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638B1 -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638B1
KR101547638B1 KR1020130140945A KR20130140945A KR101547638B1 KR 101547638 B1 KR101547638 B1 KR 101547638B1 KR 1020130140945 A KR1020130140945 A KR 1020130140945A KR 20130140945 A KR20130140945 A KR 20130140945A KR 101547638 B1 KR101547638 B1 KR 10154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ase
display module
adhesive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669A (ko
Inventor
조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30140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6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와, 케이스, 및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외곽 부위가 입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케이스는 윈도우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와 배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접착부재는 윈도우를 케이스에 접착시킨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에 따르면, 베젤 폭을 최소화하여 휴대성과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일종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음성통화 외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이 대중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바 타입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비교적 넓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터넷 검색 또는 멀티미디어 감상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부를 감싸면서 디스플레이 모듈과 윈도우의 측면부를 함께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검색과 멀티미디어 감상 등을 위해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수요로 인해,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휴대성과 파지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휴대성과 파지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케이스의 외곽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액티브 영역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베젤(bezel)의 폭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윈도우의 배면부 테두리가 양면테이프에 의해 케이스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케이스는 양면테이프 부착 부위가 적어도 양면테이프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의 폭을 가져야 한다. 또한, 케이스는 외곽 부위가 윈도우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감싸면서 디자인 형상을 표현하도록 형성되므로 소정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케이스는 양면테이프 부착 부위의 폭과 외곽 부위의 폭을 갖게 되므로, 베젤의 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베젤 폭을 최소화하여 휴대성과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외곽 부위가 입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와 배면부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케이스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적어도 외곽 부위가 입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배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윈도우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와 배면부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케이스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가 윈도우의 측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와 비교하면, 케이스의 외곽으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액티브 영역 라인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휴대성과 파지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의 측면부가 노출됨으로 인해, 윈도우의 외곽 부위는 입체 형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의 디자인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베젤의 폭을 감소시키는 범주에서 접착부재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도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Ⅰ-Ⅰ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윈도우와 케이스의 제1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윈도우와 케이스의 제2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 윈도우와 케이스의 제3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3에 있어서, 케이스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Ⅰ-Ⅰ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단말기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윈도우(120)와, 케이스(130), 및 접착부재(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모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LCD 모듈로 이루어진 경우, LCD 패널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LCD 패널로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액티브 영역 라인(A)을 경계로 구분되는 액티브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은 실질적으로 화상표시가 가능한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은 액티브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화상표시가 되지 않는 영역이다. 휴대단말기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상측에 리시버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하측에 홈키 등과 같은 버튼 키가 구비될 수 있다.
윈도우(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윈도우(120)는 적어도 외곽 부위가 입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입체 형상이란 평면적인 2차원 형상이 아닌 2.5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입체감을 갖는 형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윈도우(120)는 외곽 부위의 전방 모서리가 면취되어 형성된 제1 면취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취부(121)는 평면지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120)는 입체 형상을 갖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윈도우(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전면부를 덮어서 보호한다. 윈도우(12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로부터 표시되는 화상을 투과시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윈도우(120)는 투과성을 갖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글라스는 내구성을 갖는 강화 글라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윈도우(120)는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윈도우(120)는 배면부에 터치 감지부(126)가 포함되어 터치 윈도우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식 터치 윈도우인 경우, 터치 감지부(126)는 ITO 전극 등과 같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투명전극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6)는 감압식 터치 윈도우 등과 같은 다른 방식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윈도우(120)는 뷰 영역 라인(B)을 경계로 구분되는 뷰 영역과 인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뷰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110)로부터 표시되는 화상이 보여지는 영역이다. 인쇄 영역은 윈도우(120)와 터치 감지부(126) 사이에서 접착부재(140) 또는 배선을 가려주는 등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인쇄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액티브 영역 자체의 위치 공차와 케이스(130)에 대한 조립 오차 등을 감안하여, 뷰 영역 라인(B)은 일정 간격을 두고 액티브 영역 라인(A)보다 외측에 위치되게 설정될 수 있다.
