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337B1 -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337B1
KR101546337B1 KR1020120007522A KR20120007522A KR101546337B1 KR 101546337 B1 KR101546337 B1 KR 101546337B1 KR 1020120007522 A KR1020120007522 A KR 1020120007522A KR 20120007522 A KR20120007522 A KR 20120007522A KR 101546337 B1 KR101546337 B1 KR 10154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schedule
schedule information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989A (ko
Inventor
강봉수
주하영
Original Assignee
(주)유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유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2000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3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일정정보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메시지 전송단계; 상기 전송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관리결과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리결과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일정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관리수행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관리결과메시지의 내용을 관리이력정보로 저장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고, 상기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정보(예를 들어, 식단표, 운동일정, 의학적 처방 등)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맞춤형 정보에 의한 관리일정에 따라 대상자에게 해당 정보를 알려주며, 해당 관리일정의 수행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리일정을 조정함으로써, 해당 대상자에 대한 효율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건강은 주로 개인이 직접 병원이나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관리하였으나, 최근에는 인터넷과 이동통신이 발달하고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요양시설이나 노인복지시설 및 산후조리원과 같이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전문의가 상주하지 못하는 장소에서도 전문의에 의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원격진료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원격진료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대상자(환자 또는 건강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원격지의 진료시스템으로 전송하면, 전문의가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여 간단한 소견(진료결과)을 알려주도록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건강진료를 원하는 대상자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전문의로부터 자신의 건강생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상자의 병원 방문없이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건강관제시스템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969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진료시스템은 단순히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확인하여 진료결과를 알려주고, 해당 진료결과에 기초하여 처방을 알려주는 것으로, 대상자가 담당의사의 지시(처방)를 반드시 지킨다는 전제하에서만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상자가 개인적인 사정이나 실수로 인하여 담당의사의 지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회의 등으로 인해 정해진 시간에 처방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 처방에 의한 약리효과가 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의 원격진료시스템은 대상자의 실제 생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변동사항에 대해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상자의 실제 생활에서 발생되는 변동사항을 신속하게 반영하여 대상자에 대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보장할 수 있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상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관리일정정보에 의해 대상자에게 정해진 시간마다 정해진 관리일정을 알려주고, 이에 대한 대상자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일정정보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메시지 전송단계; 상기 전송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관리결과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리결과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일정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관리수행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관리결과메시지의 내용을 관리이력정보로 저장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고, 상기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일정정보 생성단계는, 대상자의 신상정보, 병력정보, 진단정보, 처방정보 및 관리대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자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수행 확인단계는, 상기 전송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관리결과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 및 관리자 제어 하에 설정된 대기시간동안 해당 관리결과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관리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이 확인되면,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사례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례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이 확인되면,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사례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의견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전문가 제어 하에 의견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의견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이 확인되면,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사례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문가의 의견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전문가 제어 하에 의견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유사사례를 검색하고 검색된 유사사례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 대상자 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수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상기 검색된 유사사례 중 상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사례를 선택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건강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탑재된 알림기능을 호출하여 상기 분석된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설정하는 알림시간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알림시간에 해당 알림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 제어 하에 관리결과를 입력받아 확인하는 관리수행 확인단계; 상기 확인결과,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관리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이력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하는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재설정하는 알림시간 재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시간 설정단계는,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 및 생체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대상자의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생성을 요청하는 과정;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건강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시간 설정단계는, 상기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사용자일정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와 확인된 사용자일정정보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결과, 중복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시간 설정단계는, 상기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사용자일정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와 확인된 사용자일정정보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결과, 중복일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일정정보에 대한 변경허용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결과, 해당 변경허용시간의 범위 이내에서 해당 사용자일정이 시작되지 않거나 종료되면, 상기 알림시간을 해당 사용자일정의 시작전 또는 종료후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시간 설정단계는, 상기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사용자일정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와 확인된 사용자일정정보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결과, 중복일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일정정보에 대한 변경허용시간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결과, 해당 사용자일정이 해당 변경허용시간의 범위를 포함하여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상자의 맥박, 혈압, 체온 및 이상징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데이터 수집모듈; 상기 생체데이터 수집모듈에서 감지된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 제어 하에 입력된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생성 및 알림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며, 해당 알림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알림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 제어 하에 해당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관리결과가 입력되면, 해당 관리결과에 따른 관리결과메시지를 전송하는 휴대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정보 및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해당 관리결과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관리결과메시지를 분석하고,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건강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상자의 맥박, 혈압, 체온 및 이상징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데이터 수집모듈; 상기 생체데이터 수집모듈에서 