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003B1 -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003B1
KR101546003B1 KR1020140013110A KR20140013110A KR101546003B1 KR 101546003 B1 KR101546003 B1 KR 101546003B1 KR 1020140013110 A KR1020140013110 A KR 1020140013110A KR 20140013110 A KR20140013110 A KR 20140013110A KR 101546003 B1 KR101546003 B1 KR 10154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prepolymer
weight
liquid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575A (ko
Inventor
홍락준
윤형순
편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14001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0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액형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에 있어서,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prepolymer)인 A액과 물, 아민 폴리올, 글리콜류, 염 등이 혼합된 B액으로 두께조절이 가능하고 연속생산이 가능한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Medical Hydrogel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of}
본 발명은 흡수성 및 수분 보유력이 우수한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겔화(gelation)의 안정성이 높아 생산속도가 빠르고 일정 두께로 형성할 수 있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습윤조건에서의 창상 치료는 의료 업계에서는 중요한 사항으로 삼출물이 발생하는 창상에서 삼출물에는 각종 성장인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삼출물은 상처 치유에 도움이 되는 조건을 유지해준다.
이러한 삼출물이 발생하는 창상을 관리하여 치유시키는 것은 매우 힘들며, 그와 반대로 삼출물이 적은 창상에서 중요 사항은 보습이 유지된 상태로 창상을 치유시키려고 하는 것으로 의료 업계에서는 유출성 창상을 청결하고 보습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창상 치료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치료방법은 하이드로겔을 이용하여 창상 삼출물을 흡수하는 치료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보통 하이드로겔은 물을 담지하고 있는 팽윤겔로서, 겔 형성물질인 3차원 그물구조의 폴리머가 매질(물)을 흡수하고 있는 형태의 2성분 계의 집합체이다. 따라서 개방계에서는 용매가 이행(移行), 증산(蒸散)하여 경시변화에 따라 초기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하이드로겔은 생체 겔의 대체물로서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소재로 연질콘택트 렌스, 인공관절 등 생체 대체 소재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의료용 하이드로겔에 대해서는 현재 많은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더 나은 성능을 위해 현재도 개발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5,106,629호에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프리폴리머 12wt%, 프로필렌글리콜 17wt%, 폴리에틸렌옥사이드디아민 9wt%, 식염 1wt%, 물 61wt%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창상치료용 폴리우레탄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제6,861,067호에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프리폴리머 10g과 폴리에틸렌글리콜 10g으로 된 혼합물과 프로필렌글리콜 10g, 폴리에틸렌디아민 0.5g 및 물 30g으로 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주형에 부어 90분간 방치하고 겔화시켜서 폴리우레탄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6,960,625호에는 3개의 수산기를 가지며 에틸렌옥사이드가 75%이고 프로필렌옥사이드가 25%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이고 분자량 7000인 폴리올에 인산 20ppm을 가하고 이 폴리올 1687.47g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65.0g을 70℃에서 14일간 가열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폴리머 5wt%, 물 94.8~94.96wt%, 폴리에틸렌이민 또는 에틸렌디아민 0.2~0.04wt%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화시간 55sec~120sec인 폴리우레탄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들은 폴리우레탄 하이드로겔을 얇은 판상으로 제조하고자 할 경우, 주형에 얇게 부어 일정시간 방치하고 겔화시켜서 얇은 판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조성중 과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대부분 3wt% 이상의 NCO기의 프리폴리머를 사용하여 경화과정에서 생성되는 CO2가 겔화된 하이드로겔 내부에 다량의 기포 형태로 존재하여 투명성을 방해하고, CO2의 자연탈포를 위해 장시간의 반응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몰드(mold) 방식으로 제조하여 연속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본 발명은 NCO기의 비율이 낮은 프리폴리머를 사용하여 경화과정에서 CO2의 발생을 억제하여 하이드로겔의 투명성이 높은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반응시간의 조절을 통해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연속생산이 가능한 의료용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액형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에 있어서,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prepolymer)인 A액과, 물 100중량부에 아민 폴리올(polyol) 20~30중량부, 글리콜류 7~13중량부, 염 0.5~2중량부가 혼합된 B액으로, 상기 A액과 B액을 중량비 5:95 내지 40:60으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액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환상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Cycloaliphatic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 Diisocynate) 중 어느 하나인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가 2~4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polyol)을 혼합하여 형성된 프리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중량비 10:90 내지 30:70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리폴리머(prepolymer)의 점도는 15,000 내지 35,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은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액형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에 있어서,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prepolymer)인 A액과, 물 100중량부에 아민 폴리올(polyol) 20~30중량부, 글리콜류 7~13중량부, 염 0.5~2중량부가 혼합된 B액을 5:95 내지 40:60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물을 시트 상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시트 상에 도포된 혼합물을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형성단계; 상기 일정두께를 갖는 혼합물을 10~90℃에서 30~60분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액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환상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Cycloaliphatic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 Diisocynate) 중 어느 하나인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가 3~5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polyol)을 혼합하여 형성된 프리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10:90 내지 30:70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리폴리머(prepolymer)의 점도는 15,000 내지 35,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은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Mw)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이액형으로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하이드로겔에 관한 것으로 프리폴리머인 A액과 물과 아민 폴리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B액으로 형성된다.
