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179B1 - 자동 물풀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물풀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179B1
KR101546179B1 KR1020140021108A KR20140021108A KR101546179B1 KR 101546179 B1 KR101546179 B1 KR 101546179B1 KR 1020140021108 A KR1020140021108 A KR 1020140021108A KR 20140021108 A KR20140021108 A KR 20140021108A KR 101546179 B1 KR101546179 B1 KR 10154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ater
wallpaper
pull
glu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보열
Original Assignee
한보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열 filed Critical 한보열
Priority to KR102014002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물풀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자동 물풀 도포장치에 따르면, 띄움공법 도배 작업을 위해 벽지의 양단부 뿐만 아니라 벽지의 상단과 하단에 풀을 자동으로 발라줌과 동시에, 풀이 발라지지 않은 중앙부에 물을 균일하게 발라준다. 이를 위해 풀차단롤러(40)가 풀칠롤러(35)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며, 풀차단부(45)가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풀을 제거시켜줌에 따라 풀칠롤러(35)의 상부로 풀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풀칠롤러(35)를 통과한 벽지(P)의 중앙부분에 풀이 도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물칠롤러(60)의 외면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벽지(P)에 풀칠이 되지 않는 부분에 물이 도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배 작업성이 향상되고, 도배품질도 좋아지며, 노동력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물풀 도포장치{Apparatus for applying paste and water to wallpaper}
본 발명은 자동 물풀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배작업을 할 때 벽지에 자동으로 물과 풀을 도포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벽지의 전면에 풀을 발라 도배를 하였는데, 이 경우 시멘트 벽의 미장면의 불균일 및 잔여물에 의해 도배된 벽지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도배품질과 미관이 악화되어 시공상 하자가 야기되었다. 그래서 벽지의 폭방향의 양쪽 단부에 소정의 폭으로 풀을 도포하고, 풀칠이 안된 가운데 부분에는 물칠을 해서 벽으로부터 벽지를 띄워서 벽의 불규칙한 면이 드러나지 않게 시공하는 띄움공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띄움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물, 풀 동시 바름기가 특허 제0461468호와 특허 제0389622호에 기재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에 기재된 종래의 물, 풀 동시바름기는 벽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풀칠을 하고, 풀칠이 안된 가운데 부분에는 물 칠하는 기능은 있지만, 벽지의 상하부분에는 풀칠하는 기능이 없어 시공자가 벽지의 상하부분이 부착될 벽면의 상하부분에 직접 풀칠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 풀 동시바름기는 기기 중앙부에 별도의 풀칠 방지 시트를 설치해야 하거나, 전체풀칠 롤러와 부분풀칠 롤러를 교체 장착해야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상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특허 제0461468호의 장치는 물 도포방치를 기기 전면부에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벽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여러개의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방식인데, 분사구가 작아야만 분사되는 특성상 분사구가 막히는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또, 특허 제0389622호의 장치는 풀통 안에 수침방식의 물 도포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물통의 물이 풀 통 안으로 넘쳐 풀의 농도를 낮추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장치들에서는 물의 도포량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풀의 농도가 변하게 되어 도배품질이 떨어지고 시공상 하자 발생을 야기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물, 풀 동시 바름기들은 본체의 하단에 서랍형의 풀통이 따로 장착되는 구조여서, 풀 통의 용량이 작아 작업자가 풀을 여러번 공급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시공 종료 후 각각의 롤러와 풀 통을 분해 세척하여 다시 조립해야하므로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배의 띄움공법에 필요한 벽지의 풀 바름에 있어서, 벽지의 폭방향 양쪽 가장자리 뿐만이 아니라 벽지의 상하단부에도 자동으로 풀칠을 해주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띄움 공법에 필요한 벽지의 가운데 부분에 물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풀 통의 용량을 최대화하고, 각 부품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며, 세척 및 청소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풀 