감지된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 제어 하에 입력된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관리일정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요청하고, 해당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설정하며, 해당 관리일정정보에 포함된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하는 휴대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정보 및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리일정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관리일정에 따른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건강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건강관리서버의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전문가 제어 하에 의견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의견정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문가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문가의 의견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 대상자가 휴대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대상자단말기; 해당 대상자의 보호자가 휴대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보호자단말기; 및 해당 대상자를 간병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간병인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대상자단말기, 보호자단말기 및 간병인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관리결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 요청메시지에 의해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 대상자의 보호자가 휴대하고 해당 보호자 제어 하에 입력된 보호자설정시간을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보호자단말기로부터 등록된 해당 보호자설정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자단말기로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 대상자의 간병인이 휴대하고 해당 간병인 제어 하에 입력된 간병인설정시간을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간병인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간병인단말기로부터 등록된 해당 간병인설정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간병인단말기로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관리일정정보를 해당 대상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해당 대상자가 실수로 인하여 해당 관리일정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관리일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해당 대상자가 정해진 관리일정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 대상자가 개인적인 사정이나 실수로 인하여 정해진 관리일정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새로운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대상자의 실제 생활에서 발생되는 변동사항을 신속하게 반영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리일정정보의 생성 및 재생성 판단과 이를 위해 연동되는 데이터처리과정을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와 연동하는 건강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의 건강을 관리하는 건강관리시스템 분야에서의 신뢰성과 호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계 'S13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계 'S14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21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자정보는 해당 대상자의 신상정보, 병력정보, 진단정보, 처방정보 및 관리대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상정보는 해당 대상자의 성별, 나이, 키 및 몸무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병력정보는 해당 대상자의 병력 및 가족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단정보는 해당 대상자의 현재 병력을 포함할 수 있고, 처방정보는 해당 대상자가 현재 복용하는 약의 종류 및 투약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대상정보는 식단표, 운동일정 및 투약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는 해당 대상자의 혈압, 맥박, 심전도, 심폐기능, 소변 분석, 혈당 및 체지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는 해당 대상자의 체성분과 영양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은 근육/골격의 구성, 신체 지방량,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영양정보는 칼슘 섭취량, 비타민 섭취량, 3대 영양소 섭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일정정보는 관리기간, 관리시간 및 관리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일정정보가 복수의 관리일정을 포함하는 경우, 각 관리일정에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일정정보가 약과 식품의 섭취, 운동량/시간 등을 포함하는 경우, 약, 식품, 운동량/시간 중 해당 대상자에게 중요한 순서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대상자가 우선순위를 확인하여 자신에게 꼭 필요한 관리일정을 빠뜨리지 않고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해당 대상자가 수행해야 할 운동의 종류가 여러가지인 경우, 해당 대상자에게 필요한 운동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건강관리서버에서 정해질 수도 있고, 또는 해당 대상자가 직접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단계 S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메시지는 해당 관리일정정보에 포함된 관리시간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알림메시지는 해당 관리시간 이전에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알림메시지는 해당 관리시간 이전에 적어도 두 번 이상 전송되고 해당 관리시간에 재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메시지는 관리시간까지 남은 시간, 구체적인 관리방법 및 주의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만약, 관리일정정보에 우선순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가 알림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송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관리결과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리결과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일정의 수행여부(예를 들어, 투약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단계 S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메시지는 수행여부를 선택하는 이미지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버튼은 "약을 복용함" 및 "약을 복용하지 않음"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결과메시지는 사용자 제어 하에 선택되는 알림메시지의 이미지버튼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결과메시지는 사용자 제어 하에 "약을 복용함"이 선택되면, 해당 관리일정이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결과메시지는 사용자 제어 하에 "약을 복용하지 않음"이 선택되면, 해당 관리일정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내용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관리일정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관리일정이 식품이나 약품의 투여량이라면, 알림 메지시는 식품의 섭취량이나 약품의 투여량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해 관리일정의 수행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일정이 운동량이라면, 알림 메시지는 운동의 종류 및 운동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해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 수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헬스케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실시한 운동의 종류 및 운동시간에 대한 정보가 헬스케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건강관리 서버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관리일정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관리결과메시지의 내용을 관리이력정보로 저장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고, 상기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단계 S140)를 포함한다. 예컨대, 복용시간과 복용량에 대한 관리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복용시간과 복용량을 재조정하여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일정정보는 전문가의 제어 하에 의해 재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가 해당 대상자의 담당의사인 경우 그 담당의사는 자신이 담당하는 환자(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 재생성이 요청되면, 이전에 전송된 관리일정정보, 현재까지의 수행된 관리일정 및 수행되지 못한 관리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여 재생성될 관리일정정보에 대한 의견 및 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관리일정정보는 연관된 사례들을 검색하여 재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례는 의학적으로 분류된 항목들 중 해당 대상자에게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기준으로 검색될 수 있다. 한편,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는 각 관리일정에 대해 새로운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일정정보 생성단계(S110)는, 대상자의 신상정보, 병력정보, 진단정보, 처방정보 및 관리대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자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대상자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생체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단계 'S13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수행 확인단계(S130)는, 전송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관리결과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과정 S131)을 포함한다. 전술하였듯이, 휴대단말기에 제공된 알림메시지는 수행여부를 선택하는 이미지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이미지버튼으로 "약을 복용함" 및 "약을 복용하지 않음"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관리결과메시지는 사용자 제어 하에 선택되는 알림메시지의 이미지버튼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관리수행 확인단계(S130)는, 대기시간을 확인하는 과정(과정 S132)을 포함한다. 한편, 대기시간은 관리자 제어 하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만일, 관리자 제어 하에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하고(S133), 해당 관리결과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가운데 대기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해당 관리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다(과정 S134).
