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096B1 -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096B1
KR101762096B1 KR1020170051993A KR20170051993A KR101762096B1 KR 101762096 B1 KR101762096 B1 KR 101762096B1 KR 1020170051993 A KR1020170051993 A KR 1020170051993A KR 20170051993 A KR20170051993 A KR 20170051993A KR 101762096 B1 KR101762096 B1 KR 10176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minera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복
성보경
Original Assignee
조재복
성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복, 성보경 filed Critical 조재복
Priority to KR102017005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광물추출물제조단계,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에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물제거단계 및 상기 침전물제거단계를 통해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혼합물숙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수는 한약재 추출물과 광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피부질환개선, 피부미백, 피부보습, 피부진정,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하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화장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EMULSION WATER USING MINERAL POWDER, HERBS AND MEDICINAL HERBS}
본 발명은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질환개선, 피부미백, 피부보습, 피부진정,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하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화장수를 제공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수는 다가알코올류, 단백질, 아미노산류 및 무코다당류 등의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 테르등의 가용화제, 증점제, 방부제 및 향료등이 배함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종래에 화장수에 보습제로 사용되는 다가알코올류는 그 값이 싸고 보습효과가 우수한 반면에 과량사용하는 경우 경피 흡수촉진에 의한 피부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천연보습성분인 아미노산, 단백질, 무코다당류등은 보습효과가 그다지 크지않고 미생물에 의한 제품의 부패를 촉진시킬 우려가 있으며, 제품의 안정성, 화장독의 해독 및 보습효과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수를 함유한 스킨케어용 화장품의 보습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습제와 함께 프로테아제펩톤을 첨가함으로써 높은 습도하에서도 끈적끈적하게 달라붙는 감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고, 피부에 독성이 적고 미용효과를 얻기 위하여 살구씨, 녹차, 황금 및 프라센타 추출물을 함유한 세안용 수렴화장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백피, 백작약, 고삼, 감초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화장수가 제품화되고 있으나, 상기에 나열된 제품들은 제품의 안정성을 위한 방부제, 보전제등의 안정화제를 함유하여 피부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보습성도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80412호(2012.08.31). 한국특허등록 제10-1571792호(2015.11.19).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질환개선, 피부미백, 피부보습, 피부진정,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하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화장수를 제공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광물추출물제조단계,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에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및 허브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물제거단계 및 상기 침전물제거단계를 통해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혼합물숙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는 광물 분말을 혼합하는 광물혼합단계, 상기 광물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 혼합물을 정제수와 혼합하고 교반하는 교반단계, 상기 교반단계를 통해 교반된 광물 혼합물을 방치하여 상등수를 회수하는 광물상등수회수단계, 상기 광물상등수회수단계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숙성하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숙성된 상등수를 여과하는 여과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물은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규조토, 옥, 게르마늄 및 석회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교반단계는 45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여과단계는 세드먼트필터, 프라카본필터, 중공사막필터, 포스트카본필터 및 역삼투압필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한약재에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추출물을 혼합하고 저온추출하는 저온추출단계, 상기 저온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규조토혼합단계 및 상기 규조토혼합단계를 통해 규조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중온에서 숙성하는 중온숙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는 감초, 천궁, 당귀, 유근피, 쑥, 황칠, 작약 및 장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는 감초 100 중량부, 천궁 60 내지 80 중량부, 당귀 90 내지 110 중량부, 유근피 40 내지 60 중량부, 쑥 90 내지 110 중량부, 황칠 80 내지 90 중량부, 작약 60 내지 80 중량부 및 장출 60 내지 8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는 한약재의 수분 함량이 5 내지 10%를 나타내도록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온추출단계는 상기 광물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건조된 한약재 4 내지 6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은 피부질환개선, 피부미백, 피부보습, 피부진정,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하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화장수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를 제조하는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를 제조하는 장치의 내부 