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827B1 -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27B1
KR101546827B1 KR1020140136851A KR20140136851A KR101546827B1 KR 101546827 B1 KR101546827 B1 KR 101546827B1 KR 1020140136851 A KR1020140136851 A KR 1020140136851A KR 20140136851 A KR20140136851 A KR 20140136851A KR 101546827 B1 KR101546827 B1 KR 10154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girder
girder
flang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녹희
Original Assignee
(주)효명이씨에스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주)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명이씨에스,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주)보원 filed Critical (주)효명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4013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late girder having an improved corner fixing capacity and to a rahmen or box-shaped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wherein a compressive force and a tensile force, which are generated on both end parts of the steel plate girder placed at a corner, can be transmitted more effectively to corner concrete by constructing and fixing the steel plate girder and the corner concrete to a pier and an abutment, which are the lower structures of a bridge. The steel plate girder is a girder including an upper flange, and middle and lower flanges. The steel plate girder having an improved corner fixing capacity comprises: an end panel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steel plate girder; a middle panel separated from the end panel toward the middle of the steel plate girder and form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hinge devic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lange at the end part of the steel plate girder and having a bottom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 and fore-end plates with opening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plate girder and the bottom of the lower flange around the hinge device of a steel skeleton.

Description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girder having improved steepening performanc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eel girder or a box type structure using the steel girder. [0002]

본 발명은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합구조물에 있어서 강재거더를 양 벽체부에 강결시켜 시공함으로써 우각부에 위치한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 발생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우각부 콘크리트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girder with improved ruggednes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ymen or box structure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n the composite structure, by strengthening the steel girder to both wall portions,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transmit the compressive force and tensile force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located at the right corner portion to the right concrete por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eel girder and a raymen or box structur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거더교는 교량 상부구조(거더, 바닥판 등)의 하중을 교량하부구조(교대,교각)로 전달하기 위하여 교량받침이 설치된다.Generally, girder bridges are installed with bridge supports to transfer the loads of bridge superstructures (girders, decks, etc.) to the bridge substructure (alternating, bridge).

이러한 거더교는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교량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바닥판과 교대의 접속부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의한 주행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장치의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한 유지관리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The girder bridge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can be constructed in a simple and economical manner. However, since the girder bridge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running ability of the girder is reduced due to the expansion joint devic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alternating connection,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maintenance cost for replacement is required.

이에 이러한 받침장치 및 신축이음 장치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교량 상부구조와 교량하부구조를 일체화 시키되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가 소개되어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removing such a support device and a telescopic joint device, so that a ramen bridge using a girder has been introduced in which the bridge superstructure and the bridge substructure are integrated.

도 1a는 빔(거더)을 이용한 라멘구조물에 있어 우각부 강결 방식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FIG. 1A shows an example of a right-angled method in a ramen structure using a beam (girder).

예컨대, 상부바닥판을 현장타설 콘크리트(70)와 종방향 빔(60)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우각부(A)에 있어 종방향 빔(60)과 기둥벽체(10)가 연결되는 시점에서는 힌지봉(52)에 의하여 종방향 빔(60)이 자중 등에 의한 휨 모멘트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At the time when the longitudinal beam 60 and the column wall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right corner portion A, for example, the upper floor plate is constructed using the pierced concrete 70 and the longitudinal beam 60, So that the longitudinal beam 60 can be rotated by the bending moment due to its own weight or the like by the rod 52.

이러한 종방향 빔과 기둥벽체의 힌지 연결방법을 살펴보면 횡방향 빔의 단부면에 수평으로 돌출된 수평 H형강(51)을 설치하고, 기둥벽체(10) 상부면에 수직 H형강(52)을 설치하여, 상기 수평 H형강(51)이 수직 H형강(5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힌지봉(52)이 수직 H형강(52)과 수평 H형강(51)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 horizontal H-shaped beam 51 protruding horizontally is provided on the end face of the horizontal beam, and a vertical H-shaped beam 52 is installed on the upper face of the columnar wall 10 And the horizontal H-shaped steel 51 is positioned between the vertical H-shaped steel 52 and the hinge rod 52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vertical H-shaped steel 52 and the horizontal H-shaped steel 51 .

이에 수직 H형강(52)과 수평 H형강(51)의 제작 및 설치에 비용과 시간이 너무 크게 소요되고, 특히 힌지봉(52)에 의하여 종방향 빔이 초기 지지되므로 힌지봉(52)에 작용하는 초기 하중이 너무 커서 횡방향 빔 설치에 있어 양중장치를 지속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공종상의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t takes much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vertical H-shaped beam 52 and the horizontal H-shaped beam 51. In particular, since the longitudinal beam is initially supported by the hinge rod 52, The initial load applied to the horizontal beam is too large,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in the designing of the continuous use of the coping device in the installation of the lateral beam.

