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046B1 -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의 dsl 팬텀 모드 신호를 위한 결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의 dsl 팬텀 모드 신호를 위한 결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046B1
KR101547046B1 KR1020137026168A KR20137026168A KR101547046B1 KR 101547046 B1 KR101547046 B1 KR 101547046B1 KR 1020137026168 A KR1020137026168 A KR 1020137026168A KR 20137026168 A KR20137026168 A KR 20137026168A KR 101547046 B1 KR101547046 B1 KR 10154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l
coil
pair
termin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733A (ko
Inventor
엘브 문스
길버트 반 캠펜호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3012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different combinations of lines, e.g. phantom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제1(DM1) 및 제2(DM2) DSL 회선, 및 제3 DSL 회선(DM3) 상의 DSL 전기 통신 신호를 제1(P1) 및 제2(P2) DSL 전송 회선 상의 다른 DSL 전기 통신 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결합 디바이스는 제1 DSL 회선 및 제1 DSL 전송 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기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제1(LL11) 및 제2(LL12) 코일의 제1 쌍, 및 제2 DSL 회선 및 제2 DSL 전송 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기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제1(LL21) 및 제2(LL22) 코일의 제2 쌍을 포함한다. 제3 DSL 회선은 제1 쌍의 제1 및 제2 코일 사이의 제1 연결 수단(CP31), 및 제2 쌍의 제1 및 제2 코일 사이의 제2 연결 수단(CP32)에 연결된다. 연결 수단은 단일 접속점, 또는 바람직하게는 고역 통과 필터이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제1 DSL 회선, 제2 DSL 회선, 제3 DSL 회선, 제1 DSL 전송 회선 및 제2 DSL 전송 회선에 각각 연관된 적어도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팬텀 주입 모듈(PBox) 내에 위치된다. 팬텀 주입 모듈은 예를 들어 전기 통신 교환기의 회선 종단(LT) 보드 또는 주배선반(MDF)으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된다. 제1 DSL 회선, 제2 DSL 회선 및 제3 DSL 회선은 이 디바이스들의 별개의 포트들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의 DSL 팬텀 모드 신호를 위한 결합 디바이스{COMBINATION DEVICE FOR DSL PHANTOM MOD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제1 DSL 회선, 제2 DSL 회선 및 제3 DSL 회선 상의 제1 DSL 전기 통신 신호를 제1 DSL 전송 회선 및 제2 DSL 전송 회선 상의 제2 DSL 전기 통신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결합 디바이스의 목적은 DSL 팬텀 모드 신호를 기존 전기 통신 시스템의 DSL 회선에 추가/주입(inject)하는 것이다.
팬텀 모드 연결(phantom mode coupling)을 주입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장소는 중앙국(CO), 더 구체적으로는 회선 종단(LT: Line Terminating) 보드의 레벨이다. 그러나, 이것은 반드시 시스템에 삽입되어야 하는 새로운 회선 종단(LT) 보드의 설계를 암시한다. 그러한 해결책의 알려진 단점은 보드 교체 자체, 요구되는 시스템 중단, 회선 종단(LT) 보드 상에서의 추가의 보드 영역 이용 등이다. 또한, 회선 종단(LT) 보드와 MDF 사이의 기존의 케이블링, 패치 패널 등은 팬텀 신호에 대해서는 최적이 아니다. 이것은 ITU 표준, 예를 들어 세로방향 변환 손실(Longitudinal Conversion Loss), 분배기들(splitters)과의 임피던스 정합, EMC 규정이 준수되지 않게 하고/거나 DSL 성능 손실을 야기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크리플(cripple)' 팬텀 모드는 심지어 종래의 본딩에서 이용가능하던 것과 동등한 레이트 도달(rate-reach)을 야기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비 및 케이블링을 심각하게 변화시키지 않고서 이미 설치된 하드웨어를 최대한 재사용하여, 양호한 DSL 성능을 갖는 상술한 알려진 유형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상기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DSL 회선 및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수동 컴포넌트의 제1 쌍, 및
상기 제2 DSL 회선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수동 컴포넌트의 제2 쌍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DSL 회선은 상기 제1 쌍의 제1 및 제2 수동 컴포넌트 사이의 제1 연결 수단, 및 상기 제2 쌍의 제1 및 제2 수동 컴포넌트 사이의 제2 연결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상기 제1 DSL 회선, 상기 제2 DSL 회선, 상기 제3 DSL 회선,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에 각각 연관된 적어도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팬텀 주입 모듈 내에 위치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 팬텀 주입(remote phantom injection)을 수행하기 위한 단순한 회로가 제공된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가 별개의 팬텀 주입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DSL 팬텀 모드 신호는 기존 전기 통신 장비를 변화시키지 않고서, 거의 모든 곳에서 DSL 회선에 추가/주입될 수 있다.