저장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30); 상기 풀 저장부(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벽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1) 및 이송조절롤러(71); 상기 풀 저장부(11) 내에 상기 구동롤러(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풀 저장부(11)에 저장된 풀을 묻혀 상기 벽지(P)에 풀을 바르는 풀칠롤러(35); 상기 풀칠롤러(35)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벽지(P)의 가운데 부분에 풀이 도포되지 않도록 하는 풀차단롤러(40); 상기 풀칠롤러(35)와 풀차단롤러(40)의 밀착과 분리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에서 분리되면 상기 풀칠롤러(35)가 상기 벽지(P)의 전체에 풀을 바르고,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에 밀착되면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의 외주면 중앙부에 발라진 풀을 제거하여 상기 풀칠롤러(35)를 타고 이송되는 벽지(P)의 가운데 부분에 일정길이만큼만 풀칠이 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칠롤러(35)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풀차단롤러(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풀양조절롤러(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양조절롤러(36)는 편심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칠롤러(35)와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묻은 풀을 깎아주는데, 상기 풀양조절롤러(36)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가 상기 풀양조절롤러(36)의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깊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차단롤러(40)의 외주면을 둘러 소정 두께를 가지는 밀착부(45)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45)는 상기 벽지(P)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45)는 중앙부에서 양쪽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작아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차단롤러(40)의 회전축은 편심을 가져 편심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칠롤러(35)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상기 회전축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풀차단레버(81)가 연결되고, 상기 풀차단레버(81)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풀 저장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걸림편(84)과, 상기 걸림편(84)을 후방으로 당겨주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차단레버(81)가 당겨진 상태에서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고 소정시간이 지나면 솔레노이드가 상기 걸림편(84)을 후퇴시켜 상기 풀차단레버(8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와 분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저장부(11)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풀저장부(11)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라운드홈(13)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30), 상기 이송롤러(31), 상기 풀칠롤러(35), 상기 풀차단롤러(40)의 양단부가 한 쌍의 기어프레임(21)에 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로 상기 라운드홈(1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풀 저장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풀 저장부(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풀 저장부(11)에 저장된 풀을 묻혀 상기 벽지(P)에 풀을 바르는 풀칠롤러(35); 그리고 상기 풀칠롤러(35)를 통과한 벽지(P)에 물을 도포하는 물바름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물바름부(50)는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풀 저장부(11)와 공간상 분리되며, 상기 물바름부(50)는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물저장통(51), 상기 물저장통(5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토출구(54), 상기 물토출구(54)와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물칠롤러(60)로 구성되며, 상기 물토출구(54)로부터 토출된 물이 회전하고 있는 상기 물칠롤러(60)의 외면을 따라 흐르면서 수막이 형성되고, 형성된 수막에 의해 상기 물칠롤러(60)의 상부에 안착된 벽지(P)의 중앙부에 물이 도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칠롤러(60)의 외면에는 두 개의 나선형홈(63)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두 개의 나선형홈(63)이 상기 물칠롤러(60)의 양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풀 도포 장치는, 띄움공법 도배 작업을 위해 벽지의 양단부 뿐만 아니라 벽지의 상단과 하단에 풀을 자동으로 발라줌과 동시에, 풀이 발라지지 않은 중앙부에 물을 균일하게 발라준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벽지의 상단과 하단에 별도로 풀을 발라주어야 하는 종래의 불편함이 사라졌다.
