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71B1 -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71B1
KR101546871B1 KR1020150064347A KR20150064347A KR101546871B1 KR 101546871 B1 KR101546871 B1 KR 101546871B1 KR 1020150064347 A KR1020150064347 A KR 1020150064347A KR 20150064347 A KR20150064347 A KR 20150064347A KR 101546871 B1 KR101546871 B1 KR 10154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hole
bar
main body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식
송인철
Original Assignee
(주) 탑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탑텍 filed Critical (주) 탑텍
Priority to KR102015006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전용도로, 일반도로, 공원 또는 기타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야간에 조명을 밝힐 수 있고,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지면에 고정된 지주만이 지면에서 노출된 상태로 조명등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자전거를 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접혀진 상태로 지주와 일체화된 거치바를 펼쳐서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 또는 야간에는 조명등의 기능을 수행가능하고, 자전거의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전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바가 평상시에는 지주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자전거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지주에서 펼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Bycicle holding apparatus with light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전거 전용도로, 일반도로, 공원 또는 기타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야간에 조명을 밝힐 수 있고,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지면에 고정된 지주만이 지면에서 노출된 상태로 조명등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자전거를 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접혀진 상태로 지주와 일체화된 거치바를 펼쳐서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분야이다.
교통수단은 산업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 유가상승과 배기가스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 교통체증 등의 이유로 자전거 등의 교통수단을 장려하고 있다.
다만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는 도중 또는 자전거를 이용완료한 이후에는 자전거를 잠시 거치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자전거 거치대가 필요하고,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 거치대가 제시되고 있다.
다음은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2435호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간부부터 상단부까지 직경이 작은 회전가이드가 형성되고, 중간부부터 하단부까지 이동홈이 형성된 거치프레임; 거치프레임의 회전가이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이동홈에 대응되는 보관홈이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회전프레임; 어느 하나의 보관홈이 이동홈과 일치되도록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회전프레임의 각 보관홈에 각각 구비되어 각 보관홈과 일치되는 거치프레임의 이동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자전거의 앞바퀴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다수의 고정 및 이동부; 각 보관홈의 상측 회전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 및 이동부를 보관홈과 이동홈을 따라 승강기키는 승강부; 입고되는 자전거가 수납된 상기 고정 및 이동부와 자전거 소유자의 정보를 저장하여 자전거 출고 시, 소유자의 정보에 해당되는 고정 및 이동부를 이동시키도록 회전부와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전거 거치대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각각의 자전거를 손이 닿지 않도록 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파손이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원주방향을 따라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어 비교적 적은 공간에 다량으로 보관함에 따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설치규모가 일반적인 자전거 거치대보다 커서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2435호(2008.12.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354호(2010.09.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7997호(2012.10.30)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대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한 독립적인 사용목적을 위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자전거를 거치할 때 이외에는 무용의 구조물로 방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자전거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거치를 위한 거치바가 고정화된 형태로 제작되어, 자전거를 비거치할 때에도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조명등이 구비되며, 측부에는 절개되어 내입된 절개부가 형성된 지주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상기 지주의 절개부에 인입ㆍ인출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거치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바는 접혀져 절개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거치바의 외주가 지주의 외주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는 평상시 또는 야간에는 조명등의 기능을 수행가능하고, 자전거의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전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바가 평상시에는 지주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자전거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지주에서 펼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바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바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 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자전거 전용도로, 일반도로, 공원 또는 기타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야간에 조명을 밝힐 수 있고,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조명등(10)이 구비되며, 측부에는 절개되어 내입된 절개부(21)가 형성된 지주(20)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상기 지주(20)의 절개부(21)에 인입ㆍ인출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거치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바(30)는 접혀져 절개부(21)에 인입된 상태에서, 거치바(30)의 외주가 지주(20)의 외주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자건거 거치대는 조명등(10)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자전거 전용도로 또는 일반도로의 측면에 도로를 따라 일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도로의 주변을 비춰주거나 길안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공원 또는 기타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경관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지주(20)는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조명등(10)이 구비되며, 측부에는 절개되어 내입된 절개부(21)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자전거 거치대의 전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즉, 지주(20)의 하부와 지면 간의 고정은 일반적인 가로등, 경관등 또는 자전거 거치대와 지면 간의 고정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를 이용한 구조물을 지중에 매설 또는 타설한 후 구조물의 상부에 지주(20)의 하단을 고정시키거나, 지주(20)의 하부를 직접 지중에 매설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지주(2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높이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조명등(10)이 구비된다. 이때, 지주(20)의 높이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의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다.
