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517B1 -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517B1
KR101545517B1 KR1020130135469A KR20130135469A KR101545517B1 KR 101545517 B1 KR101545517 B1 KR 101545517B1 KR 1020130135469 A KR1020130135469 A KR 1020130135469A KR 20130135469 A KR20130135469 A KR 20130135469A KR 101545517 B1 KR101545517 B1 KR 10154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cyclic
group
linear
compound
polycyc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247A (ko
Inventor
고혜진
김기용
이진우
함효균
이주동
Original Assignee
희성소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소재 (주) filed Critical 희성소재 (주)
Publication of KR2014006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11월 9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2-0126834 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전계 발광 소자는 자체 발광형 표시 소자의 일종으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박막을 배치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유기발광소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2개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박막에서 결합하여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이 발하게 된다. 상기 유기박막은 필요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기박막의 재료로는 필요에 따라 발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유기박막 재료로는 그 자체가 단독으로 발광층을 구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호스트-도펀트계 발광층의 호스트 또는 도펀트 역할을 할 수 있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유기박막의 재료로서, 정공주입, 정공수송, 전자블록킹, 정공블록킹, 전자수송 또는 전자주입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성능, 수명 또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기박막의 재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로서,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수송층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4 및 R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 C3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유기발광소자의 전자수송층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발광소자의 성능 또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은 형광 발광층을 이용하는 유기발광소자와 인광 발광층을 이용하는 유기발광소자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전극과 유기물층의 적층순서를 예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실험예의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전압에 따른 전력효율, 휘도에 따른 전력효율 및 구동전압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17은 화합물의 CV 측정 결과 도출된 Eox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화합물의 LUMO값 계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8은 화합물들의 저온 PL nmax 측정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화합물들의 T1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코어 구조의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전자수송층 재료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코어 중심의 비편제화된 아릴, 즉 페닐기 양 옆에 이미다졸기가 배치됨에 의하여, 종래의 전자수송층 재료로서 많이 사용되어 온 벤즈이미다졸 구조와 같은 전자당김 치환기보다 강한 전자 당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음극 또는 전자주입층으로부터 들어오는 전자를 손쉽게 얻을 수 있어,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전압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으로 들어온 전자는 상기 화학식 1의 R1 내지 R4의 다양한 치환기, 특히 아릴이나 헤테로아릴과 같은 치환기를 통하여 안정화된 후 발광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자수송층의 HOMO 및 LUMO 중 전자가 이동하는 LUMO의 절대값이 발광층의 LUMO의 절대값에 비하여 과도하게 낮으면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되고, 과도하게 높으면 구동전압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LUMO의 절대값이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발광층, 특히 형광 발광층의 LUMO의 절대값 값과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소자의 수명 및 구동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LUMO 값은 -2.3 내지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T1값은 1.9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T1값은 2.3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T1값은 2.3 이상 2.9 이하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T1 값이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인광 발광체의 T1 스테이트에 전자를 주기에 용이하다. 여기서 T1 값은 저온 PL nmax 값을 통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T1 값은 장비 HITACHI-F7000, 온도 -196℃(77K), 희석액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계산식 [T1(eV) = 1240/ PL 최단 피크 파장(nm)]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카바졸 코어를 갖는 인광 발광체의 T1 값은 2.83, 트리페닐렌 코어를 갖는 인광 발광체의 T1값은 2.86이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은 인광발광층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도, 발광층에 전자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층간의 계면 특성은 소자 제작 후 그 유기물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제대로 발현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증착 후 그 상부에 증착되는 유기물층, 예컨대 준자주입층과의 계면 밀착성이 우수하여 전자 전달력이 우수하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할로겐은 F, Cl, Br 및 I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60의 직쇄 또는 분지쇄를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킬의 탄소수는 1 내지 60, 구체적으로 1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알케닐은 탄소수 2 내지 60의 직쇄 또는 분지쇄를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알케닐의 탄소수는 2 내지 60, 구체적으로 2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2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알키닐은 탄소수 2 내지 60의 직쇄 또는 분지쇄를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키닐의 탄소수는 2 내지 60, 구체적으로 2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2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시클로알킬은 탄소수 3 내지 60의 단환 또는 다환을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다환이란 시클로알킬이 다른 고리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축합된 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고리기란 시클로알킬일 수도 있으나, 다른 종류의 고리기, 예컨대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등일 수도 있다. 시클로알킬의 탄소수는 3 내지 60, 구체적으로 3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5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헤테로원자로서 S, O 또는 N을 포함하고, 탄소수 2 내지 60인 단환 또는 다환을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다환이란 헤테로시클로알킬이 다른 고리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축합된 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고리기란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도 있으나, 다른 종류의 고리기, 예컨대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등일 수도 있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의 탄소수는 2 내지 60, 구체적으로 2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아릴은 탄소수 6 내지 60의 단환 또는 다환을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다환이란 아릴이 다른 고리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축합된 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고리기란 아릴일 수도 있으나, 다른 종류의 고리기, 예컨대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아릴 등일 수도 있다. 아릴의 탄소수는 6 내지 60, 구체적으로 6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6 내지 20일 수 있다.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안트릴, 크라이세닐, 페난트레닐, 트리페닐레닐, 파이레닐, 테트라세닐, 펜타세닐 등이나 이들의 축합고리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헤테로아릴은 헤테로원자로서 S, O 또는 N을 포함하고, 탄소수 2 내지 60인 단환 또는 다환을 포함하며, 다른 치환기에 의하여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다환이란 헤테로아릴이 다른 고리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축합된 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고리기란 헤테로아릴일 수도 있으나, 다른 종류의 고리기, 예컨대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등일 수도 있다. 헤테로아릴의 탄소수는 2 내지 60, 구체적으로 2 내지 40,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20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롤릴, 푸라닐, 티에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푸라자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디티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디닐, 파이라닐, 티오파이라닐, 디아지닐, 옥사지닐, 티아지닐, 디옥시닐, 트리아지닐, 테트라지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아크리디닐, 페난트리디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트리아자인덴, 나프티리디닐 등이나 이들의 축합고리가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환 또는 비치환"이란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키닐,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케닐,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키닐,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케닐옥시, C2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키닐옥시, C3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시클로알킬,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시클로알킬,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시클로알킬,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옥시, 및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옥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추가의 치환기들은 추가로 더 치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는 고리기, 예컨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내지 R4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족 고리기, 예컨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과 R2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과 R2가 동일하고, R3과 R4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내지 R4 중 하나 이상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인 경우, 이 아릴은 방향족 고리를 1 내지 5, 구체적으로 1 내지 3개 포함할 수 있다. 이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1-나프틸, 2-나프틸, 파이레닐, 페난트레닐, 안트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내지 R4 중 하나 이상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인 경우, 이 헤테로아릴은 고리원으로서 N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고리원으로서 N을 1 내지 3개 포함할 수 있다. 이 헤테로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리디닐, 트리아자인데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페난트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및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이고, R3 및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이다. 여기서,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1-나프틸, 2-나프틸, 파이레닐, 페난트레닐, 안트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및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이고, R3 및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이다. 여기서,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1-나프틸, 2-나프틸, 파이레닐, 페난트레닐, 안트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헤테로아릴은 고리원으로서 N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구체적으로, 고리원으로서 N을 1 내지 3개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더욱 구체적으로 피리디닐, 트리아자인데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페난트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및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이고, R3 및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 바이페닐, 1-나프틸, 2-나프틸, 파이레닐, 페난트레닐, 안트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헤테로아릴은 고리원으로서 N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구체적으로, 고리원으로서 N을 1 내지 3개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더욱 구체적으로 피리디닐, 트리아자인데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페난트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및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이고, R3 및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이다. 여기서, 헤테로아릴은 고리원으로서 N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구체적으로, 고리원으로서 N을 1 내지 3개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더욱 구체적으로 피리디닐, 트리아자인데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페난트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내지 R4 중 하나 이상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인 경우 이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예컨대, R1 내지 R4 중 어느 하나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인 경우 이는 할로겐, 니트릴, C1 내지 C60의 알킬, C1 내지 C60의 알콕시, C1 내지 C60의 할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60의 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0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에 치환되는 치환기가 할로겐인 경우, 이는 F일 수 있다.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에 치환되는 치환기가 할로알킬인 경우, 이는 1 내지 3개의 F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F3 또는 CF3로 치환된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에 치환되는 치환기가 아릴인 경우, 이는 페닐, 바이페닐, 1-나프틸, 2-나프틸, 파이레닐, 페난트레닐, 안트릴 등일 수 있다. 이들은 추가로,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에 치환되는 치환기가 헤테로아릴인 경우, 이는 고리원으로서 N을 1 내지 3개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환기가 헤테로아릴인 경우, 이는 피리디닐, 트리아자인데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나프티리디닐,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페난트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등일 수 있다. 이들은 추가로,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3 및 R4는 할로겐, 시아노,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3 및 R4는 할로겐, 시아노,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페닐,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 안트릴 및 N 함유 헤테로아릴 중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3 및 R4는 할로겐, 시아노,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페닐, 나프틸, 피리딜, 피리미딜, 트리아지닐 중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및 R2는 할로겐, 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및 R2는 할로겐, 알킬, 페닐,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릴, 및 N 함유 헤테로아릴 중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및 R2는 할로겐, 알킬, 페닐, 나프틸, 안트릴, 9,10-디페닐안트릴, 9,10-디나프틸안트릴 중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내지 R4 중 하나 이상이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6원 아릴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인 경우, 상기 치환기 중 1 이상은 상기 코어 구조에 대하여 파라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의 구조식들로 나타내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2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3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4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5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6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7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8
Figure 112013101926591-pat00009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0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1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2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3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4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5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6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7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8
Figure 112013101926591-pat00019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0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1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2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3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후술하는 제조예를 기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본 발명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전극과 유기물층의 적층 순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될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며,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유기발광소자의 구조가 본 발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기판(100) 상에 양극(200), 발광층(303), 전자수송층(304) 및 음극(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유기발광소자가 도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와 같이, 기판 상에 음극, 전자수송층, 발광층 및 양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유기발광소자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유기물층이 다층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정공주입층(301), 정공수송층(302), 발광층(303), 전자수송층(304) 및 전자주입층(305)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적층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은 생략될 수도 있고, 필요한 다른 기능층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을 포함하고, 전자수송층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재료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형광 발광층일 수도 있고, 인광 발광층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유기발광소자의 유기물층 중 1층 이상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유기물층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유기발광소자의 전자수송재료, 전자주입재료 또는 전자 수송 및 주입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기발광소자의 성능 또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양쪽으로 축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자수송 재료로서 적절한 HOMO, LUMO, 밴드갭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의 재료를 하기에 예시하지만, 이들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재료들로 대체될 수 있다.