또한, 물칠롤러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벽지의 중앙부에 물이 발라지므로 물이 균일하게 도포되어 도배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풀저장부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풀저장량이 극대화되므로, 작업자가 중간에 풀을 재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프레임과 롤러들이 풀 저장부 내에서 일체로 회동가능하고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장치의 청소 및 세척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운반과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풀 도포장치를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풀 도포장치에서 커버부가 열린 상태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풀 도포장치에서 풀바름부가 분리된 상태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물풀 도포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풀 차단롤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풀 차단 레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서 물 바름부의 요부구성을 보이기 위해 물칠롤러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물칠롤러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풀 바름부가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풀 도포장치는 크게 본체(10)와, 상기 본체(10)로부터 착탈가능하고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벽지에 풀을 바르는 풀바름부(20)와, 상기 풀바름부(20)를 통과한 벽지에 물을 바르는 물바름부(50)와 상기 본체(10)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커버부(7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와,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풀 저장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고, 내부에 오목한 공간이 있어 풀(G)이 담아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풀 저장부(11)가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풀 저장 공간이 최대로 확보되며, 작업자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통해 풀을 추가로 충전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 및 4에서 보이듯이,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에는 라운드홈(13)이 형성되는데, 상기 라운드홈(13)에는 후술할 기어프레임(21)의 걸이턱(미도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라운드홈(13)의 상단이 개구되어 풀바름부(20) 전체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홈(13)에 상기 기어프레임(21)의 걸이턱이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풀바름부(20) 전체가 360도 좌우로 회전(도 3의 화살표 방향)할 수도 있다. 본체(10)에 대하여 풀바름부(20)가 회전한 모습이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으로 돌아가서, 상기 기어프레임(21)의 걸이턱에는 회전손잡이(24)가 결합되어 있어, 작업자가 회전손잡이(24)를 돌려주면서 상기 풀바름부(20) 전체를 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 자동 물풀 도포장치를 동작시킬 때에는 상기 풀바름부(20)를 본체(10)에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고정볼트(28)가 본체(10)를 관통하여 기어프레임(21)에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볼트(28)는 상기 기어프레임(21) 및 풀바름부(20)가 자체 무게중심에 의해 본체(10)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풀바름부(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풀바름부(20)는 한 쌍의 기어프레임(21)과 벽지를 이송하고 벽지에 풀을 바르기 위한 다수의 롤러들로 구성된다. 한 쌍의 기어프레임(21)에는 롤러들의 축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기어프레임(21)에 설치되는 롤러들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30), 이송롤러(31), 풀공급롤러(32)(33), 풀양조절롤러(36), 풀칠롤러(35), 풀차단롤러(40)가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들의 서로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들이 상기 기어프레임(2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풀바름부(20)는 하나의 유니트가 되어 상기 본체(10)로부터 착탈가능하다.
상기 기어프레임(21)의 외면에는 상기 본체(10)의 라운드홈(13)에 걸어지기 위한 걸이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은 라운드홈(13)에 대응되는 봉형상이고, 상기 걸이턱의 위치는 상기 기어프레임(21)의 회전중심이 되므로 전체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롤러(30)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롤러(30)는 후술할 제어부(80) 내부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가능하며, 상기 기어프레임(21)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들과 기어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이송롤러(31)는 후술할 이송조절롤러(71)와 함께 벽지(P)를 진행방향(도 4의 화살표)으로 이송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풀공급롤러(32)(33)는 회전함에 따라 풀 저장부(11)에 담겨진 풀을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발라지게 한다.
