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162B1 -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 Google Patents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162B1
KR101545162B1 KR1020140130700A KR20140130700A KR101545162B1 KR 101545162 B1 KR101545162 B1 KR 101545162B1 KR 1020140130700 A KR1020140130700 A KR 1020140130700A KR 20140130700 A KR20140130700 A KR 20140130700A KR 101545162 B1 KR101545162 B1 KR 10154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ir
play module
input
inpu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4013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앉게 되는 의자몸체와, 상기 의자몸체에 설치되는 유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희모듈은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에 표시되는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의 음향신호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유아의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SEAT FOR TODDLERS}
본 발명은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전 유아에게 음악과 진동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유희를 확장할 수 있는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이동과 취급의 용이성 그리고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위해 무각(無脚) 형태의 가구이다. 의자는 그 사용 대상에 따라 정서적 안정성, 제한적 구속성, 안전성, 보모의 접근성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출시된다.
유아용 의자의 경우, 정서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의자본체를 촉감과 쿠션이 우수한 친환경 재질로 제조하며,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자본체 상단 양측의 팔걸이와 상기 팔걸이 중앙에 함몰형으로 형성되어 유아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착석홈과 상기 착석홈 선단 중간에 형성되어 유아의 가랑이가 착석홈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대와 상기 착석홈 후단에 형성되어 유아의 둔부와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상기 걸림대 양측에 형성되어 착석홈에 유아가 앉았을 때 양쪽 다리의 허벅지가 위치되는 상부 개방형 유아다리 피난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의자는 정서적 안정성을 의자본체의 재질에만 의존하고 있으므로 그 효과가 매우 미비하다. 또한 유아용 의자는 이동판 상에 유아를 앉히고 보모가 의자를 좌우로 유동하는 것이 유일한 유희였으므로 유희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아용 의자는 일반적으로 이동판과 한 조로 사용되고 있고, 이동판의 사용목적은 유아의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판은 여러 개의 바퀴를 이용하여 유아의자를 바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만 있어 그 활용성과 유희성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7787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60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아용 의자를 사용함에 있어 정서적 안정성을 높이고, 다양한 유희를 즐길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염려 없이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악과 더불어 진동할 수 있는 진동수단을 부가하여 종래의 유아용 의자로부터 발휘할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의 유희성을 실현할 수 있는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앉게 되는 의자몸체와, 상기 의자몸체에 설치되는 유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희모듈은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에 표시되는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의 음향신호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희모듈의 진동부는 유아의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유희모듈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유희모듈의 입력 표시부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입력 버튼이 표시된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아가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버튼이 표시되며, 또한 입력 버튼의 선택에 의해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입력 버튼은 동물 이미지 또는 아이콘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에 구비된 유희모듈의 주파수 변환부는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음향신호를 일정 레벨로 출력하는 자동 이득 제어부와, 하이 레벨의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저역 필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희모듈은 통신부를 더욱 구비하고, 그림책 또는 동화책에 나타난 이미지를 전자펜으로 선택하고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소리 데이터를 유희모듈의 통신부로 전송하여,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소리를 스피커와 진보부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유아용 의자의 의자본체 하단에는 이동판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판의 저면에는 수평 결합부와 경사 결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음악과 더불어 음악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고 소리와 피부 진동을 함께 즐기도록 하여 유희를 확장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몸체에 이동판을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판의 경사결합부에 바퀴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유희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주파수 변환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나 공지된 사항은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 등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의자본체(100), 안전 벨트(200), 고정벨트(300), 이동판(400) 및 유희모듈(500)을 포함한다.
상기 의자본체(100)는 촉감이 우수하면서 쿠션을 가진 친환경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의자본체는 그 후측에 등받이(110), 전측에 걸림대(120), 좌우측에 팔걸이(130), 내측 바닥에 형성되는 착석홈(140) 및 피난구멍(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와 팔걸이는 일체로 형성된다.
유아를 의자본체에 앉히면, 의자본체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 착석홈에 유아의 엉덩이가 접촉하게 되고, 상기 걸림대의 팔걸이 사이의 양측에 형성된 피난구멍에는 유아의 좌우측 다리가 각각 놓여지게 된다.
상기 안전 벨트(200)는 착석한 유아의 허리를 고정한다. 안전 벨트는 상기 착석홈의 양측을 결속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다. 안전벨트의 분리와 결속은 일반적인 암, 수결속구(미도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는 유아의 구속성을 형상시켜 착석홈에 앉은 유아에게 무단이탈 상황(유아의 움직임 또는 유아의자의 전복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무단이탈로 인한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벨트(300)는 유아용 의자를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벨트는 의자본체의 양측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각 관통공에 경도를 가진 보호유닛(310)을 끼워 고정하고, 이어서 보호유닛 중앙의 구멍으로 고정벨트 일단을 고정하여 고정벨트 타단이 의자본체 하측으로 현수되도록 한다.