양극 재료로는 비교적 일함수가 큰 재료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투명 전도성 산화물, 금속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 재료로는 비교적 일함수가 낮은 재료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금속, 금속 산화물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공주입재료로는 공지된 정공주입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356,429호에 개시된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또는 문헌 [Advanced Material, 6, p.677 (1994)]에 기재되어 있는 스타버스트형 아민 유도체류, 예컨대 TCTA, m-MTDATA, m-MTDAPB, 용해성이 있는 전도성 고분자인 Pani/DBSA(Polyaniline/Dodecylbenzenesulfonic acid: 폴리아닐린/도데실벤젠술폰산)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Pani/CSA(Polyaniline/Camphor sulfonic acid:폴리아닐린/캠퍼술폰산) 또는 PANI/PSS(Polyaniline)/Poly(4-styrene-sulfonate):폴리아닐린)/폴리(4-스티렌술포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공수송재료로는 피라졸린 유도체, 아릴아민계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트리페닐디아민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저분자 또는 고분자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주입재료로는 예를 들어, LiF가 당업계 대표적으로 사용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재료로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 발광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2 이상의 발광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재료로서 형광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인광 재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발광재료로는 단독으로서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각각 주입된 정공과 전자를 결합하여 발광시키는 재료가 사용될 수 도 있으나,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가 함께 발광에 관여하는 재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이 인광 도펀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인광 도펀트 재료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LL'MX, LL'L"M, LMXX', L2MX 및 L3M로 표시되는 인광 도펀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L, L', L", X 및 X'는 서로 상이한 2좌 배위자이고, M은 8 면상 착체를 형성하는 금속이다.
M은 이리듐, 백금, 오스뮴 등이 될 수 있다.
L은 sp2 탄소 및 헤테로 원자에 의하여 M에 배위되는 음이온성 2좌 배위자이고, X는 전자 또는 정공을 트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L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2-(1-나프틸)벤조옥사졸, (2-페닐벤조옥사졸), (2-페닐벤조티아졸), (2-페닐벤조티아졸), (7,8-벤조퀴놀린), (티에닐피리진), 페닐피리딘, 벤조티에닐피리진, 3-메톡시-2-페닐피리딘, 티에닐피리진, 톨릴피리딘 등이 있다. X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아세틸아세토네이트(acac), 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토네이트, 살리실리덴, 피콜리네이트, 8-히드록시퀴놀리네이트 등이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하기에 표시하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4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화합물 1의 제조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5
화합물 1-1 의 제조
에탄올 18mL에 아닐린 5.97g(64.1mmol)을 희석시킨 후, 화합물 1,5-디클로로-2,4-디니트로벤젠 3.8g(16.03mmol)을 넣어 녹인 다음 8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실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H2O 120mL에 천천히 넣어 2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H2O를 사용하여 씻어주어 화합물 1-1 5.5g (97%)을 얻었다.
화합물 1-2 의 제조
화합물 1-1 5.5g(15.70mmol)와 Pd/C 0.08g(0.78mmol)을 에탄올 200mL에 넣은 후 히드라진 일수화물 12.57g(251.19mmol)과 1.2M HCl 110mL(125.59mL)를 넣어 녹인 다음 80℃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실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용매를 제거하여 화합물 1-2를 얻고, 바로 다음 반응으로 진행하였다.
화합물 1 의 제조
화합물 1-2 4.56g(15.70mmol)을 THF 150mL에 녹인 후 2-나프탈렌카보닐 클로라이드 8.98g(47.1mmol)과 Na2CO3 16.64g(157.0mmol) 넣은 다음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아세트산(Acetic acid) 400mL를 천천히 넣은 후 110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아세트산의 양은 유지해주었다. 반응이 완결되면 아세트산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천천히 10% NaOH용액에 넣어주었다. 이렇게 생긴 고체를 여과하여 10%NaOH와 H2O를 사용하여 씻어 준 후 EA를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화합물 1 4g을 얻었다.
[제조예 2] 화합물 193의 제조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6
화합물 1-1 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2 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193 의 제조
제조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화합물 1-2 4.56g(15.70mmol)와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9-Phenanthrenecarboxaldehyde, R1'-CHO) 3.56g(17.27mmol)을 2-메톡시에탄올(2-methoxyethanol)(60mL)에 녹인 후 48 시간 동안 질소 기류 하에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되면 2-메톡시에탄올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염수(brine) 수용액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CH2Cl2:Hexane(1:1)을 이용하여 컬럼하여 화합물 193 4.3g을 얻었다.