적절하게 설계되면, 수동 컴포넌트들 및 연결 수단을 갖는 이러한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요구되는 표준들을 완전하게 준수하고, 장비의 레이트-도달 성능에 사소한 영향만을 미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는 상기 팬텀 주입 모듈이 전기 통신 교환기(telecommunication exchange)의 회선 종단(LT) 보드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DSL 회선, 상기 제2 DSL 회선 및 상기 제3 DSL 회선은 상기 회선 종단(LT) 보드의 별개의 포트들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새로운 회선 종단(LT) 보드를 설계하지 않고서도, 기존 장비에서 팬텀 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는 상기 팬텀 주입 모듈이 전기 통신 교환기의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에 연관되고, 상기 제1 DSL 회선, 상기 제2 DSL 회선, 상기 제3 DSL 회선,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은 상기 주배선반(MDF)의 단자들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것은 팬텀 주입 모듈을 원격이면서도 주배선반(MDF)에 가깝게, 또는 심지어는 그 내부에 구현하고, 거기에서 유연한 방식으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주배선반(MDF)의 특징들이 확장되고, EMC 및 DSL 성능 쟁점들이 회피되는 한편, 현재의 MDF 케이블링 및 장비가 재사용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쌍의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수동 컴포넌트는 자기 연결된 코일들이고,
상기 제1 쌍의 제1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쌍의 제2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은 상기 제3 DSL 회선의 제1 와이어, 상기 제1 쌍의 제1 코일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1 쌍의 제2 코일의 제2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2 쌍의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수동 컴포넌트는 자기 연결된 코일들이고,
상기 제2 쌍의 제1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쌍의 제2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 수단은 상기 제3 DSL 회선의 제2 와이어, 상기 제2 쌍의 제1 코일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2 쌍의 제2 코일의 제2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서, 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자기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의 제3 쌍 - 상기 제3 쌍의 제3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DSL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쌍의 제4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DSL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쌍의 제3 코일의 제2 단자는 제3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3 쌍의 제4 코일의 제2 단자에 전기 연결됨 -, 및
자기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의 제4 쌍 - 상기 제4 쌍의 제3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DSL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4 쌍의 제4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DSL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4 쌍의 제3 코일의 제2 단자는 제4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4 쌍의 제4 코일의 제2 단자에 전기 연결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쌍의 제3 및 제4 코일은 상기 제1 쌍의 제1 및 제2 코일에 자기 연결되고, 상기 제4 쌍의 제3 및 제4 코일은 상기 제2 쌍의 제1 및 제2 코일에 자기 연결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기존의 전기 통신 시스템, 또는 설치된 베이스가 재사용되고, 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매우 유연하고 용이한 확장이 허용된다.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직렬 팬텀 주입 디바이스"라고 지칭된다.
직렬 팬텀 주입 디바이스는 상술한 목적(장비 재사용, ITU 및 EMC 준수, 양호한 DSL 성능,...)을 실현한다. 제1 DSL 회선과 제1 DSL 전송 회선 사이의 연결은 자기 연결된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지고, 제2 DSL 회선과 제2 DSL 전송 회선 사이의 연결도 자기 연결된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한가지 단점을 갖는다. DSL 신호들과 전송 회선 간의 연결이 자기 디바이스들로 행해지므로, 협대역 POTS 신호가 이용가능하다면, 그것의 주입은 전송 회선측에서 행해져야 한다. 이것은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와 POTS 교환기 간의 추가의 케이블링을 야기할 수 있다.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에서, 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쌍의 제1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DSL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1 쌍의 제2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DSL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2 쌍의 제1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DSL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2 쌍의 제2 코일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DSL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는 이하에서 "병렬 팬텀 주입 디바이스"라고 지칭된다.
제1 DSL 회선은 제1 DSL 전송 회선과 전기 연결되고, 제2 DSL 회선은 제2 DSL 전송 회선과 전기 연결된다. 이 경우에서, 협대역 POTS 신호들의 주입은 전송 회선 또는 DSL 회선의 어느 곳에서든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예를 들어 기존 POTS 분배기들이 이미 그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을 때, 회선 종단(LT) 보드 부근에서의 POTS 신호들의 주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병렬 팬텀 주입은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가 회선 종단(LT) 보드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해 있을 때 한가지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DSL 회선에 존재하는 회선 종단(LT) 보드에는 공통 모드 종단(common mode termination)이 없으므로,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와 회선 종단(LT) 보드 간의 케이블링은 팬텀 신호에 영향을 주는 STUB 또는 브리지드 탭(Bridged Tab)을 생성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은 더 설명되는 것과 같이 공통 모드 저역 통과 필터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병렬 팬텀 주입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특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쌍의 제1 코일의 제1 단자는 제1 필터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DSL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1 쌍의 제2 코일의 제1 단자는 제2 필터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DSL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1 필터 코일 및 상기 제2 필터 코일은 자기 연결되는 반면, 상기 제2 쌍의 제1 코일의 제1 단자는 제3 필터 코일을 통해 상기 제2 DSL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2 쌍의 제2 코일의 제1 단자는 제4 필터 코일을 통해 상기 제2 DSL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상기 제3 필터 코일 및 상기 제4 필터 코일은 자기 연결된다.
이러한 공통 모드 저대역 필터를 추가함으로써, STUB 또는 브리지드 탭이 생성되지 않는다.
추가로, 필터 코일들은 적절히만 설계된다면, 상술한 구현들 전부에 있어서 차동 쌍들에 대하여 POTS 보드를 향한 고 공통 모드 임피던스 경로를 생성한다.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에서, 본 직렬 팬텀 주입 디바이스는, 자기 연결된 제5 및 제6 코일의 제5 쌍 - 상기 제5 쌍의 상기 제5 코일은 제1 POTS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쌍의 제1 코일의 상기 제1 단자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상기 제5 쌍의 상기 제6 코일은 상기 제1 POTS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쌍의 제2 코일의 상기 제1 단자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가짐 -; 및 자기 연결된 제5 및 제6 코일의 제6 쌍 - 상기 제6 쌍의 상기 제5 코일은 제2 POTS 회선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쌍의 제1 코일의 상기 제1 단자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상기 제6 쌍의 상기 제6 코일은 상기 제2 POTS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쌍의 제2 코일의 상기 제1 단자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가짐 -
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5 및 제6 쌍의 코일들 덕분에, 직렬 주입 모듈에 대해서도, 병렬 주입 모듈에서와 마찬가지로, 차동 쌍들에 대하여 POTS 보드를 향한 고 공통 모드 임피던스 경로가 달성된다.