교반모습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은 광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광물추출물제조단계(S101),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3),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에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5), 상기 원료혼합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물제거단계(S107) 및 상기 침전물제거단계(S107)를 통해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혼합물숙성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는(S101)는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규조토, 옥, 게르마늄 및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광물 분말 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로, 상기에 나열된 광물 분말을 혼합하는 광물혼합단계(S101-1), 상기 광물혼합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광물 혼합물을 정제수와 혼합하고 교반하는 교반단계(S101-3), 상기 교반단계(S101-3)를 통해 교반된 광물 혼합물을 방치하여 상등수를 회수하는 광물상등수회수단계(S101-5), 상기 광물상등수회수단계(S101-5)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숙성하는 숙성단계(S101-7) 및 상기 숙성단계(S101-7)를 통해 숙성된 상등수를 여과하는 여과단계(S101-9)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물혼합단계(S101-1)는 황토,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규조토, 칼슘, 옥, 게르마늄 및 석회석을 혼합하는 단계로, 황토 100 중량부, 일라이트 80 내지 9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 내지 60 중량부, 맥반석 25 내지 35 중량부, 벤토나이트 10 내지 15 중량부, 규조토, 8 내지 15 중량부, 옥 30 내지 80 중량부, 게르마늄 20 내지 40 중량부 및 석회석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에 나열된 광물은 입자크기가 300 내지 350 메시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물혼합물의 입자크기가 300 메시 미만이면 광물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광물혼합물의 입자크기가 350 메시를 초과하게 되면 광물혼합물의 입자크기가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쉽게 비산되어 작업장을 오염시키고 화장수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황토는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우수한데,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분을 흡수하고,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수분을 배출하여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황토는 효소가 함유되어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우수한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인체에 독성물질을 제거해주며, 뛰어난 자정능력과 노폐물 제거효과로 인해 피부탄력을 증진시켜주며, 피부에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일라이트는 음이온과 온열을 피부속 깊이 전달하며 배끄럽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과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 방사의 상호작용으로 피부 노폐물 배출 및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정한 보습효과로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도록 하며, 피부세포의 재생 및 뛰어난 미백효과 및 피부의 피지와 여드름 제거효과 등을 나타내며, 물속에 부유물을 흡착하고, 음이온을 띠기 때문에, 양이온의 부유 미립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 침전을 유발하여 화장수를 정화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40℃의 온도에서는 93%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대해 정균작용을 하며, 피부에 잔존하는 각종 중금속, 유기물 및 독성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고, 탄성이 좋고 덩어리지지 않아 화장수에 침전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는 염산에 녹아 흔히 아교 모양이 되지만, 소수의 종류는 염산에 녹지않는다. 주요한 종류로서 방비석, 어안석, 캐버자이트, 소다비석, 휼란다이트, 스틸바이트, 로몬타이트, 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편마암 중에 2차광물로서 존재한다.
상기 맥반석은 1cm2 당 3만개 이상의 다층다공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속흡착 및 체내 유해물질 흡착 효과를 나타내며, 40여 가지 이상의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데, 물에 혼합되면 철, 마그네슘 및 칼슘 등과 같이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이 용출된다.
또한, 맥반석은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물과 혼합되면 물을 약알칼리성으로 조절해주고, 원적외선 방출 및 온열효과를 나타내며, 맥반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두통, 현기증, 만성피로, 불면증, 수족냉증 및 이상발한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약 66종의 천연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속에 양이온을 띠는 피지 및 노폐물과 서로 교환되는 양이온 교환능력이 우수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벤토나이트는 실리콘,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철 등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벤토나이트의 주성분인 실리콘은 뛰어난 흡착력을 나타내어 모공 깊숙히 스며들기 때문에 노폐물이나, 화장잔여물 및 피지를 제거하는 세정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규조토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심해의 광물성분이 다양한 미세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건강을 증진시키며, 가볍고 흡수력이 좋아 다양한 기술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다공질성 흙으로 피부의 미세한 곳까지 깊숙하게 흡착되어 피부를 정화하며, 아토피나 민감성 피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옥은 인체에 필수 광물인 미네랄(M, Ca, Fe, Al)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마그네슘(38%)은 우리 인체의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과 상호 공명증진작용을 하며 옥에서 나오는 생체에너지(氣)는 조직의 부활, 혈액순환증진, 혈액의 약 알칼리성, 체내의 유해물질 배설 등을 통하여 건강유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게르마늄은 인체 세포들이 신진대사를 계속 반복적으로 행하려면 영양소와 산소가 절대 필요하며, 산소부족시 만성 일산호탄소 중독증, 빈혈, 혈관장애, 심장장애, 저혈압, 세포노화, 정신장애 등의 질환이 발생한다. 