보호유닛은 구멍 양측으로 암, 수결합구를 끼워 서로 볼트 고정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는 보호유닛이 파손 등으로 인하여 교체할 사유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교체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본체 양측의 고정벨트 각 타단에는 통상의 암결속구 및 수결속구를 각 채용하여 양측의 고정벨트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벨트는 의자 의자본체를 또 다른 기구(높은 의자 등)에 올려놓고 유아에게 이유식을 먹이거나 보다 편안한 자세로 유아를 보살피고자 할 때 다른 기구에 의자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고정벨트를 이용하여 의자 의자본체를 다른 기구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자를 식탁의자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 보호의 편의성 증대 등도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는 다용도 유아의자를 제공할 수 있는 작용이 있다.
한편 고정벨트와 쿠션을 가진 의자본체의 연결 경계부분에 보호유닛이 게재되어있으므로 고정벨트를 이용하여 의자본체를 다른 기구에 강력하게 고정할 경우 고정벨트의 강력한 당김 텐션으로 인하여 연질의 의자본체가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손상을 입지않으며, 이러한 작용은 다른 기구에 대한 의자본체의 강력한 결박을 아무런 장애 없이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동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의자본체에 이동판(400)을 탑재하여 상기 의자본체를 바닥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자 하는 작용에서 나아가 의자본체를 좌우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희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몸체에 이동판을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판의 경사결합부에 바퀴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동판(400)은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대(420)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수평결합부(430) 및 경사결합부(440)와 바퀴(450)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판은 저면에 바퀴를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전후좌우 4개가 적당하다)의 수평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의자본체 하단이 탑재/안착되는 결합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은 그 저면 선단 양측에 경사결합부를 더욱 형성하여 수평결합부의 바퀴를 분리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의 저면에 경사결합부를 형성하면 수평결합부에서 분리되는 바퀴를 결합할 수 있어 이동판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즉, 이동판 선단은 바퀴에 의해 들려지게 하고 후단은 바닥에 접촉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때 수평결합부 전부에는 바퀴가 없는 상태이므로 수평결합부에 결합 되지않는 나머지 바퀴는 별도로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판을 경사지게 하면 이동판을 좌우로 유동시킬 수 있게 되어 이동판에 탑재된 의자본체에 앉은 유아에게 색다른 유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태아 시절에 외부의 소리를 뇌에 영향을 주지 않은 미세한 진동(통상 피부진동이라 함)으로 인식하므로 유아시절에 그 진동을 느끼면 정서적으로 상당한 안정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유희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희모듈(500)은 유아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상기 유희모듈은 입력 표시부(510), 스피커(520), 진동부(530), 저장부(540), 재생부(550) 및 주파수 변환부(560)를 포함한다.
입력표시부(510)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표시부에는 선택될 수 있는 입력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버튼은 동물의 형상, 특정 음악을 나타내는 아이콘 형상일 수 있다. 유아가 손가락이나 연필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표시되는 동물의 형상이나 아이콘을 터치하면, 스피커(520)와 진동부(530)는 입력버튼과 대응하는 소리와 진동을 나타낸다. 한편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선택한 입력버튼과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40)는 동물의 울움소리나 음악이 저장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재생부(550)를 거쳐 스피커나 진동부로 출력된다. 상기 주파수 변환부(560)는 저장부에 기록된 동물의 울음소리, 음악 등과 같은 음향신호가 갖는 주파수를 변환하고 진동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부는 통상의 진동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는 유아가 잘 들을 수 있는 위치이어야 하는데, 그 위치는 의자본체의 등받이 양측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동부는 유아의 양측 엉덩이가 위치하는 영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재생부에서 입력 표시부로 나아가는 점선 화살표는 입력 버튼의 선택에 따라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화상이 시각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주파수 변환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주파수 변환부(560)는 스피커로 전송되는 주파수를 변환한다.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증폭부(561), 자동 이득 제어부(562) 및 저역 필터부(563)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재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증폭부(AMP)에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다. 이어서 증폭된 음향신호는 자동 이득 제어부(AGC: Automatic Gain Control)에서 일정 수준의 레벨을 갖도록 변환된다. 각각의 음향신호는 서로 다른 레벨로 저장부에 기록되므로, AGC를 통과한 음향신호는 각각의 음악 또는 소리를 일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음향신호를 재생할 때 각각의 음향신호를 일정 레벨로 출력하도록 하여, 하나의 음향신호에서 이어지는 음향신호의 레벨이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AGC를 통과한 음향신호는 하이 레벨의 주파수를 제거하기 위해 저역 필터(LPF: Low Pass Filter)로 출력된다. 상기 저역 필터를 거쳐 하이 레벨의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로우 레벨의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하이 레벨의 소리신호는 고진동을 야기하므로 유아에게 줄 수 있는 자극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유희모듈에 통신부를 더욱 구비하고, 스마트폰, 컴퓨터, 전자펜 등과 같은 단말기의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유아가 전자펜을 사용하여 그림책 또는 동화책에 나타난 이미지를 선택하면, 전자펜은 해당 이미지를 입력받고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소리 데이터를 상기 유희모듈의 통신부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유희모듈은 그림책 또는 동화책에 나타난 이미지와 대응되는 소리를 스피커와 진동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로부터 유아는 그림책이나 동화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펜과 유희모듈과의 데이터 송수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는 의자본체의 착석홈에 유아를 앉히면 유아는 엉덩이를 통하여 진동부의 진동을 느끼면서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므로 유아의 수면이나 착석 상태 등을 평온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에게 진동과 함께 음악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유아에게 더욱 향상된 정서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상기에서 진동부는 피부진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의자본체