본 병렬 팬텀 주입 디바이스의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DSL 회선의 제1 와이어는 제5 코일을 통해 상기 제3 DSL 회선의 제2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은 제6 코일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코일 및 상기 제6 코일은 자기 연결된다.
최상의 전송 성능을 갖기 위해, DSL 신호들의 아날로그 선단은 접속된 전송 회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가까운 임피던스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전송 장비를 이용하므로, 이것은 제1 및 제2 전송 회선에 각각 접속된 제1 DSL 회선 및 제2 DSL 회선에 대해서만 달성된다. 제3 DSL 회선의 신호는 제1 및 제2 전송 회선이 함께 형성하는 팬텀 쌍에 전달될 것이고, 이 경우에서는 이용되는 케이블에 관련된 상이한 특성 임피던스를 볼 것이다.
팬텀 쌍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임피던스 변환이 필요하다. 추가의 변환기가 기존의 아날로그 선단 임피던스를 올바른 팬텀 모드 임피던스로 변환할 것이다. 이러한 변환기에의 연결은 DC 또는 AC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병렬 주입 모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러한 임피던스 변환은 직렬 주입 모듈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업스트림(US) 신호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중앙국(CO)으로부터 고객 댁내 장비(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로 흐르는 다운스트림(DS) 신호들에 대해 유효하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양쪽의 신호 방향에서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는 상기 팬텀 주입 모듈이 고객 댁내 장비(CPE)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1 DSL 회선, 상기 제2 DSL 회선 및 상기 제3 DSL 회선은 상기 고객 댁내 장비(CPE)에 접속되는 것이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와 그것을 수납하는 팬텀 주입 모듈은 그것이 제1 DSL 회선, 제2 DSL 회선 및 제3 DSL 회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중앙국(CO)의 어레이 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될 뿐만 아니라, 전기 통신 회선의 다른 단에서, 즉 고객 댁내 장비(CPE)의 어레이 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실시예는 상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팬텀 주입 모듈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확장 덕분에, DSL 회선들로의 DSL 팬텀 모드 신호들의 주입은 하나씩, 또는 팬텀 가입자들의 그룹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추가의 특징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언급된다.
청구항들에서 이용되는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including)"이라는 용어는 그 뒤에 나열되는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수단 A 및 B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와 같은 표현의 범위는 수단 A 및 B만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의 실시예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그것은 A 및 B가 디바이스의 필수 수단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청구항들에서 또한 이용되는 "연결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인 접속만으로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 B에 연결된 디바이스 A"와 같은 표현의 범위는 디바이스 A의 출력이 디바이스 B의 입력에 직접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실시예들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A의 출력과 B의 입력 사이에 경로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 경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을 첨부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상술한 것과 그 외의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더 분명해질 것이고, 본 발명 자체가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병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직렬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제1의 개선된 버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제2의 개선된 버전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개선된 버전을 나타낸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 DSL 팬텀 모드는 2개(또는 그 이상의) 가입자 회선 쌍 간의 공통 모드 신호의 추가/주입/연결로 구성된다. 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팬텀 주입 모듈(PBox) 내에 위치되는데, 이것은 원격으로, 예를 들어 회선 종단(LT) 보드로부터 더 먼 거리에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연결은 도터 보드 상에서, 또는 예를 들어 회선 종단(LT) 보드 옆에 있거나 근처의 선반, 랙 또는 시스템 내에 위치되어 더 멀리에 있는 다른 보드 상에서 수행될 수 있지만,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또한 원격으로 어디든지, 예를 들어 주배선반(MDF)에 가깝게, 심지어는 그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팬텀 주입 모듈(PBox)은 그러한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수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박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구현은 중앙국에서 행해질 수 있지만, 고객 댁내 장비(CPE)에서도 행해질 수 있다.
어느 조건에서든,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구현은 이미 설치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기존의 회선 종단(LT) 보드, POTS/분배기 보드 및 케이블링을 최대한 재사용하여 수행된다.
더 상세하세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적어도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팬텀 주입 모듈(PBox) 내에 위치되는데, 그 단자들 중 3개는 제1 DSL 회선(DM1), 제2 DSL 회선(DM2) 및 제3 DSL 회선(DM3)에 연관된다. 다른 2개의 단자는 제1 DSL 전송 회선(P1) 및 제2 DSL 전송 회선(P2)에 연관된다. 도면들에서, 단자들은 그에 연관된 회선대로 명명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병렬 팬텀 주입"이라고 지칭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제1 구현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DSL 팬텀 회로망은 가입자 쌍, 즉 제1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 내의 와이어들 사이에 병렬로 놓여진다.
병렬 주입 모듈의 경우에서는, DSL 회선(DM1 및 DM2)에 연관된 단자들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정보 및 기존 전화 시스템(POTS: Plain Old Telephone System)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직렬 주입 모듈에 있어서는, POTS 정보가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에 반드시 주입되어야 한다.
후자의 경우에서, POTS 저역 통과 공통 모드 필터가 요구될 때는, 도 5를 참조하여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6 및 제7 단자가 추가될 필요가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제3 DSL 회선(DM3)에 연관된 단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정보만을 포함하는 전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3개의 DSL 전기 통신 신호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에 의해, DSL 전송 회선(P1 및 P2)에 연관된 단자들에 나타나는 다른 DSL 전기 통신 신호로 변환된다.
상술한 설명은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업스트림(US) 신호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중앙국(CO)으로부터 고객 댁내 장비(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로 흐르는 다운스트림(DS) 신호들에 대해 유효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양쪽의 신호 방향에서 동작한다.