[제조예 3 내지 13] 화합물 86, 116, 146, 184, 219, 253, 304 내지 308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3 86 5-메틸-2-피리딘카르알데하이드
4 116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5 146 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6 184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7 219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8 253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9 304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10 305 4-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11 306 1-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12 307 2-퀴놀린카복스알데하이드
13 308 2-페닐퀴놀린-4-카보닐클로라이드
[제조예 14 내지 16] 화합물 2, 23, 213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6-메틸-3-피리딘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4 2 벤즈알데하이드
15 23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16 213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17, 18] 화합물 10, 15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6-페닐피리딘-3-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7 10 벤즈알데하이드
18 155 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19 내지 23] 화합물 14, 41, 100, 160, 230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4-퀴나졸린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4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9 14 벤즈알데하이드
20 41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21 100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22 160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23 230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24 내지 30] 화합물 16, 45, 103, 163, 198, 232, 29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4-퀴나졸린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5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24 16 벤즈알데하이드
25 45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26 103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27 163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28 198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29 232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30 295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31 내지 35] 화합물 18, 171, 206, 275, 298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이미다조[1,2-a]피리딘-3-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6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31 18 벤즈알데하이드
32 171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33 206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34 275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35 298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36, 37] 화합물 21, 24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3-피리딘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7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36 21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37 245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38 내지 42] 화합물 26, 62, 89, 123, 250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5-시아노피리딘-2-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8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38 26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39 62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40 89 5-메틸-2-피리딘카르알데하이드
41 123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42 250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43, 44] 화합물 30, 286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5-메톡시피리딘-2-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9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43 30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44 286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45, 46] 화합물 33, 92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0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45 33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46 92 5-메틸-2-피리딘카르알데하이드
[제조예 47] 화합물 3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1,1'-비페닐]-4-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1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47 35 2-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48 내지 51] 화합물 39, 127, 158, 22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3,3'-비피리딘]-6-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2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48 39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49 127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50 158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51 225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52 내지 55] 화합물 46, 104, 131, 164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1,8-나프틸리딘-2-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3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52 46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53 104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54 131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55 164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56 내지 62] 화합물 48, 107, 132, 166, 201, 235, 270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2-나프탈렌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4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56 48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57 107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58 132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59 166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60 201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61 235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62 270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63 내지 65] 화합물 50, 109, 168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이미다조[1,2-a]피리딘-2-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5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63 50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64 109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65 168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66, 67] 화합물 54, 241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이미다조[1,2-a]피리딘-5-아민을 이용하고,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R1'-CHO) 대신 하기 표 16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66 54 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67 241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68, 69] 화합물 60, 119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5-플루오로-2-피리딘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7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68 60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69 119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제조예 70 내지 71] 화합물 61, 186, 221, 25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6-메톡시-3-피리딘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8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70 61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71 186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72 221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73 255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74 내지 78] 화합물 64, 153, 189, 224, 258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19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74 64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75 153 3-플루오로-6-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76 189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77 224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78 258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79 내지 81] 화합물 68, 99, 263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2,2'-비피리딘]-5-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0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79 68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80 99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81 263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82, 83] 화합물 70, 19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7-퀴나졸린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1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82 70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83 195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84 내지 86] 화합물 74, 204, 238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4-메톡시벤젠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2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84 74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85 204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86 238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87] 화합물 76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이미다조[1,5-a]피리딘-6-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3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87 76 4-메틸벤즈알데하이드
[제조예 88 내지 91] 화합물 77, 137, 175, 210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2-피리딘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4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88 77 5-메틸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89 137 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90 175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91 210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92 내지 94] 화합물 79, 139, 177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5-메틸-2-피리딜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5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92 79 5-메틸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93 139 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94 177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95 내지 99] 화합물 82, 180, 215, 249, 281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6-플루오로피리딘-3-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6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95 82 5-메틸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96 180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97 215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98 249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99 281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100 내지 102] 화합물 84, 120, 144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4-메톡시페닐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7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00 84 5-메틸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101 120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102 144 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103, 104] 화합물 96, 192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5-페닐-2-피리딘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8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03 96 5-메틸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104 192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105, 106] 화합물 97, 157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4'-플루오로-4-비페닐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29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05 97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106 157 6-플루오로피리딘-3-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107, 108] 화합물 111, 134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이미다조[1,2-a]피리딘-2-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0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07 111 6-메틸-3-피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108 134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제조예 109 내지 110] 화합물 150, 182, 217, 283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2-시아노-5-아미노피리딘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1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09 150 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스알데하이드
110 182 2-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111 217 6-페난트리딘카복스알데하이드
112 283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113, 114] 화합물 200, 234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1,8-나프틸리딘-4-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2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13 200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114 234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115] 화합물 26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8-퀴나졸린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3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15 265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116] 화합물 271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이미다조[1,2-a]피리미딘-3-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4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16 271 4-파이렌카복스알데하이드
[제조예 117] 화합물 285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4-플루오로벤젠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5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17 285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118] 화합물 300의 제조
제조예 2의 반응식에서 R3'-NH2로 표시된 물질로서 아닐린 대신 이미다조[1,2-a]피리딘-7-아민을 이용하고, R1'-CHO로 표시된 물질로서 9-페난트렌카복스알데하이드 대신 하기 표 36의 화합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No. 화합물 No. R1'-CHO
118 300 페난트리딘-8-카바알데히드
[제조예 119] 화합물 309의 제조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7
화합물 309-1 의 제조
에탄올 100mL에 1-나프탈렌아민 12.08g(84.39mmol)을 희석시킨 후, 화합물 1,5-디클로로-2,4-디니트로벤젠 10g(42.39mmol)을 넣어 녹인 다음 8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실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H2O 200mL에 천천히 넣어 2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H2O를 사용하여 씻어주어 화합물 309-1 13.7g (95%)을 얻었다.
화합물 309-2 의 제조
에탄올 100mL에 아닐린 15mL(164.55mmol)을 희석시킨 후, 화합물 309-1 14.4g(41.14mmol)을 넣어 녹인 다음 8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실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H2O 120mL에 천천히 넣어 2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H2O를 사용하여 씻어주어 화합물 309-2 15.3g (93%)을 얻었다.
화합물 309-3 의 제조
화합물 309-2 2.86g(7.14mmol)를 EA 500mL에 녹인 후, Ethanol 40mL를 넣는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Pd/C 0.3g을 넣고 진공 상태로 만든 후 H2 가스를 주입한다.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 반응이 종결되면 celite를 사용하여 여과한다. 용매 제거 후, 에탄올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309-3 1.58g(65%)를 얻었다.
화합물 309-4 의 제조
2-나프탈렌카보닐 클로라이드 2.65g(13.92mmol)을 MC(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화합물 309-3 1.58g(4.64mmol)을 넣는다. 트리에틸아민 30mL를 천천히 넣고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한다. 물을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고체를 여과하여 화합물 309-4 2.75g(91.3%)를 얻었다.
화합물 309 의 제조
화합물 309-4 2.75g(4.24mmol)을 1,4-디옥산 30mL에 녹인 후, 천천히 POCl3 1.6mL(16.95mmol)을 넣고 100oC에서 12시간 환류한다. 물을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MC를 사용하여 추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CH2Cl2:헥산 (1:1)을 이용하여 컬럼하여 화합물 309 2.1g(80.8%)를 얻었다.
[제조예 120] 화합물 310의 제조
제조예 119에서 1-나프탈렌아민 대신 5-퀴놀린아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121] 화합물 311의 제조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8
화합물 311-1 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311-2 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311-3 의 제조
2-나프탈렌카보닐 클로라이드 2.13g(11.19mmol)을 MC에 녹인 후, 화합물 311-2 6.5g(22.39mmol)을 넣는다. 트리에틸아민 1.56mL(11.19mmol)를 천천히 넣고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한다. 물을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MC를 사용하여 추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EA(에틸아세테이트):헥산 (1:3)을 이용하여 컬럼하여 화합물 311-3 7.46g(75%)를 얻었다.
화합물 311-4 의 제조
4-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0.74g(3.37mmol)을 MC에 녹인 후, 화합물 311-3 1g(2.25mmol)을 넣는다. 트리에틸아민 0.47mL(3.37mmol)를 천천히 넣고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물을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EA:헥산 (1:3)을 이용하여 컬럼하여 화합물 311-4 0.8g(63%)를 얻었다.
화합물 311-5 의 제조
화합물 311-4 0.8g(1.27mmol)을 1,4-디옥산 10mL에 녹인 후, 천천히 POCl3 0.47mL(5.09mmol)을 넣고 100℃에서 12시간 환류한다. 물을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MC를 사용하여 추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EA:Hexane(3:1)을 이용하여 컬럼하여 화합물 311-5 0.58g(72.9%)를 얻었다.
화합물 311 의 제조
화합물 311-5 0.6g(1.01mmol), 2-(9,10-디(나프탈렌-2-yl)안트라센-2-일)-4,4,5,5-테트라에틸-1,3,2-디옥사보로렌 0.73g(1.32mmol), K2CO3 0.42g(3.04mmol), Pd(PPh3)4 0.06g(0.05mmol)을 톨루엔/에탄올/H2O에 용해시켜 100℃에서 12시간 환류시켰다. 물을 사용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MC를 사용하여 추출 후, MgSO4로 수분을 제거하고 EA:MC(1:8)을 이용하여 컬럼하여 화합물 311 1.83g(63%)를 얻었다.
화합물을 제조한 결과를 하기 표 37에 기재하였다.