케이스(130)는 윈도우(120)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측면부와 배면부를 감싼다. 즉, 케이스(130)는 윈도우(120)의 전면부와 측면부가 노출된 상태로 윈도우(120)의 배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접착부재(140)는 윈도우(120)를 케이스(130)에 접착시킨다. 예컨대, 접착부재(140)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면테이프는 뷰 영역 라인(B)보다 바깥쪽에 배치된다. 양면테이프의 일면이 케이스(130)의 전면부 테두리에 부착되고, 양면테이프의 타면이 윈도우(120)의 배면부 테두리에 부착됨으로써, 윈도우(120)가 케이스(130)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휴대단말기에 의하면, 윈도우(120)는 적어도 외곽 부위가 입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케이스(130)는 윈도우(120)의 측면부를 노출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케이스(130)는 윈도우(120)의 측면부를 감싸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케이스(130)가 윈도우(120)의 측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와 비교하면, 케이스(130)의 외곽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액티브 영역 라인(A)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베젤의 폭(L)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휴대성과 파지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윈도우(120)의 측면부가 노출되므로, 윈도우(120)의 외곽 부위는 입체 형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20)의 디자인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베젤의 폭(L)을 감소시키는 범주에서 접착부재(140)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조로도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케이스(130)는 프런트 케이스(131)와 백 케이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31)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케이스(130)는 보강을 위한 금속 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프레임(133)은 마그네슘(Mg)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프레임(133)은 윈도우(120)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측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금속 프레임(133)은 전면부 테두리에 접착부재(140)를 배치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프런트 케이스(131)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부를 감싸며,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금속 프레임(13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런트 케이스(131)는 금속 프레임(133)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금속 프레임(133)이 생략되는 대신, 프런트 케이스(131)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마그네슘(Mg), 스테인리스강(SUS)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백 케이스(132)는 프런트 케이스(131)의 배면부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150)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한다. 백 케이스(132)에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백 케이스(132)의 배면부에는 배터리 커버(134)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31)는 보강을 위해 리브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부(131a)는 프런트 케이스(131)의 배면부로부터 인쇄회로기판(150)의 외곽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30)는 외곽 부위에 윈도우(120)의 외곽 부위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30)가 금속 프레임(133)을 포함하는 경우, 돌출부(135)는 금속 프레임(133)의 외곽 부위에 형성된다. 휴대단말기의 외곽 부위가 외부 물체 등에 부딪힐 때, 돌출부(135)가 윈도우(120)의 외곽 부위보다 외부 물체 등에 먼저 부딪혀 완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윈도우(120)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5) 중 케이스(130)의 상하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U, WB)이 케이스(130)의 좌우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L, WR)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30)의 상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U)이 케이스(130)의 하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B)과 비교하여 같거나 작게 설정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사용 행태를 보면, 휴대단말기는 낙하 충격시 좌우변 대비 상하변과 모서리에서 충격이 대체로 더 큰 편이다. 케이스(130)의 좌우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L, WR)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휴대단말기의 좌우 폭을 최소화하며, 케이스(130)의 상하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U, WB)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윈도우(120)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30)의 상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U)을 케이스(130)의 하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B)과 비교하여 같거나 작게 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130)의 좌우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L, WR)은 0.4 ~ 0.6㎜로 설정되고, 케이스(130)의 상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U)은 0.7~0.9mm로 설정되고, 케이스(130)의 하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WB)은 0.9 ~1.1mm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5)는 전방으로 돌출된 턱(136)을 포함하여 접착부재(14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턱(136)의 돌출 길이는 접착부재(14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범주에서 최소한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20)의 디자인 설계 자유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120)의 배면부에 터치 감지부(126)가 포함되는 경우, 터치 감지부(126)는 접착부재(140)와 대응되는 부위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120)는 접착부재(140)에 의해 케이스(130)에 직접적으로 접착될 수 있으므로, 윈도우(120)와 케이스(130) 간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6)의 제거된 부위는 윈도우(120)와 케이스(130)의 접착 과정에서 윈도우(120)와 케이스(130) 간에 정렬하고 유동 방지하는데 보조할 수 있다. 윈도우(120)에 리시버 홀, 홈키 홀 등이 형성되는 경우, 윈도우(120)와 케이스(130)의 접착 과정에서 리시버와 홈키를 기준으로 리시버 홀과 홈키 홀을 맞추는 과정에서 윈도우(120)를 케이스(130)에 정렬할 수도 있다.
