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113B1 - 쓰레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113B1
KR101545113B1 KR1020150025361A KR20150025361A KR101545113B1 KR 101545113 B1 KR101545113 B1 KR 101545113B1 KR 1020150025361 A KR1020150025361 A KR 1020150025361A KR 20150025361 A KR20150025361 A KR 20150025361A KR 101545113 B1 KR101545113 B1 KR 10154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waste
card reader
trash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관
이주열
이상수
서창옥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엔백 주식회사
서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백 주식회사, 서창옥 filed Critical 엔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13B1/ko
Priority to AU2016224238A priority patent/AU2016224238B2/en
Priority to PCT/KR2016/001717 priority patent/WO20161371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04B5/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쓰레기를 이송수단을 통해 집하장으로 이송하는 쓰레기 투입구; 및,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수단을 판독하는 카드리더기와, 상기 쓰레기 투입구로부터 수신된 쓰레기의 중량에 대한 신호로부터 쓰레기 처리 요금을 계산하여 출력하고, 상기 카드리더기로부터 판독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쓰레기 처리 요금의 결제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투입구 개폐부를 구성하는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집하장의 제어장치에 연결된 통신선로에 병렬 접속되어 통신선로의 평균 통신 준위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장치{REFUSE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투입구에 투입된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요금을 정산하고, 선불 또는 후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수거장치는 통상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통의 하부에는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장치가 설치되어 가정마다 배출되는 쓰레기 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RFID 송수신기를 통해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쓰레기 수거장치의 사용 요금을 정산하기 위하여, 예컨대 EB카드나 티머니 카드 등과 같은 선불식 카드를 카드리더기에 접촉시켜, 쓰레기 량에 따라 직접 사용자 카드 내의 금액을 차감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드접촉식 카드리더기에 관한 사용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쓰레기을 수거장치에 버리기 위해 투입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카드를 카드리더기에 터치하면, 자동으로 투입구 도어가 열리고, 상기 투입구 도어에 쓰레기을 투입하면 투입구 도어가 닫히고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카드를 다시 터치하면 중량에 해당되는 금액이 차감되어 요금을 정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카드접촉식 카드리더기가 구비된 쓰레기 수거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들이 요금정산 시 카드를 터치하지 않고 부정하게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드를 손에 쥐인 상태에서 관련된 일처리를 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지된 비접촉식 카드리더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비접촉식 카드리더기는 카드리더기의 케이스 내에 카드를 삽입하여 쓰레기 수거가 완료될 때까지 쓰레기 수거장치로부터 카드가 인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데, 카드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카드록장치가 카드리더기의 뒤쪽으로 깊숙이 배치되는 경향이 있으며 쓰레기 수거장치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을 경우 비나 눈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비나 눈에 의한 물기나 오염물에 의해 카드가 투입구 내측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카드를 인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쓰레기 수거장치에 RFID 금액 정산 등의 기능을 추가할 경우 신규 시스템으로 전면 교체를 해야 하므로 막대한 경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금액 정산 기능 등의 추가시 기존 시스템의 선로 및 시스템 변경 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리더기의 카드 진입 방향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카드의 진행을 자중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쓰레기를 이송수단을 통해 집하장으로 이송하는 쓰레기 투입구; 및,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수단을 판독하는 카드리더기와, 상기 쓰레기 투입구로부터 수신된 쓰레기의 중량에 대한 신호로부터 쓰레기 처리 요금을 계산하여 출력하고, 상기 카드리더기로부터 판독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쓰레기 처리 요금의 결제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투입구 개폐부를 구성하는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집하장의 제어장치에 연결된 통신선로에 병렬 접속되어 통신선로의 평균 통신 준위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드리더기는,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케이스를 결합하여 하나의 카드 투입구를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 투입구는 일측면에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카드 투입구의 전면부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드리더기는, 카드가 수용되는 카드 수용공간에 카드가 카드 투입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카드수용공간 하단에 빗물이 흘러 카드수용공간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드리더기의 카드수용공간 내에는 카드의 투입을 감지하는 카드감지센서와, 감지된 상기 카드의 잠금을 수행하는 록센서 및 카드록장치를 구비한 카드록 시스템이 설치되며, 상기 카드감지센서는 카드 인입부에 설치되는 제1감지센서와, 카드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리더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로 