화합물 No. Found calculated
1 δ= 8.23(1H,s), 8.09(2H,d), 7.92-7.88(5H, m), 7.80~7.78(2H,d), 7.67-7.65(2H,d), 7.58-7.50(10H,m), 7.49-7.47(4H,m), 562.66 562.22
2 δ= 8.41(2H,d), 8.28(4H,t), 8.08-8.01(2H,t), 7.97-7.90(4H,d), 7.70(2H, s), 7.51(4H,t), 7.41-7.40(4H,m). 464.52 464.17
10 δ= 8.33(2H,s), 8.30(4H,d), 8.28(4H,d), 7.97-7.90 (4H,m), 7.70(2H, s), 7.54(4H,t), 7.51 (4H,t), 7.47-7.41 (4H,m). 616.71 616.24
14 δ= 8.36(2H,s), 8.28(4H,d), 8.16(2H,d), 8.05 (4H,t), 7.80(2H, t), 7.70(2H, s), 7.51-7.41 (6H,m). 566.61 566.20
16 δ= 8.91(2H,s), 8.28-8.21(6H,m), 7.92 (2H,d), 7.70(2H, s), 7.51(4H,t), 7.49 (2H,d), 7.42-7.41(6H,m). 564.64 564.21
18 δ= 8.48(2H,d), 8.28(4H,d), 7.70(2H,s), 7.54(2H,d), 7.51 (4H,t), 7.48(2H,s), 7.41(2H,t), 7.21(2H,t), 6.86(2H, t). 542.59 542.20
21 δ= 8.59(2H,d), 8.45(2H,d), 8.38-8.34(4H,m), 7.85(2H,t), 7.71 (2H,d), 7.70(2H,s), 7.36-34(4H, t). 466.50 466.17
23 δ= 8.59(2H,d), 8.44(2H,s), 8.38 (2H,d), 8.17(2H,d), 7.85 (2H,t), 7.70(2H,s), 7.36(2H, t), 7.18(2H,d), 2.53 (6H, s). 494.55 494.20
26 δ= 8.99(2H,s), 8.59-8.53 (4H,m), 8.38-8.33(4H,m), 7.85 (2H,t), 7.70(2H,s), 7.36(2H, t). 516.52 516.16
30 δ= 8.59(2H,d), 8.38 (2H,d), 8.19(2H,s), 8.05 (2H,d), 7.85 (2H,t), 7.70(2H,s), 7.36-7.29(4H,m), 3.83 (6H, s). 526.55 526.19
33 δ= 8.59(2H,d), 8.38-8.35(4H,m), 7.90-7.85 (4H,m), 7.70(2H,s), 7.63(2H, t), 7.36(2H, t). 602.49 602.14
35 δ= 8.59(2H,d), 8.38(2H,d), 7.85 (2H,t), 7.79 (4H,d),7.70-7.68(6H,t), 7.52(4H, d), 7.51-7.36(8H, m). 616.71 616.24
39 δ= 9.24(4H,s), 8.70(4H,d), 8.58 (2H,s), 8.42 (4H,d),7.96-7.88(4H,m), 7.70(2H, s), 7.57(4H, t). 620.66 620.22
41 δ= 9.36(2H,s), 9.24(2H,s), 8.70 (2H,d), 8.42 (2H,d),8.16(2H,d), 8.05-8.00(4H,m), 7.80(2H, t), 7.70(2H, s), 7.57(2H, t). 568.59 568.19
45 δ= 9.24(2H,s), 8.91(2H,s), 8.70 (2H,d), 8.42 (2H,d),8.21(2H,d), 7.92(2H, d), 7.70(2H, s), 7.57-7.42(8H,m). 566.61 566.20
46 δ= 9.24(2H,s), 8.70 (4H,d), 8.42-8.39(6H,m), 7.70(2H, s), 7.57-7.53(4H,m), 7.41 (2H,t). 568.59 568.91
48 δ= 9.24(2H,s), 8.70 (2H,d), 8.42(2H,d), 8.00(6H,d), 7.83(2H,s), 7.70(2H, s), 7.59-7.57(6H,m), 7.36 (2H,d). 564.64 564.21
50 δ= 9.24(2H,s), 8.83-8.78(4H,m), 8.70(2H,d), 8.42(2H,d), 7.70(2H, s), 7.57(2H,t), 7.28 (2H,t), 7.13 (2H,s). 546.54 546.18
54 δ= 9.24(2H,s), 8.70 (2H,d), 8.42(2H,d), 8.32(4H,d), 7.70(2H, s), 7.57-7.54(4H,m), 7.21 (2H,t), 6.68 (2H,d). 544.57 544.19
60 δ= 8.52(4H,d), 8.07 (2H,d), 7.88(2H,t), 7.70(2H, s), 7.37(2H,t), 7.29 (4H,d), 2.34(6H,s). 528.55 528.19
61 δ= 8.52(4H,d), 8.18 (2H,d), 7.70(2H,s), 7.46(2H, s), 7.29(4H,d), 7.54 (2H,d), 3.80(6H,s), 2.34(6H,s). 552.63 552.23
62 δ= 8.99(2H,s), 8.53-8.52(6H,m), 8.33(2H, d), 7.70(2H,s), 7.29 (4H,d), 2.34(6H,s). 542.59 542.20
64 δ= 8.52(4H,d), 8.36(2H,d), 8.18(2H, d), 7.70(2H,s), 7.29 (6H,d), 2.34(6H,s). 628.57 628.18
68 δ= 9.30(2H,d), 8.93(2H,d), 8.53-8.52(6H, m), 8.36(2H,s), 8.09 (2H,d), 7.70(4H,s), 7.29 (4H,d), 7.14 (2H,t), 2.34(6H,s). 646.74 646.26
70 δ= 9.74(2H,s), 9.36(2H,s), 8.52(4H, d), 8.23(1H,s), 8.16 (1H,d), 8.06 (2H,d), 7.98 (1H,d), 7.73-7.70(3H,m), 7.29 (4H,d), 2.34(6H,s). 594.67 594.23
74 δ= 9.09(4H,s), 8.52(4H,d), 7.70(2H,s), 7.29 (4H,d), 7.13(2H,d), 7.02 (2H,d), 2.34(6H,s). 572.62 572.22
76 δ= 8.60(2H,s), 8.52(4H,d), 8.04(2H,d), 7.90(2H,s), 7.70 (2H,s), 7.30-7.28(8H,m), 2.34(6H,s). 570.65 570.23
77 δ= 8.41-8.39(4H,m), 8.25(2H,d), 8.01(2H,t), 7.90(2H,d), 7.70(2H,s), 7.63(2H,d), 7.40(2H,t), 2.31(6H,s). 494.55 494.20
79 δ= 8.39(2H,d), 8.33(2H,d), 8.25(2H,d), 7.81(2H,t), 7.70(2H,s), 7.63-7.57(4H,m), 2.31(12H,s). 522.60 522.23
82 δ= 8.59(2H,d), 8.39(2H,d), 8.25-8.23(4H,m), 7.70(2H,s), 7.63(2H,d), 7.19(2H,t), 2.31(6H,s). 530.53 530.18
84 δ= 8.39(2H,s), 8.25(2H,d), 7.70(2H,s), 7.63(2H,d), 7.51(4H,d), 6.99(4H,d), 3.83(6H,s), 2.31(6H,s). 552.63 552.23
86 δ= 8.39(2H,s), 8.25(2H,d), 7.70(2H,s), 7.63-7.58(6H,m), 7.0-7.45(6H,m), 2.31(6H,s). 429.57 492.21
89 δ= 8.99(2H,s), 8.53(2H,d), 8.39-8.33(4H,m), 8.25(2H,d), 7.70(2H,s), 7.63(2H,d), 2.31(6H,s). 544.57 544.19
92 δ= 8.39-8.35(4H,m), 8.25(2H,d), 7.90(2H,d), 7.70(2H,s), 7.63(4H,m), 2.31(6H,s). 630.55 630.17
96 δ= 8.58(2H,s), 8.39(2H,s), 8.25(2H,d), 7.96(2H,d), 7.88(2H,d), 7.70(2H,s), 7.63(2H,d), 7.52-7.42(10H,m), 2.31(6H,s). 646.74 646.26
97 δ= 8.89(2H,s), 7.96(2H,d), 7.79(4H,d), 7.70-7.68(6H,m), 7.39(4H,d), 7.30-7.24(6H,m), 2.53(6H,s). 680.75 680.25
99 δ= 9.30(2H,d), 8.93-8.89(4H,m), 8.53(2H,d), 8.36(2H,s), 8.09(2H,d), 7.96(2H,d), 7.70(4H,m), 7.24(2H,d), 7.14(2H,t), 2.53(6H,s). 648.72 648.25
100 δ= 9.36(2H,s), 8.89(2H,s), 8.16(2H,d), 8.06-7.96(6H,m), 7.80(2H,t), 7.70(2H,s), 7.24(2H,d), 2.53(6H,s). 596.64 596.22
103 δ= 8.91-8.89(4H,d), 8.21(2H,d), 7.96-7.92(4H,m), 7.70(2H,s), 7.49-7.42(6H,m), 7.24(2H,d), 2.53(6H,s). 594.67 594.23
104 δ= 8.89(2H,s), 8.70(2H,d), 8.39(4H,d), 7.96 (2H,d), 7.70(2H,s), 7.53(2H,d), 7.41(2H,t), 7.24(2H,t), 2.53(6H,s). 596.64 596.22
107 δ= 8.89(2H,s), 8.00-7.96(8H,m), 7.83 (2H,d), 7.70(2H,s), 7.59(4H,t), 7.36(2H,d), 7.24(2H,d), 2.53(6H,s). 592.69 592.24