다음으로, 풀칠롤러(35)는 상기 풀공급롤러(32)(33)로부터 전달받은 풀을 벽지(P)의 일면에 발라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풀칠롤러(35)의 외면은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풀칠롤러의 외면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과 다르다. 이와 같이 풀칠롤러(35)의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됨에 따라 후술할 풀차단롤러(40)가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밀착되었을 때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발라진 풀들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풀양조절롤러(36)는 상기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발라진 풀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풀들을 깎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풀양조절롤러(36)가 편심회전하여 상기 풀칠롤러(35)와의 거리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상기 풀양조절롤러(36)가 상기 풀칠롤러(35)와 근접할수록 상기 풀칠롤러(35)에 발라진 풀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풀양조절롤러(35)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나선형의 홈(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이들 홈은 상기 풀칠롤러(35)에 발라진 풀의 표면에 요철을 주기 위한 것이다. 풀의 표면에 요철이 있으면 벽지(P)에 풀이 더 잘 부착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풀양조절롤러(36)의 양단부에 있는 홈의 깊이가 풀양조절롤러(36)의 중간부에 있는 홈의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풀의 응집력에 의해 풀칠롤러(35)의 중앙부에 풀이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풀칠롤러(35)의 중앙부의 풀을 양단부에 비해 더 많이 깎아주어 풀칠롤러(35) 중앙부에 풀들이 두껍게 발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풀차단롤러(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풀차단롤러(40)는 상기 풀칠롤러(35)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며, 풀차단롤러(40)가 풀칠롤러(35)에 밀착되면, 풀칠롤러(35)에 발라진 풀을 깎아주어 제거함으로써 벽지(P)에 풀칠이 되지 않게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풀차단롤러(40)에는 밀착부(45)가 둘러감싸져 있는데, 이러한 밀착부(45)는 그 폭이 벽지(P)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상기 밀착부(45)가 있는 부분은 벽지(P)에 풀이 발라지지 않고, 상기 밀착부(45)가 없는 부분 즉 벽지(P)의 폭방향 양단부분에 소정의 폭으로 풀칠이 되는 것이다. 상기 밀착부(45)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밀착부(45)는 중앙부에서 양쪽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밀착부(45)의 중앙부의 두께가 그 양단부 가장자리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풀이 밀착부(45)와 풀칠롤러(35) 사이를 지나갈 때, 밀착부(45)와 풀칠롤러(35) 사이를 벌어지게 하여, 밀착부(45)의 중앙부가 그 양단부보다 풀을 덜 깎아주기 때문에, 이것을 보상해주기 위한 것이다.
도 5에는 풀차단롤러(40)의 동작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풀차단롤러(40)는 편심회전축(42)을 가진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편심회전축(42)에는 풀차단레버(81)가 연결된다. 풀차단레버(81)는 상기 편심회전축(42)을 소정각도 회전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가 풀차단레버(81)를 풀칠롤러(35) 쪽으로 당겨주면, 도 5b에서와 같이 풀차단롤러(40)가 편심회전하면서 풀칠롤러(35)와 밀착되는데, 더욱 정확하게는 풀차단롤러(40)의 밀착부(45)가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밀착된다. 이때, 밀착부(45)가 형성된 부분만큼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발라진 풀이 제거됨으로써, 벽지(P)에 풀이 발라지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밀착부(45)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 즉, 풀칠롤러(35)의 양단부 외면에는 여전히 풀(G)이 묻어있고, 풀칠롤러(35)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벽지(P)의 폭방향 양단에 소정폭만큼 풀이 도포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보이듯이, 상기 구동롤러(30)의 중앙에 누름부(38)가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부(38)는 밀착부(45)가 풀칠롤러(35)와 더 잘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부(45)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구동롤러(30)의 중심축 일단부에 후크(82)가 연결되고, 상기 풀차단레버(81)가 당겨질 때 상기 후크(82)에 걸어진 상태로 당겨져 누름부(38)가 밀착부(45)를 눌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풀차단레버(8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커버부(70)에는 풀차단레버(81)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걸림편(84)이 설치된다. 걸림편(84)에는 그 선단부가 풀차단레버(81)가 있는 쪽으로 돌출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재(미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84)의 후단부에는 걸림편(84)을 후방으로 당겨주기 위한 당김편(8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당김편(88)은 제어부(80)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걸림편(84)을 후방으로 당겨주게 된다.
도 6b 와 같이, 상기 풀차단레버(81)가 당겨지면, 풀차단레버(81)가 걸림편(84)의 선단부의 경사진 부분을 밀어주면서 걸림편(84)이 후방으로 후퇴하며, 풀차단레버(81)가 걸림편(84)의 선단부를 모두 통과한 후에는 걸림편(84)의 선단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풀차단레버(81)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풀차단레버(81)의 당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풀차단레버(81)가 당겨진 상태는 풀차단롤러(40)의 밀착부(45)가 풀칠롤러(35)에 밀착됨으로써 풀칠롤러(35)의 외면의 풀을 제거하여 벽지(P)의 가운데 부분에 밀착부(45)의 폭에 해당되는 만큼 풀칠이 되지 않는다. 그 후 제어부(80)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당김편(88)이 상기 걸림편(84)을 후방으로 당겨주게 되어 풀차단레버(81)의 위치가 도 6a 와 같은 상태로 복원된다. 도 6a와 같은 상태에서는 풀차단롤러(40)가 풀칠롤러(35)와 분리된 상태이고, 벽지(P)의 폭방향 전체부분에 풀칠이 된다. 상기 당김편(88)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80)와 상기 제어부(8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해 컨트롤된다.
