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417B1 -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417B1
KR101548417B1 KR1020130057929A KR20130057929A KR101548417B1 KR 101548417 B1 KR101548417 B1 KR 101548417B1 KR 1020130057929 A KR1020130057929 A KR 1020130057929A KR 20130057929 A KR20130057929 A KR 20130057929A KR 101548417 B1 KR101548417 B1 KR 10154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eed
eggs
e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244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41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인공종묘(치어)를 확보하여 대량 양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이조성물은 민물뱀장어의 자어(Leptocephalus)를 양식수조에 수용한 상태에서 급식되는 경우 상기 자어가 연안으로 이동하는 해류의 범위에 서식하는 어종으로서의 방어의 어란을 파쇄하고 필터링하여 난막을 제거하여 얻어진 어란내용물에 종합비타민과 계란의 난백(卵白) 및 크릴새우 추출물을 혼합하여 급속냉동 건조시켜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란내용물은 가열처리에 의해 프로테아제(Protease)의 활성을 저감시키고, 상기 어란에서 피틴산(Phytic Acid))과 렉틴(Lectin)의 어란독이 제거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종합비타민은 상기 어란내용물의 가열처리 후에 첨가된다.

Description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FEED COMPOSITE FOR CULTURING LEPTOCEPHALUS}
본 발명은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인공종묘(치어)를 확보하여 대량 양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동산 민물뱀장어는 태평양의 심해(深海)(남태평양 마리아나 제도의 서부 근해로 추정)에서 부화하여 렙토세팔루스(즉, 민물뱀장어의 자어 또는 유어)의 형태로 북적도 해류를 따라 서향으로 이동하다가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안에 도달하면서 실뱀장어(즉, 민물뱀장어 치어)로 변태하여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로 소상하여 성장하다가 산란을 위해 다시 태평양의 심해 지역으로 회유하는 생태적 특성을 갖게 된다.
그러한 민물뱀장어는 생산량이 많은 중요한 양식 어종이지만, 그 종묘는 전부 천연의 치어에 의존하는 실정으로, 민물뱀장어의 양식은 난생부화된 자어로서의 렙토세팔루스가 변태하여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로 소상하기 위해 회유하는 실뱀장어를 포획하여 성어로 성장시키는 고부가 가치의 산업이지만, 실뱀장어(치어)의 어획량에 따라 양식비용의 변동이 심해질 수 밖에 없고, 근래에는 환경의 오염이나 훼손 등에 기인하여 천연 자원의 고갈이 염려되는 상황이다.
그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친어로부터 인공적으로 채란 및 부화시켜 유생기(렙토세팔루스)를 거쳐 치어로 변태시키고 그 치어를 성어로 성장시키기 위한 완전한 양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는 상황으로, 천연에서 채취한 치어로부터 친어의 육성, 인공산란, 인공부화까지는 성공한 상태이지만 인공부화 후의 자어가 치어기(稚魚期)로 되기까지의 사이에 상당 수가 사멸되어버리기 때문에 민물뱀장어 양식사업에 커다란 장애로 되고 있다.
또, 난생 부화한 직후의 프레렙토세팔루스는 모태의 난황(卵黃)을 영양원으로 하고 부화 후 대략 8∼9일이 경과되면 식이(食餌)섭취활동을 개시하게 되지만, 현재까지는 자연 환경 하에서 친어의 산란과정에서부터 치어로의 변태과정이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실제 변태된 민물뱀장어 치어에 대한 최적의 식이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8086호(2013.01.03.)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86-0000023(1986.01.25.)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5104(2010.04.2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민물뱀장어 자어가 연안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서식하는 어류의 어란(魚卵)내용물에 대해 가열처리 또는 소정의 억제제를 사용하여 단백질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의 활성을 저하시켜 상어(곱상어)의 난황을 사용하지 않고도 민물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의 성장 및 생잔가능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민물뱀장어의 자어(Leptocephalus)를 양식수조에 수용한 상태에서 급식되는 민물뱀장어의 식이조성물(사료)에 있어서, 상기 식이조성물은 상기 자어가 연안으로 이동하는 해류의 범위에 서식하는 어종으로서의 방어의 어란을 파쇄하고 필터링하여 난막을 제거하여 얻어진 어란내용물에 종합비타민과 계란의 난백(卵白) 및 크릴새우 추출물을 혼합하여 급속냉동 건조시켜서 이루어진 민물뱀장어 자어의 분말사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란내용물은 가열처리에 의해 프로테아제(Protease)의 활성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란에서 피틴산(Phytic Acid))과 렉틴(Lectin)의 어란독을 제거하게 된다.