최근에 와서 의학자들의 실험에 의해 게르마늄은 산소의 효율적인 활용을 돕는 산소촉매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석회석은 상기 광물 혼합물을 구성하는 광물들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광물 혼합물에는 상기 황토 100 중량부 대비 신기석 20 내지 4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신기석은 항균력, 중금속제거 및 원적외선 방출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염증을 개선하고 피부트러블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교반단계(S101-3)는 상기 광물혼합단계(S101-1)를 통해 제조된 광물 혼합물을 정제수와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로, 가열장치가 구비된 교반기에 정제수 100 중량부 및 광물 혼합물 3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 내지 200rpm의 속도와 45 내지 8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단계(S101-3)의 온도가 45 내지 80℃를 나타내면, 상기 광물혼합물에 함유된 일라이트 등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양이 증가하여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대해 정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별도로 보존제를 투입하지 않고도 보존성이 우수한 화장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시간이 5시간 미만이면 광물혼합물이 정제수에 고르게 혼합되지 못하며 광물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용출량이 줄어들고, 상기 교반시간이 7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광물혼합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대부분 용출되고도 교반과정을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광물상등수회수단계(S101-5)는 상기 교반단계(S101-3)를 통해 교반된 광물 혼합물을 18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고형분을 침전시킨 후에, 펌프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상등수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다. 이때, 회수된 상등수는 고형분이 제거된 상태이며 광물의 유효성분이 용출되어 있다.
상기 숙성단계(S101-7)는 상기 광물상등수회수단계(S101-5)를 통해 회수된 상등수를 50 내지 80℃의 온도에서 48 내지 7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로, 상기의 숙성단계(S101-7)를 통해 숙성된 상등수는 상등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광물질이 융합되고, 유효성분들이 고르게 혼합된 후에 안정화되기 때문에, 균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상등수로 제조된다.
상기 여과단계(S101-9)는 상기 숙성단계(S101-7)를 통해 숙성된 상등수를 세드먼트필터, 프라카본필터, 중공사막필터, 포스트카본필터 및 역삼투압필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로, 상기 세드먼트필터, 프라카본필터, 중공사막필터, 포스트카본필터 및 역삼투압필터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에 나열된 필터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등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는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한약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103-1), 상기 건조단계(S103-1)를 통해 건조된 한약재에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추출물을 혼합하고 저온추출하는 저온추출단계(S103-3), 상기 저온추출단계(S103-3)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추출물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규조토혼합단계(S103-5) 및 상기 규조토혼합단계(S103-5)를 통해 규조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중온에서 숙성하는 중온숙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단계(S103-1)는 한약재 성분을 건조하는 단계로, 한약재 성분의 수분함량이 5 내지 10%로 조절되도록 건조기 등에 투입하여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이루어지는데, 수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는 상기 저온추출단계에서 유효성분의 용출량이 월등하게 향상된다.
상기 한약재는 감초, 천궁, 당귀, 유근피, 쑥, 황칠, 작약 및 장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감초 100 중량부, 천궁 60 내지 80 중량부, 당귀 90 내지 110 중량부, 유근피 40 내지 60 중량부, 쑥 90 내지 110 중량부, 황칠 80 내지 90 중량부, 작약 60 내지 80 중량부 및 장출 60 내지 8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지하다.
상기 감초는 여드름, 피부염, 습진, 땀띠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미백효과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천궁 60 내지 8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으며은 피부의 기미, 주근깨 및 잡티를 제거하고, 피부 충전 작용을 통해 거칠어진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당귀는 90 내지 110 중량부가 함유되며, 알레르기성 피부를 안정화하고, 피부미백, 피부보습 및 여드름 등과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근피는 40 내지 60 중량부가 함유되며,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고,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쑥은 건조된 건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90 내지 110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소염 및 향균 작용을 통해 피부를 진정시키고, 여드름이나 습진 등의 트러블을 완화시키며, 자외선으로 인해 검게 그을린 피부를 개선하며, 민감성 피부 와 피부 가렴움증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황칠은 80 내지 90 중량부가 함유되며, 황칠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항산화 작용으로 인해, 피부 노화방지,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작약은 60 내지 80 중량부가 함유되며, 민감성 피부에 트러블을 진정시켜주고, 피부에 미백효과를 부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장출은 60 내지 80 중량부가 함유되며, 피부 미백효능, 피부충천효과를 통해 주름개선 및 피부 트러블의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저온추출단계(S103-3)는 상기 건조단계(S103-1)를 통해 건조된 한약재에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추출물을 혼합하고 저온추출하는 단계로,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건조단계(S103-1)를 통해 건조된 한약재 4 내지 6 중량부를 혼합하고,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다.
