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212A -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212A
KR20190049212A KR1020170144804A KR20170144804A KR20190049212A KR 20190049212 A KR20190049212 A KR 20190049212A KR 1020170144804 A KR1020170144804 A KR 1020170144804A KR 20170144804 A KR20170144804 A KR 20170144804A KR 20190049212 A KR20190049212 A KR 2019004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d
port
information
tabl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춘
Original Assignee
(주)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스 filed Critical (주)유비스
Priority to KR102017014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9212A/ko
Publication of KR2019004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선 양하, 적하 작업 시 언더맨(Underman)의 수동개입을 최소화하고, 광학 문자판독장치(OCR)와 카 포지션 장치(CPS)와 본선 하역/선적 시스템(Q/C)과 야드 이적/상하차 시스템(T/C, R/S, T/H)과 게이트 반입/반출 시스템과 구내운송 관리시스템(Y/T)과 냉동콘테이너 관리시스템(PTI)에 사용되는 태블릿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IoT based Smart Port Operation System, Application and Tabl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선 양하, 적하 작업 시 언더맨(Underman)의 수동개입을 최소화하고, 광학 문자판독장치(OCR)와 카 포지션 장치(CPS)와 본선 하역/선적 시스템(Q/C)과 야드 이적/상하차 시스템(T/C, R/S, T/H)과 게이트 반입/반출 시스템과 구내운송 관리시스템(Y/T)과 냉동콘테이너 관리시스템(PTI)에 사용되는 태블릿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들어 세계화, 정보화 및 첨단화 등의 영향을 받아 물류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기술의 혁신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물류기술은 물류비 절감 이외에도 물류보안·안전 문제와 친환경 문제가 고려되어야 하는 복합적인 응용기술 분야로, 물류시스템 및 물류 프로세스의 핵심은 물류 전체 과정상의 화물과 정보, 그리고 자금흐름을 유연하게 연계시키는 데 있다. 운송·보관 및 하역·포장 등 과정별로 기술 개발의 세 가지 목표인 효율·효과성, 보안·안전성, 지속가능·환경성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물류시설, 장비 및 소프트웨어 기술 등이 물류기술에 포함되며, 현재는 물류의 합리화를 위한 물류의 기반 인프라·장비 및 운영 효율화를 위한 물류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출입 무역화물은 크게 항공과 해상을 통해 수송이 되는데, 그 중에서도 해상 화물 컨테이너는 많은 수량의 물건을 저비용으로 동시에 운송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세계 화물 물동량의 대부분이 해상 수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 해상물류운송의 글로벌 해상물류정보화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를 위한 핵심기술로 RFID, NFC, WIFI, Bluetooth, ZigBee, GSM, GPRS, 3G, LTE, Satellite 등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IoT는 지능화된 모든 사물(Things)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 인터넷 인프라 기술로, 물류/유통, 환경, 시설물, 의료, 전자, 자동차, 철강 그리고 항공선박 등 거의 모든 산업과 융합할 수 있기에 초연결사회의 핵심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인 RFID, NFC, WIFI, Bluetooth, ZigBee, GSM, GPRS, 3G, LTE, 위성통신 등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물류/유통 산업에서 융합이 가능하여, 항만물류 뿐 아니라 일반 육상물류, 우편물류, 항공운송 산업에 널리 응용 가능하다.
종래 항만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을 계선시키는 시설을 갖춘 접안 장소인 본선(ARRON)과, 컨테이너 화물이 적재되는 야드장과, 컨테이너 화물이 야드장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야드장으로 출입하는 것을 관리하는 게이트(GATE)와,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는 장비들 예를 들어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화물이 적재되는 야드장은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으로 관리된다. 일반적으로 야드장 내 하나의 블록(Block)은 베이(Bay), 로우(Row), 티어(Tier)로 컨테이너를 적재할 작업 위치를 구분한다.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경우에도 베이(Bay), 로우(Row), 티어(Tier)로 구분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할 작업 위치를 사용한다.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선석(Berth)에서는 안벽 크레인과 복수개의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과 적하 작업을 포함하는 본선 작업이 실시된다. 안벽 크레인은 항만의 key 크레인으로서, 지상으로부터 45m위에 위치한 크레인 운전실에서 크레인 기사들이 작업을 하는 장비이다. 안벽 크레인은 선박에 수출화물을 적재하는 적하작업과 선박에서 수입화물을 내리는 양하작업을 수행한다.
