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31B1 - 중장비용 조작유닛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조작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631B1
KR101548631B1 KR1020130138488A KR20130138488A KR101548631B1 KR 101548631 B1 KR101548631 B1 KR 101548631B1 KR 1020130138488 A KR1020130138488 A KR 1020130138488A KR 20130138488 A KR20130138488 A KR 20130138488A KR 101548631 B1 KR101548631 B1 KR 10154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tion
head
module
heavy equipment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918A (ko
Inventor
임선
김봉석
박재순
진한윤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3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4Le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격된 중장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헤드와,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조작유닛{CONTROL UNIT FOR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조작유닛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착탈 가능한 헤드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중장비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를 총칭한다.
이러한 중장비는 사용자가 중장비에 탑승하여, 직접적으로 중장비를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건설현장의 특수성 또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중장비와 이격된 곳에서 사용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중장비의 종류별 또는 제조 회사별로 중장비를 조종하기 위해 구비되는 컨트롤러(조이스틱 등)의 구조와 형상이 상이하며, 이러한 컨트롤러의 다양성으로 인해 각각의 중장비를 조종하기 위한 인원이 필요하여 건설현장의 인건비가 증가된다.
또한, 중장비를 원격조종하기 위한 컨트롤러는 중장비마다 정형화되어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니드(need)에 맞는 컨트롤러 주문시 수 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컨트롤러 교체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사 시간이 불가결하게 길어지게 되며, 공사 비용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중장비에 적용될 수 있는 원격 컨트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격된 중장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헤드와,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패널은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중장비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부는 조그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 하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조작레버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바디에 전달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인식모듈에 상기 헤드의 종류를 전달하는 인식신호전달모듈과, 상기 조작레버에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전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호 대향측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전달모듈은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인식신호전달모듈은 상기 날개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장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삽입된 상기 장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는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는 일정한 간격으로 하단면에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인식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인식돌기부를 수용하여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는 인식돌기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식돌기수용부 하단면은 스프링으로써 센서와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인식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레버와 헤드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인식모듈에 상기 헤드의 종류를 전달하는 인식신호전달모듈과, 일정한 간격으로 하단면에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인식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인식돌기부를 수용하여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는 인식돌기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바디 또는 조작레버에는 상기 조작레버에 구비된 인식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식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식제어모듈은 상기 인식신호전달모듈로써 파악된 헤드 종류와 상기 인식돌기부로써 파악된 헤드 종류가 일치할 경우에만 상기 헤드에서 생성된 중장비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바디에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중장비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헤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컨트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안전하고 정밀하고 다양한 중장비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이 포함하는 모듈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의 헤드와 조작레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장착부와 조작레버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배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중장비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원격 조종 가능한 조작유닛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중장비라 함은 동일 제조사의 동일한 종류의 중장비를 지칭할 수도 있고, 동일 제조사의 다른 종류의 중장비를 지칭할 수도 있고, 다른 제조사의 동일한 종류의 중장비 또는 다른 종류의 중장비를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이 포함하는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은 크게 헤드(100), 조작레버(200) 및 메인바디(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100)는 상기 조작레버(2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레버(200)는 상기 메인바디(300)에 볼트 체결 또는 나사 체결 등의 방식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100), 조작레버(200) 및 메인바디(300)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100)는 내부에 헤드(100)의 종류에 따른 인식신호를 생성하는 인식신호전달모듈(100a)과, 중장비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전달모듈(100b)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200)는 장착된 상기 헤드(100)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200a)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300)는 이격된 중장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300a)과, 중장비용 조작유닛을 최종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부(300b)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300) 또는 조작레버(200)에는 상기 조작레버(200)에 구비된 인식모듈(2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식제어모듈(200c, 30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이 탑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조작유닛의 헤드(100)와 조작레버(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100)의 장착부(110)와 조작레버(200)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100)의 배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100)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바디(300)는 이격된 중장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300a)을 포함하고 있다. 