아울러 지주(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조명등(10)은 지주(20)의 하부를 통하여 지주(20)의 내부로 유입된 전원케이블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도 1과 같이 조명등(10)의 상부 또는 지주(20)에 장착된 태양전지판(11)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조명등(10)에서 발광하는 빛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 주변을 밝혀 경관등 또는 가로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조명등(10)에서 발산되는 빛은 일반적인 백색광의 빛을 포함하는 모든 색깔을 구현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즉, 평상시 야간에는 조명등(10)이 백색광 또는 백색광에 가까운 빛을 발산하여 자전거 거치대가 위치된 도로 주변을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지주(20)에서 거치바(30)가 펼쳐진 경우에는 평상시와 다른 빛이 발광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자전거 거치대의 사용여부를 주변의 보행자 또는 자전거 탑승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 거치대에 거치된 자전거에 보행자 또는 자전거 탑승자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지주(20) 또는 조명등(10)의 일정부분에는 전원단자(40)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단자(40)는 외부 전원케이블, 지주(20) 또는 조명등(10)에 장착된 밧데리와 연결되어 전원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보행자 또는 자전거 탑승자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 주변을 지나다가 휴대폰 또는 개인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긴급하게 충전해야할 경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절개부(21)는 지주(20)의 측부 일정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구성으로서, 지주(20)의 외주보다 안쪽으로 내입되도록 구성되어 하기의 거치바(30)의 외주가 지주(20)의 외주로 돌출되지 않으며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절개부(21)는 지주(20)에 대하여 접힌 거치바(30)가 지주(20)와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접힌 상태의 거치바(30) 외주가 절개부(21)를 포함한 지주(20)의 외주와 최대한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거치바(30)가 지주(20)의 절개부(21)에 내입된 상태에서는 지주(20)의 외부로 최대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절개부(21)는 하기 거치바(30)의 형태에 따라 파여진 형태를 달리하고, 보다 상세하면 절재부에 인입되기 위하여 접혀진 상태의 거치바(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아울러 거치바(30)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상기 지주(20)의 절개부(21)에 인입ㆍ인출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절개부(21)에 인입되어 있을 때에는 지주(20)와 일체를 이루고 절개부(21)에서 인출된 때에는 자전거의 바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거치바(30)는 평상시에는 지주(20)의 절개부(21)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거치바(30)를 지주(20)의 절개부(21)에서 인출하면 지주(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자전거의 바퀴를 거치할 수 있다.
이때, 거치바(30)는 접혀져 절개부(21)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거치바(30)의 외주가 지주(20)의 외주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펼쳐져 절개부(2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자전거 바퀴를 거치할 수 있은 정도로 돌출되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도 2와 같이 거치바(30)는 지주(20)의 절개부(21)에 회전가능하도록 일단이 체결되고, 절개부(21)에서 거치바(30)가 펼쳐지며 인출될 때 소정의 회전각만큼만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거치바(30)는 절개부(21)의 하부 또는 상부에 장착되는 중심축(22)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절개부(21)에서 중심축(22)을 기준하여 회전하며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절개부(21)의 중심축(22)에서 회전되는 거치바(30)는 180°이내의 회전각을 가지며 회전가능하여, 회전완료된 상태에서의 거치바(30)는 지주(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지주(20)의 절개부(21)에 대한 거치바(30)의 회전 제한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구성으로 실현가능하나, 도 4 내지 5와 같이 절개부(21)의 하부(또는 상부)에는 중심축관통공(23)이 형성되고 중심축관통공(23)에는 중심축(22)이 내입가능하되, 중심축관통공(23)의 입구 또는 출구에는 걸림턱(24)이 구비되고, 중심축(22)에는 상기 걸림턱(24)과 대응되는 돌출된 걸림턱대응부(미도시)가 형성되거나 돌출편(25)이 끼워져 중심축(22)이 소정각 회전하였을 경우 상기 