도 1b 및 도 1c에는 종래 힌지구조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이 소개되어 있다.Figs. 1B and 1C show a method of raymen bridge construction using a conventional hinge structure.

즉, 교대 사이에 교각을 설치하여 교량하부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교대와 교각 사이에 종방향으로 제 1 긴장재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력이 도입되며 제 2긴장재용 쉬스가 미리 설치된 거더(10)를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거더의 양 단부 저면에는 상기 거더 자중에 의한 고정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처짐을 허용하는 새들(20)을 설치하여 상기 새들에 의하여 거더가 교각과 교대 상부공간인 지점부에서 힌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That is, a bridge bridge is provided between the alternations, a girder 10 in which a prestress force is introduced between the alternation and the pi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heath for the second tension member is insta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saddle 20 is provided at the bottoms of both end portions of the girder to permit sagging caused by a fixed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girder, So as to be hinged.

이러한 새들(20)은 도 1d와 같이 교량받침과 유사하게 상부새들(21)과 하부새들(22)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량하부구조(30)에 거더(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되, 거더의 양 단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D, the saddle 20 is composed of the upper saddle 21 and the lower saddle 22, and the girder 10 is stably supported So that both ends of the girder can be rotated.

이에 도 1c와 같이 상기 거더 상부에 바닥판(40)을 합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바닥판과 일체화된 새들이 설치된 거더를 교각과 교대 상부공간인 우각부(A)에서 강결 연결되도록 하여 거더와 바닥판의 자중에 의한 하중을 라멘화된 거더가 부담하도록 하고, As shown in FIG. 1C, the bottom plate 4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In addition, the girder having the saddle integrated with the bottom plate is connected to the pier and the upper portion A, The load caused by the self weight of the plate is borne by the rimmed girder,

상기 제 2긴장재용 쉬스에 제 2긴장재를 설치한 후 상기 제 2긴장재의 일단부가 긴장후 종방향으로 인접한 단부가로보(50)에서 정착되도록 하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력에 의하여 상기 교량하부구조와 강결된 거더와 바닥판이 추가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하중을 부담하도록 한 것이다.After the second tens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sheath for the second tension member, one end of the second tension member is fixed in the longitudinally adjacent end portion of the robo 50 after the tension, and the pre- So that th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bear the additional fixed load and live load.

하지만 도 1b에 의한 라멘교의 경우 PSC 거더를 이용한 경우이므로 강재거더의 경우에는 이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고, 특히 새들의 경우 실제 제작을 위한 노력이 많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우각부에서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에 의한 압축력과 인장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강재거더 자체에 대한 기술은 달리 소개된 바 없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amen bridge according to FIG. 1B, since the PSC girder is used, the steel girder can not be applied as it i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irds, a great effort is required for actual production, The technique of the steel girder itself which can more effectively cope with the compressive force and tensile force due to the moment has not been introduced.

이에 본 발명은 복합라멘교에 있어 강재거더 거치 시에는 단순보구조로 거동하면서 1차 고정하중을 지지하고, 우각부 콘크리트를 타설한 이후의 하중에서는 복합라멘구조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되,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 힌지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강재거더 거치 시 단순보구조로 간단하게 거동할 수 있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composite girder bridging, a steel girder is supported by a simple beam structure while supporting a primary fixing load, and after a right-angled concrete is lai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girder with improved rigidity that can be easily moved by a simple beam structure when a hinge device is simply installed at both ends of a steel girde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men or box type structure using the same. We will do it.

또한 본 발명은 복합라멘교에 있어 우각부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등에 의하여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 작용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우각부 콘크리트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단부구조를 가진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복합라멘교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end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transmitting compressive and tensile forces acting on both ends of a steel girder to a right-angled concrete due to flexural moments occurring in the right angles of the composite rammen bridge An improved steel girder and a composite ram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teel girder are proposed as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은 강재거더와 우각부 콘크리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강재거더로부터 우각부 콘크리트로의 하중전달이 명확하여 구조적 성능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teel girder having improved strength of the steel plate girder and a right-angled portion of the steel plate so that the load transfer from the steel girder to the right-angled portion can be clearly predicted, And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x-type structure or a rayme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첫째, 강재거더의 양 단부 저면에 힌지장치를 장착하여 강재거더 거치 시 단순보 구조로 거동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철골형 힌지장치는 종전 새들과 같은 장치로 복잡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I형 또는 H형 철골을 절단하여 저면이 곡선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I형 또는 H형 철골의 상면을 강재거더의 단부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철골형 힌지장치에 의하여 강재거더는 양 교대부 상면에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강재거더는 단순보 구조로 설치된다.First, a hinge device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so that it behaves as a simple beam structure when the steel girder is mounted. At this time, the steel-frame type hinge device is not formed complicatedly by the same device as the previous saddle, but the I-shaped or H-shaped steel frame is cut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 And fixed at the bottom of the end. Thus, the steel girder is installed in a hinge structure on the top surface of both shift parts by the steel hinge device, and the steel girder is installed in a simple beam structure.