상기 A액은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prepolymer)이며, 상기 프리폴리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환상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Cycloaliphatic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 Diisocynate) 중 어느 하나인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가 3~5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polyol)을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NCO 기가 3.0wt%이상이면 우레탄 결합으로 발생되는 CO2생성이 높아져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의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NCO 기의 함량(wt%)은 역적정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역적정법은 용량 분석에서의 적정법 중 하나로 시료 용액에 표준액의 일정 과잉량을 가하여 충분히 반응시킨 후 나머지 표준액을 별도의 표준액으로 적정하여 문제의 성분량을 간접적으로 구하는 적정법이다.
본 발명은 NCO와 반응하는 디부틸아민(Dibuthylamine : DBA)을 사용하여 반응시키고 남은 양을 통해 역적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OH-)가 2~4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은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PPG),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 PEG)을 에테르 결합(-O-)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14011398203-pat00001
일예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중 상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화학식 1에서와 같이 NCO기를 2개 포함하는 화합물로 수산기가 2~4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과 중량비 10:90 내지 30:70으로 혼합하여 상기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리폴리머(prepolymer)는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의 점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작업성을 위해 15,000 내지 35,000cps의 점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점도가 15,000cps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의 점도가 낮아 두께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점도가 35,000cps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의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프리폴리머의 점도는 15,000 내지 35,000cps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아민 폴리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B액은 물 100중량부에 아민 폴리올(polyol) 20~30중량부, 글리콜류 7~13중량부, 염 0.5~2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아민 폴리올은 상기 A액인 프리폴리머와 함께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글리콜류는 하이드로겔의 보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습성이 있는 글리콜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분자량이 200 이하인 글리콜 및 다가 알코올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글리콜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1,3 부틸렌글리콜(1,3 Butylene glycol), 그 외에 다가 알코올류인 글리세린 (Glycerine), 솔비톨(Sorbitol)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염은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의 흡수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하이드로겔의 농도를 체액과 유사하게 하여 창상 삼출물과 하이드로겔이 유사한 삼투압으로 삼출물의 흡수를 원활하게 해준다.
