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44B1 -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644B1
KR101548644B1 KR1020150009129A KR20150009129A KR101548644B1 KR 101548644 B1 KR101548644 B1 KR 101548644B1 KR 1020150009129 A KR1020150009129 A KR 1020150009129A KR 20150009129 A KR20150009129 A KR 20150009129A KR 101548644 B1 KR101548644 B1 KR 10154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
container
purchas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이종춘
Original Assignee
(주)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스 filed Critical (주)유비스
Priority to KR102015000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은 선석(Berth)에서 실시되는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 정보와 적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작업 정보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하나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다른 블록으로 이동시키는 구내 이적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항만 운영 장치와 항만 운영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용망으로 전송하고 상용망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 사설망 장치 및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 및 게이트에서 사용되며 상용망을 통해 항만 운영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A port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mercial network}
본 발명은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만 작업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항만 운영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세계의 글로벌화, 생산기지의 다국화, 급격한 경제성장, 중국 신흥시장 등의 영향으로 전세계의 물동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해상을 통한 물동량은 전체 물동량의 97%를 차지하고 있다. 해상을 통해 이동되는 컨테이너는 선박에 적하되기 전 또는 선박에서 양하되어 내륙으로 운송되기 전에 항만의 야드장에 임시 보관되어 관리되고 있다.
종래 항만 시스템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을 계선시키는 시설을 갖춘 접안 장소인 선석(Berth)과, 컨테이너 화물이 적재되는 야드장과, 컨테이너 화물이 야드장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야드장으로 출입하는 것을 관리하는 게이트(GATE)와,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는 장비들 예를 들어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화물이 적재되는 야드장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으로 관리된다. 일반적으로 야드장 내 하나의 블록(Block)은 베이(Bay), 로우(Row), 티어(Tier)로 컨테이너를 적재할 작업 위치를 구분한다.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경우에도 베이(Bay), 로우(Row), 티어(Tier)로 구분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할 작업 위치를 사용한다.
도 1a을 참조하여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선석(Berth)에서는 안벽 크레인과 복수개의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과 적하 작업을 포함하는 본선 작업이 실시된다. 안벽 크레인은 항만의 key 크레인으로서, 지상으로부터 45m위에 위치한 크레인 운전실에서 크레인 기사들이 작업을 하는 장비이다. 안벽 크레인은 선박에 수출화물을 적재하는 적하작업과 선박에서 수입화물을 내리는 양하작업을 수행한다.
야드장에서는 선석(Berth)에서 양하작업을 통해 수입 컨테이너를 실은 트레일러가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에 정차하면, 블록에 배치된 야드 크레인은 레이저와 카메라로 수입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트레일러에서 수입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서 해당 위치에 적재한다. 또한, 야드장에서는 수출 컨테이너를 실은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에 정차하면, 블록에 배치된 야드 크레인은 레이저와 카메라로 수출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외부 차량에서 수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서 해당 위치에 적재한다.
야드장에서는 블록에 적재된 수입 컨테이너를 반출할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에 정차하면, 블록에 배치된 야드 크레인이 레이저와 카메라로 수입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수입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서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적재한다. 야드장에서는 많은 컨테이너 화물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야드 크레인 외에도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사용한다.
종래 항만 시스템에서는 플래너가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을 이용하여 선석(Berth)과 야드장과 게이트(GATE)에서 실시되는 작업들에 대한 전체 일정을 수립하면,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운전할 기사를 배차하고 작업 내용을 지시한다. 또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게이트 관리자에게 컨테이너 반입/반출 정보와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 정보를 전달한다.
종래 항만 시스템에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정보 교환은 야드장 내부에 설치된 무선망과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이 탑재된 산업용 PDA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산업용 PDA를 통해 전달되는 작업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플래너가 수립한 작업 일정에 따라 실제로 작업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한다.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작업이 지연되고 있거나 장비 지원이 필요한 경우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얻은 장비들의 작업 상황을 판단하여 필요한 장비를 적절히 선택하여 대처하고 있다.