유리하게, 상기 종합비타민은 열에 대해 취약한 성분을 고려하여 상기 어란내용물의 가열처리 후에 첨가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분말사료에 의하면, 상어(특히, 곱상어)의 난황을 대신하여 해당하는 자어(렙토세팔루스)의 이동 해류의 범위에 서식하는 어종, 대표적으로 방어의 어란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료의 저가화가 가능하게된다.
또한, 상기 어란을 파쇄하여 필터링함으로써 난막이 제거된 상태의 어란내용물을 얻고 가열처리에 의해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저감시키고 어란독을 제거함으로써 민물뱀장어 자어(렙토세팔루스)의 생잔율 및 성장율의 제고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종합비타민제를 상기 어란내용물에 대한 가열처리가 이루어지고나서 혼합되도록 하기 때문에 비타민의 결핍에 의한 악영향이 배제되어 정상적인 성장 및 사료의 효율이 증가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렙토세팔루스)의 양식을 위한 식이조성물과 대조사료에 의한 시험어(자어)의 사육일수에 대한 생잔율을 대비하여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되는 자어로는 실뱀장어로 변태되기 전의 프레렙토세파루스와 렙토세팔루스가 열거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어류는 난생부화된 렙토세팔루스가 연안에 이르는 경로, 즉 북적도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의 범위에서 서식하는 어종이 바람직한 바, 대표적으로는 천연 및 자연적으로 상당한 양의 어획이 가능한 방어(Seriola quinqueradiata)가 대표적으로 상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식이조성물의 대표적인 어종으로서 방어가 상정되지만, 프레렙토세팔루스와 렙토세팔루스가 이동하는 해류의 범위에서 서식하는 어종의 어란이면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자어(렙토세팔루스)의 사료를 얻기 위해 인위적으로 양식되거나 자연적으로 채획된 민물뱀장어에서 얻은 어란을 적용해도 된다..
대개, 어란은 난막(卵膜)과 그 난막에 의해 보호되는 내용물로 이루어지고, 그 어란은 난원세포(卵原細胞)의 증식기가 끝나면 난모세포(卵母細胞)로 되고, 난막형성 및 유구(油球)라든지 난황의 축적이 개시되는 성장기를 지나면서 성숙기로 진입된 후, 체외로 배란되기 까지는 해당하는 어류의 난소 내에 축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천연 또는 양식의 방어(또는 민물뱀장어)의 난소를 취출하여 얻은 생란(生卵)을 사용하거나, 염장가공란, 냉동란, 액상 또는 분말의 형태로 처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어란은 그대로 다른 사료성분과 혼합해도 되지만, 균일성을 보장하여 항시 동일한 성질의 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료 제작 전에 어란을 파쇄하여 어란내용물을 얻어 다른 사료성분과 혼합해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의 어란내용물은 어체(魚體)의 어란을 파쇄하여 소정의 효소성분을 사용하거나 예컨대 100㎛급의 메쉬(Mesh)에 의해 필터링함으로써 난막을 제거함으로써 얻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이조성물(사료)의 제조 시에는 예컨대 피틴산(Phytic Acid))이라든지 렉틴(Lectin)을 포함하여 민물뱀장어 자어(렙토세팔루스)의 성장을 저해하는 어란독(魚卵毒)을 제거해주어야만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어란내용물에 대해서는 프로테아제(Protease)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처리가 바람직하게 되는 바, 그 프로테아제 활성 저감처리는 단백질 단백질 함량이 높은 조성물을 가열하는 경우 응고물이 생기게 되어 민물뱀장어 자어(렙토세팔루스)의 섭식에 지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응고물이 생기지 않도록 가열(바람직하게는 45∼70℃의 온도로 대략 40분)로 처리하거나 프로테아제 억제제(예컨대 동물성 유청(乳淸)이나 동물성 혈장(血漿) 등)를 첨가해서 행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어란내용물에 대해 종합비타민이라든지 계란의 난백(또는 난백분말), 크릴새우 추출물 등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사료(식이조성물)를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타민은 양식어류의 건강유지와 생산활동의 개선 차원에서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양식 수조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섭취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적절한 급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종합비타민에는 결핍시 신경장애에 의한 체중감소와 성장지연, 폐사율 증가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비타민 B1(Thiamin)과, 부족시 시력손상과 수명현상 (photophobia)을 유발하는 비타민 B2(Riboflavin), 체내의 단백질 대사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비정상적인 수영활동, 호흡곤란, 폐사율증가 등의 결힙증상을 유발하는 비타민 B6(Pyridoxine), 부족시 사료섭취의 거부, 아가미조직의 이상 현상을 유발하는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결핍증상으로서 섭취량의 감소 및 사료효율의 감소를 유발하고 체색이 흑변(黑變)되는 현상을 유발하는 니아신(Niacin), 결핍시 피부병변, 근위축, 결장병변, 섭취량 감소, 경련 등의 증상 유발을 예방하기 위한 비오틴(Biotin)을 포함하게 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종합비타민에는 특히 뱀장어류에서 결핍시 적혈구 미성숙에 의한 빈혈증상이라든지 성장률 감소를 유발하는 폴라신(Folacin), 정상적인 성장과 적혈구의 성숙 및 건강한 신경조직의 유지에 필요한 비타민 B12( cyanocobalamine), 결핍시 성장률 감소, 빈혈, 지느러미 괴사 등의 증상이 관찰되면서 특히 호화전분(Pre-gelatinized starch)가 높은 경우 증가된 양으로 첨가되는 이노시톨(Inositol)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체내에서 메치오닌(methionine) 또는 베타인 (betaine)과 같은 메틸 공급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지방의 신진대사작용에 필수적인 콜린(Choline)도 포함하게 된다.