인한 카드록 시스템 외부에서 카드의 인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차단필름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촬영 및 녹화하는 영상부와 음성부를 구비하는 감시카메라와 통신하되, 상기 감시카메라는 동작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며, 전달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드리더기에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서, 차세대 전자인증에 대응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이 내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의하면, 쓰레기 수거장치의 추가기능 설치 시 통신 선로를 변경하지 않고, 현재 사용중인 통신선로를 그대로 병렬 접속하여 사용함으로써, 선로 증설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드리더기의 카드 진입 방향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카드의 진행을 자중에 의해 제어하고, 하부에 드레인 홀 및 개구부를 두어 카드 투입구로 유입된 빗물이 아래로 흘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카드리더기의 카드 투입구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눈이나 먼지 등이 투입구 전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투입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투입구와 중앙처리장치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카드 투입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카드 투입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레기 수거장치는 복수개의 쓰레기 투입구(100),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쓰레기 투입구(100)는 대형 또는 일반 쓰레기 투입구 및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 투입구(100)는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 도어(1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 도어(101)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등의 중량센서(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쓰레기 투입구(100)의 하부에는 쓰레기 투입구(100)를 통해 유입된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 슈트(102) 및 배출 밸브(103)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 밸브(103)의 하부에는 쓰레기를 집하장(400)까지 이송하기 위한 쓰레기 이송파이프(104)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 도어(101)가 열리고 쓰레기가 투입되면, 저장 슈트(102)의 하단을 차단하는 회동판(미도시)에 설치된 중량센서(106)에 의해 쓰레기의 중량이 측정된다. 상기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중량센서(106)가 full일 경우 집하장 서버(410)로 full 데이터를 전송하여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300)의 화면출력장치(310)에 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중량센서(106)를 재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쓰레기 투입구(10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투입구 도어(101)는 솔레노이드밸브, 유,공압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105)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동수단(105)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슈트(102)에 일정량의 쓰레기가 채워지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중량센서(106) 하부의 배출 밸브(103)가 열리면서 쓰레기가 이송파이프(104)를 통해 집하장(400)으로 이송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센서(106)는 투입구 도어(101)로부터 지면(g) 아래 깊숙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 외부 온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측정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중량센서(106)는 중량 측정값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ad보드(107)로 전송하게 되고, 이는 다시 집하장 서버(410)로 전송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3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중앙처리장치(CPU,200)는 쓰레기 투입구(100)로부터 수신된 쓰레기의 중량 신호로부터 쓰레기 처리 요금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200)는 카드리더기(320)로부터 판독한 카드(C) 정보를 이용하여 쓰레기 처리 요금의 결제를 처리한다. 특히 상기 중앙처리장치(200)는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C)가 선불 카드인 경우, 잔여금액이 쓰레기 요금을 결제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투입구 도어(101)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300)에는 화면출력장치(310), 카드리더기(320), 투입구 개폐부(330), 음성출력장치(340), 메모리(210) 등이 설치된다.
상기 화면출력장치(31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줄 각종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며,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표시장치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카드리더기(320)는 사용자가 소지한 선불 카드 또는 후불 카드인 결제수단을 판독한다. 상기 선불카드는 교통카드로 사용되는 EB카드, 티머니카드 등을 의미하며, 후불카드는 각종 신용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개폐부(330)는 사용자가 쓰레기를 쓰레기 투입구(100)의 투입구 도어(101)를 개방하여 투입한 후, 자동으로 투입구 도어(101)를 닫기 위해 설치한 완료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성출력장치(34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각종 안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모리(210)는 사용자가 쓰레기 투입구(100)를 열기 위해 카드리더기(320)에 삽입하는 카드(C) 정보를 저장하며 중앙처리장치(200)에 포함된다.
상기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300)는 각 쓰레기 투입구(100)마다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300)에서 판독된 카드(C) 정보를 이용하여, 집하장 서버(410)는 이더넷을 매개로 카드사 서버(500)와의 통신을 통해 쓰레기 요금의 결제를 처리한다.