둘째, 상기 철골형 힌지장치에 의하여 강재거더와 양 교대부 상면 사이는 일정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이격공간 보강을 위하여 철골형 힌지장치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이 배근되도록 하였다.Secondly, since the steel hinge device has a constant spacing space between the steel girder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two alternating portions, the transverse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passing through the steel hinge device in the lateral direction are reinforced to reinforce the spaced spaces.

셋째, 강재거더는 빌트-업 재거더로서 I형 단면으로 제작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라멘교에 있어 강재거더 자중에 의한 휨 모멘트와 우각부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가 크게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Third, the steel girder is generally constructed as an I-shaped section as a built-up jigger. In bending bridges, the bending moments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steel girder and the bending moments generated in the right angles occur largely, A compressive force and a tensile force are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tube.

이에 우각부 콘크리트와 합성되는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는 단부패널과 중간패널을 수직판 형태로 설치하여 우각부에 위치한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 발생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우각부 콘크리트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is way, end panels and middle panel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to be combined with the right angled concrete so that the compressive force and tensile force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located at the right angles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right angled concrete Respectively.

넷째, 강재거더와 우각부 콘크리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강재거더로부터 우각부 콘크리트로의 하중전달이 명확하여 구조적 성능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도록 상기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부패널과 중간패널에 유공수평패널을 설치하고, Fourth,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ntegrate the steel girder and the right-angled concrete, the load transfer from the steel girder to the right angled concrete is clear, so that the end panel and the middle panel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Hole horizontal panel is installed,

강재거더의 양 단부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 상면 및 저면에는 횡방향 우각부철근이 관통하도록 하고,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re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flanges,

강재거더의 양 단부 복부에는 관통홀을 추가로 형성시켜 횡방향 우각부철근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서 Through holes are additionally formed in both end portions of the steel girder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penetrated

상기 횡방향 우각부철근들과 유공수평패널에 의하여 우각부 콘크리트와 효과적으로 합성되도록 하였다.The transverse right angles of reinforcement and the horizontal horizontal panel were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right angular concrete.

본 발명에 의하여 강재거더는 양 벽체부에 단순보 구조로 거치되어 처짐을 허용함으로서 강재거더의 거치에 따른 제 1 고정하중을 양 벽체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강재거더와 합성된 바닥판의 자중과 활하중은 강재거더의 양 단부를 효과적으로 우각부 콘크리트와 합성된 구조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효율적이면서도 슬림화된 거더 단면으로 장경화된 복합라멘교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girder is mounted on both wall portions with a simple beam structure to allow sagging, so that the first fixing load due to the mounting of the steel girder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two wall portions, And live loads can effectively resis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with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right-angled concret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composite rammen bridge construction which is structurally efficient and slenderened with the girder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강재거더의 단부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들에 의한 인장력과 압축력을 우각부 콘크리트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단부패널과 중간패널을 사용하되 상기 단부패널과 중간패널은 강재거더의 단부를 보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n end panel and an intermediate panel for effectively transmitting tensile force and compressive force due to bending moments generated at the ends of the steel girder to the right concrete, wherein the end panel and the intermediate panel reinforce the ends of the steel girder So that they can play a role.

또한 본 발명은 강재거더의 단부에 있어 상부, 중간 및 하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들과 유공수평패널에 의하여 우각부 콘크리트와 효과적으로 합성되도록 함으로서 강재거더로부터 우각부 콘크리트로의 하중전달이 명확하여 구조적 성능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right-angled concrete by means of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s and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teel girder at the upper, middle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he load transfer is clear and the structural performance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도 1a는 종래 라멘교에 있어 우각부 힌지구조 방법에 대한 발췌사시도,
도 1b, 도 1c 및 도 1d는 종래 라멘교에 사용되는 PSC 거더 및 PSC 거더교 사시도 및 PSC 거더와 새들장치에 의한 작용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와 횡방향 우각부철근의 결합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와 우각부 콘크리트의 결합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와 우각부 콘크리트의 작용도,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leg hinge structure in a conventional raymond bridge;
1B, 1C and 1D are perspective views of a PSC girder and a PSC girder bridge used in conventional rayman bridges, an operation of the PSC girder and a saddle device,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girder with improved strength at right ang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girder and a transverse right-angled portion of the steel girder improved in the strength of right-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girder and a right-angle-end concrete improved in the strength of the right-
FIG. 2 (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right-
FIGS. 3A, 3B, 3C, and 3D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ymen or box structure using a steel girder with improved ruggedness in the right co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본 발명의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100) >&Lt; Steel gir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improved strength of right corner portions >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와 횡방향 우각부철근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girder with improved ruggedness at right ang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steel girder and a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 with improved ruggedness at right ang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와 같이 상기 강재거더(100)는 일정한 길이(L)를 가진 I형 단면의 강재 플레이트 거더로서 빌트-업 거더 또는 I형강 빔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에 상부플랜지(110), 복부(120) 및 하부플랜지(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2A, the steel girder 100 may use a built-up girder or an I-shaped steel beam as an I-shaped section steel plate gird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L. The upper flange 110, the abdomen 120, And a lower flange 130, as shown in FIG.