이하, 물바름부(50) 구성에 대해 도 4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바름부(50)는 풀칠이 차단된 벽지(P)의 중앙부에 물을 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물바름부(50)는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되는데, 벽지(P)의 진행방향으로 마지막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도 9와 같이 물바름부(50)는 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풀 저장부(11)와 공간상 완벽히 구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물바름부(50)의 외관을 물저장통(51)이 형성한다. 상기 물저장통(51)의 측방으로는 물투입구(53)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다.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물저장통(51)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물토출구(54)가 장치의 폭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토출구(54)와 인접해서는 물칠롤러(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물토출구(54)에서 토출된 물이 회전하는 상태의 물칠롤러(60)의 외면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그로인해 물칠롤러(60)의 외면에 수막이 형성되고, 벽지(P)의 일면에 물이 칠해진다(도 8 참조). 이때, 상기 물칠롤러(60)의 외면에 벽지(P)가 접한 상태에서 이송됨으로써 물칠롤러(60)에 수막이 잘 형성됨과 동시에, 벽지(P)에 물이 도포되는 것이다.
한편, 도 8과 같이 상기 물칠롤러(60)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나선형홈(63)이 형성되는데, 이는 수막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상기 나선형홈(63)이 없이 물칠롤러(60)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면이면 물이 물칠롤러(60)의 외면을 따라 함께 회전하지 않고 물칠롤러(60)의 원심력에 의해 물칠롤러(60)에서 벗어나려고 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칠롤러(60)의 수막형성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나선형홈(63)을 두 개 형성하는데, 각각의 나선형홈(63)이 물칠롤러(60)의 양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칠롤러(60)에 나선형 홈을 형성한 것을 가공방법으로 설명하면, 먼저 물칠롤러(60)의 양단부를 척으로 고정시킨 다음, 선반가공장치를 고정된 상태의 물칠롤러(6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한 개의 나사산을 절삭하는데, 이때 물칠롤러(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다음으로 선반가공장치를 고정된 상태의 물칠롤러(6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두번째 나사산을 절삭하는데, 이때 물칠롤러(6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이로써 두 개의 나선형홈(63)이 물칠롤러의 양단부에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물칠롤러(60)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벽지(P)의 물이 칠해지는 부분은 이전단계에서 풀차단롤러(40)가 풀칠롤러(35)에 밀착됨으로써 풀칠이 차단된 벽지(P)의 중앙부분이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저장통(51)의 양단 최외측에 형성된 물토출구(54)의 위치를 풀칠이 차단된 벽지(P)의 중앙부 가로폭에 대략 맞추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개의 물토출구(54)들은 총 27개가 형성되는데, 물토출구(54)의 직경은 2∏이고, 물토출구(54)의 간격을 25mm 로 하였다. 상기 물토출구(54) 들은 도 7과 같이 물저장부(50)의 양쪽 단부 약 130mm를 제외하고 중앙부 850mm에 해당하는 부분에 일열로 배열된다.