또, 상기 종합비타민에는 정상적인 치아 및 뼈의 형성, 뼈의 손상회복, 상처치료, 콜라겐 및 연골의 형성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비타민 C도 포함되는 바, 콜라겐의 비정상적인 생성 또는 결핍 시에는 어류의 척추가 굽거나 좌우로 휘어지는 소위 '척추전만증(lordosis)'이나 척추측만증(scoliosis)'현상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아가미 사상체의 정상적인 형성이 저해되거나 주둥이나 턱의 모양이 변형되는 현상이 초래된다.
또, 상기 종합비타민에는 지용성의 비타민 A(A1, A2)가 포함되는 바, 비타민 A는 시각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결핍시 성장률이 저하되고 안구돌출증상이 초래된다,
또한, 상기 종합비타민에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나타내고 성장적인 골격의 정상적인 형성에 필요하며 비타민 D(D2, D3)도 포함되고, 결핍시 근육의 발육이상, 번식기관의 기능저하, 각막의 과산화물 손상에 대응하는 적혈구의 능력감소, 심한빈혈 현상 등이 유발되는 비타민 E. 수중의 어류에 중요한 정상적인 혈액응고율의 유지에 필요한 비타민 K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종합비타민은 그 성분 중에 열에 취약한 요소도 포함되기 때문에, 해당하는 사료의 제조 시에는 상기 어란내용물의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가열처리를 행하고나서 혼합해주면 바람직하게 된다.
또, 상기 종합비타민에는 수분에 취약한 성분도 포함되기 때문에 해당하는 사료의 제조 시 냉동건조시켜 분말화해서 제조일로부터 2∼5일 이내에 급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이조성물(사료)는 상기 어란내용물 100중량%에 대해 상기 종합비타민은 5∼10중량∼%, 바람직하게는 6∼8중량%로 첨가되고, 상기 크릴새우 추출물은 10∼30중량, 바람직하게는 15∼20%로 첨가되며, 상기 계란의 난백은 5∼25중량%, 바람직하게는 10∼15중량%로 첨가되어 혼합되어 제조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식이조성물(사료)에 대해 시험어의 성장/생잔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식이조성물 25%에 증류수 75%를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여 혼합하여 '사료 1'로 하는 반면 그 식이조성물(사료)에 대한 대조 사료는 상어란을 주원료로 하여 상어란 51%, 크릴새우분해물 5%, 증류수 44%로 혼합하여 '사료 2'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양식산 친어로부터 난생부화된 예컨대 7일째 자어(렙토세팔루스) 300마리를 예컨대 10L 양식수조 3개에 분산 수용하여 상기 '사료 1'과 '사료 2' 및 무급식으로 사육하였다.