109 δ= 8.89(2H,s), 8.83-8.78(4H,m), 7.96 (2H,d), 7.70(2H,s), 7.28-7.24(4H,m), 2.53(6H,s). 574.60 574.21
111 δ= 8.89(2H,s), 8.48(2H,d), 7.96 (2H,d), 7.70(2H,s), 7.54(2H,d), 7.48(2H,s), 7.24-7.21(4H,m), 6.86(2H,t), 2.53(6H,s). 572.62 572.22
116 δ= 7.77-7.70(6H,m), 7.58-7.45(10H,m) 7.30(4H,t) 498.52 498.17
119 δ= 8.07(2H,t), 7.88(2H,t), 7.77-7.70(6H,m), 7.37-7.30(6H,m) 536.48 536.14
120 δ= 7.77-7.70(6H,m), 7.51(4H,d), 7.30(4H,t), 6.99(4H,d), 3.83(6H,s). 558.58 558.19
123 δ= 8.99(2H,s), 8.53(2H,d), 8.38(2H,d), 7.77-7.70(6H,m), 7.30(4H,t). 550.52 550.15
127 δ= 9.24(2H,s), 8.70(2H,d), 8.58(2H,s), 8.42(2H,d), 7.96-7.88(4H,m), 7.77-7.70(6H,m), 7.57(2H,t), 7.30(4H,t). 654.67 654.21
131 δ= 8.70(2H,d), 8.39(4H,d), 7.77-7.70(6H,m), 7.53(2H,d), 7.41(2H,t), 7.30(4H,t). 602.59 602.18
132 δ= 8.00(6H,d), 7.83(2H,s), 7.77-7.70(6H,m), 7.59(4H,d), 7.41(2H,t), 7.36-7.30(6H,m). 589.64 589.20
134 δ= 8.48(2H,d), 7.77-7.70(6H,m), 7.54(2H,d), 7.48(2H,s), 7.30-7.21(6H,m), 6.86(2H,t). 578.57 578.18
137 δ= 8.41-8.36(4H,m), 8.01(4H,t), 7.90(2H,d), 7.70(2H,s), 7.52(2H,t), 7.40(2H,t). 502.48 502.15
139 δ= 8.36-8.33(4H,m), 8.01(2H,d), 7.81(2H,d), 7.70(2H,s), 7.57-7.52(4H,m), 2.31(6H,s). 530.53 530.18
144 δ= 8.36(2H,d), 8.01(2H,d), 7.70(2H,s), 7.52-7.51(6H,m), 6.99(4H,d), 3.83(6H,s). 560.55 560.18
146 δ= 8.36(2H,d), 8.01(2H,d), 7.70(2H,s), 7.58-7.50(12H,m). 500.50 500.16
150 δ= 8.75(2H,s), 8.56(2H,d), 8.36(2H,d), 8.01(2H,d), 7.70-7.67(4H,m), 7.52(2H,t). 552.50 552.14
153 δ= 8.36(4H,m), 8.18(2H,d), 8.01(2H,d), 7.70(2H,s), 7.52(2H,t), 7.29(2H,d). 638.12 638.47
155 δ= 8.36-8.30(8H,m), 8.01-7.97(6H,m), 7.70(2H,s), 7.54-7.47(8H,m). 654.67 654.21
157 δ= 8.68(2H,s), 8.37(2H,t), 7.79(4H,d), 7.70-7.68(6H,d), 7.39-7.30(10H,m). 688.67 688.20
158 δ= 9.24(2H,s), 8.70-8.68(4H,t), 8.58(2H,s), 8.42-8.37(4H,m), 7. 96-7.88(4H,m), 7.70(2H,s), 7.57(2H,t), 7.34(2H,t). 656.20 656.20
160 δ= 9.36(2H,s), 8.68(2H,s), 8.37(2H,d), 8.16(2H,d), 8.06-8.05(4H,m), 7.80(2H,t), 7.70(2H,s), 7.34(2H,t). 604.57 604.17
163 δ= 8.91(2H,s), 8.68(2H,s), 8.37(2H,d), 8.21(2H,d), 7.92(2H,d), 7.70(2H,s), 7.49 -7.34(8H,m). 602.59 602.18
164 δ= 8.70-8.68(4H,t), 8.39-8.37(6H,m), 7.70(2H,s), 7.53(2H,d), 7.41 -7.34(4H,m). 604.57 604.17
166 δ= 8.68 (2H,s), 8.37(2H,d), 8.00(6H,d), 7.87(2H,d), 7.70(2H,s), 7.59(4H,t), 7.36 -7.34(4H,m). 600.62 600.19
168 δ= 8.83-8.78(4H,m), 8.86(2H,s), 8.37(2H,d), 7.70(2H,s), 7.34-7.28(4H,m), 7.13(2H,s). 582.16 582.53
171 δ= 8.68(2H,s), 8.48(2H,d), 8.37(2H,d), 7.70(2H,s), 7.54(2H,d), 7.48(2H,s), 7.34(2H,t). 7.21(2H,t). 6.86(2H,t). 580.55 580.17
175 δ= 8.99(2H,d), 8.93(2H,d), 8.41(2H,d), 8.34(2H,s), 8.12-8.10(4H,m), 8.01(2H,t), 7.90-7.82(6H,m), 7.71-7.70(6H,m), 7.40(2H,t). 664.75 664.24
177 δ= 8.99(2H,d), 8.93(2H,d), 8.34-8.33(4H,s), 8.12-8.10(4H,m), 7.88-7.81(6H,m), 7.71-7.70(6H,m), 7.57(2H,d), 2.31(6H,s). 692.81 692.27
180 δ= 8.99(2H,d), 8.93(2H,d), 8.58 (2H,d), 8.34 (2H,s), 8.23 (2H,s), 8.12-8.10(4H,m), 7.88-7.82(4H,m), 7.71-7.70(6H,m), 7.19(2H,t).. 700.74 700.22
182 δ= 8.99(2H,d), 8.93(2H,d), 8.75(2H,s), 8.56(2H,d), 8.34(2H,s), 8.12-8.10(4H,m), 7.88-7.82(4H,m), 7.71-7.56(8H,m). 714.77 714.23
184 δ= 8.99(2H,d), 8.93(2H,d), 8.34(2H,s), 8.12-8.10(4H,m), 7.88-7.82(4H,m), 7.71-7.70(6H,m), 7.58-7.45(10H,m). 662.78 662.25
186 δ= 8.99(2H,d), 8.93(2H,d), 8.34(2H,s), 8.18-8.10(6H,m), 7.88-7.82(4H,m), 7.71-7.70(6H,m), 7.46(2H,s), 6.54(2H,d), 3.80(6H,s). 724.81 724.26
189 δ= 8.99(2H,d), 8.93(2H,d), 8.36-8.34(4H,d), 8.18-8.10(6H,m), 7.88-7.82(4H,m), 7.71-7.70(6H,m), 7.29(2H,d). 800.75 800.21
192 δ= 8.99(2H,d), 8.93(2H,d), 8.58(2H,s), 8.34(2H,s), 8.12-8.10(4H,m), 7.96(2H,d), 7.88-7.82(6H,m), 7.71-7.70(6H,m), 7.52-7.41(10H,m). 816.95 816.30
193 δ= 8.93(4H,d), 8.12(4H,d), 7.93-7.82(10H,m), 7.70(2H,s), 7.58-7.45(10H,m). 662.78 662.25
195 δ= 9.74(2H,s), 9.36(2H,s), 8.93(4H,d), 8.23-8.16(5H,m), 8.12-7.82(14H,m), 7.73-7.70(3H,m). 766.85 766.26
198 δ= 8.93(6H,d), 8.21(2H,d), 8.12(4H,d), 7.93-7.88(12H,m), 7.70(2H,s), 7.49-7.42(6H,m). 764.87 764.27
200 δ= 8.93(4H,d), 8.70(4H,d), 8.39(2H,d), 8.12(4H,d), 7.93-7.82(10H,m), 7.70(2H,s), 7.53(2H,d), 7.41(2H,t). 766.85 766.26
201 δ= 8.93(4H,d), 8.12(4H,d), 8.00(6H,d), 7.93-7.82(12H,m), 7.70(2H,s), 7.59(4H,t), 7.36(2H,d). 762.90 726.28
204 δ= 9.09(4H,s), 8.93(4H,d), 8.12(4H,d), 7.93-7.82(10H,m), 7.70(2H,s), 7.13(2H,d), 7.02(2H,d). 744.80 744.25
206 δ= 8.93(4H,d), 8.48(2H,d), 8.12(4H,d), 7.93-7.82(10H,m), 7.70(2H,s), 7.54(2H,d), 7.48(2H,s), 7.21(2H,t), 6.86(2H,t). 742.83 742.26
210 δ= 8.41(2H,d), 8.06-7.90(10H,m), 7.78(2H,t), 7.76(2H,d), 7.70(2H,s), 7.60(2H,t), 7.49-7.40(6H,m). 666.73 666.23
213 δ= 8.44(2H,s), 8.17(2H,d), 8.06(2H,d), 7.98-7.92(4H,m), 7.78(2H,t), 7.76(2H,d), 7.70(2H,s), 7.60(2H,t), 7.49-7.42(4H,m), 7.18(2H,d), 2.53(6H,s). 694.78 694.26
215 δ= 8.58(2H,d), 8.23(2H,s), 8.06-7.92(6H,m), 7.78(2H,t), 7.76(2H,d), 7.70(2H,s), 7.60(2H,t), 7.49-7.42(4H,m), 7.19(2H,t). 702.71 702.21
217 δ= 8.75(2H,s), 8.56(2H,d), 8.06 (2H,d), 7.96-7.92(4H,m), 7.78(2H,t), 7.76(2H,d), 7.70(2H,s), 7.67(2H,d), 7.60(2H,t), 7.49-7.42(4H,m). 716.75 716.22