야드장에서는 본선(ARRON)에서 양하작업을 통해 수입 컨테이너를 실은 트레일러가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에 정차하면, 블록에 배치된 야드 크레인은 레이저와 카메라로 수입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트레일러에서 수입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서 해당 위치에 적재한다. 또한, 야드장에서는 수출 컨테이너를 실은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에 정차하면, 블록에 배치된 야드 크레인은 레이저와 카메라로 수출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외부 차량에서 수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서 해당 위치에 적재한다. 야드장에서는 블록에 적재된 수입 컨테이너를 반출할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이 블록 작업 위치(Block-Bay-Row-Tier)에 정차하면, 블록에 배치된 야드 크레인이 레이저와 카메라로 수입 컨테이너를 인식하고 수입 컨테이너를 들어올려서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적재한다. 야드장에서는 많은 컨테이너 화물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야드 크레인 외에도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사용한다.
종래 항만 시스템에서는 플래너가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을 이용하여 본선(ARRON)과 야드장과 게이트(GATE)에서 실시되는 작업들에 대한 전체 일정을 수립하면,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안벽 크레인과 트레일러와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를 운전할 기사를 배차하고 작업 내용을 지시한다. 또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게이트 관리자에게 컨테이너 반입/반출 정보와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 정보를 전달한다.
종래 항만 시스템에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정보 교환은 야드장 내부에 설치된 무선망과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이 탑재된 산업용 PDA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산업용 PDA를 통해 전달되는 작업 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플래너가 수립한 작업 일정에 따라 실제로 작업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한다.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작업이 지연되고 있거나 장비 지원이 필요한 경우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얻은 장비들의 작업 상황을 판단하여 필요한 장비를 적절히 선택하여 대처하고 있다.
그런데 야드장 내부에 설치된 무선망은 컨테이너 블록에 의한 음영지역 발생 구간이 많아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와 작업자 간의 통신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또한,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산업용 PDA로부터 최종 작업 결과만을 수집할 수 있어 장비들의 현재 이동 위치 및 작업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 신뢰도가 낮다. 이에 항만 운영 시스템 관리자가 작업 지연 또는 장비 지원이 필요하여 작업 일정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장비를 적절히 선택하여 대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항만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PDA의 경우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 문제와 고정된 소프트웨어 규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이 많아서 작업자들이 사용하는데 적절하지 않았다. 이에 본 출원 발명자는 산업용 PDA 보다 구입 비용이 저렴하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공개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각종 항만 작업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368755호(발명의 명칭 :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하‘선행문헌 1’이라 함.)에는 항만과 선박에서 사용되던 PDA 대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의 정보를 관리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스마트폰에 추가적인 스마트폰용 동글(Dongle)을 장착하고, 동글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해 와이파이(Wi-Fi) 또는 3G를 통해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컨테이너의 정보 신뢰성 향상과 컨테이너 모니터링 편리성과 관련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515195호(발명의 명칭 : 항만 터미널 장치장내 무인이송장치의 정지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이하‘선행문헌 2’라 함.)에는 항만 터미널 장치장 내에서의 작업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무인이송장치가 정지할 수 있도록 무선인식(RFID) 및 카메라를 병용하여 무인이송장치가 정확한 정지위치에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항만 장치장내 무인이송장치의 정지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2는 무인이송장치에 실린 화물을 내리기 전이나 무인이송장치의 화물을 싣기 전에 무인이송장치의 정확한 정차위치를 판단하는 내용에 한정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8755호(등록일 2014.02.20) 한국등록특허 제10-1515195호(등록일 2015.04.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선 양하, 적하 작업 시 광학 문자판독장치(OCR)와 카 포지션 장치(CPS)와 본선 하역/선적 시스템(Q/C)과 야드 이적/상하차 시스템(T/C, R/S, T/H)과 게이트 반입/반출 시스템과 구내운송 관리시스템(Y/T)과 냉동컨테이너 관리시스템(PTI)에 사용되는 태블릿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은, 항만 운영 장치와;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기존 회선 교환(Circuit-Switched) 기반의 통신을 배제한 ALL-IP 기반의 상용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용망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 사설망 장치와;
