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188B1 -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188B1
KR101548188B1 KR1020150056395A KR20150056395A KR101548188B1 KR 101548188 B1 KR101548188 B1 KR 101548188B1 KR 1020150056395 A KR1020150056395 A KR 1020150056395A KR 20150056395 A KR20150056395 A KR 20150056395A KR 101548188 B1 KR101548188 B1 KR 101548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powder
weight
raw material
parts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경량
조재복
Original Assignee
(주)태성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바우 filed Critical (주)태성바우
Priority to KR102015005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쑥을 착즙하는 쑥착즙단계, 상기 쑥착즙단계를 통해 제조된 쑥 착즙액에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교반단계, 상기 원료교반단계를 통해 교반된 원료에 함유된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숙성하는 침전숙성단계, 상기 침전숙성단계를 통해 고형분이 침전되고 숙성된 원료의 상등수를 회수하는 상등수회수단계, 상기 상등수회수단계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단계, 상기 제1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중공사막 필터로 여과하는 제2여과단계, 상기 제2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여과물을 역삼투압필터로 여과하는 제3여과단계 및 상기 제3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물티슈용 원단에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물티슈는 쑥찹즙액이 함유되어 항균, 항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무독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옥 분말이 함유되어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며, 피부에 잔존하는 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WET TISSUE USING FOREMOST MUGWORT JUICE AND MINERAL POWDER}
본 발명은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쑥찹즙액이 함유되어 항균, 항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무독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옥 분말이 함유되어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며, 피부에 잔존하는 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과가 우수한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수분에 강한 원단에 액상의 원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휴지라고도 하는데, 최근에는 일반적인 물티슈보다 소독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티슈가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수분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분해되지 않는 펄프나 부직포를 그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데, 상기의 소재에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능이 있는 물질이 함입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염 상태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나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대상을 제독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물티슈의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분은 포장되어 유통 및 사용되는 과정에서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통상적으로는 벤젠계열 또는 카바메이트계열 등의 화학방부제가 주로 사용되며, 장기간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증발방지제인 프로플렌글리콜 등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물티슈에 사용되는 화학방부제는 사용량이 법적으로 허용된 기준량 이하라고 하더라도, 장기간 사용하거나 자주 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 트러블의 발생, 호르몬 이상 및 알러지 반응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되며, 특히, 피부가 연약한 소아나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물티슈에 함유된 화학방부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사용상 매우 주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물티슈의 안전한 유통을 위하여 이를 진공포장 하는 등 주의를 기울임에도 불구하고, 유통과정 중 또는 유통 전후 장기간 보관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세균, 특히 박멸이 매우 어려운 곰팡이의 서식 등의 위험성을 완벽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항 곰팡이 성분을 포함하는 항균 또는 살균 성분을 화학적 방부성 물질에서 찾거나 천연의 항균 또는 살균성 물질과 함께 이러한 화학적 방부성분을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즉, 물티슈의 유통상의 문제 또한 사용상의 문제점과 함께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티슈의 제조 및 사용과정이 안고 있는 인체의 유해성 문제, 유통상의 문제에 대한 일괄적 해결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218829호(2012.12.28). 한국특허공개 제10-2012-0005945호(2012.01.18).
본 발명의 목적은 쑥찹즙액이 함유되어 항균, 항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무독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옥 분말이 함유되어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며, 피부에 잔존하는 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과가 우수한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쑥을 착즙하는 쑥착즙단계, 상기 쑥착즙단계를 통해 제조된 쑥 착즙액에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교반단계, 상기 원료교반단계를 통해 교반된 원료에 함유된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숙성하는 침전숙성단계, 상기 침전숙성단계를 통해 고형분이 침전되고 숙성된 원료의 상등수를 회수하는 상등수회수단계, 상기 상등수회수단계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단계, 상기 제1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중공사막 필터로 여과하는 제2여과단계, 상기 제2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여과물을 역삼투압필터로 여과하는 제3여과단계 및 상기 제3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물티슈용 원단에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료교반단계는 상기 쑥착즙단계를 통해 분쇄된 쑥 착즙액 100 중량부 및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 6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2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10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 칼슘 22 내지 25 중량부 및 옥분말 50 내지 1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은 300 내지 350메시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료교반단계는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침전숙성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여과단계는 세드먼트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숙성단계는 23 내지 25℃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을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쑥찹즙액이 함유되어 항균, 항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무독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옥 분말이 함유되어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며, 피부에 잔존하는 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과가 우수한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쑥을 착즙하는 쑥착즙단계(S101), 상기 쑥착즙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쑥 착즙액에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교반단계(S103), 상기 원료교반단계(S103)를 통해 교반된 원료에 함유된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숙성하는 침전숙성단계(S105), 상기 침전숙성단계(S105)를 통해 고형분이 침전되고 숙성된 원료의 상등수를 회수하는 상등수회수단계(S107), 상기 상등수회수단계(S107)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단계(S109), 상기 제1여과단계(S109)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중공사막 필터로 여과하는 제2여과단계(S111), 상기 제2여과단계(S111)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S113), 상기 숙성단계(S113)를 통해 숙성된 여과물을 역삼투압필터로 여과하는 제3여과단계(S115) 및 상기 제3여과단계(S115)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물티슈용 원단에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S117)를 포함한다.