강재거더(100)는 PSC 거더와 대비하여 자중이 크지 않으면서도 라멘교를 장경간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The steel girder 100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eight of the steel girder can be made narrower than that of the PSC girder while the weight of the steel girder is not large.

이에 상기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면에는 1개의 수직판 형태의 단부패널(140)이 강재거더(100)의 횡방향 폭과 단면높이에 맞추어 고정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It can be seen that one end panel 140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is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in accordance with the lateral width and the section height of the steel girder 100,

상기 단부패널(140)로부터 강재거더의 중간 부위쪽으로 이격된 중간패널(150)이 수직판 형태로 용접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he intermediate panel 150 spaced from the end panel 140 towar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teel girder is welded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이때 상기 중간패널(150)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의 복부(120)에 측면을 2개의 수직판으로 용접시키는 방식으로 강재거더의 횡방향폭에 맞추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intermediate panel 150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ateral width of the steel girder in such a manner that the side surface is welded to the abdomen portion 120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by two vertical plates.

상기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은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인양 후 거치 시 좌굴 등에 유리하도록 하면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강재거더의 양 단부에 발생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우각부 콘크리트(C)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 end panel 140 and the intermediate panel 15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so as to facilitate buckling or the like at the time of lifting, and a tensile force and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C).

나아가 도 2a와 같이 상기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 측면에는 수평판 형태로서 유공(161)이 형성된 유공수평패널(160)이 상하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2A, a large number of perforated horizontal panels 160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end panel 140 and the middle panel 150, with the perforated horizontal panel 160 having the perforations 161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이에 상기 유공(161)에 우각부 콘크리트(C)가 충전되면서 우각부 콘크리트(C)와 강재거거(100)의 양 단부의 일체화 거동을 위한 합성성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ores 161 are filled with the right concrete to improve the composite performance for the unified structure of the right and left concrete C and both ends of the steel mound 100.

결국,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에는 단부패널(140), 중간패널(150) 및 유공(161)이 형성된 유공수평패널(160)에 의한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단부패널(140), 중간패널(150)에 의하여 우각부 콘크리트에 강재거더에 발생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유공(161)이 형성된 유공수평패널(160)에 의하여 강재거더와 우각부 콘크리트(C)와의 합성성능 증진이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by the hollow horizontal panel 160 having the end panel 140, the intermediate panel 150 and the holes 161, A composite of the steel girder and the right-side concrete (C) is formed by the hollow horizontal panel 160 having the holes 161, while the tensile force and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steel girder a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right- It can be seen that performance enhancement is possible.

나아가 도 2a와 같이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 하부플랜지(130) 저면에는 철골형힌지장치(170)가 미리 고정되어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2A, it can be seen that the steel hinge device 17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lower flanges 130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in advance.

상기 철골형 힌지장치(170)는 간단하게 I형 또는 H형 철골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하되 저면이 곡선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중간보강재를 가지는 상기 I형 또는 H형 철골의 상면을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 하부플랜지(130)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The steel hinge device 170 is formed by simply cutting an I-shaped or H-shaped steel frame in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 or H- 100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lower end flanges 130 at both ends.

이에 상기 철골형 힌지장치(170)에 의하여 강재거더(100)는 양 벽체부(200) 상면에 단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강재거더(1000가 양 벽체부(200)에 단순보 구조로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The steel girder 100 is simp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unit 200 by the steel hinge device 170 so that the steel girder 1000 is installed in the simple wall structure 200 .

즉, 강재거더(100)의 거치에 따른 자중에 의하여 강재거더는 하방 처짐이 허용되어 강재거더 자중에 의한 휨 모멘트를 거치 시 벽체부에 전달하지 않으므로 보다 경제적인 슬림화된 벽체부(200)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steel girder is allowed to be deflected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due to the mounting of the steel girder 100, the bending moment due to the weight of the steel girder is not transmitted to the wall portion when it is stood, .

이에 상기 철골형 힌지장치(170)에 의하여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는 벽체부(200)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예컨대 10cm 전후로 이격된다고 하였을 때 이격공간은 우각부 콘크리트(C)로 마감된다.When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are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part 200 by the steel hinge device 170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bout 10 cm, for example, .