걸림턱(24)과 돌출편(25)(또는 걸림턱대응부)이 서로 맞닿아 거치바(3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심축(22)의 어느 하나의 말단에 체결되는 거치바(30)는 중심축(22)에 고정된 상태로 중심축(22)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절개부(21)는 지주(20)의 어느 한쪽 측부가 절개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해당 절개부(21)에 거치바(30)가 인입ㆍ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지주(20)의 양쪽 측부에 한 쌍으로 절개부(21)가 구성되고, 해당 절개부(21)에 한 쌍의 거치바(30) 각각이 인입ㆍ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바(30)는 절개부(21)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메인바디(31)와; 상기 한 쌍의 메인바디(31)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보조바디(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바디(31)는 절개부(21)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자전거 바퀴를 한 쌍의 메인바디(31) 사이의 공간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보조바디(35)는 메인바디(31)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거치대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메인바디(31)와 소정의 각을 이루며 길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메인바디(31)와 함께 자전거 바퀴에 대한 거치부분을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보조바디(35) 역시 한 쌍의 메인바디(31)에 각각 체결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보조바디(35) 사이의 공간으로 자전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바디(35)는 메인바디(31)에서 회전하기 이전에는 메인바디(31)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지며 접혀진 상태이고, 메인바디(31)의 타단에서 회전되면 메인바디(31)의 길이방향과 서로 다른 길이방향을 가지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메인바디(31)의 타단에 대한 보조바디(35)의 일단의 회전을 구한 구조는 일반적인 볼트 또는 회전축을 이용한 것으로 구성가능하고, 각 보조바디(35)가 각 메인바디(31)와 독립적으로 체결되거나 하나의 중심축(34)을 이용하여 중심축(34)의 양쪽 말단이 보조바디(35)와 메인바디(31)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체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관통공(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바디(35)는 일단에 상기 관통공(32)에 대응체결되어 관통공(32) 내에서 이동가능한 돌출핀(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바디(31)에 형성된 장공의 관통공(32)은 메인바디(31)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구성되어 관통공(32)에 체결되는 보조바디(35)의 돌출핀(36)이 관통공(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보조바디(35)의 일단에 구비되는 돌출핀(36)은 메인바디(31)의 관통공(32)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이고, 메인바디(31)의 관통공(32)은 상기 돌출핀(36)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시켜 보조바디(35)가 메인바디(31)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관통공(32)이 장공으로 형성된 것은 관통공(32)에 체결된 돌출핀(36)이 관통공(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보조바디(35)가 메인바디(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돌출핀(36)은 한 쌍의 보조바디(35) 각각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한 쌍의 보조바디(35) 사이에는 중심축(34)이 구성되고, 중심축(34)의 양단은 보조바디(35)의 일단을 각각 관통한 후 보조바디(35)의 외부로 돌출되어 중심축(34)의 양단 각각이 돌출핀(36)으로써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중심축(34)의 양단의 일정부분 중, 보조바디(35)의 일단과 체결되는 부분은 다각형의 외주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보조바디(35) 일단의 관통공(37)은 중심축(34)의 다각 외주와 대응하는 형태의 내주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보조바디(35)의 일단과 중심축(34)의 양단 각각이 회전되지 않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의 중심축(34)은 사용자가 한 쌍의 보조바디(35) 중 어느 하나의 보조바디(35)를 메인바디(31)에서 펼치거나 접으면 다른 하나의 보조바디(35)도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돌출핀(36)의 말단 또는 메인바디(31)에는 관통공(32)에 대하여 돌출핀(36)이 빠지지 않도록 볼트가 체결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심축(34)을 이용하여 메인바디(31)와 보조바디(35)를 상호 체결시킨 경우에는, 상기 중심축(34)이 한 쌍의 메인바디(31) 