본선(ARRON)에 설치되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트랙터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 및 게이트에서 사용되며, 상기 상용망을 통해 항만 운영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맞게 변환된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항만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태블릿과;
야드 트랙터(Y/T)가 작업 위치에 정확히 도착했는지를 검출하는 물체인식장치와, 물체인식장치에서 인식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태블릿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카 포지션 장치(CPS)와;
컨테이너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컨테이너 이미지에서 컨테이너 번호를 검출하는 영상처리서버와, 상기 영상처리서버에서 검출된 컨테이너 번호 정보를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블릿은, 카 포지션 장치(CPS)로부터 정위치 도착정보가 입력되면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만 운영 장치는,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로부터 컨테이너 번호 정보와 상기 태블릿으로부터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양하/적하 작업 정보, 구입/구출 작업, 및 반입/반출 작업을 생성하여 상기 태블릿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 포지션 장치(CPS)의 물체인식장치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크레인에 설치되는 레이저 스캐너로 구현되며, 광학 문자판독장치(OCR)의 카메라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크레인의 측벽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현재 컨테이너를 상차 또는 하차시키기 위해 신호수가 배치되어 작업중이나 광학 문자판독장치(OCR)와 카 포지션 장치(CPS)와 본선 하역/선적 시스템(Q/C)과 야드 이적/상하차 시스템(T/C, R/S, T/H)과 게이트 반입/반출 시스템과 구내운송 관리시스템(Y/T)과 냉동콘테이너 관리시스템(PTI)에 사용되는 태블릿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에 장비 구입비용이 고가이고 유지보수비가 많이 발생하였던 산업용 PDA 대신 구입비용과 유지보수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태블릿을 항만 작업에 사용함으로써, 항만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은 종래 전체 항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의 양하 및 적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항만 운영 장치(205)와 상용망(210)에 접속 가능한 가상 사설망 장치(215)와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시스템(220 내지 240)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단말기와 카 포지션 장치(CPS)(250)와 광학 문자판독장치(OCR)(26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항만 운영 장치(205)는 본선(ARRON)에서 실시되는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 정보와 적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작업 정보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처리한다. 항만 운영 장치(205)는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용망(210)은 3G, LTE, LTE-A를 사용하는 무선망이다. LTE 상용망은 기존의 회선 교환(Circuit-Switched) 기반의 통신을 배제한 ALL-IP 기반의 네트워크로 QoS 관리 기능을 강화하여 실시간 서비스(예를 들어, 음성통신, 화상통신) 및 비 실시간 서비스(예를 들어, 웹브라우징, Store and Forward 데이터 전송)에 대해 차별된 QoS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예를들어, MIMO)을 도입함으로써 무선통신을 위한 bandwidth를 확장하여 제공하고 있다. LTE-A 상용망은 최대 100MHz의 광대역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복수의 주파수 블록을 사용하여 광대역을 달성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또는 대역폭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또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을 사용한다.
가상 사설망 장치(215)는 항만 운영 장치(205)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용망(210)으로 전송하고, 상용망(210)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항만 운영 장치(205)로 전송한다. 가상 사설망 장치(215)는 항만 운영 장치(205)와 복수개의 단말기 간에 보안 통화를 위한 키 공유 프로세서를 진행한 후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구현된다. 가상 사설망 장치(215)는 상용망(210)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아이피 주소와 포트 번호를 네트워크 주소 변환 통과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변경한다.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시스템(220 내지 240), 예를 들어 안벽 크레인과 야드 트랙터(Y/T)와 야드 크레인(T/C)과 리치스태커(R/S)와 탑 핸들러(T/H)와 포크 리프트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외부 차량(트럭 또는 트레일러)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단말기는 음성통신, 화상통신, GPS 정보제공, 문자 메시지 송수신, 및 푸쉬 알림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통칭한다.