219 δ= 8.06(2H,d), 7.98-7.92(4H,m), 7.78(2H,t), 7.76(2H,d), 7.70(2H,s), 7.60-7.49(16H,m). 664.75 664.24
221 δ= 8.18(2H,d), 8.06(2H,d), 7.98-7.92(4H,m), 7.78(2H,t), 7.76(2H,d), 7.70(2H,s), 7.60(2H,t), 7.49-7.42(6H,m), 6.54(2H,d), 3.80(6H,s). 726.78 726.25
224 δ= 8.36(2H,s), 8.18(2H,d), 8.06-7.92(6H,m), 7.78(2H,t), 7.76(2H,d), 7.70(2H,s), 7.60(2H,t), 7.49-7.42(4H,m), 7.29(2H,d). 802.73 802.20
225 δ= 9.24(2H,s), 8.70(2H,d), 8.58(2H,s), 8.42(2H,d), 8.06-7.76(16H,m), 7.60-7.42(8H,m). 820.90 820.28
230 δ= 9.36(2H,s), 8.35(2H,s), 8.16-7.98(12H,m), 7.78(2H,t), 7.80(2H,t), 7.84(2H,d), 7.82(2H,d), 7.60(2H,t), 7.60(2H,t). 768.82 768.25
232 δ= 8.91(2H,d), 8.35(2H,s), 8.21(2H,d), 8.09(2H,s), 8.06-7.60(14H,m), 7.49-7.42(6H,m). 766.85 766.26
234 δ= 8.70(4H,d), 8.39-8.35(4H,t), 8.09-7.98(6H,m), 7.84-7.82(4H,m), 7.78(2H,t), 7.70(2H,s), 7.60(2H,t), 7.53(2H,d), 7.41(2H,t). 768.25 768.82
235 δ= 8.35(2H,s), 8.09-7.98(12H,m), 7.84-7.82(6H,m), 7.78(2H,t), 7.70(2H,s), 7.60-7.59(6H,m), 7.36(2H,d). 764.87 764.27
238 δ= 9.09(4H,s), 8.35(2H,s), 8.06-7.98(6H,m), 7.84-7.82(4H,m), 7.78(2H,t), 7.70(2H,s), 7.60(2H,t), 7.13(2H,d), 7.02(2H,d). 746.78 746.24
241 δ= 8.35(2H,s), 8.32(4H,d), 8.00-7.98(6H,m), 7.84-7.82(4H,m), 7.78(2H,t), 7.70(2H,s), 7.60-7.54(4H,m), 7.21(2H,t), 6.68(2H,d). 744.48 744.25
245 δ= 8.46(2H,d), 8.34(2H,s), 8.12(4H,d), 7.93(2H,s), 7.88-7.82(8H,m), 7.71-7.70(8H,m), 7.34(2H,t). 712.80 712.24
249 δ= 8.58(2H,d), 8.23(2H,s), 8.12(4H,d), 7.93(2H,s), 7.88-7.82(8H,m), 7.71-7.70(6H,m), 7.19(2H,t). 748.78 748.22
250 δ= 8.99(2H,s), 8.53(2H,d), 8.33(2H,d), 8.12(4H,d), 7.93(2H,s), 7.88-7.82(8H,m), 7.71-7.70(6H,m). 762.82 762.23
253 δ= 8.12(4H,d), 7.93(2H,s), 7.88-7.82(8H,m), 7.71-7.70(6H,m), 7.58-7.45(10H,m). 710.82 710.25
255 δ= 8.18-8.12(6H,m), 7.93(2H,s), 7.88-7.82(8H,m), 7.71-7.70(6H,m), 7.46(2H,s), 6.54(2H,d), 3.80(6H,s). 772.85 772.26
258 δ= 8.36(2H,s), 8.16-8.12(6H,m), 7.93(2H,s), 7.88-7.82(8H,m), 7.71-7.70(6H,m), 7.29(2H,d). 848.79 848.21
263 δ= 9.30(2H,d), 8.93(2H,d), 8.53(2H,d), 8.36(2H,s), 8.22(4H,s), 8.09(2H,d), 8.00(4H,d), 7.82(2H,t), 7.71-7.70(12H,m), 7.14(2H,t). 866.97 866.29
265 δ= 9.74(2H,s), 9.36(2H,s), 8.22(4H,s), 8.06-7.98(8H,m), 7.82(2H,t), 7.71-7.70(12H,m). 814.89 814.26
270 δ= 8.22(4H,s), 8.00(10H,d), 7.83(2H,s), 7.82(2H,t), 7.71-7.70(10H,m), 7.59(4H,t), 7.36(2H,d). 810.94 81.28
271 δ= 8.83-8.78(4H,m), 8.22(4H,s), 8.00(4H,d), 7.82(2H,t), 7.71-7.70(10H,m), 7.28(2H,d), 7.26(2H,s). 792.85 792.25
275 δ= 8.48(2H,d), 8.22(4H,s), 8.00(4H,d), 7.82(2H,t), 7.71-7.70(10H,m), 7.54(2H,d), 7.48(2H,s), 7.21(2H,t), 6.86(2H,t). 790.87 790.26
281 δ= 8.58(2H,d), 8.35(2H,s), 8.23(2H,s), 8.09(2H,s), 8.06-7.98(4H,m), 7.84-7.78(6H,m), 7.71-7.70(6H,m). 702.71 702.21
283 δ= 8.75(2H,s), 8.56(2H,d), 8.35(2H,s), 8.09(2H,s), 8.06-7.98(4H,m), 7.84-7.78(6H,m), 7.71-7.70(6H,m). 716.75 716.22
285 δ= 8.35(2H,s), 8.09-8.06(4H,t), 7.98(2H,d), 7.84-7.78(6H,m), 7.70(2H,s), 7.60(6H,d), 7.24(4H,t). 700.74 700.22
286 δ= 8.35(2H,s), 8.19(2H,s), 8.09-8.06(4H,t), 8.05-7.98(4H,m), 7.84-7.82(4H,m), 7.78(2H,t), 7.70(2H,s), 7.60(2H,t), 7.29(2H,d), 3.83(6H,s). 726.78 726.25
295 δ= 8.91(2H,s), 8.35(2H,s), 8.21(2H,d), 8.09-7.98(8H,m), 7.84-7.78(6H,m), 7.70(2H,s), 7.60(2H,t), 7.49-7.42(6H,m). 766.85 766.26
298 δ= 8.83-7.26(4H,m), 8.35(2H,s), 8.09-8.06(4H,t), 7.98(2H,d), 7.84-7.78(6H,m), 7.70(2H,s), 7.60(2H,t), 7.28(2H,t), 7.26(2H,s). 746.78 746.24
300 δ= 8.48(2H,d), 8.32(4H,d), 8.35(2H,s), 8.09-8.06(4H,t), 7.98(2H,d), 7.84-7.82(4H,m), 7.78(2H,t), 7.70(2H,s), 7.66-7.60(4H,m), 6.80(2H,d). 744.80 744.25
304 δ= 9.24(2H,s), 8.70(2H,d), 8.42(2H, d), 7.70(2H,s), 7.58(4H,t), 7.50(4H,d), 7.45(2H,t). 464.52 464.17
305 δ= 8.75(4H,d), 7.99(4H,d), 7.70(2H, s), 7.58(4H,t), 7.50(4H,d), 7.45(2H,t). 464.52 464.17
306 δ= 8.18(2H,d), 8.12(2H,d), 8.04(2H,d), 7.88 (2H,t), 7.82(2H, t), 7.70(2H, s), 7.58(4H,t), 7.50 (4H,d), 7.45(2H,t). 710.82 710.25
307 δ= 8.44(2H,d), 8.06(2H,d), 7.98(2H,d), 8.78(2H,t), 7.70(2H, s), 7.60(2H, t), 7.58(4H, t), 7.50(4H, d), 7.45(2H, t), 7.41(2H,d). 564.64 564.21
308 δ= 8.30(4H,d), 8.06(2H,d), 7.98 (2H,d), 7.70(2H, s), 7.64(2H, s), 7.60(2H, t), 7.58(4H,t), 7.54(4H,t), 7.50(4H,d), 7.47 (2H,t), 7.45(2H,t). 716.83 716.27
309 δ= 9.09(2H,d), 8.49(2H,d), 8.38(1H,d), 8.00(5H,d), 7.98(1H,d), 7.92(2H,d), 7.78 (1H,t), 7.70(2H,s), 7.58(2H,t), 7.55(3H,t), 7.50(2H,d), 7.45(1H, t). 612.72 612.23
310 δ= 9.09(2H,s), 8.83(1H,d), 8.49(2H,d), 8.38(1H,d), 8.00(5H,d), 7.98(1H,d), 7.92(2H,d), 7.78 (1H,t), 7.70(2H,s), 7.59(4H, t), 7.58(3H,t), 7.50(2H,d), 7.45(1H,t). 613.71 613.23
311 δ= 9.09(1H,s), 8.49(1H,d), 8.13(1H,s), 8.00(6H,d), 7.97(1H,d), 7.92(3H,d), 7.91 (2H,d), 7.85(2H,d), 7.73(2H,d), 7.70(2H,s), 7.61(1H,d), 7.59(6H,t), 7.58(6H,m), 7.50(4H,d), 7.45(2H,t), 7.39(2H,t), 7.25(2H,d). 940.36 940.13
시험예 1
화합물 1의 호모(HOMO), 루모(LUMO), 밴드갭(BAND GAP)을 CV 측정기기(제조사: princeton appied research, 모델명: Parstat2273)를 이용하여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결과를 하기 표 39에 나타내었다.