계속해서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칠롤러(60)의 하부에는 물수집통(55)이 설치된다. 물수집통(55)도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물수집통(55)은 상기 물칠롤러(6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받아 물배출구(58)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배출구(58)로 배출되는 물은 펌프(미도시)에 의해 다시 물투입구(53)로 공급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벽지(P)에 물을 바르는 시점은 물투입구(53)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펌프(미도시)를 제어함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펌프의 동작이 컨트롤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부(70)에는 위에서 설명한 이송조절롤러(71)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조절롤러(71)에는 벽지의 이송길이를 감지하는 센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와 상기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70)에는 누름롤러(72)(73)가 구비되는데, 이들 누름롤러(72)(73)는 풀칠롤러(35)를 통과하는 벽지(P)의 상부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누름롤러(72)가 풀차단롤러(40)와 풀칠롤러(35) 사이에 해당되는 벽지(P)부분을 눌러주게 되고, 다른 한 개의 누름롤러(73)는 풀칠롤러(35)와 물칠롤러(60) 사이에 해당되는 벽지(P) 부분을 눌러주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커버부(70)의 일단부가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커버부(70)를 도 2와 같이 열어 젖힌 상태에서 벽지(P)를 이송롤러(31), 풀칠롤러(35), 물칠롤러(60)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놓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커버부(70)를 회동시키면, 이송조절롤러(71)는 이송롤러(31)와 접하게 되고, 각각의 누름롤러(72)(73)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되어 벽지(P)의 상부를 눌러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자동 물풀 도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에 따르면, 벽지(P)의 전면에 풀을 도포하는 일반적인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 벽지(P)의 상하좌우부분만 풀칠을 함과 동시에 풀칠이 안되는 가운데 부분에 물칠을 하는 방식(일명 띄움공법)도 가능하다.
먼저, 벽지(P)의 전면에 풀을 도포할 때의 장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하여 벽지(P) 전면에 풀을 도포하려면, 풀차단레버(81)를 당기지 않은 상태 즉, 풀차단롤러(40)가 풀칠롤러(35)와 분리된 상태에서 장치를 동작시키면 된다. 이때, 제어부(80)에서는 물공급이 되지 않도록 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장치의 동작을 벽지(P)의 이송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0)에 200cm를 입력하면, 제어부(80)가 구동롤러(3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이송조절롤러(71)에 연결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이송길이를 재입력받아 200cm가 되었을 때 구동롤러(30)의 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면, 200cm 에 해당되는 벽지(P) 전체에 풀이 발라지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물칠롤러(60)를 통과하여 떨어지는 벽지의 커트라인(도 4에 표시)을 잘라줌으로써 풀칠이 된 200cm 정도의 벽지(P)를 얻게 된다.
다음으로, 띄움공법에 필요한 200cm의 벽지를 얻기 위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풀차단레버(81)를 도 5b 와 같이 당겨줘야 한다. 그러면, 풀차단롤러(40)의 풀차단부(45)가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밀착되고, 구동롤러(30)의 누름부(38)가 풀차단부(45)를 한번 더 눌러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어부(80)에 200cm를 입력하여 장치를 동작시킨다. 이때 제어부(80)에서는 시간차를 두고 물공급펌프(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물토출구(54)를 통해 물이 토출되도록 한다. 물이 토출되면 물칠롤러(60)의 외면에 수막이 형성된다.