물론, 이격되어 있는 중장비에는 상기 통신모듈(300a)과 통신되는 별도의 통신모듈 및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통신 모듈은 RF 통신, ZigBee 통신 등 상용화되어 있는 통신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300)에는 전원스위치(310) 및 상기 중장비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스크린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통신모듈(300a) 이외에도 중장비용 조작유닛을 최종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부(3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32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원스위치(310)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바디(300) 상측에는 후술할 헤드(100)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헤드(100)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200a)을 포함하는 조작레버(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레버(200)는 하측이 상기 메인바디(300)에 장착되고, 상측은 상기 하측을 기준으로 축회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200)는 상기 메인바디(300)와 전기적으로 장착되어 후술할 헤드(100)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합제어부(300b)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레버(200)와 메인바디(300)는 고무 또는 가죽으로 구현되는 씰링부재(400)로써, 상기 조작레버(200)와 메인바디(300) 사이를 밀폐하여, 건설현장 등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미세 먼지와 같은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200)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헤드(100)의 장착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후술할 장착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요입부(210)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200)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헤드(100)의 인식돌기부(120)를 수용하여 상기 헤드(100)의 종류를 인식하는 인식돌기수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돌기수용부(220)는 상기 요입부(210)와 소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식돌기수용부(220)는 90°간격으로 4 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 45°간격으로 8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돌기수용부(220)는 하부면이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인식돌기부(120)가 삽입되면 소정 간격 하향 이동하여 센서(미도시)와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0)마다 다르게 구비된 인식돌기부(120)에 의해, 접촉하는 센서의 갯수 및/또는 접촉강도를 달리하여 상기 센서와 연결된 인식모듈(200a)에 의해 헤드(100)의 종류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식돌기부(120)와 인식돌기수용부(220)의 인식방법은 기계적 접촉에 의한 인식방법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상기 조작레버(200)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10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100)는 크게 컨트롤부(130)와 장착부(110)로 대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부(130)는 이격된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방, 즉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결되는 회로부(100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은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장비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조작부(131) 또는 디스플레이부(132)의 위치 및 형상은 변형될 수 있으며, 중장비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 예를 들어, 조그다이얼(미도시)과 같은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헤드(100)에 구비된 컨트롤부(13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유롭게 제조 가능하므로, 상기 헤드(100)만 상기 조작레버(200)에 바꿔서 장착한다면, 중장비 원격조종장치의 원가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부(110)는 중장비에 상기 헤드(100)의 제어신호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컨트롤부(130) 하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조작레버(200)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부(130)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바디(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장착부(11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좀 더 안정적이고 정확한 체결을 위해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10)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조작레버(200)에 장착시 고정되지 아니하고 축회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중장비 오작동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원형이라 함은 완전한 원기둥 형상이 아닌 타원형, 다각형 등을 포함하며, 도시된 것과 같이 장착부(110)는 원통형의 몸체(111)에 상호 대향측으로 돌출된 날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레버(200)에 상기 헤드(100)의 종류를 전달하는 인식신호전달모듈(100a)은 상기 장착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인식돌기수용부(220) 및 후술할 인식돌기부(120)의 기계적 헤드(100) 인식 방법과 달리, 상기 인식신호전달모듈(100a)은 전기적으로 상기 조작레버(200)에 헤드(100)의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레버(200)의 요입부(210) 내부에는 전류 또는 전압이 흐르며, 상기 장착부(110)에 형성된 인식신호전달모듈(100a)에 통전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인식모듈(200a)은 헤드(1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신호전달모듈(100a)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날개부(112)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110)는 상기 조작레버(200)에 상기 컨트롤부(130)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전달모듈(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전달모듈(100b)로써 전달된 제어신호는 조작레버(200)를 거쳐 최종적으로 메인바디(300)의 통합제어부(300b)에 의해 통신 신호로써 변환되어 통신모듈(300a)을 통해 중장비로 전달된다. 이러한 제어신호전달모듈(100b)은 몸체(111)에 구비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장착부(110)는 기계적으로 상기 조작레버(200)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헤드(100)의 종류 및 중장비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상기 조작레버(200)에 전달한다.