상기 이더넷(ethernet)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해 설치된 인터페이스로서, 통신망을 통해 집하장 서버(410)와, 카드사 서버(500), 지자체 서버(600) 및 환경공단 서버(700) 등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은 유선 통신의 방법 및, 무선 통신의 방법이 별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과 무선이 혼합된 통신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130)에 적용되는 통신방식은 전력선을 통신망으로 활용한 통신선로(130)를 이용하나, 그에 국한되지 않은 유선 통신을 이용하되, 하나의 에너지 전달장치로서 통신기기에서 2개의 회로를 결합하여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impedance matching transformer,110)를 이용한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는, 임피던스가 서로 다른 회로가 직접 연결되어 반사 현상이 생기는 접속점에 삽입되어 1,2차간 권수 비를 조정하고 두 회로의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이로써, 상기 접속점에서의 반사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송 주파수 특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를 기존의 쓰레기 수거장치의 통신선로(130)에 설치하여도 별도의 외부 정합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운용상 큰 지장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는 통신선로(130)의 신규 설치시 별도의 통신선로(130)를 증설하지 않고, 현재 사용중인 통신선로(130)에 병렬 접속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는 A/D 변환기(120)와 함께 기존 통신선로(130)의 교신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평균 통신 준위를 측정한다. 그리고, 특정 통신 준위에 대한 상기 평균 통신 준위의 높낮이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평균 통신 준위가 특정 통신 준위보다 낮아 기존의 통신선로(130)를 이용하여 교신이 가능한 경우, 쓰레기 수거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집하장(400) 내의 서버로 전송한다. 즉, 상기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로 시리얼 데이터를 송신한다. 송신 시에는 보드 번호를 포함한 시리얼 데이터를 송신하며 되도록 짧은 시간에 시리얼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시리얼 송신 데이터를 상기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로 송신시에 상기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에서 전달받은 시리얼 수신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유실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와 같이 상기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에서 전달받은 시리얼 데이터는 집하장(400) 내의 집하장 서버(410)에 보내게 된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110)의 통신 방식을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웹, 이더넷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드리더기(320)는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케이스(321,322)를 결합하여 하나의 카드 투입구(323)를 형성하는 본체(324)를 구비하는바, 본체(324)의 모서리부에는 접촉하는 대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고정부(3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드 투입구(323)는 일측면에 본체(324)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카드 투입구(323)의 전면부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드 투입구(323)의 전면부 구성은, 빗물이 카드 투입구(323) 내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거나 눈이나 먼지 등이 쌓이고 결빙이 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드리더기(320)는 카드(C)가 수용되는 카드수용공간에 카드(C)가 카드 투입구(323)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326)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카드 투입구(323)로 카드(C)의 삽입이 자중에 의해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리더기(320)의 카드수용공간 하단에는 빗물이 흘러 카드수용공간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홀(3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24)의 바닥면에는 드레인홀(327)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개구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325)는 본체(324) 바닥면의 전체 면 또는 일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드리더기(320)의 카드수용공간으로 흘러들어온 소량의 빗물이더라도 드레인홀(327)을 통해 배출되고, 다시 개구부(3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드리더기(320)의 카드수용공간 내에는 카드(C)의 출입을 통제하는 카드록 시스템(360)이 설치되는바, 상기 카드록 시스템(360)은 카드(C)의 투입을 카드감지센서(361)에서 감지하여 카드(C)의 잠금을 수행하는 록센서(362) 및 카드록장치(36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드록 시스템(360)은 중앙처리장치(2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모터 또는 감속기 등의 구동부(364)를 구비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카드감지센서(361)는 카드 인입부에 설치되는 제1감지센서(361a)를 포함하며, 카드(C) 삽입 여부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드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감지센서(361b)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록장치(3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시 카드(C)가 카드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결제 기능이 구비된 모든 전자결제용 매체 등에 대한 전자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자결제용 매체의 형상에 맞춰서 카드수용공간을 적정한 형상 및 크기의 박스 형태로 한 경우에는 상기 카드록장치(363)의 설치위치는 록킹 시 상기 전자결제용 매체가 카드리더기(3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여야 한다. 이로써, 결제 완료 전에 카드(C)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카드리더기(320)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로 인한 카드(C) 외에 카드 투입구(323) 외부에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차단필름(미도시)이 카드 투입구(323)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카드리더기(320)에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서, 통신 거리가 짧아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차세대 전자인증에 대응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370)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피사체, 즉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촬영 및 녹화하는 영상부와 음성부를 구비하는 감시카메라(380)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감시카메라(380)는 항상 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동작센서(381)를 통해 감지하고, 이때 사용자를 감지하여 움직임이 없으면 계속 감시하고, 움직임이 있으면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동작센서(381)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신호는 중앙처리장치(200)에 전달하여 처리된다. 일단, 상기 동작센서(381)에 의해 발생한 동작신호를 입력받은 중앙처리장치(200)는 일정 용량의 메모리(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지자체 서버(600)나 환경공단 서버(700)로 전송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감시카메라(380)를 통해 쓰레기 투입구(100)에 쓰레기를 불법적으로 투기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쓰레기 무단 투기를 근절할 수 있다.