하지만 이격공간이 크지 않아 강재거더(100) 하부와 벽체부(200) 상면 사이의 우각부 콘크리트(C)는 철골형 힌지장치(170)가 차지하는 공간을 고려하면 마감된 우각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pacing space is not large, the right-side concrete (C)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girder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portion (200) It may not be easy.

이에 본 발명은 도 2b와 같이, 철골형 힌지장치(170)의 복부(172)를 관통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10a)을 배근함으로서 상기 합성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다. As shown in FIG. 2B, the reinforcing bars 310a of the transversely right and left legs 310a penetrating the abdomen portion 172 of the steel hinge device 170 are arranged so that the composite performance is not degraded.

이는 본 발명이 힌지장치를 철골형 힌지장치(170)로 선택하였기 때문에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효과라 할 수 있다.This is an important effect that can be expect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hinge device as the steel hinge device 170.

나아가 상기 강재거더(100)의 상부플랜지(110), 하부플랜지(130)의 상면과 저면 각각에는 유공전단판(180)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유공전단판(180)에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b)이 관통되도록 하여 배근함으로서 역시 우각부 콘크리트(C)와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의 합성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a large number of the air hole and air outlet plate 18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flange 130 of the steel girder 100,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e performance of both ends of the right concrete portion C and the steel girder 100 is improved by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s 300b.

특히 강재거더(100)의 하부플랜지(130) 저면에 설치되는 유공전단판(180)은 앞서 살펴본 철골형 힌지장치(170)에 의한 이격공간에 형성되어 철골형 힌지장치(17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a)과 더불어 추가적인 횡방향 우각부철근(300b)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Particularly, the porcelain edging plate 18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30 of the steel girder 100 is formed in the space separated by the steel hinge device 170 as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through the steel hinge device 170 It is possible to make it possible to install an additional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 300b together with the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s 300a.

또한 상기 강재거더(100) 양 단부 복부(120)에는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홀(121)을 관통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c)이 역시 배근되어 역시 우각부 콘크리트(C)와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의 합성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 through hole 121 is formed in both end portions of the girder 100 so that the transverse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300c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121 are also routed to form the right and left concrete C And the composite performance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are improved.

이때 상기 횡방향 우각부철근(300:300a,300b,300c)들은 강재거더(100)와 우각부 콘크리트(C)의 합성성능 제고에 따른 일체화 거동을 담보하게 되므로 강재거더로부터 우각부 콘크리트로의 하중전달이 명확하여 구조적 성능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transverse right angles of rebar 300 (300a, 300b, 300c) assures the unified behavior according to the enhancement of the composite performance of the steel girder 100 and right angled concrete C, the load from the steel girder to the right angled concrete The transmission is clear and the structural performance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 본 발명의 강재거더(100)와 횡방향 우각부철근(300) >&Lt; Steel gir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inforcing bars (300)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와 우각부 콘크리트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eel girder and a right-angle portion of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앞서 살펴본 강재거더(100)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복합라멘교가 시공되어야 할 위치에 미리 시공된 양 벽체부(200) 내측 상면에 거치된 후,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의 배근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the steel girder 100 as shown above is moun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wall unit 200, which is constructed in the factory and is to be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mposite ramen bridge is to be constructed, and then the reinforcing bars 300 of the lateral right- .

이때 상기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은 At this time, the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 300

먼저 강재거더 양 단부 하부플랜지 저면에 설치된 철골형 힌지장치(170)의 복부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a),First, the reinforcing bars 300a, 300a, and 300b are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abdomen of the steel hinge device 17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flange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다음으로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상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된 유공전단판(190)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b),Next, the upper right flange of the steel girder, the lower right flange 300b and the lower right flange 300b, which are arranged so as to penetrate the oil hole end plate 190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flange,

다음으로 강재거더의 복부(120)에 형성된 관통홀(121)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c)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nd a transverse right angle reinforcing steel 300c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abdomen portion 120 of the steel girder.

이러한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은 인접한 다른 강재거더(100)의 횡방향 우각부철근(300)과 서로 겹이음 방식 등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우각부 횡방향으로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은 연속으로 배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s 300 ar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s 300 of adjacent steel girders 100 in a folded manner or the like so that the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s 3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continuously.

< 본 발명의 강재거더(100)의 작용 >&Lt; Operation of Steel Gir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와 우각부 콘크리트의 작용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d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right-angle portion concrete with improved rugge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2d와 같이 강재거더(100)에 배근된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이 매립되도록 우각부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서로 합성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d), the right-angled concrete C is installed so that the transversely right-angled reinforcing bars 300 embedded in the steel girder 100 are embedded,

즉, 우각부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양생되면 작용하중에 의하여 즉 우각부 콘크리트와 함께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에 의한 바닥판의 자중, 활하중등에 의하여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에는 압축력(P1)과 인장력(P2)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right corner concrete (C) is cured and cured, the compression force (P1)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by the weight of the bottom plate due to the bottom plate concrete, And a tensile force P2 are generated.