상기 쑥착즙단계(S101)는 쑥을 착즙하는 단계로, 쑥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해풍을 맞고 자란 해풍쑥을 세척하여 이질질을 제거하고, 착즙기에 투입하고 착즙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쑥착즙단계를 통해 쑥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 항염 및 탈취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추출된다.
상기의 쑥착즙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쑥 착즙액은 상기의 효과외에도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며, 비타민 A, B, C, 칼슘 및 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미용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는데, 특히, 상기 비타민A는 상피세포의 분화를 도와주고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비타민C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 콜라겐 합성에 필수성분으로, 건강한 피부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원료교반단계(S103)는 상기 쑥착즙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쑥 착즙액에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쑥착즙단계(S101)를 통해 분쇄된 쑥 착즙액 100 중량부 및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 60 내지 70 중량부를 리본교반기와 믹싱탱크가 구비되어 있는 교반기에 투입하고,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물분말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광물분말 2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10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 칼슘 22 내지 25 중량부 및 옥분말 50 내지 15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물분말은 300 내지 350메시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사용되는데, 상기 광물분말의 함량이 300메시 미만이면 광물분말의 입자크기가 지나치게 커서 광물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광물분말의 함량이 350메시를 초과하게 되면 광물분말의 입자크기가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쉽게 비산되어 작업장을 오염시키고 물티슈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일라이트는 음이온과 온열을 피부속 깊이 전달하며 배끄럽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과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 방사의 상호작용으로 피부 노폐물 배출 및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정한 보습효과로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도록 하며, 피부세포의 재생 및 뛰어난 미백효과 및 피부의 피지와 여드름 제거효과 등을 나타내며, 물속에 부유물을 흡착하고, 음이온을 띠기 때문에, 양이온의 부유 미립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 침전을 유발하여 물을 정화한다.
또한, 40℃의 온도에서는 93%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대해 정균작용을 하며, 피부에 잔존하는 각종 중금속, 유기물 및 독성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고, 탄성이 좋고 덩어리지지 않아 물티슈용 원단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중 대개의 종류는 염산에 녹아 흔히 아교 모양이 되지만, 소수의 종류는 염산에 녹지 않는다. 주요한 종류로서 방비석·어안석·캐버자이트·소다비석·휼란다이트·스틸바이트·로몬타이트·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편마암 중에 2차광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광맥 그 밖의 광맥 중에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하며, 생활 속에서 제올라이트가 사용 되는 곳은 새집증후군제거제, 냄새악취제거제, 초강력 습기제거제, 제습제 및 냄새 제거제 등이 있다.
상기 맥반석은 1cm2당 3만개 이상의 다층다공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속흡착 및 체내 유해물질 흡착 효과를 나타내며, 40여 가지 이상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데, 물에 혼합되면 철, 마그네슘 및 칼슘 등과 같이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이 용출된다.
또한, 맥반석은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물과 혼합되면 물을 약알칼리성으로 조절해주고, 원적외선 방출 및 온열효과를 나타내며, 맥반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두통, 현기증, 만성피로, 불면증, 수족냉증 및 이상발한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약 66종의 천연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속에 양이온을 띠는 피지 및 노폐물과 서료 고환되는 양이온 교환능력이 우수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벤토나이트는 실리콘,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철 등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벤토나이트의 주성분인 실리콘은 뛰어난 흡착력을 나타내어 모공 깊숙히 스며들기 때문에 노폐물이나, 화장잔여물 및 피지제거와 같은 세정작용을 한다.
상기 규조토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심해의 광물성분이 다양한 미세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가볍고 흡수력이 좋아 다양한 기술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다공질성 흙으로 피부의 미세한 곳까지 깊숙하게 흡착되어 피부를 정화하며, 아토피나 민감성 피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옥은 인체에 필수 광물인 미네랄(M, Ca, Fe, Al)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마그네슘(38%)은 우리 인체의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과 상호 공명증진작용을 하며 옥에서 나오는 생체에너지(氣)는 조직의 부활, 혈액순환증진, 혈액의 약 알칼리성, 체내의 유해물질 배설등을 통하여 건강유지에 효과적이다.