S133 과정에서의 확인 결과 대기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음이 확인되면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5).
S135 과정에서의 확인결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한 메시지가 관리일정 수행에 관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36), S135 과정에서의 확인결과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관리결과메시지 수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S131).
S136 과정에서의 확인결과, 관리일정 수행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관리일정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한다(S137). 136 과정에서의 확인결과, 관리일정 수행에 관한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관리일정을 미수행한 것으로 확인한다(S134).
도 2에 도시하듯이, 해당 관리일정의 수행 또는 미수행 여부가 확인된 후에는 관리수행 확인단계(S130)를 계속 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는다(S138). 만일 사용자가 계속 관리수행을 실시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관리결과 메시지 수신대기상태로 진행한다(S131). 만일 사용자가 계속 관리수행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면 종료한다.
도 3은 도 1의 단계 'S14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S140)는 다음과 같다.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이 확인되면(과정 S141),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사례를 검색하는 과정(과정 S142) 및 연관된 사례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정 S143), 동일 사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례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과정 S144),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메시지 전송과정(과정 S145)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례는 별도의 DB로 해당 관리일정에 연관된 항목에 대하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대상자에 대한 관리항목에 대하여, 예를 들어, 영양제 복용이 일정시간 늦는 경우 등, 정상수행되지 않은 관리 내용에 따라 처방내용이 검색 가능하도록 DB화 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이 DB는 휴대단말기 또는 건강관리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만일, 과정 S143의 판단 결과, 연관된 사례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담당의사 등 해당 분야의 전문가에게 의견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정 S146) 및 전문가의 제어 하에 의견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의견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과정 S147)을 포함한다.
여기서, 과정 S146에서 전문가 제어 하에 의견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유사사례를 검색하고 검색된 유사사례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과정 S148)을 포함한다.
한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 대상자 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수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S140)는, 검색된 유사사례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사례를 선택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도 있다.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버는 다양한 사례를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례 검색을 수행하여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포털 데이터베이스 등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례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건강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탑재된 알림기능을 호출하여 분석된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설정하는 알림시간 설정단계(단계 S210)를 포함한다.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설정된 알림시간에 해당 알림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 제어 하에 관리결과를 입력받아 확인하는 관리수행 확인단계(단계 S220)를 포함한다.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관리수행 확인단계(단계 S220)에서의 확인결과,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관리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이력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건강관리서버로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하는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단계 S230)를 포함한다.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은,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단계 S230)에서의 요청에 대응하여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재설정하는 알림시간 재설정단계(단계 S240)를 포함한다.
알림시간 설정단계(단계 S210)는 건강관리서버로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 및 생체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전송된 대상자의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생성을 요청하는 과정 및 관리일정정보의 생성 요청에 대응하여 건강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21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알림시간 설정단계(단계 S210)는,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가 수신되면(과정 S211), 저장된 사용자일정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정 S212),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와 확인된 사용자일정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정 S213) 및 비교결과, 중복일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과정 S214) 수신된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설정하는 과정(과정 S215)을 포함한다.