팬텀 주입 모듈(PBox)이 전기 통신 교환기의 회선 종단(LT) 보드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되어 있다면, 제3 DSL 회선(DM3)뿐만 아니라 DSL 회선들(DM1 및 DM2)도 회선 종단(LT) 보드의 별개의 포트들에 접속된다. 그러면,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은 별개의 장거리 전기 통신 회선들에 접속된다.
팬텀 주입 모듈(PBox)이 전기 통신 교환기의 주배선반(MDF)으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되어 있다면, DSL 회선들(DM1 및 DM2), 제3 DSL 회선(DM3) 및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은 주배선반(MDF)의 단자들에 접속된다.
팬텀 주입 모듈(PBox)은 수 개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를 수납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면, 팬텀 주입 모듈(PBox)은 수 개의 단자 그룹을 구비한다.
팬텀 주입 모듈(PBox)이 고객 댁내 장비(CPE)에 가깝게 위치되는 경우,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은 장거리 전기 통신 회선들의 다른 단에 접속되고, 제3 DSL 회선(DM3)뿐만 아니라 DSL 회선들(DM1 및 DM2)까지 셋 모두 고객 댁내 장비(CPE)에 접속된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직렬 자기 연결된 코일들(LL11 및 LL12)의 제1 쌍을 포함하며, 그 양단에 DSL 전송 회선(P1)의 2개의 와이어가 접속된다. 제1 코일(LL11)의 상부 단자(TL11)는 DSL 전송 회선(P1)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는 반면, 제2 코일(LL12)의 하부 단자(TL12)는 DSL 전송 회선(P1)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다. 제1 코일(LL11)의 하부 단자는 연결 디바이스(CP31)를 통해 제2 코일(LL12)의 상부 단자에 연결된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직렬 자기 연결된 코일들(LL21 및 LL22)의 제2 쌍을 더 포함하며, 그 양단에는 DSL 전송 회선(P2)의 2개의 와이어가 접속된다. 이러한 제2 쌍의 제1 코일(LL21)의 상부 단자(TL21)는 DSL 전송 회선(P2)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는 반면, 이러한 제2 쌍의 제2 코일(LL22)의 하부 단자(TL22)는 DSL 전송 회선(P2)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다. 제1 코일(LL21)의 하부 단자는 제2 연결 디바이스(CP32)를 통해 제2 코일(LL22)의 상부 단자에 연결된다.
2-와이어 제3 DSL 회선(DM3)은 처음에 언급된 연결 디바이스(CP31)에 연결된 제1 와이어를 갖고, 제2 연결 디바이스(CP32)에 연결된 제2 와이어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1의 병렬 팬텀 주입에서, DSL 회선(DM1)의 2개의 와이어는 제1 쌍의 직렬 자기 연결된 코일들(LL11 및 LL12)의 양단에 접속되는 반면에, DSL 회선(DM2)의 2개의 와이어는 제2 쌍의 직렬 자기 연결된 코일들(LL21 및 LL22)의 양단에 접속된다.
제1 코일(LL11)의 상부 단자(TL11)는 DSL 전송 회선(P1)의 제1 와이어 및 DSL 회선(DM1)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는 반면, 제2 코일(LL12)의 하부 단자(TL12)는 DSL 전송 회선(P1)의 제2 와이어 및 DSL 회선(DM1)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1 코일(LL21)의 상부 단자(TL21)는 DSL 전송 회선(P2)의 제1 와이어 및 DSL 회선(DM2)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는 반면, 제2 코일(LL22)의 하부 단자(TL22)는 DSL 전송 회선(P2)의 제2 와이어 및 DSL 회선(DM2)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다.
"직렬 팬텀 주입"이라고 지칭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제2 구현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직렬 인터럽션은 차동 동작 모드에 대하여 각 쌍에서 발생하며, DSL 팬텀 신호는 가입자 측에서 동시에 주입된다.
직렬 팬텀 주입에서, DSL 회선들(DM1 및 DM2)의 와이어들은 더 이상 코일들(LL11, LL12 및 LL21, LL22) 양단에 각각 직접 접속되지 않고,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코일들에 자기 연결된다.
이를 위해, 직렬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직렬 자기 연결된 코일들(LT11 및 LT12)의 제3 쌍을 더 포함하며, 그 양단에는 DSL 회선(DM1)의 2개의 와이어가 접속된다. 이러한 제3 쌍의 제1 코일(LT11)의 상부 단자(TT11)는 DSL 회선(DM1)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는 반면, 이러한 제3 쌍의 제2 코일(LT12)의 하부 단자(TT12)는 DSL 회선(DM1)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다. 제1 코일(LT11)의 하부 단자는 연결 디바이스(CT31)를 통해 제2 코일(LT12)의 상부 단자에 연결된다.
직렬 팬텀 주입 디바이스는 직렬 자기 연결된 코일들(LT21 및 LT22)의 제4 쌍을 더 포함하며, 그 양단에는 DSL 회선(DM2)의 2개의 와이어가 접속된다. 이러한 제4 쌍의 제1 코일(LT21)의 상부 단자(TT21)는 DSL 회선(DM2)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는 반면, 이러한 제4 쌍의 제2 코일(LT22)의 하부 단자(TT22)는 DSL 회선(DM2)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다. 제1 코일(LT21)의 하부 단자는 연결 디바이스(CT32)를 통해 제2 코일(LT22)의 상부 단자에 연결된다.