그런데, 야드장 내부에 설치된 무선망은 컨테이너 블록에 의한 음영지역 발생 구간이 많아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통신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또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산업용 PDA로부터 최종 작업 결과만을 수집할 수 있어 장비들의 현재 이동 위치 및 작업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 신뢰도가 낮다. 이에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가 작업 지연 또는 장비 지원이 필요하여 작업 일정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장비를 적절히 선택하여 대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항만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PDA의 경우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 문제와 고정된 소프트웨어 규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이 많아서 작업자들이 사용하는데 적절하지 않았다. 이에 본 출원 발명자는 산업용 PDA 보다 구입 비용이 저렴하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공개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각종 항만 작업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68755호(발명의 명칭 :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하‘선행문헌’이라 함.)에는 항만과 선박에서 사용되던 PDA 대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의 정보를 관리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스마트폰에 추가적인 스마트폰용 동글(Dongle)을 장착하고, 동글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해 와이파이(Wi-Fi) 또는 3G를 통해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컨테이너의 정보 신뢰성 향상과 컨테이너 모니터링 편리성과 관련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다.
한편, 종래 항만 시스템에서 실시되는 외부 차량의 터미널 구입/구출 작업은, 차량이 게이트(GATE)를 통과하면서부터 시작된다. 기존에 외부 차량이 제공받는 작업 정보는 컨테이너 구입/구출이 발생하는 야드장 내의 블록 작업 위치(Block-Bay)로 한정되었다. 이러한 정보 제공의 한계로 외부 기사들은 구입/구출 작업이 진행되는 시간을 예측하지 못해, 야드장 내에서 대기하여 야드장의 정체를 발생시키거나 장기 대기 기사들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68755호 (등록일 2014.02.2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만 작업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항만 운영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드 내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의 현재 이동 위치 및 작업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 신뢰도가 높은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드 내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의 이동 위치 및 현재 위치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차량의 구입/구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작업 지연 및 장비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이를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자가 작업 지연 및 장비 지원 요청에 따른 작업 지시 정보를 신속하게 해당 장비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은, 선석(Berth)에서 실시되는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 정보와 적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작업 정보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항만 운영 장치와;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용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용망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 사설망 장치; 및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 및 게이트에서 사용되며, 상용망을 통해 항만 운영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단말기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가상 사설망 장치는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와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고, 항만 운영 장치는 가상 사설망 장치로부터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와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항만 운영 장치는 가상 사설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와 해당 블록 잔여 작업 수량과 작업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트레일러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가상 사설망 장치는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업에 대한 지연 정보 또는 장비 지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고, 항만 운영 장치는 가상 사설망 장치로부터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업에 대한 지연 정보 또는 장비 지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의 현재 위치 정보와,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기초로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항만 운영 장치는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장비 선택 후보군에 포함된 장비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획득하고, 장비 정보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로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 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상 사설망 장치를 구축하고 단말기(예를 들어, 태블릿 PC)를 항만 작업에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에서의 기본적인 기능, 예컨대 GPS 정보제공,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푸쉬 알림 메시지 송수신을 사용할 수 있어 본선 작업과 컨테이너 구입/구출 작업 및 컨테이너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장비 구입비용이 고가이고 유지보수비가 많이 발생하였던 산업용 PDA 대신 구입비용과 유지보수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단말기(예를 들어, 태블릿 PC)를 항만 작업에 사용함으로써, 항만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와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야드 내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의 이동 위치 및 현재 위치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모니터링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작업 지연 및 장비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작업을 처리할 장비들의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항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신속하게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넷째, 작업 지연 및 장비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작업을 처리할 장비들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로 작업 지시 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항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신속하게 작업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a 는 종래 전체 항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b 는 컨테이너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항만 운영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항만 운영 장치(205)와 상용망(210)에 접속 가능한 가상 사설망 장치(215)와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장비들(230 내지 255)과 게이트(GATE)(260)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항만 운영 장치(205)는 선석(Berth)에서 실시되는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 정보와 적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작업 정보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처리한다. 항만 운영 장치(205)는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용망(210)은 3G, LTE, LTE-A를 사용하는 무선망이다. LTE 상용망은 기존의 회선 교환(Circuit-Switched) 기반의 통신을 배제한 ALL-IP 기반의 네트워크로 QoS 관리 기능을 강화하여 실시간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비 실시간 서비스(예를 들어, 웹브라우징, Store and Forward 데이터 전송)에 대해 차별된 QoS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예를들어, MIMO)을 도입함으로써 무선통신을 위한 bandwidth를 확장하여 제공하고 있다. LTE-A 상용망은 최대 100MHz의 광대역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또는 대역폭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가상 사설망 장치(215)는 항만 운영 장치(205)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용망(210)으로 전송하고, 상용망(210)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항만 운영 장치(205)로 전송한다. 가상 사설망 장치(215)는 항만 운영 장치(205)와 복수개의 단말기 간에 보안 통화를 위한 키 공유 프로세서를 진행한 후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구현된다. 가상 사설망 장치(215)는 상용망(210)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아이피 주소와 포트 번호를 네트워크 주소 변환 통과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변경한다.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장비들(230 내지 255), 예를 들어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와 게이트(GATE)(260)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단말기는 음성통신, 화상통신, GPS 정보제공,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푸쉬 알림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트레일러는 야드장 내에서만 사용되는 전용 트레일러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을 포함한다.