상기 침전숙성단계(S105)는 상기 원료교반단계(S103)를 통해 교반된 원료에 함유된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숙성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교반단계(S103)를 통해 교반된 원료를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방치하여 고형분을 침전시킨 후에 숙성시키는 단계다.
상기 침전숙성단계(S105)가 20 시간 미만으로 이루어지면 고형분의 침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침전시간이 30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원료에 함유된 고형분이 대부분 침전된 후에도 침전숙성단계(S105)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침전숙성단계(S105)를 거치면 상기 원료에 함유된 고형분 외에도 상기 쑥 착즙액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 성분이 숙성과정에서 가스 등으로 방출되어 제거된다.
상기 상등수회수단계(S107)는 상기 침전숙성단계(S105)를 통해 고형분이 침전되고 숙성된 원료의 상등수를 회수하는 단계로, 상기 침전숙성단계(S105)를 통해 고형분이 침전되고 숙성된 원료의 상등수를 펌프 등의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단계다.
상기 상등수회수단계(S107)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는 고형분이 제거된 상태이며, 쑥 착즙액 및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용출되어 있다.
상기 제1여과단계(S109)는 상기 상등수회수단계(S107)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여과하는 단계로, 상기 상등수회수단계(S107)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세드먼트필터로 여과하여 상기 상등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다.
상기 제2여과단계(S111)는 상기 제1여과단계(S109)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중공사막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로, 상기 제1여과단계(S109)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다.
상기 숙성단계(S113)는 상기 제2여과단계(S111)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로, 상기 제2여과단계(S111)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조로 이송하여 23 내지 25℃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숙성단계(S113)를 거치면 상기 제2여과단계(S111)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광물분말의 유효성분이 서로 융합되고, 안정화되기 때문에, 균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여과물이 제공된다.
상기 제3여과단계(S115)는 상기 숙성단계(S113)를 통해 숙성된 여과물을 역삼투압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로, 상기 숙성단계(S113)를 통해 숙성된 여과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역삼투압필터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다.
상기의 제3여과단계(S115)를 거치면, 불순물의 함량이 매우 낮은 여과물이 제공된다.
상기 원료분사단계(S117)는 상기 제3여과단계(S115)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물티슈용 원단에 분사하는 단계로, 상기 제3여과단계(S115)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분사노즐 등이 구비된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펄프나 합성수지 부직포로 이루어진 원단에 분사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분사노즐 등이 구비된 도포장치는 종래에 물티슈 제조장치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료분사단계(S117)를 통해 원단에 숙성된 여과물이 도포되면, 본 발명에 따른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물티슈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쑥을 착즙기 착즙하여 쑥 착즙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쑥 착즙액 100 중량부와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정제수 100 중량부에 일라이트 100 중량부, 제올라이트 70 중량부, 맥반석 45 중량부, 벤토나이트 22 중량부, 규조토 22 중량부, 칼슘 23 중량부 및 옥분말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입자크기가 300 내지 350메시인 광물분말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짐) 65 중량부를 리본교반기가 구비된 믹싱탱크에 투입하고 65℃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교반된 혼합물을 22℃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방치하여 혼합물에 함유된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혼합물을 숙성한 후에, 고형분이 침전되고 숙성된 혼합물의 상등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분리된 상등수를 세드먼트필터로 1차 여과하고, 1차 여과된 혼합물을 중공사막 필터로 2차 여과하고, 2차 여과된 혼합물을 숙성조로 이송하여 24℃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숙성된 혼합물을 역삼투압필터로 3차 여과하고, 3차 여과된 혼합물을 합성수지 부직포로 이루어진 물티슈용 원단에 도포하여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D사 일반 물티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물티슈의 항균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력은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 연구원에 의뢰하여 KFIA-FI-1002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배지상에 균수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이고, 사용균주는 대장균인 Escherichia coli ATCC 25922를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15039038227-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물티슈는 종래에 물티슈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물티슈의 피부진정 효과 및 피부트러블 발생 여부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피부진정 효과 및 피부트러블 발생 여부는 민감성 피부염 환자 중 20 내지 30대 여성 및 남성 각각 25명을 선발하여 하루에 약 3번씩 일주일 동안 물티슈로 피부염이 발생한 부위를 닦아 내도록 한 후에 피부진정 및 피부트러블 발생여부를 10점척도법(10점;우수, 1점;나쁨)으로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5039038227-pat00002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물티슈는 쑥 착즙액과 광물분말이 함유되어 우수한 피부진정 효과 및 피부트러불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을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쑥찹즙액이 함유되어 항균, 항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무독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옥 분말이 함유되어 혈액순환을 개선시키며, 피부에 잔존하는 피지 등과 같은 이물질에 대해 우수한 제거효과를 나타내는 물티슈를 제공한다.