도면들에 나타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연결 디바이스들은 AC 연결 또는 고역 통과 필터링을 허용한다. 그들은 존재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으며,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으로 실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AC 연결은 연결 디바이스에 접속된 코일들에 의해 형성된 관련 변환기의 중심 탭들에서가 아니라, 그것의 외측 단자들, 즉 이 코일들의 TL11 및 TL12에서도 행해질 수 있다.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연결 디바이스들(CP31, CP32, CT31 및 CT32)은 각각 모두 제1 코일(LL11, LL21, LT11 및 LT21)의 하부 단자와 제2 코일(LL12, LL22, LT12 및 LT22)의 상부 단자 사이의 접속점에 지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3 DSL 회선(DM3)의 제1 와이어는 접속점(CP31)에 접속되는 반면에, 제3 DSL 회선(DM3)의 제2 와이어는 접속점(CP32)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디바이스들(CP31, CP32, CT31 및 CT32) 중 임의의 것은 각각 제1 코일(LL11, LL21, LT11 및 LT21)의 하부 단자와 제2 코일(LL12, LL22, LT12 및 LT22)의 상부 단자 사이의 고주파수(HF) 필터 연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DSL 회선(DM3)의 제1 와이어는 고주파수(HF) 필터 연결(CP31)에 접속되는 반면에, 제3 DSL 회선(DM3)의 제2 와이어는 고주파수(HF) 필터 연결(CP32)에 접속된다.
직렬 팬텀 주입의 단점은 POTS 신호가 가입자 측, 즉 팬텀 주입 모듈(PBox)의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 상에만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PBox 위치에서 POTS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재배선(rewiring)이 요구된다. 병렬 팬텀 주입에 있어서, POTS 신호는 이전 또는 이후에, 즉 팬텀 주입 모듈(PBox)의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 상에, 또는 DSL 회선들(DM1 및 DM2) 상에 추가될 수 있다.
병렬 팬텀 주입의 단점은 팬텀 주입 모듈(PBox)과 회선 종단(LT) 보드 간의 거리일 수 있다. 긴 거리는 병렬 팬텀 주입에 대한 STUB 또는 브리지드 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업스트림(US) 및 다운스트림(DS) 내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공통 모드 코일 또는 공통 모드 저역 통과 필터를 병렬 팬텀 주입 내에 추가하면 이러한 가능한 문제가 해결된다.
직렬 팬텀 주입에 있어서는 STUB 또는 브리지드 탭이 생성되지 않는다.
병렬 및 직렬 팬텀 주입의 다른 가능한 단점은 특히 DSL 주파수 대역들에 대해, 중앙국(CO)에서의 POTS 보드를 향한 차동 쌍들을 위한 고 공통 모드 임피던스 경로를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모든 분배기가 이러한 요건을 따르지는 않고, 이러한 가능한 문제는 저역 통과 공통 모드 필터(예를 들어, 공통 모드 코일)를 추가함으로써 중앙국(CO)에서의 분배기 내에서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좋은 해결책은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팬텀 주입 회로망과 함께, 공통 모드 필터 코일을 팬텀 주입 모듈(PBox) 내에 추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중앙국(CO)의 분배기 및 음성 카드도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고, 교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의 성능은 현저하게 개선된다.
이러한 개선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 병렬 팬텀 주입과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쌍의 제1 코일(LL11)의 상부 단자(TL11)는 제1 필터 코일(LF11)을 통해 DSL 회선(DM1)의 제1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제1 쌍의 제2 코일(LL12)의 하부 단자(TL12)는 제2 필터 코일(LF12)을 통해 이러한 DSL 회선(DM1)의 제2 와이어에 전기 연결된다. 제1 필터 코일(LF11) 및 제2 필터 코일(LF12)은 자기 연결되며, 둘 다의 상부 단자들은 DSL 회선(DM1)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2 쌍의 제1 코일(LL21)의 상부 단자(TL21)는 제3 필터 코일(LF21)을 통해 DSL 회선(DM2)의 제1 와이어에 전기 연결되고, 제2 쌍의 제2 코일(LL22)의 하부 단자(TL22)는 제4 필터 코일(LF22)을 통해 이러한 DSL 회선(DM2)의 제2 와이어에 전기 연결된다. 제3 필터 코일(LF21) 및 제4 필터 코일(LF22)은 자기 연결되며, 둘 다의 상부 단자들은 DSL 회선(DM2)에 접속된다.
다른 DSL 회선들(DM1 및 DM2)에 관하여 팬텀 회선(DM3)의 임피던스와의 가능한 차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또는 도 3의 병렬 팬텀 주입에 아래의 개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자기 연결된 코일(LM12 및 LM21)은 DSL 회선(DM3)에서 추가된다. 더 상세하게는, 코일(LM12)은 DSL 회선(DM3)의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사이에 연결되는 반면, 코일(LM12)에 자기 연결된 제2 코일(LM21)은 연결 디바이스(CP31)와 연결 디바이스(CP32)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코일들(LM12 및 LM21)을 통한 자기 연결 덕분에, DSL 회선(DM3)은 DSL 회선들(DM1 및 DM2)과는 다른 임피던스를 보일 수 있으면서도, 이 회선들 상에서의 DSL 신호들의 전송은 교란시키지 않는다.
DSL 신호의 아날로그 선단이 접속된 전송 회선의 특성 임피던스에 가까운 임피던스를 가질 때 최상의 전송 성능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기존 전송 장비를 활용하므로, 이것은 각각 제1 및 제2 전송 회선(P1 및 P2)에 접속된 DSL 회선(DM1) 및 DSL 회선(DM2)에 대해서만 달성된다. 제3 DSL 회선(DM3)의 신호들은 제1 및 제2 전송 회선(P1 및 P2)이 함께 형성하는 팬텀 쌍에 전달되며, 이 경우에서는 사용된 케이블에 관련된 상이한 특성 임피던스를 볼 것이다.