또는 보조바디(35) 사이로 인입되는 자전거 바퀴와 간섭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심축(34)과 고정체결된 보조바디(35)의 일단이 장공의 관통공(32)을 일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의 (c)와 같이 지주(20) 쪽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바디(35)의 중심축(34)에 대한 자전거 바퀴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장공의 관통공(32)과 돌출핀(36)의 형태를 조절하여 메인바디(31)에 대한 보조바디(35)의 회전각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장공의 관통공(32)은 메인바디(31)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되, 장공의 관통공(32)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공(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핀(36)은 원형공(33)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되, 돌출핀(36)의 외주 일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관통공(32)의 폭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돌출핀(36)은 도 6과 같이 원형의 외주를 하되, 서로 마주하는 외주의 일부분이 절단된 형태로 구성되어 절단된 일부분 간의 간격이 원형의 부분보다 짧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원형공(33) 내에서는 회전가능하나, 원형공(33) 내에서 일정각도 회전한 후 절단된 부분이 장공의 관통공(32)에 내입되면,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보조바디(35)가 메인바디(31)에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메인바디(31)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메인바디(31) 일단이 지주(20)의 양쪽 측부에 각각 형성된 절개부(21)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한 쌍의 메인바디(31) 타단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보조바디(35)는 한 쌍의 메인바디(31)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위치됨과 동시에 메인바디(31)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지주(20)에서 펼쳐진 메인바디(31)의 타단에 위치된 보조바디(35)를 장공의 관통공(32)을 따라 도 8과 같이 메인바디(31)의 일단에 해당하는 하부로 이동시키면, 메인바디(31)와 보조바디(35)에 의하여 일정의 펼침각이 형성된 거치바(30)를 만들 수 있고, 자전거 사용자는 자전거의 바퀴를 한 쌍의 메인바디(31)와 한 쌍의 보조바디(35)에 의하여 형성된 거치바(30)의 사이에 수용시켜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31) 또는 보조바디(35)에는 도 7의 (a)와 같이 거치바(30)가 절개부(21)에 접힌 상태로 인입되어 있을 때, 지주(20)의 외부로 돌출가능한 손잡이(41)가 구비되어 거치바(30)를 최초에 절개부(21)에서 인출할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작동방법을 설명한 실시예이다.
우선,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길가에 일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상태이고, 지주(20)의 상부에는 태양전지판(11)을 이용하여 전원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원을 밧데리에 충전시킨 후 야간에 조명등(10)의 전원으로 이용하는 조명등(10)이 구비되어 있다.
야간에 자전거 주행 중에 사용자가 휴식, 자전거 고장 또는 기타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도 7의 (a)와 같이 자전거를 파지한 상태에서 메인바디(31)의 타단에 구비된 손잡이(41)를 잡아당겨 한 쌍의 메인바디(31) 타단을 절개부(21)에서 인출한다(이때, 메인바디(31)는 지주(20)와 45°의 각을 이룸.). 이때, 메인바디(31)의 일단은 절개부(21)에서 회전되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메인바디(31)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 보조바디(35)는 자중에 의하여 일단이 회전되며 타단이 메인바디(31)에서 펼쳐진다.
또한 지주(20)와 메인바디(31)의 사이 또는 메인바디(31)를 회전시켜 펼쳐지도록 하는 중심축(22)에 장착된 센서에 의하여, 백색광으로 발광하던 조명등(10)은 붉은 계열을 색으로 변색되어 발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7의 (b)와 같이 보조바디(35)의 타단을 파지하여 메인바디(31)의 원형공(33)을 중심으로 상부로 들어올리며 보조바디(35)를 메인바디(31)에서 회전시키고(메인바디(31)와 보조바디(35)는 90°의 각을 이룸.), 도 7의 (ㅊ)와 같이 보조바디(35)의 돌출핀(36)에 형성된 절단부분의 형태로 장공의 관통공(32)의 형태를 일치시킨 후 보조바디(35)를 메인바디(31)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메인바디(31)와 보조바디(35)에 의하여 형성된 거치바(30)는 자전거 바퀴 전방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아우를 수 있도록 펼쳐진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자전거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한 쌍의 메인바디(31) 및 한 쌍의 보조바디(35)에 의하여 형성된 사이 공간에 넣어 자전거를 거치시킨다.