이때 강재거더(100)의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 사이 및 우각부 단부면과 단부패널(140) 사이의 양생된 우각부 콘크리트(C)에 매립되어 있어 상기 압축력(P1)에 효과적으로 저항(지압응력 P3)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red right corner concrete C between the end panel 140 and the middle panel 150 of the steel girder 100 and between the end face of the right corner and the end panel 140 is filled with the compressive force P1,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the resistance (pressure stress P3).

또한 이때 강재거더(100)의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 사이 및 우각부 단부면과 단부패널(140) 사이의 양생된 우각부 콘크리트(C)에 매립되어 있어 상기 인장력(P2)에 효과적으로 저항(지압응력 P3)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The tensile force P2 is embedded in the cured right corner concrete C between the end panel 140 and the middle panel 150 of the steel girder 100 and between the right corner end face and the end panel 140.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pply a resistance (a finger pressure stress P3)

즉, 본 발명은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을 채택함에 따라 종방향 하중 전달 메커니즘이 명확해짐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longitudinal load transfer mechanism becomes clearer as the end panel 140 and the intermediate panel 150 are adopted.

< 본 발명의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Lt; Method of constructing a ramen or box type structure using a steel girder with improved ruggedness in the right co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3A, 3B and 3C show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ymen or box structure using a steel girder with improved ruggedness in the right co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a와 같이 복합라멘교를 시공하기 위한 교량하부구조로서 양 벽체부(200)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벽체부(200)는 복합라멘교에 있어 교대, 교각이 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 3A, both wall portions 200 are constructed as a bridge substructure for constructing a composite ramen bridge. This wall part 200 may be an alternating, piercing bridge in the composite ramen bridge.

이러한 양 벽체부(200)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연장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게 된다.The two wall portions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constructed as a laterally extend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다음으로는 상기 양 벽체부(200) 상면 내측 사이에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강재거더(100)를 인양하여 거치하게 된다.Next, the steel gir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scribed above, is lift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h wall portions 200, and the steel girder 100 is lifted.

이러한 강재거더(100)는 양 벽체부(200)의 횡방향 폭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인접 거치 되도록 하게 된다.At least two of the steel girders 100 are late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ateral width of the two wall portions 200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이러한 강재거더(100)는 양 단부 복부에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하부플랜지(130)의 저면에는 철골형 힌지장치(170)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부플랜지(110) 상면과 철골형 힌지장치(170) 주위 하부플랜지 저면에는 유공전단판(180)이 다수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steel girder 10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21 at both end portions of the girder 100. The end panel 140 and the intermediate panel 150 are formed in advan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30 is provided with a steel- It is understood that a plurality of the air hole end plates 18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round the steel hinge device 170.

다음으로 도 3b와 같이 양 벽체부(200)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거치된 강재거더(100)를 가로보(4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데 상기 가로보(400)은 강재빔을 이용하면 된다.Next, as shown in FIG. 3B, the stiffened steel girder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eam 400 as shown in FIG. 3B. The beam 400 may be a steel beam.

이에 상기 가로보(400)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구속된 강재거더(100)에 앞서 살펴본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을 배근하게 된다.The steel girder 100 which is restra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the cross beam 400 is fitted with the reinforcing bars 3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러한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은 강재거더 양 단부의 저면에 설치된 철골형 힌지장치(170)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a),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상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된 유공전단판(180)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b), 강재거더의 복부(120)에 형성된 관통홀(121)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c)을 포함하고 있으며, The transversely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300 are provided with transverse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300a extending through the steel hinge device 170 installed at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 transversely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300b and a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300c arrang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abdomen portion 120 of the steel girder, In addition,

인접한 다른 강재거더(100)의 횡방향 우각부철근(300)과 서로 겹이음 방식등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우각부 횡방향으로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은 연속으로 배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versely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ap joint manner or the like so that the transverse right and left reinforcing bars 300 are continuously rou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ight corner portion.

이에 도 3c와 같이 우각부 콘크리트(C)를 미도시된 거푸집등을 이용하여 바닥판 콘크리트와 함께 타설하여 최종 우각부(A)와 바닥판(500)을 시공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C, the right corner portion A and the bottom plate 500 are installed with the bottom plate concrete by using the unshown concrete or the like.

즉 강재거더(100)와 우각부 콘크리트(C) 및 바닥판 콘크리트가 서로 합성된 복합라멘교를 시공하게 된다.That is, the composite girder bridge in which the steel girder 100, the right-angled portion concrete C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are synthesized is constructed.