팬텀 쌍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 변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추가의 변환기가 기존의 아날로그 선단 임피던스를 올바른 팬텀 모드 임피던스로 변환할 것이다. 이러한 변환기에의 연결은 DC 또는 AC 방식 중 하나일 수 있으므로,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병렬 팬텀 주입에 적용되는 상기의 저역 통과 필터(LF11/LF12, LF21/LF22)는 심지어 음성 카드를 향한 STUB 및 공통 모드 임피던스의 문제를 둘 다 해결한다.
직렬 팬텀 주입에 있어서, 기존 전화(POTS) 신호는 도 2의 개선을 나타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TS 회선들(POTS1 및 POTS2)을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에 각각 연결하는 POTS 단자들에 접속된 코일들의 쌍들(LP11, LP12 및 LP21, LP22)을 통해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에 주입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코일(LP11)은 제1 POTS 회선(POTS1)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코일(LL11)의 제1 단자(TL11)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코일(LP11)에 자기 연결된 다른 코일(LP12)은 제1 POTS 회선(POTS1)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코일(LL12)의 제1 단자(TL12)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코일(LP21)은 제2 POTS 회선(POTS2)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코일(LL21)의 제1 단자(TL21)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코일(LP21)에 자기 연결된 다른 코일(LP22)은 제2 POTS 회선(POTS2)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코일(LL22)의 제1 단자(TL22)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는다.
이러한 코일들의 쌍들(LP11, LP12 및 LP21, LP22) 덕분에, POTS 회선들(POTS1 및 POTS)은 DSL 전송 회선들(P1 및 P2)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회선들 상에 전송되는 DSL 신호를 교란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저역 통과 공통 모드 필터를 이용하면, POTS 신호들은 적어도 DSL 대역들 내에서 고 임피던스 조건에서 전송 회선들(P1 및 P2)에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DSL 신호를 교란시키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에서 기능 블록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음에 주목한다. 이들 블록들의 기능적 설명으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를 설계하는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는 이들 블록들의 실시예들이 공지된 전자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어떻게 제조될 수 있는지를 분명히 알 것이다. 그러므로, 기능적 블록들의 내용의 상세한 구조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가 특정 장치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대로의 본 발명의 범위에 관한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예시로서 이루어진 것일 뿐임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제1 DSL(Digital Subscriber Line) 포트(DM1), 제2 DSL 포트(DM2) 및 제3 DSL 포트(DM3) 상의 제1 DSL 전기 통신 신호들(telecommunication signals)을 제1 DSL 전송 회선(P1) 및 제2 DSL 전송 회선(P2) 상의 제2 DSL 전기 통신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DSL phantom mode signal combination device)로서,
    상기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상기 제1 DSL 포트(DM1) 및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P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제1 코일(LL11) 및 제2 코일(LL12)의 제1 쌍(LL11, LL12),
    상기 제2 DSL 포트(DM2)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P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직렬 연결된 제1 코일(LL21) 및 제2 코일(LL22)의 제2 쌍(LL21, LL22), 및
    상기 제1 쌍의 상기 제1 코일(LL11)와 상기 제2 코일(LL12) 사이의 제1 연결 수단(CP31), 및 상기 제2 쌍의 상기 제1 코일(LL21)와 상기 제2 코일(LL22) 사이의 제2 연결 수단(CP32)에 연결되는 상기 제3 DSL 포트(DM3)
    을 포함하고,
    상기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상기 제1 DSL 포트(DM1), 상기 제2 DSL 포트(DM2), 상기 제3 DSL 포트(DM3),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P1)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P2)에 각각 연관된 적어도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팬텀 주입 모듈(phantom injection module; PBox) - 상기 팬텀 주입 모듈은 전기 통신 교환기(telecommunication exchange)의 회선 종단(LT) 보드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됨 - 에 내장되며,
    상기 제1 DSL 포트(DM1), 상기 제2 DSL 포트(DM2) 및 상기 제3 DSL 포트(DM3)은 상기 회선 종단(LT) 보드의 별개의 포트들에 유연한 방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 주입 모듈(PBox)은 전기 통신 교환기의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on Frame)에 연관되고,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P1)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P2)은 상기 주배선반(MDF)의 단자들에 유연한 방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직렬 연결된 상기 제1 코일(LL11) 및 상기 제2 코일(LL12)은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의 제1 단자(TL11)는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P1)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12)의 제1 단자(TL12)는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P1)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CP31)은 상기 제3 DSL 포트(DM3)의 제1 와이어,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12)의 제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직렬 연결된 상기 제1 코일(LL21) 및 상기 제2 코일(LL22)은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의 제1 단자(TL21)는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P2)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2 코일(LL22)의 제1 단자(TL22)는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P2)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 수단(CP32)은 상기 제3 DSL 포트(DM3)의 제2 와이어,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2 코일(LL22)의 제2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제3 