도 4를 기준으로 풀차단롤러(40)의 풀차단부(45)가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풀을 제거시켜줌에 따라 풀칠롤러(35)의 상부로 풀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풀칠롤러(35)를 통과한 벽지(P)의 중앙부분에 풀이 도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물칠롤러(60)의 외면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벽지(P)에 풀칠이 되지 않는 부분부터 물이 도포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80)에는 벽지 이송길이가 160∼170cm 정도 되었을 때 당김편(88)이 당겨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동시에 물공급펌프(미도시)의 전원도 차단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벽지 이송길이가 160∼170cm 되었을 때 벽지의 전면 풀칠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당김편(88)이 당겨지면 걸림편(84)이 뒤로 후퇴함에 따라 풀차단레버(81)를 지지하던 걸림편(84)이 제거되므로, 풀차단레버(8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그로 인해 풀차단롤러(40)의 밀착부(45)가 상기 풀칠롤러(35)와 분리된다. 그러면,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발라진 풀이 풀칠롤러(35)의 상부를 통과하는 벽지(P)에 전체적으로 발라지게 된다. 동시에 물공급펌프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물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벽지에 물이 발라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벽지가 30∼40cm 더 이송되어 이미 설정된 200cm에 이르게 되면, 제어부(80)가 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다. 즉, 벽지의 30∼40cm 정도는 풀이 전체적으로 발라져있게 되고, 전체적으로 풀이 발라져 있는 부분의 중간부분이 도면상 표시한 커트라인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전체 동작을 1회 반복한 다음, 작업자가 벽지의 커트라인을 잘라주면, 벽지의 상단부 15∼20cm 정도,하단부 15∼20cm 정도와 좌우측 단부에 풀이 발라지고, 풀이 발라지지 않은 부분 즉 가운데 부분은 물이 칠해진 벽지(P)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저장부(11)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풀바름부(20)의 구성들이 풀저장부(1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풀 저장량이 종래에 비하여 많아지게 되었다. 또한, 풀저장부(11)의 풀들이 풀바름부(20)의 기어들의 윤활제 역할을 하게 되어, 장치의 동작시에 소음과 마모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모든 작업을 마치고 나서 장치의 분해 및 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다. 즉, 장치의 동작이 끝나면, 작업자는 도 2와 같이 커버부(70)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기어프레임(21)을 본체(10)에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볼트(28)를 풀어준다. 그러면, 풀바름부(20)의 구성들이 구동롤러(30)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작업자가 회전손잡이(24)를 돌려줄 수도 있다.
청소를 위해서는 풀저장부(11)에 물을 담은 후 장치를 동작시키고 작업자가 회전손잡이(24)를 돌려주면 된다. 그러면, 각 롤러들이 회전하면서 풀바름부(20) 전체가 360도 회전하게 되어 풀저장부(11)에 담긴 물에 의해 롤러들의 표면에 남은 풀과 오염물질들이 씻겨지게 된다.
씻겨진 풀바름부(20)는 도 3과 같이 본체(10)로부터 분리시켜 건조시키면 되고,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풀저장부(11)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분해가 용이하고 세척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본체 11: 저장부
13: 라운드홈 20: 풀바름부
21: 기어프레임 24: 회전손잡이
28: 고정볼트 30: 구동롤러
31: 이송롤러 32, 33: 풀공급롤러
35: 풀칠롤러 40: 풀차단롤러
45: 밀착부 50: 풀바름부
51: 물저장통 53: 물투입구
54: 물토출구 60: 물칠롤러
63: 나선형홈 70: 커버부
72,73: 누름롤러 80: 제어부

Claims (8)

  1. 풀 저장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30);
    상기 풀 저장부(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벽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1) 및 이송조절롤러(71);
    상기 풀 저장부(11) 내에 상기 구동롤러(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풀 저장부(11)에 저장된 풀을 묻혀 상기 벽지(P)에 풀을 바르는 풀칠롤러(35);
    상기 풀칠롤러(35)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벽지(P)의 가운데 부분에 풀이 도포되지 않도록 하는 풀차단롤러(40);
    상기 풀칠롤러(35)와 풀차단롤러(40)의 밀착과 분리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에서 분리되면 상기 풀칠롤러(35)가 상기 벽지(P)의 전체에 풀을 바르고,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에 밀착되면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의 외주면 중앙부에 발라진 풀을 제거하여 상기 풀칠롤러(35)를 타고 이송되는 벽지(P)의 가운데 부분에 일정길이만큼만 풀칠이 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칠롤러(35)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차단롤러(4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풀양조절롤러(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양조절롤러(36)는 편심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칠롤러(35)와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풀칠롤러(35)의 외면에 묻은 풀을 깎아주는데,