이때, 도 3d와 같이 양 벽체부(200)를 기준으로 강재거더(100)의 양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이격된 위치까지만 우각부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강재거더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위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D, the right concrete portion C is laid only from the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to the center of the steel girder 100, and the portions except for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re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exposed.

이후에 바닥판 상부에 난간, 포장층을 시공하게 되면 최종 본 발명에 의한 라멘교 시공이 완성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으며, 포장층에 시공에 의한 차량통행이 가능하게 된다.It can be seen that the railing bridg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if the railing and the wrapping layer are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강재거더
110: 상부플랜지 120: 복부
130: 하부플랜지 140: 단부패널
150: 중간패널 160: 유공수평패널
170: 유공전단판 180: 유공전단판
200: 양 벽체부
300,300a,300b,300c: 횡방향 우각부철근
400: 가로보
500: 바닥판
100: Steel girder
110: upper flange 120: abdomen
130: Lower flange 140: End panel
150: intermediate panel 160: hollow horizontal panel
170: Porous porcelain veneer 180: Porous porcelain veneer
200:
300, 300a, 300b, 300c:
400: Rear beam
500: bottom plate

Claims (6)

상부플랜지(110), 복부(120) 및 하부플랜지(130)를 포함하는 강재거더(100)로서,
상기 강재거더 단부면에 형성된 단부패널(140); 상기 단부패널(140)로부터 강재거더 중간쪽으로 이격되어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중간패널(150);
상기 강재거더의 단부 하부플랜지 저면에 설치된 저면이 곡선부로 형성된 철골형 힌지장치(170); 및
상기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상면과 철골형 힌지장치(170)의 주위 하부플랜지 저면에 형성된 유공전단판(180);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의 측면에는 수평판 형태로서 유공(161)이 형성된 유공수평패널(160)이 상하로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A steel girder (100) comprising an upper flange (110), a web (120) and a lower flange (130)
An end panel 140 formed on the end face of the steel girder; An intermediate panel 150 spaced from the end panel 140 intermediate the steel girder and form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steel hinge device 170 having a curved bottom surface provided on the bottom flange bottom of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girder; And
(18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and the lower peripheral flange bottom of the steel hinge device (170)
Wherein a plurality of hollow horizontal panels (160) having perforations (161) 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are vertically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end panel (140) and the middle panel (1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100) 양 단부의 저면에 설치된 철골형 힌지장치(170)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a);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상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된 유공전단판(180)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b); 및
강재거더의 복부(120)에 형성된 관통홀(121)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c)을 포함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이
상기 강재거더(100) 단부에 배근되도록 하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ansverse right angled reinforcing bar 300a extending through the steel hinge device 170 installed at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100;
An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a transverse right angled steel bar 300b which is arrang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air hole end plates 180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flange, respectively; And
The transverse right angular portion reinforcing bars 300 including the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s 300c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121 formed in the abdomen portion 120 of the steel girder
Wherein the steel girder (100) has an end portion that is reinforced with steel reinforced steel.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더의 양 단부는 우각부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라멘교의 우각부에서 강재거더(100)와 우각부 콘크리트(C)가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steel girder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eel girder (100) and the right angled portion concrete (C) at the right corner of the ramming bridge by installing the right corner concrete (C).
(a) 상부플랜지(110), 복부(120) 및 하부플랜지(130)를 포함하는 강재거더로서, 강재거더 단부면에 형성된 단부패널(140); 상기 단부패널(140)로부터 강재거더 중간쪽으로 이격되어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중간패널(150); 상기 강재거더의 단부 하부플랜지 저면에 저면이 곡선부로 형성된 철골형 힌지장치(170); 및 상기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상면과 철골형 힌지장치(170)의 주위 하부플랜지 저면에 형성된 유공전단판(180);을 포함하는 강재거더(100)의 상기 철골형 힌지장치(170)의 저면이 양 벽체부(200) 상면에 지지되도록 거치하는 단계;
(b) 상기 강재거더 양 단부의 저면에 설치된 철골형 힌지장치(170)를 관통하여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a); 강재거더의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상면과 저면에 각각 설치된 유공전단판(180)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b); 및 강재거더의 복부(120)에 형성된 관통홀(121)을 관통하도록 배근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c)을 포함하는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이 상기 강재거더(100) 단부에 배근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강재거더의 양 단부 및 횡방향 우각부철근(300)이 매립되도록 우각부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우각부에서 강재거더(100)와 우각부 콘크리트(C)가 서로 일체로 합성되도록 하며,
상기 강재거더의 단부패널(140)과 중간패널(15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수평판 형태로서 유공(161)이 형성된 유공수평패널(160)이 상하로 다수 미리 형성되도록 하는 우각부 강결성능이 개선된 강재거더를 이용한 라멘 또는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a) A steel girder comprising an upper flange (110), an abdomen (120) and a lower flange (130), comprising: an end panel (140) formed on a steel girder end face; An intermediate panel 150 spaced from the end panel 140 intermediate the steel girder and form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steel hinge device 170 having a curved bottom at the lower flange bottom of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girder; And a porcelain end plate (18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and the lower circumferential flange bottom of the steel hinge device (170),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el hinge device (170) (130) to be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wall part (200);
(b) a transverse right angled portion reinforcing steel (300a) extending through a steel hinge device (17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n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a transverse right angled steel bar 300b which is arrang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air hole end plates 180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flange, respectively; And a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 300c including a transverse right angular reinforcing bar 300c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abdomen portion 120 of the steel girder are disposed at the end of the steel girder 100 ; And
(c) placing the right-angle concrete (C)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steel girder and the transverse right-angled reinforcing bars (300) are embedded,
The steel girder 100 and the right-angle concrete C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at the right corn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nd panel 140 and the intermediate panel 150 of the steel gird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plurality of holes 160 formed in the shape of a horizontal plat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men or box structure using a steel girder.
삭제delete
KR1020140136851A 2014-10-10 2014-10-10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468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51A KR101546827B1 (en) 2014-10-10 2014-10-10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51A KR101546827B1 (en) 2014-10-10 2014-10-10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827B1 true KR101546827B1 (en) 2015-08-24