이하,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처리 과정을 플로우차트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3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할 투입구를 선택한 후, 후불 또는 선불 카드를 카드리더기(320)의 카드 투입구(323)에 투입하면 인증된 카드(C)인지 확인하고, 인증된 카드(C)일 경우 카드리더기(320) 내의 록센서(362)가 카드(C)의 투입을 감지한 후, 감지신호를 중앙처리장치(200)에 전송하면 카드록장치(363)가 카드(C)의 잠금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리더기(320)가 카드(C)를 판독하여 선불 카드인지 후불 카드인지 판별한다. 선불 카드이면 잔여 금액이 쓰레기 처리요금을 결제하기에 충분한지를 판별한다. 예컨대, 선불 카드의 금액이 충분하지 않으면, 수거장치의 투입구 도어(101)가 열리지 않게 된다. 선불 카드의 금액이 충분하거나 후불 카드이면, 투입구 도어(101)가 열린다.
상기 투입구 도어(101)가 열린상태에서, 사용자가 쓰레기를 투입구에 투입하고, 투입구 개폐부(330)를 조작하거나 정해진 대기시간 경과후 투입구 도어(101)가 자동으로 닫힌다.
중량센서(106)가 측정한 쓰레기의 중량값으로부터 요금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선불 카드는 요금 차감 후 메모리(210)에 정보를 저장하고, 후불 카드는 메모리(210)에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카드리더기(320) 내의 카드(C)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카드(C)를 카드 투입구(323)를 통해 다시 인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투입구 도어(101)로 투입된 쓰레기는 하부의 저장 슈트(102)에 일정 시간 저장되었다가 배출 밸브(103)가 열리면서 이송파이프(104)를 통해 집하장(400)으로 이송된다. 집하장 서버(410)의 메모리에는 사용자의 과금 내역이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쓰레기 투입구 110 :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 120 : A/D 변환기 200 : 중앙처리장치
210 : 메모리 300 :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
310 : 화면출력장치 320 : 카드리더기
330 : 투입구 개폐부 340 : 음성출력장치
360 : 카드록 시스템 370 : NFC칩
380 : 감시카메라 400 : 집하장
410 : 집하장 서버 500 : 카드사 서버

Claims (7)

  1.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쓰레기를 이송수단을 통해 집하장으로 이송하는 쓰레기 투입구; 및,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수단을 판독하는 카드리더기와,
    상기 쓰레기 투입구로부터 수신된 쓰레기의 중량에 대한 신호로부터 쓰레기 처리 요금을 계산하여 출력하고, 상기 카드리더기로부터 판독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쓰레기 처리 요금의 결제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쓰레기 투입구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투입구 개폐부를 구성하는 결제 및 투입구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집하장의 제어장치에 연결된 통신선로에 병렬 접속되어 통신선로의 평균 통신 준위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리더기의 카드수용공간 내에는 카드의 투입을 감지하는 카드감지센서와, 감지된 상기 카드의 잠금을 수행하는 록센서 및 카드록장치를 구비한 카드록 시스템이 설치되며,
    상기 카드감지센서는 카드 인입부에 설치되는 제1감지센서와, 카드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리더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로 인한 카드록 시스템 외부에서 카드의 인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차단필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리더기는,
    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케이스를 결합하여 하나의 카드 투입구를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 투입구는 일측면에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카드 투입구의 전면부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리더기는,
    카드가 수용되는 카드 수용공간에 카드가 카드 투입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카드수용공간 하단에 빗물이 흘러 카드수용공간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리더기는, 본체의 바닥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촬영 및 녹화하는 영상부와 음성부를 구비하는 감시카메라와 통신하되,
    상기 감시카메라는 동작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며, 전달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리더기에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서, 차세대 전자인증에 대응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150025361A 2015-02-23 2015-02-23 쓰레기 수거장치 KR10154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61A KR101545113B1 (ko) 2015-02-23 2015-02-23 쓰레기 수거장치
AU2016224238A AU2016224238B2 (en) 2015-02-23 2016-02-22 Waste pickup system