여기서, 상기 '사료 1'과 '사료 2' 는 부화일로부터 8일째(즉, 사육개시일)부터 1일 3회, 사육수온은 24℃로 설정하였고, 사육개시일로부터 20일째까지 사육한 시점에서 전장과 생잔율을 측정하여 성장과 생육의 평가를 행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1'을 급식한 양식수조의 시험어는 급격한 감소를 보이지 않 사육일로부터 12일째에서의 생잔율이 95%로, 대조사료인 '사료 2'의 80%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 그러한 경향은 사육개시일로부터 20일째까지 지속되어 생잔율이 40%를 보인 반면 '사료 2'의 31%에 비해 높은 생잔율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료 1을 급식한 양식수조 내의 시험어의 경우는 사육개시일로부터 20일이 경과하여 실뱀장어로의 변태 시까지 생존시킬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민물뱀장어의 자어(Leptocephalus)를 양식수조에 수용한 상태에서 급식되는 민물뱀장어의 식이조성물(사료)에 있어서,
    상기 식이조성물은 상기 자어가 연안으로 이동하는 해류의 범위에 서식하는 어종으로서의 방어의 어란을 파쇄하고 필터링하여 난막을 제거하여 얻어진 어란내용물에 종합비타민과 계란의 난백(卵白) 및 크릴새우 추출물을 혼합하여 급속냉동 건조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분말사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란내용물은 가열처리에 의해 프로테아제(Protease)의 활성을 저감시키고,
    상기 어란에서 피틴산(Phytic Acid))과 렉틴(Lectin)의 어란독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분말사료.
  3. 제 1항과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비타민은 상기 어란내용물의 가열처리 후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분말사료.
KR1020130057929A 2013-05-22 2013-05-22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 KR10154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29A KR101548417B1 (ko) 2013-05-22 2013-05-22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29A KR101548417B1 (ko) 2013-05-22 2013-05-22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44A KR20140137244A (ko) 2014-12-02
KR101548417B1 true KR101548417B1 (ko) 2015-08-28

Family

ID=5245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929A KR101548417B1 (ko) 2013-05-22 2013-05-22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645A (zh) * 2018-07-05 2018-11-23 湘阴县南湖洲镇七姑塘现代农业专业合作社 一种淡水鱼养殖方法
CN112219758B (zh) * 2020-10-19 2023-03-31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控制黄斑篮子鱼性成熟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116A (ja) 2003-06-26 2005-01-20 Fisheries Research Agency ウナギ仔魚用飼料
JP2011239696A (ja) 2010-05-14 2011-12-01 Nippon Suisan Kaisha Ltd ウナギ仔魚飼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116A (ja) 2003-06-26 2005-01-20 Fisheries Research Agency ウナギ仔魚用飼料
JP2011239696A (ja) 2010-05-14 2011-12-01 Nippon Suisan Kaisha Ltd ウナギ仔魚飼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44A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rcier et al. Advances in marine biology: endogenous and exogenous control of gametogenesis and spawning in echinoderms
CN104542407B (zh) 一种泥鳅苗种二级培育的方法
JP6986652B2 (ja) ブリ属養殖魚の飼育方法及びブリ属養殖魚
CN101933477A (zh) 沙塘鳢的人工繁殖方法
CN104489309A (zh) 一种提高黄鳝生长速度的饲料
CN107691877A (zh) 一种零淀粉的淡水鱼微胶囊开口料的制备方法
KR20140137508A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생존율 및 성장율 증진방법
JP6343804B2 (ja) 二枚貝浮遊幼生飼料としてのツェイン包埋タウリン微細粉砕物の作成方法および飼育方法
Sverguzova et al. Use of fly larvae Hermetia illucens in poultry feeding: a review paper
CN102919170A (zh) 克氏原螯虾抱卵虾保种方法
KR101548417B1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에 적합한 식이조성물
CN102792910B (zh) 一种金鳟全雌杂交苗种的培育方法
CN102812913B (zh) 一种杂交全雌金鳟鱼苗种的培育方法
WO2016187476A2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soybean protein by salmonid fish
JPS6185151A (ja) 蜜蜂用飼料およびその製造法
CN105901423B (zh) 驯化线纹海马摄食配合饲料的方法
KR101568463B1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액상사료와 그 제조방법
CN104304799B (zh) 玻璃鳗后期配合饲料
Yusnita et al. The effects of turmeric flour Curcuma longa on fertilization, hatching and survival rates of seurukan fish Osteochilus vittatus
KR101934551B1 (ko) 명태의 조기산란 유도방법
KR101568465B1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분말사료와 그 사료를 적용한 양식방법
CN109480127A (zh) 一种小龙虾促生长饲料
Ranjan et al. Technology on seed production and culture of orange spotted grouper-A breakthrough for Indian mariculture
JP6792912B2 (ja) 配合飼料の原料、その製造方法、その原料を用いて製造される配合飼料
KR20220120825A (ko) 밀웜용 사료조성물 및 그 사료조성물을 이용한 밀웜의 사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