코일(LT11) 및 제4 코일(LT12)의 제3 쌍(LT11, LT12) - 상기 제3 쌍(LT11, LT12)의 제3 코일(LT11)의 제1 단자(TT11)는 상기 제1 DSL 포트(DM1)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쌍(LT11, LT12)의 제4 코일(LT12)의 제1 단자(TT12)는 상기 제1 DSL 포트(DM1)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쌍(LT11, LT12)의 제3 코일(LT11)의 제2 단자는 제3 연결 수단(CT31)을 통해 상기 제3 쌍(LT11, LT12)의 제4 코일(LT12)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 및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제3 코일(LT21) 및 제4 코일(LT22)의 제4 쌍(LT21, LT22) - 상기 제4 쌍(LT21, LT22)의 제3 코일(LT21)의 제1 단자(TT21)는 상기 제2 DSL 포트(DM2)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4 쌍(LT21, LT22)의 제4 코일(LT22)의 제1 단자(TT22)는 상기 제2 DSL 포트(DM2)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되고, 상기 제4 쌍(LT21, LT22)의 제3 코일(LT21)의 제2 단자는 제4 연결 수단(CT32)을 통해 상기 제4 쌍(LT21, LT22)의 제4 코일(LT22)의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쌍(LT11, LT12)의 제3 코일(LT11) 및 제4 코일(LT12)은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 및 제2 코일(LL12)에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쌍(LT21, LT22)의 제3 코일(LT21) 및 제4 코일(LT22)은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 및 제2 코일(LL22)에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의 제1 단자(TL11)는 상기 제1 DSL 포트(DM1)의 제1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12)의 제1 단자(TL12)는 상기 제1 DSL 포트(DM1)의 제2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의 제1 단자(TL21)는 상기 제2 DSL 포트(DM2)의 제1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2 코일(LL22)의 제1 단자(TL22)는 상기 제2 DSL 포트(DM2)의 제2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의 제1 단자(TL11)는 제1 필터 코일(LF11)을 통해 상기 제1 DSL 포트(DM1)의 제1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12)의 제1 단자(TL12)는 제2 필터 코일(LF12)을 통해 상기 제1 DSL 포트(DM1)의 제2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필터 코일(LF11) 및 상기 제2 필터 코일(LF12)은 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의 제1 단자(TL21)는 제3 필터 코일(LF21)을 통해 상기 제2 DSL 포트(DM2)의 제1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2 코일(LL22)의 제1 단자(TL22)는 제4 필터 코일(LF22)을 통해 상기 제2 DSL 포트(DM2)의 제2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필터 코일(LF21) 및 상기 제4 필터 코일(LF22)은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는,
    자기적으로 연결된 제5 코일(LP11) 및 제6 코일(LP12)의 제5 쌍(LP11, LP12) - 상기 제5 쌍(LP11, LP12)의 상기 제5 코일(LP11)은 제1 POTS 회선(POTS1)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의 상기 제1 단자(TL11)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상기 제5 쌍(LP11, LP12)의 상기 제6 코일(LP12)은 상기 제1 POTS 회선(POTS1)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12)의 상기 제1 단자(TL12)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가짐 -; 및
    자기적으로 연결된 제5 코일(LP21) 및 제6 코일(LP22)의 제6 쌍(LP21, LP22) - 상기 제6 쌍(LP21, LP22)의 상기 제5 코일(LP21)은 제2 POTS 회선(POTS2)의 제1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의 상기 제1 단자(TL21)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갖고, 상기 제6 쌍(LP21, LP22)의 상기 제6 코일(LP22)은 상기 제2 POTS 회선(POTS2)의 제2 와이어에 접속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2 코일(LL22)의 상기 제1 단자(TL22)에 접속된 제2 단자를 가짐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DSL 포트(DM3)의 제1 와이어는 제5 코일(LM12)을 통해 상기 제3 DSL 포트의 제2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수단(CP31)은 제6 코일(LM21)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수단(CP32)에 연결되고,
    상기 제5 코일(LM12) 및 상기 제6 코일(LM21)은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CP31)은, 상기 제3 DSL 포트(DM3)의 제1 와이어와,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의 제2 단자와,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12)의 제2 단자 간의 접속점이고,
    상기 제2 연결 수단(CP32)은, 상기 제3 DSL 포트(DM3)의 제2 와이어와,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22)의 제2 단자 간의 접속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수단(CP31)은, 상기 제3 DSL 포트(DM3)의 제1 와이어와,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1 코일(LL11)의 제2 단자와, 상기 제1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12)의 제2 단자 간의 고역 통과 주파수 연결이고,
    상기 제2 연결 수단(CP32)은, 상기 제3 DSL 포트(DM3)의 제2 와이어와, 상기 제2 쌍(LL21, LL22)의 제1 코일(LL21)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쌍(LL11, LL12)의 제2 코일(LL22)의 제2 단자 간의 고역 통과 주파수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텀 주입 모듈(PBox)은 고객 댁내 장비(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1 DSL 포트(DM1), 상기 제2 DSL 포트(DM2) 및 상기 제3 DSL 포트(DM3)은 상기 고객 댁내 장비(CPE)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팬텀 주입 모듈(PBox)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P1)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P2)은 별개의 장거리 전기 통신 회선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SL 전송 회선(P1) 및 상기 제2 DSL 전송 회선(P2) 상의 DSL 전기 통신 신호들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정보 및 기존 전화 시스템(POTS)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이고,
    상기 제1 DSL 포트(DM1) 및 상기 제2 DSL 포트(DM2) 상의 DSL 전기 통신 신호들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정보 및 기존 전화 시스템(POTS)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이고,
    상기 제3 DSL 포트(DM3) 상의 DSL 전기 통신 신호들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L 팬텀 모드 신호 결합 디바이스.