만일, 과정 S213에서의 비교결과, 중복일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과정 S214) 관리일정정보에 대한 변경허용시간을 확인하는 과정(과정 S216), 변경허용시간의 확인결과, 해당 변경허용시간의 범위 이내에서 해당 사용자일정이 시작되지 않거나 종료되면(과정 S217), 알림시간을 해당 사용자일정의 시작전 또는 종료후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과정(과정 S218)을 포함한다. 만일, 변경허용시간의 확인결과, 해당 사용자일정이 해당 변경허용시간의 범위를 포함하여 설정된 경우에는(과정 S217), 건강관리서버에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하는 과정(과정 S219)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600)은 생체데이터 수집모듈(610), 휴대단말기(620), 건강관리서버(6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생체데이터 수집모듈(610)은 대상자의 맥박, 혈압, 체온, 이상징후, 혈당, 체성분, 영양정보 등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유무선으로 휴대단말기(620) 또는 건강관리서버(630)와 통신하여 감지된 생체정보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휴대단말기(620)는 생체데이터 수집모듈(610)에서 감지된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 제어 하에 입력된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건강관리서버(630)에 전송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생성 및 알림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며, 해당 알림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알림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 제어 하에 해당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관리결과가 입력되면, 해당 관리결과에 따른 관리결과메시지를 전송한다.
건강관리서버(630)는 휴대단말기(620)의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생체정보 및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리일정정보에 기초하여 휴대단말기(620)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며, 휴대단말기(620)로부터 해당 관리결과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관리결과메시지를 분석하고,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여 휴대단말기(620)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한다. 관리일정정보란, 예를 들어, 영양제 복용시 일정일자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복용시간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만일 관리결과 메시지로부터 영양제 복용이 지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최종 복용 시점으로부터 매시간마다 일정 시간간격으로 복용하도록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단말기(620)는 생체데이터 수집모듈(610)에서 감지된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 제어 하에 입력된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관리일정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요청하고, 해당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설정하며, 해당 관리일정정보에 포함된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한다. 이 경우, 건강관리서버(630)는 휴대단말기(620)의 요청에 대응하여 생체정보 및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리일정정보를 휴대단말기(620)로 전송하며, 휴대단말기(620)로부터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관리일정에 따른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여 휴대단말기(620)로 전송한다.
한편,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600)은, 건강관리서버(630)의 요청에 대응하여 담당의사 등 해당 전문가의 제어 하에 의견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의견정보를 건강관리서버(630)로 전송하는 전문가 단말기(6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강관리서버(630)는 전문가 단말기(640)부터 전송된 전문가의 의견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한다.
또한, 휴대단말기(620)는, 해당 대상자가 휴대하며 건강관리서버(630)로부터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대상자단말기(621), 해당 대상자의 보호자가 휴대하며 건강관리서버(630)로부터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보호자단말기(622) 및 해당 대상자를 간병하며 건강관리서버(630)로부터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간병인단말기(6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강관리서버(630)는, 대상자단말기(621), 보호자단말기(622) 및 간병인단말기(62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관리결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 요청메시지에 의해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620)는, 해당 대상자의 보호자가 휴대하고 해당 보호자 제어 하에 입력된 보호자설정시간을 건강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보호자단말기(622)를 포함하는 경우에, 건강관리서버(630)는 보호자단말기(622)로부터 등록된 해당 보호자설정시간에 기초하여 보호자단말기(622)로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620)는, 해당 대상자의 간병인이 휴대하고 해당 간병인 제어 하에 입력된 간병인설정시간을 건강관리서버(630)에 등록하는 간병인단말기(623)를 포함하는 경우에, 건강관리서버(630)는 간병인단말기(623)로부터 등록된 해당 간병인설정시간에 기초하여 간병인단말기(623)로 알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주로 의학적 분야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건강관리 분야(예를 들어, 음식조절이나 운동)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해당 대상자에 대한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보장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600 :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610 : 생체데이터 수집모듈 620 : 휴대단말기
621 : 대상자단말기 622 : 보호자단말기
623 : 간병인단말기 630 : 건강관리서버
640 : 전문가 단말기

Claims (19)

  1.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건강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시간 및 관리방법을 스케쥴링(Scheduling)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일정정보 생성단계;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상기 관리일정정보를 전송하는 관리일정정보 전송단계;
    상기 전송된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관리결과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관리결과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일정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는 관리수행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해당 관리결과메시지의 내용을 관리이력정보로 저장하며,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저장된 연관된 사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에 포함된 동일 사례, 전문가 의견정보 및 유사사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시간 및 관리방법을 재조정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고, 상기 재생성된 관리일정정보를 해당 대상자가 사용하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일정정보 생성단계는,
    대상자의 신상정보, 병력정보, 진단정보, 처방정보 및 관리대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자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행 확인단계는,
    상기 전송된 관리일정정보에 대응하는 관리결과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 및
    관리자 제어 하에 설정된 대기시간동안 해당 관리결과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관리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이 확인되면, 해당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해당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사례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일 사례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상기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문가 의견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상기 전문가 의견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전문가 의견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상기 검색결과, 동일 사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문가 의견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및