    상기 풀양조절롤러(36)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가 상기 풀양조절롤러(36)의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깊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차단롤러(40)의 외주면을 둘러 소정 두께를 가지는 밀착부(45)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45)는 상기 벽지(P)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밀착부(45)는 중앙부에서 양쪽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차단롤러(40)의 회전축은 편심을 가져 편심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칠롤러(35)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상기 회전축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풀차단레버(81)가 연결되고,
    상기 풀차단레버(81)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풀 저장부(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걸림편(84)과, 상기 걸림편(84)을 후방으로 당겨주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차단레버(81)가 당겨진 상태에서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고 소정시간이 지나면 솔레노이드가 상기 걸림편(84)을 후퇴시켜 상기 풀차단레버(8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풀차단롤러(40)가 상기 풀칠롤러(35)와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저장부(11)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풀저장부(11)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양측에 라운드홈(13)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30), 상기 이송롤러(31), 상기 풀칠롤러(35), 상기 풀차단롤러(40)의 양단부가 한 쌍의 기어프레임(21)에 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로 상기 라운드홈(1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7. 내부에 풀 저장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풀 저장부(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풀 저장부(11)에 저장된 풀을 묻혀 벽지(P)에 풀을 바르는 풀칠롤러(35); 그리고
    상기 풀칠롤러(35)를 통과한 벽지(P)에 물을 도포하는 물바름부(50)를 포함하고,
    상기 물바름부(50)는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풀 저장부(11)와 공간상 분리되며,
    상기 물바름부(50)는 물저장통(51),
    상기 물저장통(51)의 상부에 형성되는 물토출구(54),
    상기 물토출구(54)와 인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물칠롤러(60)로 구성되며,
    상기 물토출구(54)로부터 토출된 물이 회전하고 있는 상기 물칠롤러(60)의 외면을 따라 흐르면서 수막이 형성되고, 형성된 수막에 의해 상기 물칠롤러(60)의 상부에 안착된 벽지(P)의 중앙부에 물이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칠롤러(60)의 외면에는 두 개의 나선형홈(63)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두 개의 나선형홈(63)이 상기 물칠롤러(60)의 양단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풀 도포장치.
KR1020140021108A 2014-02-24 2014-02-24 자동 물풀 도포장치 KR10154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108A KR101546179B1 (ko) 2014-02-24 2014-02-24 자동 물풀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108A KR101546179B1 (ko) 2014-02-24 2014-02-24 자동 물풀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179B1 true KR101546179B1 (ko) 2015-08-27

Family

ID=5406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108A KR101546179B1 (ko) 2014-02-24 2014-02-24 자동 물풀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1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976Y1 (ko) 2003-01-29 2003-05-16 김흥식 벽지용 풀 및 물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976Y1 (ko) 2003-01-29 2003-05-16 김흥식 벽지용 풀 및 물 도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0006B (zh) 用于将粘合剂涂抹到基板上的设备和方法
KR102039131B1 (ko) 그라비아 코팅 장치
CN211801998U (zh) 便于烘干的涂布机涂胶装置
CN210614166U (zh) 一种适用于各种基材的uv涂层装置
RU21089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клея на сердечник для намотки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1119452B (zh) 一种瓷砖美缝用上料刮除一体化设备
CN207207255U (zh) 新型涂胶装置
KR101546179B1 (ko) 자동 물풀 도포장치
KR102029873B1 (ko)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EP294438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transparent endless belt for rapid uv polymerization of the paint that coats products with a mainly flat surface
KR20100003251U (ko) 벽지용 풀 도포장치
JP3141182B2 (ja) ロールコータ
US3063408A (en) Tail gluer
CN213967386U (zh) 一种胶厚可调的涂布机
KR20140050808A (ko) 일체형 풀, 물 자동 바름기
CN210171829U (zh) 一种led灯条批量点胶设备
KR200312976Y1 (ko) 벽지용 풀 및 물 도포장치
JP2011005392A (ja) 壁紙糊付機
KR100389622B1 (ko) 벽지용 풀 및 물 도포장치
KR101874894B1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JPH09314010A (ja) 塗装方法及びロールコータ
KR101506636B1 (ko) 입식 풀칠기
CN221433751U (zh) 一种用于纸板加工的复合涂胶机
CN214491785U (zh) 一种贴面机的均匀涂胶装置
KR200327130Y1 (ko) 벽지용 풀 및 물 도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