본 출원 발명자는 종래 산업용 PDA에 탑재되는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을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맞게 변환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항만 작업 정보, 예컨대 본선 작업 정보와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항만 운영 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사설망 장치 인터페이스(310), 화면 출력부와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부(320), 사용자 조작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조작부(330), 실행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40), 및 실행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저장부(340)는 플래너가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을 이용하여 수립한 선석(Berth)과 야드장과 게이트(GATE)에서 실시되는 작업 정보, 예컨대 본선 작업 정보(341)와 구입/구출 작업 정보(342)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343)를 저장한다.
저장부(340)는 야드장에 구비된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포함하는 장비 정보(344)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식별 정보와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를 포함하는 블록 정보(345)를 저장한다. 저장부(340)는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346)를 저장한다.
저장부(340)는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각각 본선 작업 정보(341)와 구입/구출 작업 정보(342)와 반입/반출 작업 정보(343)에 저장한다.
제어부(350)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작업 정보 처리부(351)와 단말 위치 정보 처리부(352)와 장비 선택 정보 처리부(353)와 푸쉬 메시지 처리부(354)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작업 정보 처리부(351)는 가상 사설망 장치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작업 정보 처리부(351)는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와 해당 블록 잔여 작업 수량과 작업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를 생성한다.
작업 정보 처리부(351)에서 생성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는 플래너가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을 이용하여 수립한 것과 다르며, 실제 야드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진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이다. 작업 정보 처리부(351)는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와 해당 블록 잔여 작업 수량과 작업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를 트레일러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 기사들은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와 해당 블록 잔여 작업 수량과 작업 예상시간을 알 수 있어,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단말 위치 정보 처리부(352)는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를 수신하여 저장부(340)에 저장하며,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와 미리 저장된 야드장 내의 블록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의 현재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장비 선택 정보 처리부(353)는 가상 사설망 장치로부터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업에 대한 지연 정보 또는 장비 지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의 현재 위치 정보와,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기초로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를 생성한다.
일례로, 장비 선택 정보 처리부(353)는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 중에, 본선 작업에 대한 진행이 플래너가 수립한 계획 시간보다 늦어지는 경우 트레일러와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본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선석(Berth)과의 거리에 따라 트레일러와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장비 선택 정보 처리부(353)는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파악하여,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의 시간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작업 시간 가중치에 따라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배치할 트레일러와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장비 선택 정보 처리부(353)는 생성한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를 저장부(340)에 저장하며, 저장부(340)에 저장된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347)를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푸쉬 메시지 처리부(354)는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장비 선택 후보군에 포함된 장비 정보를 저장부(340)로부터 획득하고, 장비 정보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로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 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은 안마 의자 또는 흔들 의자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기존 회선 교환(Circuit-Switched) 기반의 통신을 배제한 ALL-IP 기반의 상용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으로서,
    선석(Berth)에서 실시되는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 정보와 적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작업 정보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항만 운영 장치;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상용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용망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 사설망 장치; 및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 및 게이트에서 사용되며, 상기 상용망을 통해 항만 운영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맞게 변환된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항만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복수개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항만 운영 장치는, 상기 가상 사설망 장치로부터 상기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들의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와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가상 사설망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업에 대한 지연 정보 또는 장비 지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항만 운영 장치는, 상기 가상 사설망 장치로부터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업에 대한 지연 정보 또는 장비 지원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기초로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항만 운영 장치는,