윈도우(120)와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합지(lamination)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120)와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투명한 접착부재(111), 예컨대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 등에 의해 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120)를 케이스(1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윈도우(120)와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동시에 케이스(13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은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감지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인셀(incell)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윈도우는 전술한 예와 같이 적어도 외곽 부위가 입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윈도우의 배면부에 배치되며, 터치 감지부는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윈도우를 케이스(1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인셀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윈도우와 케이스의 제1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윈도우(220)는 외곽 부위의 후방 모서리가 면취되어 형성된 제2 면취부(222)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230)의 금속 프레임(233)은 제2 면취부(222)와 마주하는 전면부 테두리에 제2 면취부(222)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233a)를 포함한다. 제2 면취부(222)의 폭은 접착부재(140)의 폭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140)는 윈도우(220)와 케이스(230) 사이에서 제2 면취부(222)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면취부(222)와 경사부(233a)의 구조에 의해, 돌출부(235)의 턱(236)은 접착부재(140)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35)의 구조가 강건해질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윈도우와 케이스의 제2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면취부(322)는 도면 상의 수평 면을 기준으로 전술한 예의 제2 면취부(222)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며, 전술한 예의 제2 면취부(22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금속 프레임(333)의 경사부(333a)는 제2 면취부(322)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접착부재(140)는 제2 면취부(322)와 경사부(333a)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면취부(322)와 경사부(333a)의 구조에 의해, 접착부재(140)의 폭을 증가시켜 윈도우(320)와 케이스(330) 간의 접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320)와 케이스(330) 간의 접착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 윈도우와 케이스의 제3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윈도우(420)는 배면부 중앙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수용 홈(423)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423)의 깊이는 윈도우(420)의 디자인 설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윈도우(420)는 수용 홈(423)을 둘러싸는 부위의 배면부가 접착부재(140)에 의해 프런트 케이스(431)의 전면부 테두리에 접착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431)는 외곽 부위에 윈도우(420)의 외곽 부위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35)는 전방으로 돌출된 턱(436)을 포함하여 접착부재(14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431)는 보강을 위한 금속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윈도우(420)의 구조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윈도우(420)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더욱 슬림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 케이스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스(530)의 프런트 케이스(531)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배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백 케이스(532)는 프런트 케이스(531)의 배면부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150)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한다. 백 케이스(532)는 윈도우(120)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프런트 케이스(531)의 측면부와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측면부를 함께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백 케이스(532)는 외곽 부위에 윈도우(120)의 외곽 부위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35)는 전방으로 돌출된 턱(536)을 포함하여 접착부재(14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백 케이스(532)는 전면부 테두리에 접착부재(140)를 배치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백 케이스(532)의 전면부 테두리가 접착부재(140)에 의해 윈도우(120)에 접착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예와 비교하여, 윈도우(120)와 케이스(530) 사이의 방수 처리 부분이 윈도우(120)와 백 케이스(532) 사이의 접착 부위에 국한될 수 있으므로, 방수 휴대단말기의 적용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디스플레이 모듈 120,220,320,420..윈도우
121..제1 면취부 222,322..제2 면취부
130,230,330,430..케이스 131,431,531..프런트 케이스
132,532..백 케이스 133,233,333..금속 프레임
135,235,435,535..돌출부 140..접착부재

Claims (17)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외곽 부위의 전방 모서리가 면취되어 형성된 제1 면취부와, 외곽 부위의 후방 모서리가 면취되어 형성된 제2 면취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전면부 및 측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와 배면부를 감싸며, 상기 제2 면취부와 마주하는 전면부 테두리에 상기 제2 면취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케이스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의 전면부 및 측면부가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와 함께 휴대단말기의 외곽을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는 뷰 영역 라인을 경계로 구분되는 뷰 영역과 인쇄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뷰 영역 라인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액티브 영역 라인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뷰 영역 라인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2 면취부와 경사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윈도우와 케이스 사이에서 상기 제2 면취부보다 안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4.