KR1020137026168A 2011-04-08 2012-04-03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의 dsl 팬텀 모드 신호를 위한 결합 디바이스 KR101547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305409.2 2011-04-08
EP11305409.2A EP2509250B1 (en) 2011-04-08 2011-04-08 Combination device for DSL phantom mod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PCT/EP2012/056057 WO2012136648A1 (en) 2011-04-08 2012-04-03 Combination device for dsl phantom mod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733A KR20130126733A (ko) 2013-11-20
KR101547046B1 true KR101547046B1 (ko) 2015-08-24

Family

ID=4595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168A KR101547046B1 (ko) 2011-04-08 2012-04-03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의 dsl 팬텀 모드 신호를 위한 결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4429B2 (ko)
EP (1) EP2509250B1 (ko)
JP (1) JP5670599B2 (ko)
KR (1) KR101547046B1 (ko)
CN (1) CN103493423B (ko)
WO (1) WO2012136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8964D0 (en) * 2012-05-22 2012-07-04 Fibrepoint Ltd An electrical system
DE102013019588A1 (de) * 2013-11-21 2015-05-2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USB-Signals und USB-Übertragungssystem
GB2525458A (en) 2014-03-31 2015-10-28 British Telecomm Communications network
US9813111B2 (en) * 2015-11-29 2017-11-0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Phantom mode datastream transmission
JP6548851B2 (ja) * 2017-03-21 2019-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信号伝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64530A (fr) * 1927-11-26 1929-09-04 Siemens Et Halske Ag Montage pour la télégraphie infra-acoustique
US1762754A (en) * 1928-05-11 1930-06-10 Western Electric Co Phantom carrier circuit
JPS5380110A (en) * 1976-12-25 1978-07-15 Hitachi Ltd Data transmission system
JP2513061B2 (ja) * 1990-03-29 199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間通信方式
JPH07147588A (ja) * 1993-11-25 1995-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ハブ間の簡易管理情報伝送システム
JP2962223B2 (ja) * 1995-03-27 1999-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統合伝送装置
US5901151A (en) 1996-02-27 1999-05-04 Data General Corporation System for orthogonal signal multiplexing
US20040071101A1 (en) * 1997-09-17 2004-04-15 Xiaolin Lu Modem host interface in a digital subscriber line telecommunication system
US6507608B1 (en) * 2000-02-23 2003-01-14 2Wire, Inc. Multi-line ADSL modulation
JP2002009980A (ja) * 2000-06-27 2002-01-11 Taiko Electric Works Ltd 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伝送方法、電話システム
JP2002009867A (ja) * 2000-06-27 2002-01-11 Taiko Electric Works Ltd 信号伝送方法および通信用装置
US6961303B1 (en) * 2000-09-21 2005-11-01 Serconet Lt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ver local area network wiring
JP4492920B2 (ja) 2003-05-27 2010-06-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差動信号伝送システム
US7639596B2 (en) * 2003-12-07 2009-12-29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High speed multiple loop DSL system
US20060104436A1 (en) * 2004-11-17 2006-05-18 Alexander Tesler Method of transmitting DSL data over 2 POTS loops
US7773497B2 (en) * 2005-05-09 2010-08-10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Phantom use in DSL systems
US7991122B2 (en) * 2005-06-02 2011-08-02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DSL system training
EP2337371B8 (en) * 2006-06-06 2018-05-23 Assia Spe, Llc DSL system
AU2008269690A1 (en) * 2007-06-25 2008-12-31 Telecom New Zealand Limite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ew communication services over existing wiring
EP2091196B1 (en) * 2008-02-13 2014-01-0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SL comunication
US8279745B2 (en) * 2009-11-23 2012-10-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rthogonal vector DSL
EP2383897A1 (en) * 2010-04-28 2011-11-02 Alcatel Lucent Binder topology identification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1917492B (zh) 2010-08-06 2013-06-05 北京乾唐视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网的通信方法及系统
EP2429114B1 (en) * 2010-09-13 2013-03-27 Alcatel Lucent Coupling arrangement for phantom-mode transmission
US8537912B2 (en) * 2011-02-24 2013-09-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Extremely high speed broadband access over copper pai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24429B2 (en) 2015-09-01
CN103493423B (zh) 2016-03-09
US20140036653A1 (en) 2014-02-06
WO2012136648A1 (en) 2012-10-11
KR20130126733A (ko) 2013-11-20
JP2014512133A (ja) 2014-05-19
EP2509250B1 (en) 2013-12-11
EP2509250A1 (en) 2012-10-10
CN103493423A (zh) 2014-01-01
JP5670599B2 (ja)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219B1 (en) Access network with an integrated splitter
KR101547046B1 (ko)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의 dsl 팬텀 모드 신호를 위한 결합 디바이스
EP1142291B1 (en) Network data filtering
EP17309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xdsl and telephone service via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9025744B2 (en) System for providing telephony and data services
US6738474B1 (en) System for providing pots splitters externally with respect to digital subscriber loop access multiplexers and remote terminal and central office equipment racks
CN101546909A (zh) 一种保护电路、通信设备以及通信设备内器件的防护方法
US200700475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ecting betwe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7268993B2 (en) Integrated protector and splitter
US20020106075A1 (en) Direct electrical connectability of port of splitter unit to connector of interface circuit of switch
US8488747B1 (en) Modified protector module with an integrated splitter
EP32457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high frequency power bias tee designs
US8160236B2 (en) Enhanced telecommunication signal insertion systems and methods
US6975620B2 (en) Coupling of splitter with subset of plurality of lines on one-to-one basis
US20030086561A1 (en) XDSL splitter module for field wiring cabinet
US74506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ypassing a load coil in a digital subscriber line circuit
KR20040093848A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EP2415251B1 (en) Telecommunications filter device
KR20060023121A (ko) 통신장비에 있어서 광대역 및 협대역 서비스 처리 장치 및이의 실시방법
US20030112964A1 (en) Re-enterable housing for xDSL/POTS splitter
KR100425587B1 (ko) 전주형 오앤유 시스템에서의 스플리터 내장형 단자반
KR200322154Y1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Hawley et al. Loop plant electronics: Voice frequency electronics for loop applications
US20060013384A1 (en) Upgrading a telecommunication street cabinet
Golden et al. Overview of the POTS Environment—Signals and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