한 각종 지표와 설계 도서 및 도면 등을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한다(S27).
이때, 사용자는 프로젝트 수행 성과를 원가 및 공정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설계, 구매, 시공의 트렌드를 이용해서 진도율을 확인하고 진도율이 미진한 원인을 용이하게 확인함으로써, EPC 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전체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하도 계약을 통해 수행될 워크가 있는 경우, 기성관리부(26)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선택된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하도 계약 단위로 하여 하도 계약을 발주하고, 발주된 하도 계약의 예산, 실제 지출비용, 진도율 등을 산출해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현장 시공 중심의 작업분류체계를 설계 및 구매에 연계해서 EPC 사업을 관리함에 따라 EPC 사업의 핵심 관리 포인트인 납기 및 원가에 대한 경향을 가시적으로 분석해서 원가 및 납기에 영향을 미치는 상세 액티비티를 추적 관리하여 주어진 납기 및 예산 내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EPC 사업의 핵심 관리 포인트인 납기 및 원가에 대한 경향을 가시적으로 분석해서 원가 및 납기에 영향을 미치는 상세 액티비티를 추적 관리하여 주어진 납기 및 예산 내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
11: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12: 유닛 데이터베이스
13: 페이즈 데이터베이스 14: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
15: 워크 데이터베이스 16: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
20: 사업관리서버 21: 작업분류체계 생성부
22: 가치계획 수립부 23: 비용 집계부
24: 진도율 집계부 25: 지표 산출부
26: 기성관리부 40: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50: 공정관리 시스템

Claims (19)

  1. 현장 시공 중심으로 분류되어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가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
    상기 작업분류체계에 기초해서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의 설계, 구매, 시공의 페이즈별 퍼실리티와 워크를 매핑하여 관리하는 사업관리서버(20) 및
    상기 사업관리서버(20)에 설계, 구매, 시공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데이터와 사업관리서버(20)에서 산출된 각종 데이터를 열람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되는 작업분류체계는 현장 시공을 중심으로 퍼실리티와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를 표준화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는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11), 유닛 데이터베이스(12), 페이즈 데이터베이스(13),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14),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 데이터베이스(15)와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16)의 6레벨로 표준화된 데이터 베이스 계층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페이즈 데이터베이스(13)는 설계, 구매, 시공 및 스타트업을 페이즈로 설정하여 저장하며,
    상기 퍼실리티 데이터베이스(14)는 현장 시공 워크를 기반으로 해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설비나 목적물로 퍼실리티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는 프로젝트의 설계, 구매, 시공 각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의 퍼실리티 및 워크를 적용하여 작업분류체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데이터베이스(15)는 상기 퍼실리티를 구현하기 위한 필요시공 작업인 워크를 토목, 건축, 기계, 전기 워크 관점에서 액티비티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16)는 상기 워크를 구성하는 작업단위인 액티비티를 견적서의 내역항목이나 각 페이즈의 특성을 반영하여 정의해서 원가 및 공정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는 상기 액티비티에 연계된 자원을 상기 작업분류체계의 제7 레벨로 추가하는 자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7.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관리서버(20)는
    상기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으로 퍼실리티 및 워크를 생성하여 원가 및 공정이 연계된 작업분류체계를 설계 및 구매 페이즈에 연결하는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
    프로젝트 진행과정의 가치계획을 수립하는 가치계획 수립부(22),
    상기 작업분류체계 생성부(21)에서 생성된 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의 실제 지출비용을 집계하는 비용 집계부(23),
    실제 설계, 구매, 시공의 진도율을 집계하는 진도율 집계부(24) 및
    상기 가치계획 수립부(22)에서 수립된 가치계획과 상기 비용 집계부(23) 및 진도율 집계부(24)에서 집계된 비용 및 진도율에 따라 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관리서버(20)는 사내의 인트라넷이나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30),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 및 공정관리 시스템(5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업관리서버(20)는 상기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 및 공정관리 시스템(50)과 연계하여 견적 및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를 확정하고, 예산을 배분 및 확정하며, 상기 설계, 구매, 시공 및 스타트업 페이즈의 스케줄을 확정해서 일정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관리서버(20)는 프로젝트 수행시 외부의 하도업체를 통해 수행되는 각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관리하는 기성관리부(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성관리부(26)는 퍼실리티와 워크 테이블에서 하도업체 계약 단위로서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선택받고 선택된 워크 패키지의 발주, 일정, 진도율, 예산, 실제 지불 비용을 포함하는 기성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
  10. (a) 사업관리서버의 작업분류체계 생성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현장 시공을 중심으로 퍼실리티와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를 표준화해서 작업분류체계 및 액티비티를 확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가치계획 수립부에서 상기 프로젝트 진행과정의 가치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c)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비용 집계부에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예산 관련 정보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제 지출비용을 집계하는 단계,
    (d)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진도율 집계부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진도율을 집계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업관리서버의 지표 산출부에서 상기 (b)단계에서 수립된 가치계획과 상기 (c)단계 및 (d)단계에서 집계된 비용 및 진도율을 포함하는 실적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고 수행된 성과 분석 및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분류체계는 프로젝트, 유닛, 페이즈, 퍼실리티, 워크 또는 워크 패키지와 액티비티의 6레벨로 표준화된 계층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분류체계는 프로젝트의 설계, 구매, 시공 각 페이즈별로 동일한 명칭의 퍼실리티 및 워크를 적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에서 생성된 견적 작업분류체계의 유닛을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유닛으로 생성하는 단계,
    (a2) 작업분류체계 데이터베이스(10)에 견적 작업분류체계와 동일하게 표준화되어 저장된 퍼실리티 및 워크 패키지를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퍼실리티 및 워크 패키지로 생성하는 단계 및
    (a3) 공정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견적 작업분류체계의 퍼실리티를 구성하는 워크 패키지에 해당하는 액티비티를 최종 작업분류체계의 액티비티로 생성해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40)으로부터 전달되는 예산관련 정보와 실제 프로젝트 진행시 지불되는 실제 지출비용을 집계하는 단계 및
    (c2) 상기 (c1)단계에서 집계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전체 프로젝트 레벨부터 각 액티비티 레벨까지 세부적인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3) 미리 저장된 표준 신용 규정을 이용해서 실제 프로젝트의 신용 규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로젝트 신용 규정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e1) 상기 가치계획과 집계된 비용 및 실적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성과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e2) 상기 (e1)단계에서 산출된 지표를 사용자 단말(30)에 제공하는 단계 및
    (e3) 다수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설계, 구매, 시공, 스타트업 전체를 대상으로 일정성과지수 및 비용성과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e4) 상기 (e1)단계에서 산출된 지표를 공정관리 시스템에서 공종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실적 데이터를 내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3)단계는
    다수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주간 또는 월간 단위의 일정성과지수 및 비용성과지수를 제공하고, 제공되는 지수를 이용해서 전체 프로젝트부터 작업분류체계의 각 레벨별 성과 경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f) 전체 프로젝트 중에서 일부 워크나 워크 패키지에 대한 기성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단계는 (f1) 퍼실리티와 워크 테이블에서 하도업체 계약 단위로서 워크나 워크 패키지를 선택받는 단계 및
    (f2) 상기 (f1)단계에서 선택된 워크 패키지의 발주, 일정, 진도율, 예산, 실제 지불 비용을 포함하는 기성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C 사업 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KR1020120145797A 2012-12-13 2012-12-13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KR101549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797A KR101549127B1 (ko) 2012-12-13 2012-12-13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797A KR101549127B1 (ko) 2012-12-13 2012-12-13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065A KR20140077065A (ko) 2014-06-23
KR101549127B1 true KR101549127B1 (ko) 2015-09-02