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외곽 부위가 입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전면부 및 측면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와 배면부를 감싸며, 외곽 부위에 상기 윈도우의 외곽 부위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케이스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케이스의 상하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이 상기 케이스의 좌우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의 전면부 및 측면부가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와 함께 휴대단말기의 외곽을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는 뷰 영역 라인을 경계로 구분되는 뷰 영역과 인쇄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뷰 영역 라인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액티브 영역 라인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뷰 영역 라인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턱을 포함하여 상기 접착부재의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케이스의 상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이 상기 케이스의 하변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폭과 비교하여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윈도우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를 감싸며, 전면부 테두리에 상기 접착부재를 배치하는 금속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부를 감싸며,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금속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프런트 케이스; 및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배면부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백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는 배면부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곽 쪽으로 돌출된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배면부 중앙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수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부를 감싸는 프런트 케이스; 및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배면부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윈도우가 전면부와 측면부에 걸쳐 노출되도록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측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부를 함께 감싸며, 전면부 테두리에 상기 접착부재를 배치하는 백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배면부에 터치 감지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모듈은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배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140945A 2013-11-19 2013-11-19 휴대단말기 KR10154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45A KR101547638B1 (ko) 2013-11-19 2013-11-19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45A KR101547638B1 (ko) 2013-11-19 2013-11-19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69A KR20150058669A (ko) 2015-05-29
KR101547638B1 true KR101547638B1 (ko) 2015-08-27

Family

ID=5339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945A KR101547638B1 (ko) 2013-11-19 2013-11-19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0244B2 (en) 2021-08-10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glas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2024A (zh) 2015-06-09 2017-01-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液晶显示屏模组和移动设备
KR102458906B1 (ko) * 2015-12-22 2022-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9620B1 (ko) 2016-01-05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85211B1 (ko) 2016-01-05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20532A (ko) *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엠엠테크 전자 장치용 커버 조립체 및 전자 장치
KR102042852B1 (ko) * 2018-07-13 2019-11-27 (주)남양통상 투톤 컬러 채널형 간판 조립체
KR102063256B1 (ko) * 2018-07-13 2020-01-07 (주)남양통상 채널형 간판 조립체
KR102521107B1 (ko) * 2021-04-21 2023-04-12 주식회사 오성전자 리모컨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0244B2 (en) 2021-08-10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ndow glas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69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638B1 (ko) 휴대단말기
US10712774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structural glass members
CN108254975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1463218B1 (ko) 휴대용 단말기
EP3176671B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US942071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unified display mounting structures
KR102145388B1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윈도우의 제조 방법
CN106385473B (zh) 壳体、指纹模组和移动终端
JP6895524B2 (ja) 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の組立て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090091675A (ko) 표시 기능 구비 입력 장치
KR102210861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방법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6275943B2 (ja) 携帯電子機器
US9664938B2 (en) Display device
KR20140038299A (ko) 전자 기기
CN108153026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2015005529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706585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2022038649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1453345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190094982A (ko) 전자 장치
CN108254958B (zh) 显示屏组件、显示屏组件的组装方法及电子设备
EP3894985B1 (en) Display module including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JP2013114316A (ja) 情報処理端末
JP2014032587A (ja) 携帯端末
KR20220160218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