상기 염은 삼투압을 발생시키는 염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하이드로겔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곰팡이제 등의 기능성 물질을 더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리폴리머인 A액의 함량에 따라 겔화(gelation)시간 및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리폴리머인 A액의 함량이 20중량%이상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프리폴리머인 A액과, 물과 아민 폴리올을 함유하는 B액은 중량비 5:95 내지 40:60으로 혼합되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인 A액과 아민 폴리올을 함유하는 B액은 우레탄 결합으로 발생되는 CO2생성을 최소화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하고 하이드로겔 투명성을 높이고, 높은 점도의 프리폴리머를 사용하여 두께 형성 및 조절이 가능하며, 아민폴리올과 염을 사용하여 흡수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으로 형성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혼합단계, 도포단계, 두께형성단계, 경화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는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prepolymer)인 A액과, 물 100중량부에 아민 폴리올(polyol) 20~30중량부, 글리콜류 7~13중량부, 염 0.5~2중량부가 혼합된 B액을 5:95 내지 40:60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A액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환상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Cycloaliphatic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 Diisocynate) 중 어느 하나인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가 3~5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polyol)을 혼합되어 형성된 프리폴리머인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10:90 내지 30:70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프리폴리머(prepolymer)의 점도는 15,000 내지 35,000cps이며, 상기 염은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시트 상에 도포하는 단계이고, 상기 두께형성단계는 상기 시트 상에 도포된 혼합물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경화단계는 상기 일정두께를 갖는 혼합물을 10~90℃에서 30~60분간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을 연속공정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주형(토출)기 10를 이용하여 상기 A액과 B액을 혼합시키는 혼합단계 후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기타 플렉시블 필름(Flexible film)20에 하이드로겔 100을 도포하는 도포단계를 실시하고, 도포시 일정 두께로 하이드로겔을 형성시키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원형 롤(roll)을 통과시켜 일정 두께로 형성하는 두께 형성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일면에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 200을 더 부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시트 20에서 약 30~60분 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가 완료되며 롤 형태로 감아서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시 온도는 상온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25℃ 기준으로 높으면 경화가 빠르게 되고, 낮을 경우 1℃에 1~2분가량 지연된다.
상기 프리폴리머인 A액의 경우 15,000cps 이상의 고점도로써 B액과 혼합된 후 도포 되었을 때 액의 흐름성이 낮아 시트에서 두께의 변화가 없게 된다. 20,000cps 이상의 고점도를 주형기 10에 사용할 때는 대략 40~90℃로 승온하여 점도를 3,000~5,000cps까지 낮춘 후 기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온도를 올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하이드로겔은 NCO기의 함량이 낮은 프리폴리머를 사용하여 경화과정에서 CO2의 발생을 억제하여 하이드로겔의 투명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하이드로겔은 증점제 없이 프리폴리머의 높은 점도를 이용하여 하이드로겔 두께 형성하는 것으로 공정을 단순화와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하이드로겔은 몰드형태가 아닌 롤형태로 1mm 이상의 하이드로겔 제조에 유리한 방법으로 두께가 두꺼울 경우 쿠션효과에 의한 통증완화 및 상처 보호와 단위면적당 흡수하는 체액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의료용 하이드로겔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A액 :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가 3개를 갖는 분자량 3,500인 폴리올을 중량비 12.5:87.5로 혼합하여 형성된 NCO 기가 2.0wt%이고, 점도가 약 20,000cps인 프리폴리머를 사용하였다.
B액 : 물 100중량부에 분자량 2,000의 아민 폴리올, 항곰팡이제 0.15중량부, 1,3 부틸렌글리콜을 1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 NCO 함량, 프리폴리머의 점도, A액과 B액의 혼합비율, 아민 폴리올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NCO wt% 2.0 3.0 4.0
점도(cps) 26,000 12,000 3,500
A/B 비율 3/7 3/7 1/9 3/7 3/7 1/9 3/7 3/7 1/9
아민 폴리올 0 15 15 0 15 15 0 15 15
* A/B 비율은 중량비에 따른 비율임
* 점도(cps)는 프리폴리머의 점도임
상기와 같은 A액과 B액을 도 2와 같이 주형(토출)기 10를 이용하여 상기 A액과 B액을 혼합시키는 혼합단계 후 폴리우레탄 필름 20에 하이드로겔을 도포하는 도포단계를 실시하고, 도포시 일정 두께를 맞추기 위하여 원형 롤(roll)을 통과시켜 2㎜의 두께로 형성하는 두께형성단계를 실시하고, 하이드로겔 일면에 이형필름 또는 이형지 200을 더 부착시켰다.