200 : 안전 벨트
300 : 고정 벨트
310 : 보호 유닛
400 : 이동판
410 : 베이스
420 : 결합대
430 : 수평 결합부
440 : 경사 결합부
450 : 바퀴
500 : 유희 모듈
510 : 입력 표시부
520 : 스피커
530 : 진동부
540 : 저장부
550 : 재생부
560 : 주파수 변환부
561 : 증폭부(AMP: Amplifier)
562 : 자동 이득 제어부(AGC: Automatic Gain Control)
563 : 저역 필터(LPF: Low Pass Filter)

Claims (8)

  1. 유아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앉게 되는 의자몸체와, 상기 의자몸체에 설치되는 유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희모듈은 입력 표시부와, 상기 입력 표시부에 표시되는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의 음향신호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부는 증폭부, 자동 이득 제어부 및 저역 필터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재생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증폭부에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후, 자동 이득 제어부에서 일정 수준의 레벨로 변환한 다음, 저역 필터부에서 로우 레벨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며,
    상기 유희모듈의 진동부는 유아의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희모듈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희모듈의 입력 표시부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입력 버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아가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버튼이 표시되며, 또한 입력 버튼의 선택에 의해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은 동물 이미지 또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희모듈에는 그램책 또는 동화책에 나타난 이미지를 입력받는 전자팬과 통신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전자팬으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이미지와 대응되는 소리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하여 유희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소리 데이터는 스피커와 진동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의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의자의 의자본체 하단에는 이동판이 결합되고, 상기 이동판의 저면에는 수평 결합부와 경사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결합부 또는 경사 결합부에는 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KR1020140130700A 2014-09-30 2014-09-30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KR10154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00A KR101545162B1 (ko) 2014-09-30 2014-09-30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00A KR101545162B1 (ko) 2014-09-30 2014-09-30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162B1 true KR101545162B1 (ko) 2015-08-19

Family

ID=5406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700A KR101545162B1 (ko) 2014-09-30 2014-09-30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1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386A (ja) 2001-02-28 2002-09-10 Shiyouko Ishihara ベビー用シート及び車椅子
KR101381641B1 (ko) * 2013-09-11 2014-04-10 시벤스 주식회사 촉감감응형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386A (ja) 2001-02-28 2002-09-10 Shiyouko Ishihara ベビー用シート及び車椅子
KR101381641B1 (ko) * 2013-09-11 2014-04-10 시벤스 주식회사 촉감감응형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777A (en)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US11510499B2 (en) Gaming chair
KR101503305B1 (ko)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KR20090121797A (ko) 외부 음향 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 기능이 구비된 전동침대요람
US20110237411A1 (en) Child exercise seat
US20130005214A1 (en) Producing Sound and Vibration
US5206733A (en) Convertible visual display device
CN101646374B (zh) 婴儿马桶训练器
KR101545162B1 (ko) 진동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자
US20150042131A1 (en) All-in-one entertainment car seat
JPS59174090A (ja) 体感音響装置
US20110165953A1 (en) Infant twin swing set
WO2003045190A3 (en) Reconfigurable chair for infant carriers and toddlers or small children
EP1768521B1 (en) A baby/child support
TWI489961B (zh) 幼兒背帶
CN213849729U (zh) 一种儿童座椅
EP0837619A2 (en) Sound transmission device and apparatus
JPH09191984A (ja) 乳児用音響装置
KR102242833B1 (ko)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00342U (ko) 유아용 체감 매트리스
CN211984732U (zh) 一种可以转换成积木桌的座椅
GB2445662A (en) Combined childs chair and video player system
CN214548479U (zh) 一种益智多功能婴儿床
CA2321588C (en) A white noise playing doll used for colicky babies' diversion
DE10002885A1 (de) Vorrichtung zur Schaffung günstiger Bedingungen für die Bettruhe insbesondere für K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