1. 전해질액, 표준액, 검액의 제조
1)전해질액: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etrabutylammonium tetrafluoroborate) 3.3g을 정밀히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를 넣어 100mL로 하여 제조하였다.
2) 표준액: 페로센(Ferrocene) 약 1mg을 정밀히 달아 1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전해질액을 넣어 10mL로 한 후 표준액으로 사용하였다.
3) 검액: 화합물을 시료로 하여 약 1mg을 정밀히 달아 1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전해질액을 넣어 10mL로 한 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2. 분석 조건
Parameter Value
Rererence Electrode type Ag.AgCl / NaCl (sat'd)
Initial Potential (E0) 0.00 Volts
Vertex Potential (E1) 1.5~2.5 Volts
Final Potential (E2) 0.00 Volts
Scan rate 50~100 Volts
3. CV 측정방법
1) Ferroene과 전해질액을 사용하여 6mL의 표준액을 제조하였다.
2) 작업전극, 기준전극, 보조전극을 설치하였다.
3) 약 30 초 정도 질소 버블링을 시행한 후 측정을 시작하였다.
4) 측정이 끝나면 MC, 아세톤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씻은 후, 측정할 화합물의 검액 제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 계산식
HOMO= 측정 대상 화합물의 Eox + (4.84 - Eox of ferrocene)
Band gap (HOMO-LUMO)=1240/UV edge
HOMO= 화합물 1의 Eox + (4.84-Eox of ferrocene)
Band gap(HOMO-LUMO)=1240/UV edge(394nm)
Solvent:MC Eox HOMO Band gap LUMO
화합물 1 Ferrocene 0.45
화합물 1 5.69 eV 3.14 eV 2.55 eV
상기 분석 조건 중 표준 시료는 페로센 대신 NPB로 대체될 수 있다.
화합물 1, 116, 19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의 CV 측정 결과 도출된 Eox 값을 도 7 내지 도 17에 나타내었다. 이 때, 측정 용액은 디클로로메탄이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LUMO값 계산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의 LUMO 값은 -2.3 내지 -3의 범위 내이므로, 발광층에 전자를 전달하기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추가로, 화합물 1, 116, 193, 304, 305, 306, 307, 308, 309, 310의 저온 PL nmax 측정 그래프를 도 19 내지 도 28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의 PL nmax 값으로부터 도출된 T1 값을 도 29에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은 대부분 인광 발광층 소자의 발광층의 T1 스테이트, 예컨대 T1 값 2.6 내지 2.9에 전자를 전달하기 쉬운 T1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광 발광 소자에서도 전자수송층 재료로서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비교실시예 ]
OLED용 글래스(삼성-코닝사 제조)로부터 얻어진 투명전극 ITO 박막을,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실시한 후, 이소프로판올에 넣어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진공 증착 장비의 기판 폴더에 ITO 기판을 설치하고, 진공 증착 장비 내의 셀에 하기 4,4',4"-트리스(N,N-(2-나프틸)-페닐아미노)트리페닐 아민(4,4',4"-tris(N,N-(2-naphthyl)-phenylamino)triphenyl amine: 2-TNATA)을 넣었다.
Figure 112013101926591-pat00029
이어서, 챔버 내의 진공도가 10-6torr에 도달할 때까지 배기시킨 후,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2-TNATA를 증발시켜 ITO 기판 상에 600Å 두께의 정공주입층을 증착하였다. 진공 증착 장비 내의 다른 셀에 하기 N,N'-비스(α-나프틸)-N,N'-디페닐-4,4'-디아민(N,N'-bis(α-naphthyl)-N,N'-diphenyl-4,4'-diamine: NPB)을 넣고,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증발시켜 정공주입층 상에 300Å 두께의 정공수송층을 증착하였다.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0
이와 같이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발광층을 다음과 같이 증착시켰다. 진공 증착 장비 내의 한쪽 셀에 발광 재료로 하기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Ⅲ)(tris(8-hydroxyquinoline)aluminum(Ⅲ): Alq3)를 호스트로 넣고, 다른 셀에는 도펀트로 하기 C545T를 넣었다.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1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2
이어서, 두 셀을 같이 가열, 상기 도펀트의 증착속도 비율을 3 중량%(호스트:도펀트= 97:3)로 증착함으로써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400Å의 두께로 발광층을 증착하였다. 이어서, 이어서, 전자수송층으로서 상기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Ⅲ)(tris(8-hydroxyquinoline)aluminum(Ⅲ): Alq3)를 200Å 두께로 증착하였다.
그 후, 전자주입층으로 하기 화합물 리튬 플루오라이드(lithium fluoride: LiF)를 10Å 두께로 증착하였다. 그리고, Al 음극을 1200Å의 두께로 증착하여 OLED를 제작하였다.