    상기 전문가 의견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유사사례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유사사례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해당 대상자의 생체정보, 대상자 정보 및 관리일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수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일정정보 재생성단계는,
    상기 검색결과에 포함된 사례 중 상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사례를 선택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일정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관리일정은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일정정보에는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대상자의 맥박, 혈압, 체온 및 이상징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생체데이터 수집모듈;
    대상자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생체데이터 수집모듈에서 감지된 대상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대상자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관리일정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요청하고, 해당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일정정보를 출력하도록 알림시간을 설정하며, 해당 관리일정정보에 포함된 관리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을 요청하는 휴대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대상자정보를 수신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시간 및 관리방법을 스케쥴링(Scheduling)한 관리일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관리일정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기 저장된 연관된 사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에 포함된 동일 사례, 전문가 의견정보 및 유사사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시간 및 관리방법을 재조정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건강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건강관리서버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문가 의견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전문가 의견정보를 상기 건강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전문가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문가 의견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 대상자가 휴대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대상자단말기;
    해당 대상자의 보호자가 휴대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보호자단말기; 및
    해당 대상자를 간병하며 상기 건강관리서버로부터 관리일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간병인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대상자단말기, 보호자단말기 및 간병인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관리결과메시지 또는 관리일정정보의 재생성 요청메시지에 의해 해당 대상자의 관리일정정보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보호자설정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보호자설정시간을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보호자단말기로부터 등록된 해당 보호자설정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보호자단말기로 관리일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간병인설정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간병인설정시간을 상기 건강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간병인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서버는,
    상기 간병인단말기로부터 등록된 해당 간병인설정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간병인단말기로 관리일정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20007522A 2012-01-26 2012-01-26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4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22A KR101546337B1 (ko) 2012-01-26 2012-01-26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22A KR101546337B1 (ko) 2012-01-26 2012-01-26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989A KR20130089989A (ko) 2013-08-13
KR101546337B1 true KR101546337B1 (ko) 2015-08-27

Family

ID=4921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522A KR101546337B1 (ko) 2012-01-26 2012-01-26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577A (ko)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211B1 (ko) * 2014-11-04 2021-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25747B1 (ko) * 2014-11-20 2015-06-0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사용자 반응에 따른 이벤트 활성 계층화 장치 및 방법
KR102180079B1 (ko) * 2018-08-27 2020-11-17 김효상 블록체인을 활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05986B1 (ko) * 2018-11-23 2019-07-31 예다움 주식회사 모바일 건강관리 시스템
KR102660749B1 (ko) * 2021-11-04 2024-04-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장애인 당사자-보호자-보건 전문가의 요구도 기반 3자간 건강 정보 공유 플랫폼 및 모바일 앱/웹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577A (ko)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KR101998128B1 (ko) * 2017-08-29 2019-07-09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과제성취도에 의한 적응적 알림 기반 건강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989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820B2 (ja) 患者ケアシステム
KR102658817B1 (ko) 디지털 건강 관리 및 원격 환자 모니터링 지원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플랫폼용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80043A1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tate of being to health care delivery
KR101546337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Bravata et al. Using pedometer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nd improve health: a systematic review
US66129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treating a patient
US8847767B2 (en) Health care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40257836A1 (en) Automated interactive health c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TW200419421A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evice authentication
KR20160085876A (ko) 자동화된 의료 제품 또는 서비스 전달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13436693A (zh) 完全自主的医疗解决方案(我的医生)
WO2018039235A1 (en) Patient-own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and method
Rogers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healthcare systems, wireless connected devices, and body sensor networks in COVID-19 remote patient monitoring
Berry et al. Self-care support for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iCancerHealth
KR20190064268A (ko) 헬스 케어 솔루션 제공 방법
TWI749621B (zh) 用藥提醒與回報系統及其實施方法
KR20130014884A (ko)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US20140297300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70109449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6155B1 (ko)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시스템
JP2003178142A (ja) 遠隔診療システム
KR20110086653A (ko)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Felder Medical automation—a technologically enhanced work environment to reduce the burden of care on nursing staff and a solution to the health care cost crisis
CN112842302A (zh) 身体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
KR20210014881A (ko) 사용자의 노화 정도 평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