이러한 헤드(100)와 조작레버(2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레버(200)와 헤드(100)는 후크(240)와 상기 후크(240)가 체결되는 체결홈(140)을 각각 포함하여 기계적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100)의 장착부(110) 주면에는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인식돌기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돌기부(120)의 갯수 및 길이는 헤드(100)의 종류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조작레버(200)의 인식돌기수용부(220)에 기계적으로 장착되어 헤드(100)의 종류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110)의 인식신호전달모듈(100a)에 의해 1 차적으로 헤드(100)의 종류를 상기 인식모듈(200a)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돌기부(120)에 의해 2 차적으로 헤드(100)의 종류를 상기 인식모듈(200a)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인식신호전달모듈(100a) 및 인식돌기부(120)를 모두 포함하는 헤드(100)의 경우, 메인바디(300) 또는 조작레버(200)에는 상기 조작레버(200)에 구비된 인식모듈(2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식제어모듈(200c, 300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식신호전달모듈(100a)로써 파악된 헤드(100) 종류와 상기 인식돌기부(120)로써 파악된 헤드(100) 종류가 일치할 경우에만 상기 헤드(100)에서 생성된 중장비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300a)에 인가하여 중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단일화된 메인바디(300)와 조작레버(200)에 사용자의 요구에 맞거나, 중장비 종류에 따른 다양한 헤드(100)를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헤드 100a: 인식신호전달모듈
100b: 제어신호전달모듈 100c: 회로부
110: 장착부 111: 몸체
112: 날개부 120: 인식돌기부
130: 컨트롤부 131: 조작부
132: 디스플레이부 140: 체결홈
200: 조작레버 200a: 인식모듈
200c, 300c: 인식제어모듈 210: 요입부
220: 인식돌기수용부 240: 후크
300: 메인바디 310: 전원스위치
320: 스크린부 400: 씰링부재

Claims (15)

  1. 이격된 중장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조작레버; 및
    상기 헤드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한 개 이상의 인식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인식돌기부를 수용하여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는 인식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은,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중장비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그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컨트롤부 하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상기 조작레버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바디에 전달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인식모듈에 상기 헤드의 종류를 전달하는 인식신호전달모듈과, 상기 조작레버에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전달모듈을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호 대향측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전달모듈은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인식신호전달모듈은 상기 날개부에 구비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장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삽입된 상기 장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돌기수용부 하단면은 스프링으로써 센서와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인식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와 헤드는 후크와 상기 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홈을 각각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12. 이격된 중장비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중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상기 메인바디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 하측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조작레버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바디에 전달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인식모듈에 상기 헤드의 종류를 전달하는 인식신호전달모듈;
    하단면에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인식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인식돌기부를 수용하여 상기 헤드의 종류를 인식하는 인식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 또는 조작레버에는 상기 조작레버에 구비된 인식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식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제어모듈은 상기 인식신호전달모듈로써 파악된 헤드 종류와 상기 인식돌기부로써 파악된 헤드 종류가 일치할 경우에만 상기 헤드에서 생성된 중장비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인가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중장비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중장비용 조작유닛.
KR1020130138488A 2013-11-14 2013-11-14 중장비용 조작유닛 KR10154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488A KR101548631B1 (ko) 2013-11-14 2013-11-14 중장비용 조작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488A KR101548631B1 (ko) 2013-11-14 2013-11-14 중장비용 조작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18A KR20150055918A (ko) 2015-05-22
KR101548631B1 true KR101548631B1 (ko) 2015-09-01

Family

ID=5339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488A KR101548631B1 (ko) 2013-11-14 2013-11-14 중장비용 조작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72B1 (ko) * 2021-09-07 2023-08-0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동작 횟수 표시 가능한 조이스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133A (ja) * 2001-06-01 2002-12-13 Kawasaki Heavy Ind Ltd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KR100883224B1 (ko) * 2006-12-26 2009-02-13 명한산업개발(주) 무선 제어가 가능한 건축물 철거용 굴삭기
JP2012234278A (ja) * 2011-04-28 2012-11-29 Sakae Tsushin Kogyo Kk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及び位置入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133A (ja) * 2001-06-01 2002-12-13 Kawasaki Heavy Ind Ltd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KR100883224B1 (ko) * 2006-12-26 2009-02-13 명한산업개발(주) 무선 제어가 가능한 건축물 철거용 굴삭기
JP2012234278A (ja) * 2011-04-28 2012-11-29 Sakae Tsushin Kogyo Kk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及び位置入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18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406B2 (ja) 動力工具システムのアダプタ
WO2017094234A1 (ja) 入力装置と、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JP2015502650A (ja) 自己給電式エネルギーハーベスティングスイッチ及びエネルギーを獲得する方法
US7605558B2 (en) Robot system
US9454148B2 (en) Machine control device
KR101548631B1 (ko) 중장비용 조작유닛
CN103975403B (zh) 能量采集设备
JP6363583B2 (ja) 表示装置
JP6509319B2 (ja) 農作業機用リモコン操作装置
US20140262713A1 (en) Wall switch assembly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JP2006053598A (ja) 警報装置
JP5191207B2 (ja) 防爆用機器
CA2989572A1 (en) Charger for multiple electronic cigarettes
JP3223852U (ja) 遠隔制御機能付き電気治療器
KR102165191B1 (ko) 이동로봇과 아두이노 보드의 체결구조
CN202870541U (zh) 一种智能墙壁开关
CN103578247A (zh) 蓝牙遥控器及其遥控方法
KR102149390B1 (ko) 무선 신호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조명 제어 장치
JP7404216B2 (ja) 照明器具
CN201725416U (zh) 多角度操控遥控器
CN213278584U (zh) 一种无线遥控装置
CN203827067U (zh) 远程监测显示万能转换开关
CN102842447A (zh) 一种电子机械复合开关装置
KR101426931B1 (ko) 가공 송전선로 점퍼선 횡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