한편, OLED 소자 제작에 필요한 모든 유기 화합물은 재료 별로 각각 10-6~10-8torr 하에서 진공 승화 정제하여 OLED 제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22: OLED 의 특성 평가
상기 실험예에서 전자수송층을 표 2의 재료로 바꾸서 OLED소자의 전력효율 및 구동 수명을 1,000cd/㎡ 에서, 그리고 효율이 50%까지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하기 표 40에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6에는 각각 실시예 1에 따른 전압에 대한 전류효율, 휘도에 대한 전류효율 및 전압에 따른 휘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No. 화합물 No. Op.V Cd/A @1000cd/m2 수명(T50)
1 1 5.3 21.2 710
2 2 5.6 19.3 680
3 10 5.7 19.5 750
4 14 5.4 19.4 730
5 16 5.5 19.2 710
6 18 6.0 19.4 750
7 21 6.0 19.2 690
8 23 5.8 19.6 740
9 26 5.7 21 410
10 30 6.1 19.4 690
11 33 5.7 19.5 700
12 35 5.8 19.4 710
13 39 5.9 19.5 750
14 41 5.9 21.2 430
15 45 6.1 19.5 680
16 46 5.8 19.4 710
17 48 5.8 21.1 420
18 50 5.7 19.4 690
19 54 5.7 19.5 710
20 60 5.8 18.3 400
21 61 5.7 18.7 550
22 62 5.7 18.5 500
23 64 5.9 19.0 480
24 68 6.0 18.9 490
25 70 5.6 18.5 530
26 74 5.7 20.3 390
27 76 5.6 18.8 500
28 77 5.5 18.7 530
29 79 5.5 19.6 700
30 82 5.7 19.6 720
31 84 5.6 19.4 700
32 86 5.8 19.1 580
33 89 5.7 19.6 710
34 92 5.6 19.5 720
35 96 6.1 19.1 650
36 97 5.7 19.0 600
37 99 5.9 19.3 750
38 100 5.8 21.2 410
39 103 5.9 19.4 700
40 104 5.2 19.1 710
41 107 5.8 19.6 420
42 109 5.8 19.4 680
43 111 5.8 19.1 650
44 116 5.9 19.7 690
45 119 5.7 19.6 430
46 120 5.6 19.5 410
47 123 5.9 19.6 450
48 127 5.5 19.0 420
49 131 5.6 18.8 390
50 132 5.9 19.1 410
51 134 5.8 18.8 540
52 137 5.7 18.9 560
53 139 5.7 18.9 550
54 144 5.5 18.8 580
55 146 5.5 19.1 570
56 150 5.6 19.2 610
57 153 5.6 19.3 590
58 155 5.6 19.4 680
59 157 5.9 19.7 710
60 158 5.7 19.6 760
61 160 5.8 19.5 690
62 163 5.8 19.4 590
63 164 5.4 19.6 680
64 166 5.5 19.6 690
65 168 5.8 19.9 480
66 171 5.5 19.5 750
67 175 5.2 19.5 670
68 177 5.2 19.6 610
69 180 5.3 19.5 650
70 182 5.7 20.0 450
71 184 5.1 19.4 710
72 186 5.4 19.7 650
73 189 5.7 20.1 410
74 192 5.8 19.5 690
75 193 5.7 19.4 590
76 195 5.3 19.6 610
77 198 5.4 19.1 510
78 200 5.4 19.7 410
79 201 5.3 19.2 590
80 204 5.4 19.2 620
81 206 5.6 19.3 520
82 210 5.7 19.8 390
83 213 5.6 19.7 610
84 215 5.8 18.6 450
85 217 5.9 19.1 510
86 219 5.8 19.2 590
87 221 5.7 19.1 530
88 224 5.8 19.3 550
89 225 5.5 19.2 620
90 230 5.2 19.7 650
91 232 5.2 19.4 590
92 234 5.3 19.6 600
93 235 5.7 19.5 670
94 238 5.1 20 420
95 241 5.4 19.7 680
96 245 5.7 19.5 590
97 249 5.8 19.5 630
98 250 5.7 19.5 610
99 253 5.3 19.5 510
100 255 5.4 19.6 580
101 258 5.4 20.2 380
102 263 5.3 19.7 470
103 265 5.8 19.6 500
104 270 5.5 21.0 450
105 271 5.2 20.7 480
106 275 5.2 20.7 490
107 281 5.3 19.6 620
108 283 5.7 19.5 530
109 285 5.1 19.5 580
110 286 5.4 19.2 510
111 295 5.7 19.5 590
112 298 5.8 19.5 530
113 300 5.7 19.1 490
114 304 5.3 19.1 530
115 305 5.4 19.3 550
116 306 5.4 19.2 620
117 307 5.3 19.7 650
118 308 5.4 19.4 590
119 309 5.6 19.6 600
120 310 5.7 19.5 670
121 311 5.6 20 420
비교실시예1 Alq3 6.32 11.4 350
100 기판
200 양극
301 정공주입층
302 정공수송층
303 발광층
304 전자수송층
305 전자주입층
400 음극

Claims (21)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로서,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수송층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Figure 112015025583339-pat0003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및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수소이며,
    n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안트릴, 크라이세닐, 페난트레닐, 트리페닐레닐, 파이레닐, 테트라세닐, 펜타세닐 또는 이들의 축합고리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롤릴, 푸라닐, 티에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트리아졸릴, 푸라자닐,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디티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디닐, 파이라닐, 티오파이라닐, 디아지닐, 옥사지닐, 티아지닐, 디옥시닐, 트리아지닐, 테트라지닐, 퀴놀릴, 이소퀴놀릴,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아크리디닐, 페난트리디닐, 이미다조피리디닐, 이미다조피리미디닐, 나프티리디닐, 디아자나프탈레닐, 트리아자인덴 또는 이들의 축합고리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R1과 R2가 동일하고, R3와 R4가 동일한 것인 유기발광소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하나 이상이 페닐, 바이페닐, 1-나프틸, 2-나프틸, 파이레닐, 페난트레닐 및 안트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하나 이상이 헤테로아릴기인 경우, 고리원으로서 N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닐, 트리아자인데닐, 이미다조피리디닐, 퀴나졸리닐, 이소퀴나졸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페난트리디닐 및 디아자나프탈레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R1 및 R2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기이고,
    R3 및 R4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기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R1 및 R2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기이고,
    R3 및 R4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기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R1 및 R2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기이고,
    R3 및 R4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기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4. 청구항 1에 있어서, R1 및 R2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기이고,
    R3 및 R4는 할로겐, 시아노,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할로알킬, C1 내지 C6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콕시, C6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 C2 내지 C60의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 또는 다환의 헤테로아릴기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하나 이상이 코어 구조에 대하여 파라 위치에 치환된 치환기를 갖는 6원 아릴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유기발광소자: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4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5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6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7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8

    Figure 112013101926591-pat00039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0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1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2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3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4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5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6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7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8

    Figure 112013101926591-pat00049

    Figure 112013101926591-pat00050

    Figure 112013101926591-pat00051

    Figure 112013101926591-pat00052

    Figure 112013101926591-pat00053

    Figure 112013101926591-pat00054

    Figure 112013101926591-pat00055
  19. 청구항 1 내지 3, 7 내지 14, 17, 및 1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형광 발광층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20. 청구항 1 내지 3, 7 내지 14, 17, 및 1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인광 발광층인 것인 유기발광소자.
  21. 청구항 1 내지 3, 7 내지 14, 17, 및 1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20130135469A 2012-11-09 2013-11-08 유기발광소자 KR101545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834 2012-11-09
KR20120126834 2012-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247A KR20140060247A (ko) 2014-05-19
KR101545517B1 true KR101545517B1 (ko) 2015-08-19

Family

ID=5088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469A KR101545517B1 (ko) 2012-11-09 2013-11-08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88877A1 (en) * 2017-04-20 2019-03-2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 Ltd. Condensed-cyclic compound,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990B1 (ko) * 2014-03-17 2021-09-06 에스케이머티리얼즈제이엔씨 주식회사 전자 수송 재료 및 이것을 사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CN112778329A (zh) 2014-05-19 2021-05-11 Udc 爱尔兰有限责任公司 具高效率的荧光有机发光元件
FR3060308B1 (fr) * 2016-12-16 2020-06-19 L'oreal Nouveaux colorants directs azomethiniques dissymetriques,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tel colorant,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utilisation
FR3060331B1 (fr) 2016-12-16 2020-06-19 L'oreal Nouveaux colorants direct azomethiniques symetriques,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tel colorant, procede de mise en œuvre et utilis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88877A1 (en) * 2017-04-20 2019-03-2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 Ltd. Condensed-cyclic compound,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10424738B2 (en) * 2017-04-20 2019-09-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Condensed-cyclic compound,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247A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595B1 (ko) 치환된 안트라센환 구조와 피리도인돌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hen et al. Versatile, Benzimidazole/Amine‐Based Ambipolar Compounds for Electroluminescent Applications: Single‐Layer, Blue, Fluorescent OLEDs, Hosts for Single‐Layer, Phosphorescent OLEDs
KR102295197B1 (ko)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TWI549931B (zh) 有機電致發光元件
TWI531563B (zh) 有機電致發光元件
EP3156402A1 (en) Pyrimid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O2011105373A1 (ja) 置換されたピリジル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861843B2 (ja) 置換されたトリフェニレン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TWI457332B (zh) A compound having a benzotriazole ring structure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20120104204A (ko) 치환된 안트라센환 구조와 피리도인돌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545517B1 (ko) 유기발광소자
TWI542586B (zh) 具有經取代之聯吡啶基與吡啶并吲哚環結構之化合物及有機電致發光元件
KR102140853B1 (ko) 신규 나프토트리아졸 유도체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870346B2 (ja) 置換されたオルトターフェニル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40092751A (ko) 케톤기 함유 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KR102508485B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597334B1 (ko) 축합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JP6479770B2 (ja) キノリノトリアゾール誘導体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436556B1 (ko) 헤테로방향환 화합물 및 이를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WO2014030554A1 (ja) トリフェニルシリルピリジル基とカルバゾール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50033434A (ko) 질소 함유 다환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