상기 단계 이후에는 20℃에서 약 30분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9의 겔형성, 투명성, 두께형성을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겔형성은 A액과 B액을 혼합한 후 하이드로겔이 형성되는 것을 뜻하며, 투명성은 육안으로 형성된 하이드로겔의 투명성을 판단하였으며, 5×5 cm 하이드로겔 sheet 에 0.1~1mm 기포가 10개 이상은 투명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두께형성은 하이드로겔의 두께가 2㎜를 기준으로 시트 원단의 10곳의 두께를 측정하여 0.2mm 이상 차이가 날 경우 두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여 하이드로겔 sheet가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겔형성 ×
투명성 - × × × ×
두께형성 - × × × × × ×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하이드로겔이 형성되지 않았다. 즉, NCO 기가 2.0wt%일 경우 A액과 B액의 혼합비가 1/9일 때는 하이드로겔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투명도는 실시예 1,2, 5,6의 경우를 제외하고 투명도가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NCO 기가 3.0wt% 이상일 경우 하이드로겔 형성시 CO2생성이 많아 투명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NCO 기가 3.0wt%미만이거나, 프리폴리머 점도가 낮은 상태인 12,000인 경우에는 CO2생성이 억제되어 투명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께형성은 실시예 1, 2의 경우를 제외하고 하이드로겔의 두께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프리폴리머 점도가 낮을 경우에는 도포하는 도포단계에서 하이드로겔의 점도가 낮아 두께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NCO wt% 측정방법
NCO기가 2.0wt%인 프리폴리머의 NCO의 함량은 역적정법으로 측정하였다. NCO 측정방법의 역적정법은 아래와 같이 측정한다.
1.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을 아래 표 3의 양에 맞추어 채취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이론 NCO wt% 20 wt% 이상 15~20 wt% 10~15 wt% 10 wt% 이하
sample 채취량 0.5~0.7g 1g(1~2) 2g 3~5g
2. Hole pipet 을 사용하여 2N DBA 용액 10ml 을 삼각플라스크에 넣어 채취한 sample을 완전히 용해시킨다.
3. 용해 후 IPA(isopropyl alcohol, 시약 1급 이상)을 25ml 투입하여 용해시킨다.
4. 지시약(Bromophenol blue)을 2-3방울 가한 후, HCl(O.5N)적정액을 dropping 한다.
5. 정 색에서 황녹색이 될 때까지 end point(종일접)으로 잡는다 (최초 색이 변한 이후 양을 기록하고 몇 방울 더 넣어 변화하는지 확인한다.
NCO%=(2.101 x f x (BL-SM))/W
f : 0.5N HCl의 factor
W : 투입된 sample의 양(g)
BL : 공시형에서 소비된 0.5N HCl의 양(ml)
SM : 본 시험에 소비된 0.5N HCl의 양(ml)
◈ 의료용 하이드로겔의 물성 평가방법 및 결과
1. 물성 평가방법
1) 초기경화속도 측정방법
표면에 막이 형성되는 시점을 측정하는 것으로 A액과 B액을 교반하여 1mm의 틀에 붓고 표면이 경화되어 2~3가닥의 표면껍질이 올라오는 시점까지의 시간(min)을 측정한다.
2) 흡수도 측정방법
200g의 물에 하이드로겔을 2cm x 2cm 크기로 잘라 최초 무게를 측정하고 침지시켜 24시간 이후에 하이드로겔의 무게를 측정하여 아래의 수식으로 흡수도를 측정한다.
흡수도(%) = (H2 - H1)/H1 x100
H1: 초기 하이드로겔 무게
H2: 24시간 이후 하이드로겔의 무게(H2)
3) 용출 pH 측정방법
하이드로겔 1g에 증류수(20ml + 하이드로겔 1g의 흡수할 수 있는 양)에 침지시키고 3일간 120rpm, 37℃ 셰이커(shaker)에 용출한 후 0.1wt% KCl 용액 1ml를 첨가하여 pH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2. 하이드로겔의 물성 결과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초기경화속도, 용출pH, 흡수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초기경화(min) 7 12 - 5 7 10 4 5 7
용출pH 7.54 7.55 - 7.42 7.59 7.58 7.24 7.26 7.67
흡수도(%) 80.9 235.1 - 261.1 262.5 159.5 223.5 253.4 160.9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출 pH는 모두 중성으로 측정되었으며, 두께를 형성할 수 있는 실시예 1, 2의 경우에서, 실시예 1은 아민 폴리올이 첨가되지 않아 흡수도가 매우 낮아서 의료용으로 사용이 적합하지 않으며, 실시예 2는 흡수도가 높아 의료용 하이드로겔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10 : 주형기 20 :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기타 플렉시블 필름
100 : 하이드로겔 200 : 이형필름

Claims (10)

  1. 이액형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에 있어서,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prepolymer)인 A액과,
    물 100중량부에 아민 폴리올(polyol) 20~30중량부, 글리콜류 7~13중량부, 염 0.5~2중량부가 혼합된 B액으로,
    상기 A액과 B액을 중량비 5:95 내지 40:60으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액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환상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Cycloaliphatic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 Diisocynate) 중 어느 하나인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가 2~4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polyol)을 혼합하여 형성된 프리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중량비 10:90 내지 30:70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prepolymer)의 점도는 15,000 내지 35,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6. 이액형으로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제조방법에 있어서,