PCT/KR2016/001717 WO2016137183A1 (ko) 2015-02-23 2016-02-22 쓰레기 수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61A KR101545113B1 (ko) 2015-02-23 2015-02-23 쓰레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113B1 true KR101545113B1 (ko) 2015-08-17

Family

ID=5406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61A KR101545113B1 (ko) 2015-02-23 2015-02-23 쓰레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45113B1 (ko)
AU (1) AU2016224238B2 (ko)
WO (1) WO20161371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92B1 (ko) * 2016-01-27 2016-12-28 베솜 주식회사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20180063549A (ko) * 2016-12-02 2018-06-12 베솜 주식회사 고층건물용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65Y1 (ko) * 2003-11-24 2004-02-11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 통신신호 정합용 광대역 다중탭 트랜스
KR101412741B1 (ko) * 2013-09-12 2014-06-30 (주)솔루션아이티 무단투기방지 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010A (en) * 1997-01-10 2000-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rd reader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card reader
JP3376893B2 (ja) * 1997-10-28 2003-0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
KR20110000257U (ko) * 2009-07-02 2011-01-10 엔백 주식회사 결제수단을 이용한 쓰레기 요금 처리 시스템
KR101412527B1 (ko) * 2014-04-14 2014-06-26 (주) 지디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65Y1 (ko) * 2003-11-24 2004-02-11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 통신신호 정합용 광대역 다중탭 트랜스
KR101412741B1 (ko) * 2013-09-12 2014-06-30 (주)솔루션아이티 무단투기방지 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92B1 (ko) * 2016-01-27 2016-12-28 베솜 주식회사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20180063549A (ko) * 2016-12-02 2018-06-12 베솜 주식회사 고층건물용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KR101929922B1 (ko) 2016-12-02 2019-03-14 베솜 주식회사 고층건물용 옥내형 음식물쓰레기 종량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183A1 (ko) 2016-09-01
AU2016224238A1 (en) 2017-08-10
AU2016224238B2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3776B2 (en) Low-power vehicle detection
US10706723B2 (en) Parking fee char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3646470B (zh) 充电器租售机
KR100633084B1 (ko)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545113B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20090002120A (ko) Rfid기반 공동주택 음식물류폐기물 수거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KR101412741B1 (ko) 무단투기방지 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51477B1 (ko) 공병 수거장치
KR101373251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47024Y1 (ko) 전자결제식 계량형 수거기
JP5222056B2 (ja) 料金収受機、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96281A (ko) 쓰레기저류장치, 쓰레기처리 징수금장치 및 쓰레기처리징수금 방법
CN207281866U (zh) 纸币处理装置及现金交易装置
KR101369203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용 블랙리스트 관리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131639B1 (ko) Rf eas 태그를 이용한 종량제 봉투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1931A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660151A (zh) 一种自适应混合找零地铁售票设备及方法
TWI624809B (zh) Parking billing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667254B1 (ko)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KR102562423B1 (ko)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JP2006056704A (ja) ゴミ収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ゴミ袋、ゴミ集積ボックスならびにゴミ収集用の管理装置
CN211087369U (zh) 一种多功能投币机
KR20100082114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1485403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373B1 (ko) 결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