이후 사용자의 휴식, 자전거 고장 또는 기타 긴급상황이 종료된 경우, 사용자는 자전거 바퀴를 거치바(30)에서 빼내고, 상기 과정의 반대로 보조바디(35)와 메인바디(31)를 접어 절개부(21)에 인입시킨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조명등 11 : 태양전지판
20 : 지주 21 : 절개부
22 : 중심축 23 : 중심축관통공
24 : 걸림턱 25 : 돌출편
30 : 거치바 31 : 메인바디
32 : 장공의 관통공 33 : 원형공
34 : 중심축 35 : 보조바디
36 : 돌출핀 37 : 보조바디의 관통공
40 : 전원단자 41 : 손잡이

Claims (7)

  1.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조명등(10)이 구비되며, 측부에는 절개되어 내입된 절개부(21)가 형성된 지주(20)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상기 지주(20)의 절개부(21)에 인입ㆍ인출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거치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바(30)는 접혀져 절개부(21)에 인입된 상태에서, 거치바(30)의 외주가 지주(20)의 외주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거치바(30)는 지주(20)의 절개부(21)에 회전가능하도록 일단이 체결되고, 절개부(21)에서 거치바(30)가 펼쳐지며 인출될 때 소정의 회전각만큼만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거치바(30)는 절개부(21)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메인바디(31)와; 상기 한 쌍의 메인바디(31)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보조바디(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관통공(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바디(35)는,
    일단에 상기 관통공(32)에 대응체결되어 관통공(32) 내에서 이동가능한 돌출핀(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관통공(32)은,
    메인바디(31)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되되, 장공의 관통공(32)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공(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핀(36)은,
    원형공(33)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되, 돌출핀(36)의 외주 일부분이 절단되어 상기 관통공(32)의 폭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10)은,
    태양전지판(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자체 생산된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0) 또는 조명등(10)은,
    전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KR1020150064347A 2015-05-08 2015-05-08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KR10154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47A KR101546871B1 (ko) 2015-05-08 2015-05-08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47A KR101546871B1 (ko) 2015-05-08 2015-05-08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871B1 true KR101546871B1 (ko) 2015-08-25

Family

ID=5406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347A KR101546871B1 (ko) 2015-05-08 2015-05-08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4159A1 (it) * 2015-10-05 2017-04-05 Vadolibero Srl Struttura di supporto per biciclette e simil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274A (ja) 2006-09-21 2008-04-03 Nichipure:Kk 駐輪用スタンド
KR100970158B1 (ko) 2009-11-26 2010-07-14 (주)쏠라사이언스 충전단자함이 구비된 가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274A (ja) 2006-09-21 2008-04-03 Nichipure:Kk 駐輪用スタンド
KR100970158B1 (ko) 2009-11-26 2010-07-14 (주)쏠라사이언스 충전단자함이 구비된 가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4159A1 (it) * 2015-10-05 2017-04-05 Vadolibero Srl Struttura di supporto per biciclette e simil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9543A1 (en) Portable traffic signaling device
CN112292311B (zh) 自行车一体式多功能照明装置
KR101546871B1 (ko) 조명등 기능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JP3769076B2 (ja) 折り畳み式標識具
KR101594800B1 (ko)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KR101656441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와 그를 포함한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 세트
KR101977906B1 (ko)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KR20200104733A (ko) 시설물 안전점검 및 공사현장용 이동식 스마트 경광 트래픽 콘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KR101319694B1 (ko) 현수막 고정 장치
KR20130128826A (ko) 과속방지턱
KR200382691Y1 (ko) 자동차용 비상 경광등
CN212873746U (zh) 一种校区道路提示用可视化预警装置
CN212456594U (zh) 一种便于收纳的夜市灯
KR200450354Y1 (ko) 자전거 도로용 가로등
KR102049167B1 (ko) 차량내에 비치하는 손전등 겸용 경광봉
KR20050099436A (ko)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100755215B1 (ko) 공구함과 일체로 형성된 삼각대
KR200414196Y1 (ko) 공구함과 일체로 형성된 삼각대
KR200437578Y1 (ko) 비상삼각대
CN218782694U (zh) 一种可移动交通信号灯
CN221000745U (zh) 一种公路施工用具有防撞功能的路障
CN211203697U (zh) 警示灯
CN216053330U (zh) 一种智慧交通智能管理设备
CN214663805U (zh) 便携警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