    상기 가상 사설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본선 작업과 구입/구출 작업과 반입/반출 작업에 대한 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와 해당 블록 잔여 작업 수량과 작업 예상시간을 포함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트레일러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항만 운영 장치는,
    상기 단말 위치 정보(GPS 좌표)와 미리 저장된 야드장 내의 블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의 현재 위치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항만 운영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장비 선택 후보군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장비 선택 후보군에 포함된 장비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장비 정보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로 야드장 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와 컨테이너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 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KR1020150009129A 2015-01-20 2015-01-20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KR10154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29A KR101548644B1 (ko) 2015-01-20 2015-01-20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29A KR101548644B1 (ko) 2015-01-20 2015-01-20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644B1 true KR101548644B1 (ko) 2015-08-31

Family

ID=5406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29A KR101548644B1 (ko) 2015-01-20 2015-01-20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6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180A (ko) 2017-06-14 2018-1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보호 취약진단 시스템
KR20180136182A (ko) 2017-06-14 2018-1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보호 취약진단 방법
KR101950248B1 (ko) * 2017-12-26 2019-02-21 (주)이씨스 컨테이너화물의 안전보관이 용이한 창고관리 시스템
CN109685435A (zh) * 2018-11-07 2019-04-26 上海图森未来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船舶卸船、装船控制系统及相关系统和装置
CN109711787A (zh) * 2018-11-07 2019-05-03 上海图森未来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港口智能控制系统及相关系统和装置
KR101978292B1 (ko) 2019-01-07 2019-05-14 (주) 케이엔에스 항만 게이트 ocr 시스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180A (ko) 2017-06-14 2018-1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보호 취약진단 시스템
KR20180136182A (ko) 2017-06-14 2018-12-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보호 취약진단 방법
KR101950248B1 (ko) * 2017-12-26 2019-02-21 (주)이씨스 컨테이너화물의 안전보관이 용이한 창고관리 시스템
CN109685435A (zh) * 2018-11-07 2019-04-26 上海图森未来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船舶卸船、装船控制系统及相关系统和装置
CN109711787A (zh) * 2018-11-07 2019-05-03 上海图森未来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港口智能控制系统及相关系统和装置
CN109711787B (zh) * 2018-11-07 2024-04-19 北京图森智途科技有限公司 一种港口智能控制系统及相关系统和装置
US11972501B2 (en) 2018-11-07 2024-04-30 Beijing Tusen Zhitu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port control system and related systems and apparatuses
KR101978292B1 (ko) 2019-01-07 2019-05-14 (주) 케이엔에스 항만 게이트 ocr 시스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644B1 (ko)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US11954752B2 (en) Goods transportation control system and related systems and apparatuses
WO2019161661A1 (zh) 实现自动装卸货的系统及相关设备
Guo et al. Gantry crane scheduling in intermodal rail-road container terminals
Van Vianen et al. Simulation-based rescheduling of the stacker–reclaimer operation
EP3573008A1 (en) Data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Li et al. Joint planning for yard storage space and home berths in container terminals
CN107248321A (zh) 一种船舶到港等待时间预测方法及系统
SE1951248A1 (en) Inter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connect modules of a cargo container coupling arrangement
WO2019116934A1 (ja) 人工知能を活用した荷役機械の分散配置システム
CN109279509A (zh) 多机协同吊装作业方法、装置和系统、起重机和存储介质
Digiesi et al. Dry port as a lean and green strategy in a container terminal hub: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JP6014535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構内トレーラの作業管理システム
EP3080032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payload handling apparatus
KR101679826B1 (ko)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KR101438739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9212A (ko)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JP2011073796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における作業指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指示方法
Garro et al. Maritime terminals’ cargo handling equipment cooperation leveraging IoT and edge computing: The ASSIST-IoT approach
JP2020033110A (ja) 倉庫設備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140031606A (ko)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작업 지연원인 분석방법
CN207895293U (zh) 一种手持式仓储系统控制系统
KR20050070656A (ko) 컨테이너 반·출입을 위한 게이트-장치장 관리 시스템
Kim et al. A Development of Controlling System of Harbor Terminal using on the Commercial Network
KR20160093818A (ko) 광통신망을 이용한 항만 터미널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