안벽 크레인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본선 작업 총괄 현황, 접안 모선 작업 상세 현황, 접안 모선 작업 Bay별 작업 내역 조회, 본선 작업 목록 조회, 선석 접안 계획 조회 등을 처리한다. 야드 트랙터(Y/T)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작업 Y/T 장비 및 Y/C 정보 입력과 수정, 본선(양/적하) 작업 현황, 도착/정차/완료 처리 현황, 구내 이적 작업 및 목록 조회를 처리한다. 야드 크레인(T/C)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수입/수출(양/적하) 작업 현황, 반입/반출 작업 현황, 이적 야드 작업 현황, 야드 T/C 작업 현황, 상/하차 작업 취소 현황 정보를 처리한다.
복수개의 단말기는 상용망(210)을 통해 항만 운영 장치(205)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맞게 변환된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항만 작업 정보, 예컨대 본선 작업 정보와 구입/구출 작업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카 포지션 장치(CPS)(250)는 야드 트랙터(Y/T)가 작업 위치에 정확히 도착했는지를 검출하는 물체인식장치와, 물체인식장치에서 인식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프로토콜(예컨대,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시스템(220 내지 240)에 사용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광학 문자판독장치(OCR)(260)는 컨테이너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컨테이너 이미지에서 컨테이너 번호를 검출하는 영상처리서버와, 상기 영상처리서버에서 검출된 컨테이너 번호 정보를 항만 운영 장치(205)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 포지션 장치(CPS)(250)의 물체인식장치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크레인에 설치되는 레이저 스캐너로 구현되며, 광학 문자판독장치(OCR)(260)의 카메라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크레인의 측벽에 설치된다.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시스템(220 내지 240)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카 포지션 장치(CPS)로부터 정위치 도착정보가 입력되면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항만 운영 장치(205)로 전송한다.
항만 운영 장치(205)는 광학 문자판독장치(OCR)(260)로부터 컨테이너 번호 정보와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시스템(220 내지 240)에 사용되는 단말기로부터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양하/적하 작업 정보, 구입/구출 작업, 및 반입/반출 작업을 생성하여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다수의 시스템(220 내지 240)에 사용되는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의 양하 및 적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여 양하작업을 설명하면, ① 야드 트랙터(Y/T)가 작업위치에 진입하면, 카 포지션 장치(CPS)는 야드 트랙터(Y/T)가 작업 위치에 정확히 도착했는지를 판단한다. 야드 트랙터(Y/T)가 작업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면 신호등이 정위치 도착알림을 표시하고, 카 포지션 장치(CPS)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으로 근거리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은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한다. ②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는 컨테이너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컨테이너 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컨테이너 번호 정보를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한다. ③ 항만 운영 장치는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로부터 컨테이너 번호 정보와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으로부터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④ 항만 운영 장치는 양하/적하 작업 정보, 구입/구출 작업, 및 반입/반출 작업을 생성하여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으로 전송한다. ⑤ 항만 운영 장치는 본선(ARRON)에서 실시되는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 정보와 적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작업 정보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적하작업을 설명하면, ① 적하대상 목록 컨테이너를 상차하고, ② 야드 트랙터(Y/T)가 작업위치에 진입하면, 카 포지션 장치(CPS)는 야드 트랙터(Y/T)가 작업 위치에 정확히 도착했는지를 판단한다. 야드 트랙터(Y/T)가 작업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면 신호등이 정위치 도착알림을 표시하고, 카 포지션 장치(CPS)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으로 근거리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은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한다.③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는 컨테이너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컨테이너 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컨테이너 번호 정보를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한다. ④ 항만 운영 장치는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로부터 컨테이너 번호 정보와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으로부터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⑤ 항만 운영 장치는 양하/적하 작업 정보, 구입/구출 작업, 및 반입/반출 작업을 생성하여 야드 트랙터(Y/T)에서 사용하는 태블릿으로 전송한다. ⑥ 항만 운영 장치는 본선(ARRON)에서 실시되는 컨테이너의 양하 작업 정보와 적하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작업 정보와, 야드장에서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블록 중 하나의 블록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블록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구입/구출 작업 정보와, 게이트(GATE)를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으로서,
    항만 운영 장치와;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기존 회선 교환(Circuit-Switched) 기반의 통신을 배제한 ALL-IP 기반의 상용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상용망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 사설망 장치와;