상기 저온추출단계에서의 추출온도가 40℃ 미만이거나 추출시간이 70시간 미만이면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성이 지나치게 낮아지며, 추출온도가 50℃를 초과하거나 추출시간이 75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고 추출공정의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규조토혼합단계(S103-5)는 상기 저온추출단계(S103-3)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로, 상기 저온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7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투입하고 100 내지 20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규조토가 추가적으로 투입되면, 한약재에서 추출물이 빠져나온 공간을 규조토 성분이 메워주기 때문에, 한약재에서 추출된 추출물이 한약재에 다시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중온숙성단계(S103-7)는 상기 규조토혼합단계(S103-5)를 통해 규조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중온에서 숙성하는 단계로, 상기 규조토혼합단계(S103-5)를 통해 규조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온도와 시간 동안 숙성된 혼합물은 안정화되어 고른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5)는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에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12 내지 35 중량부 및 허브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고 200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12 중량부 미만이면 화장수의 피부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화장수의 보존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추출물은 허브를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에 다양한 향과, 스트레스 완화 등의 효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라벤더, 페퍼민트, 로즈마리, 캐모마일, 재스민, 시계초, 보리지, 클라리세이지, 아니카 및 스파티움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 중량부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한 후에 고형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침전물제거단계(S107)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20 내지 30 시간 동안 방치하여 침전물을 침전시키고, 상등수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다.
상기 혼합물숙성단계(S109)는 상기 침전물제거단계(S107)를 통해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로, 상기 침전물제거단계(S109)를 통해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물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0 내지 200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45 내지 5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혼합물숙성단계(S109)을 거친 혼합물은 역삼투압 필터 등을 통해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 제품화할 수 있으며, 상기의 혼합물숙성단계(S109)를 거치면, 상분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이며, 균질한 물성을 나타내는 화장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수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광물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에 입자크기가 300 내지 330 메시이며, 황토 100 중량부, 일라이트 85 중량부, 제올라이트 50 중량부, 맥반석 30 중량부, 벤토나이트 12 중량부, 규조토, 12 중량부, 옥 55 중량부, 게르마늄 30 중량부 및 석회석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광물분말을 4 중량부를 가열장치가 구비된 교반기에 투입하고, 150rpm과 6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교반된 혼합물을 21시간 동안 방치하여 고형분을 침전시킨 후에, 펌프를 이용하여 상등수를 회수하고, 회수된 상등수를 60℃의 온도로 6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에, 숙성된 상등수를 세드먼트필터, 프라카본필터, 중공사막필터, 포스트카본필터 및 역삼투압필터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광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한약재(감초 100 중량부, 천궁 70 중량부, 당귀 100 중량부, 유근피 50 중량부, 쑥 100 중량부, 황칠 85 중량부, 작약 70 중량부 및 장출 70 중량부)의 수분함량이 7%를 나타내도록 건조기로 건조하고,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건조된 한약재 5 중량부를 혼합하고 45℃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저온추출하고, 저온추출된 추출물 100 중량부에 규조토 7 중량부를 혼합하고 150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켜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12 중량부 및 허브 추출물 2 중량부를 혼합하고, 200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24시간 동안 방치하에 침전물을 침전시키고 상등수를 회수한 후에, 회수된 상등수를 22℃의 온도에서 150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48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역삼투압 필터로 여과하여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해되,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24 중량부를 혼합하여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해되,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36 중량부를 혼합하여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M사의 화장수.
<비교예 2>
A사의 화장수(진액 스킨).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화장수의 피부보습력, 피부미백, 피부 진정 및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피부보습력, 피부미백, 피부 진정 및 주름개선 효과는 20 내지 5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되, 한 조에 10명씩이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수를 하루에 2번 5g씩 얼굴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두 달 동안 적용한 후에 5점 척도법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5점:매우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이다.)