    NCO 기가 1.0 이상 3.0wt%미만인 프리폴리머(prepolymer)인 A액과, 물 100중량부에 아민 폴리올(polyol) 20~30중량부, 글리콜류 7~13중량부, 염 0.5~2중량부가 혼합된 B액을 5:95 내지 40:60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물을 시트 상에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시트 상에 도포된 혼합물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형성단계;
    상기 일정두께를 갖는 혼합물을 10~90℃에서 30~60분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액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환상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Cycloaliphatic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 Diisocynate) 중 어느 하나인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가 3~5개를 갖는 분자량 1,000~9,000인 폴리올(polyol)을 혼합하여 형성된 프리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10:90 내지 30:70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prepolymer)의 점도는 15,000 내지 35,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염화칼슘(CaCl2)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방법.
KR1020140013110A 2014-02-05 2014-02-05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4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110A KR101546003B1 (ko) 2014-02-05 2014-02-05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110A KR101546003B1 (ko) 2014-02-05 2014-02-05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75A KR20150092575A (ko) 2015-08-13
KR101546003B1 true KR101546003B1 (ko) 2015-08-21

Family

ID=5405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110A KR101546003B1 (ko) 2014-02-05 2014-02-05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962B1 (ko) * 2017-12-27 2020-06-10 주식회사 티앤엘 개선된 점착성을 가진 하이드로겔 드레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50B1 (ko) 2009-11-05 2012-02-13 권수안 의료용 폴리우레탄 하이드로겔 제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50B1 (ko) 2009-11-05 2012-02-13 권수안 의료용 폴리우레탄 하이드로겔 제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75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66C (zh) 制造软泡沫塑料的方法
US5728762A (en) Polyether polyurethane polymers, gels, solutions and uses thereof
US6617014B1 (en) Foam composite
CN110099941A (zh) 发泡体以及发泡体用组合物
JPH07505921A (ja) 所定分子量レンジの分子を透過させるためのコポリマー及びそれらの非細孔性,半透過性膜並びにその使用
RU2008143912A (ru) Полиуретановые пены для обработки ран
KR101500987B1 (ko)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US5932200A (en) Polyether polyurethane polymers, gels, solutions and uses thereof
JP6043796B2 (ja) プロペラントガス溶解性が改善された速硬化性スプレーフォームのためのα−アルコキシシラン末端化プレポリマー
US20150284499A1 (en) Alkoxysilane-terminated prepolymer based on polyether carbonate polyols, for spray foams
EP1857274B1 (en) Wet lubricant surface coating having excellent durability, method for surface coating, and a medical device having the surface coating
KR100832009B1 (ko)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67663A (ja) 2液型接着剤
KR101546003B1 (ko) 의료용 하이드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201955A (ja) ポリウレタンゲルの製造方法及び電極用パッドの製造方法
CN111363186A (zh) 聚氨酯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伤口敷料中的应用
CN102971353A (zh) 制备具有低容积密度的亲水性脂族聚氨酯泡沫的方法
CN112266454B (zh) 一种端羟基聚合物在制备多功能聚氨酯软泡敷料中的应用
KR20190071346A (ko) 상처치료용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1933486B1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26607B2 (ko)
KR100846141B1 (ko) 의료용 폴리우레탄하이드로겔 제조용 조성물 및 이조성물로 폴리우레탄하이드로겔 필름을 연속적으로제조하는 방법
US20140234283A1 (en) Fast-curing alkoxysilane spray foams
JP5377380B2 (ja) 電極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310497A (zh) 负压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