Family

ID=5406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851A KR101546827B1 (en) 2014-10-10 2014-10-10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2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125B1 (en) * 2016-07-20 2017-03-06 성연건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estressed steel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Rahmen Bridge
KR101993298B1 (en) * 2018-08-14 2019-06-26 주식회사 플랜이엔씨 Composite rahmen bridge allowing longitudinal displa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998822B1 (en) * 2018-12-14 2019-07-10 조규대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KR102398121B1 (en) * 2021-05-25 2022-05-13 이보베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irder and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09B1 (en) * 2008-10-17 2009-02-17 (주)승이엔지 Structure for installing shear connector of steel concrete rahmen type complex integral bridge
KR101259138B1 (en) *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Rahmen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walls
KR101259137B1 (en) *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Rahmen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concrete beams and walls
JP2014091961A (en) * 2012-11-02 2014-05-19 Yanagisawa Concrete Kogyo Kk Slab b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09B1 (en) * 2008-10-17 2009-02-17 (주)승이엔지 Structure for installing shear connector of steel concrete rahmen type complex integral bridge
JP2014091961A (en) * 2012-11-02 2014-05-19 Yanagisawa Concrete Kogyo Kk Slab bridge
KR101259138B1 (en) *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Rahmen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walls
KR101259137B1 (en) *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Rahmen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concrete beams and wal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125B1 (en) * 2016-07-20 2017-03-06 성연건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estressed steel composit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Rahmen Bridge
KR101993298B1 (en) * 2018-08-14 2019-06-26 주식회사 플랜이엔씨 Composite rahmen bridge allowing longitudinal displa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998822B1 (en) * 2018-12-14 2019-07-10 조규대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KR102398121B1 (en) * 2021-05-25 2022-05-13 이보베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irder and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220B1 (en) Steel pipe girder used bridge
KR101391637B1 (en) Constrution methoed for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using steel truss member
JP4985540B2 (en) Vertical beam system for mobile work vehicles for cantilever installation
JP5319216B2 (en) Bridge girder erection device and bridge girder erection method
JP5406563B2 (en)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KR101546827B1 (en)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51451B1 (en)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03300B1 (en) Steel box girder with reinforced continuous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CN104264895A (en) Prestressed concrete F slab and frame structure system
KR101658648B1 (en) Beam-column joint and simultaneous construction method of upper and lower part of building using thereof
KR101538516B1 (en) A box girder using steel and foam concrete inser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on bridge using the same
JP2019526004A (en) Precast concrete formwork, floor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011252B1 (en) Rigid-frame bridge frame for reinforcing negative moment part and rigid-frame bridge having it
JP2011157720A (en) Method for constructing railway reinforced concrete rigid-frame structure viaduct
US10036130B2 (en) Slab bridge structure
CN111719409A (en) Steel cap beam and concrete pier connecting structure
KR101547540B1 (en) Hybrid beam having different type flange
KR20160113917A (en) Continuous bridge for bicycle
CN104018521A (en) Metro double-column elevated station steel reinforced concrete transformation structure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056082A (en) Structure Having Hollowness Slav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03924115U (en) A kind of subway twin columns overhead station steel reinforced concrete transformational structure reinforcing bar
KR101512998B1 (en) Rahmen Bridg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47723B1 (en) Assembly temporary bridge using all-in-one floor plate and girder
KR102296982B1 (en)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JP5872332B2 (en)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