<표 1>
Figure 112017039615242-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화장수는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수에 비해 피부 미백, 진정, 주름개선 효과가 월등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은 피부질환 개선, 피부미백, 피부보습, 피부진정,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하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광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별도의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낸다.
S101 ; 광물추출물제조단계
S101-1 ; 광물혼합단계
S101-3 ; 교반단계
S101-5 ; 광물상등수회수단계
S101-7 ; 숙성단계
S101-9 ; 여과단계
S103 ;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S103-1 ; 건조단계
S103-3 ; 저온추출단계
S103-5 ; 규조토혼합단계
S103-7 ; 중온숙성단계
S105 ; 원료혼합단계
S107 ; 침전물제거단계
S109 ; 혼합물숙성단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광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광물추출물제조단계;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 추출물에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물제거단계; 및
    상기 침전물제거단계를 통해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혼합물숙성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는,
    한약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한약재에 상기 광물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광물추출물을 혼합하고 저온추출하는 저온추출단계;
    상기 저온추출단계를 통해 제조된 추출물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규조토혼합단계; 및
    상기 규조토혼합단계를 통해 규조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중온에서 숙성하는 중온숙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감초, 천궁, 당귀, 유근피, 쑥, 황칠, 작약 및 장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감초 100 중량부, 천궁 60 내지 80 중량부, 당귀 90 내지 110 중량부, 유근피 40 내지 60 중량부, 쑥 90 내지 110 중량부, 황칠 80 내지 90 중량부, 작약 60 내지 80 중량부 및 장출 60 내지 8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한약재의 수분 함량이 5 내지 10%를 나타내도록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저온추출단계는 상기 광물추출물 100 중량부에 상기 건조된 한약재 4 내지 6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20170051993A 2017-04-23 2017-04-23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76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993A KR101762096B1 (ko) 2017-04-23 2017-04-23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993A KR101762096B1 (ko) 2017-04-23 2017-04-23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096B1 true KR101762096B1 (ko) 2017-07-27

Family

ID=5942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993A KR101762096B1 (ko) 2017-04-23 2017-04-23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48B1 (ko) * 2020-04-09 2020-11-16 (유)신진테크 광물을 이용한 항균 및 탈취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042078A (ko) * 2020-01-28 2022-04-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토 및 화강암 가공수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64B1 (ko) * 2005-04-12 2007-11-28 최규준 천연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용맛사지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64B1 (ko) * 2005-04-12 2007-11-28 최규준 천연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용맛사지팩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078A (ko) * 2020-01-28 2022-04-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토 및 화강암 가공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6537B1 (ko) 2020-01-28 2022-07-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토 및 화강암 가공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9548B1 (ko) * 2020-04-09 2020-11-16 (유)신진테크 광물을 이용한 항균 및 탈취용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560B1 (ko)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천연추출물 숙성 발효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3648B1 (ko)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139538B1 (ko) 헤어 샴푸 조성물
KR101708595B1 (ko) 다시마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762096B1 (ko)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CN111450023A (zh) 具有磨砂效果的纯天然沐浴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85922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3618078B (zh) 一种基于鸡蛋花提取液制备纳米银的简单方法
KR101313845B1 (ko) 기능성 황토분말 및 그 제조방법
CN102008408A (zh) 一种美白皮肤祛除皮肤皱纹的复方精油
KR100204835B1 (ko) 황토분말 및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 용 팩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961363B (zh) 一种贝壳粉纳米抗菌足浴泡腾片及其制备方法
KR101437336B1 (ko) 침엽수잎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1515B1 (ko)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3012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한방발효비누의 제조방법
KR102517350B1 (ko) 커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7329B1 (ko) 황토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53290B (zh) 一种皮肤纾敏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10089938A (ko) 제올라이트와 천연식물 추출물로 배합한 미용 피부건강 팩및 그 제조방법
CN101129534A (zh) 三花疱疹药液
CN105617364A (zh) 一种多元纳米复方伤口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135041A (ko) 광물 및 솔잎을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424063B1 (ko) 천연 머드 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