    본선(ARRON)에 설치되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트랙터와 야드 크레인과 리치 스태커와 탑 핸들러와 포크 리프트 및 게이트에서 사용되며, 상기 상용망을 통해 항만 운영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맞게 변환된 터미널 오퍼레이팅 시스템(Terminal Operating System)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항만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태블릿과;
    야드 트랙터(Y/T)가 작업 위치에 정확히 도착했는지를 검출하는 물체인식장치와, 물체인식장치에서 인식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태블릿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카 포지션 장치(CPS)와;
    컨테이너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컨테이너 이미지에서 컨테이너 번호를 검출하는 영상처리서버와, 상기 영상처리서버에서 검출된 컨테이너 번호 정보를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를 포함하며,
    상기 태블릿은, 상기 카 포지션 장치(CPS)로부터 정위치 도착정보가 입력되면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상기 항만 운영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항만 운영 장치는, 상기 광학 문자판독장치(OCR)로부터 컨테이너 번호 정보와 상기 태블릿으로부터 야드 트랙터(Y/T)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위치 도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양하/적하 작업 정보, 구입/구출 작업, 및 반입/반출 작업을 생성하여 상기 태블릿으로 전송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카 포지션 장치(CPS)의 물체인식장치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크레인에 설치되는 레이저 스캐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광학 문자판독장치(OCR)의 카메라는,
    안벽 크레인과 야드 크레인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


KR1020170144804A 2017-11-01 2017-11-01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KR20190049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04A KR20190049212A (ko) 2017-11-01 2017-11-01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04A KR20190049212A (ko) 2017-11-01 2017-11-01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12A true KR20190049212A (ko) 2019-05-09

Family

ID=6654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804A KR20190049212A (ko) 2017-11-01 2017-11-01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9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5681A (zh) * 2020-03-26 2020-07-24 上海海事大学 一种港口环境下车路协同交互系统及交互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755B1 (ko) 2013-04-05 2014-02-28 (주)불스브로드밴드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15195B1 (ko) 2013-06-25 2015-05-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 터미널 장치장내 무인이송장치의 정지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755B1 (ko) 2013-04-05 2014-02-28 (주)불스브로드밴드 스마트폰을 이용한 항만 및 선박용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15195B1 (ko) 2013-06-25 2015-05-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 터미널 장치장내 무인이송장치의 정지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5681A (zh) * 2020-03-26 2020-07-24 上海海事大学 一种港口环境下车路协同交互系统及交互方法
CN111445681B (zh) * 2020-03-26 2021-08-03 上海海事大学 一种港口环境下车路协同交互系统及交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432B2 (en) Object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20210132610A1 (en) System for realizing automated transport of goods and related apparatus
US11948121B2 (en) System for automatic loading / unloading and related devices
US11472677B2 (en) Ship unloading control system, ship loading control system, and related systems and apparatuses
US11954752B2 (en) Goods transportation control system and related systems and apparatuses
KR101548644B1 (ko) 상용망 기반의 항만 운영 관리시스템
US20210339775A1 (en) System for realizing automated transport of goods and related apparatus
US20240020619A1 (en) Intelligent port control system and related systems and apparatuses
US11972501B2 (en) Intelligent port control system and related systems and apparatuses
CN109711717A (zh) 智能化集装箱港口管理系统
CN103246971A (zh) 海运物流监控系统及方法
JP5520448B2 (ja) コンテナ搬送トラックの運行管理システム
Merz et al. A gap analysis for automated cargo handling operations with geared vessels frequenting small sized ports
KR20190049212A (ko) IoT 기반의 스마트 포트 운영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그를 탑재한 태블릿
CN112013838A (zh) 码头融合定位系统
Garro et al. Maritime terminals’ cargo handling equipment cooperation leveraging IoT and edge computing: The ASSIST-IoT approach
Valentina New technologies used for automation of container handling at terminals
FI130312B (en) Following a truck in the container handling area
KR102162557B1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KR20050070656A (ko) 컨테이너 반·출입을 위한 게이트-장치장 관리 시스템
KR20180067267A (ko) Rfid와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초고속 이동체계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3818A (ko) 광통신망을 이용한 항만 터미널 관리 시스템
Kim et al. A Development of Controlling System of Harbor Terminal using on the Commercial Network
WO2021161334A1 (en) E-port
CN117910910A (zh) 港区移动目标状态及轨迹跟踪控制管理系统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