S101 ; 쑥착즙단계
S103 ; 원료교반단계
S105 ; 침전숙성단계
S107 ; 상등수회수단계
S109 ; 제1여과단계
S111 ; 제2여과단계
S113 ; 숙성단계
S115 ; 제3여과단계
S117 ; 원료분사단계

Claims (10)

  1. 삭제
  2. 쑥을 착즙하는 쑥착즙단계;
    상기 쑥착즙단계를 통해 제조된 쑥 착즙액에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을 혼합하는 원료교반단계;
    상기 원료교반단계를 통해 교반된 원료에 함유된 고형분을 침전시키고 숙성하는 침전숙성단계;
    상기 침전숙성단계를 통해 고형분이 침전되고 숙성된 원료의 상등수를 회수하는 상등수회수단계;
    상기 상등수회수단계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여과하는 제1여과단계;
    상기 제1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중공사막 필터로 여과하는 제2여과단계;
    상기 제2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여과물을 역삼투압필터로 여과하는 제3여과단계; 및
    상기 제3여과단계를 통해 여과된 여과물을 물티슈용 원단에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료교반단계는 상기 쑥착즙단계를 통해 분쇄된 쑥 착즙액 100 중량부 및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 6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광물분말 2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100 중량부, 제올라이트 65 내지 75 중량부, 맥반석 40 내지 50 중량부, 벤토나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규조토 20 내지 25 중량부, 칼슘 22 내지 25 중량부 및 옥분말 50 내지 1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옥이 함유된 광물분말은 300 내지 350메시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료교반단계는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전숙성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단계는 세드먼트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23 내지 25℃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KR1020150056395A 2015-04-22 2015-04-22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KR101548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95A KR101548188B1 (ko) 2015-04-22 2015-04-22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95A KR101548188B1 (ko) 2015-04-22 2015-04-22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188B1 true KR101548188B1 (ko) 2015-08-31

Family

ID=5406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395A KR101548188B1 (ko) 2015-04-22 2015-04-22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23B1 (ko) 2015-09-02 2015-11-11 안토니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91B1 (ko) 2014-10-29 2015-06-09 곽경량 황토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91B1 (ko) 2014-10-29 2015-06-09 곽경량 황토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223B1 (ko) 2015-09-02 2015-11-11 안토니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691B1 (ko) 황토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KR101857746B1 (ko) 애완동물용 악취제거 및 미세먼지 흡착용 조성물
KR101406083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활성을 갖는 다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09425B1 (ko) 미네랄 함유 복합 기능수를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탈취제
CN105129939B (zh) 一种水处理剂及水处理方法
KR101646745B1 (ko) 항곰팡이 항균 항바이러스 무방부제 부직포 제품 제조 방법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CN101318744A (zh) 一种直接饮用健康水设备加减法工艺
KR101548188B1 (ko) 쑥착즙액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KR101708595B1 (ko) 다시마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JP5822296B2 (ja) 銀イオン抗菌液の生成方法、その方法で生成される銀イオン抗菌液、又は銀イオン抗菌粉末の生成方法、その方法で生成される銀イオン抗菌粉末
KR20060108282A (ko) 천연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용맛사지팩의 제조방법
KR101922388B1 (ko) 광물분말 수용액이 함유된 농작물용 영양보조제 조성물
US20090087392A1 (en) Acid-neutralizing agent
KR101762096B1 (ko)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JP2007196145A (ja) 接触濾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65279A (ko)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안티노네날 소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261906A (zh) 杀菌、除甲醛除异味配方及其制备方法
JP2006327978A (ja) 育毛剤
KR101122760B1 (ko) 광물을 이용한 치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4336B1 (ko) 배꼽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한 배꼽세정방법
CN102008416A (zh) 一种茉莉洗手液及制造方法
CN112675086A (zh) 一种百香果免洗手凝胶洗手液及其制备方法
WO2006097940A1 (en) A bandage with enhanced hemostatic effect
Nirmala Rani et al. Adsorption isotherm studies of the simultaneous removal of turbidity and hardness by natural coagu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