Family

ID=5112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797A KR101549127B1 (ko) 2012-12-13 2012-12-13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47A (ko) 2014-12-31 2016-07-08 현대건설주식회사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KR20160081246A (ko) 2014-12-31 2016-07-08 현대건설주식회사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
KR102173973B1 (ko) * 2018-10-15 2020-11-05 주식회사 스타키움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78062B1 (ko) * 2019-09-05 2021-07-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확률론적 일치성 검증을 통한 원전 건설 동일 액티비티 분류방법
KR102245481B1 (ko) * 2020-07-02 2021-04-27 박인철 수작업 공정의 작업 표준화를 이용한 생산관리방법
CN114358591A (zh) * 2021-12-29 2022-04-15 北京达美盛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对象的工程建设管理方法及系统
CN116703130B (zh) * 2023-08-08 2023-10-13 威海市城市规划技术服务中心有限公司 一种工程测量智慧规划设计管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1788A (ja) * 2010-12-28 2012-07-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ロジェクト情報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1788A (ja) * 2010-12-28 2012-07-26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ロジェクト情報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065A (ko)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127B1 (ko)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Agarwal et al. A review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for supplier evaluation and selection
Liang et al. A hybrid group decision model for green supplier selection: a case study of megaprojects
US20150066592A1 (en) Method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s
CN103177306A (zh) 一种项目执行的工作流控制系统
Kumar et al. A CBR-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ramework for construction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Bafrooei et al. A supplier selection problem in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common weight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qualitative criteria
US85103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a meta-model schema
JP2017072870A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Macek et al. Buildings renovation and maintenance in the public sector
Höse et al. Manufacturing flexibility through industry 4.0 technological concepts—impact and assessment
WO2018160085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жизненным циклом сложного инженерного объекта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Borges Jr et al. Five project-duration control methods in time units: case study of a linearly distributed planned value
Bevilacqua et al. Value stream mapping in project management: a case study
Tang et al. Objectives, products and demand requirements in integrated supply chain network design: a review
WO2017077920A1 (ja) 管理支援装置および管理支援方法
Freitag et al. Evaluating investments in flexible on-demand production capacity: a real options approach
Patalas-Maliszewska et al. Sustainable Business Model integrated wit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SBM-ERP
Verma et al. Stochastic modelling and optimisation of multi-plant capacity planning problem
Akinsola et al. Construction planning process improvement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ools
CN109816558B (zh) 基于saas的变压器技术服务平台系统
Rota et al. A proposal for a theory of constraints-based framework in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Zada et al. Development of a Dynamic Model for Data-Driven DSS
Safa An advanced construction supply nexus model
Saad et al. Fundamental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