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254B1 -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 Google Patents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254B1
KR101667254B1 KR1020150077755A KR20150077755A KR101667254B1 KR 101667254 B1 KR101667254 B1 KR 101667254B1 KR 1020150077755 A KR1020150077755 A KR 1020150077755A KR 20150077755 A KR20150077755 A KR 20150077755A KR 101667254 B1 KR101667254 B1 KR 10166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holder
locking means
lock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5007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음식물 종량제 카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카드가 투입 및 배출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카드 홀더; 상기 카드 홀더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홀더에 투입된 카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수단 마련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카드 결제가 이루어질 때까지 카드의 투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카드를 임의로 인출할 수 없으며, 카드 결제가 완료될 때 카드를 록킹수단으로 유지시켜 비용 결제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무단 투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Card Holder for Collect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요금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 카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과 관련하여 요금 부과는 각 음식물 쓰레기통에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대한 산정이 어려웠던 관계로 각 가정별 일률적으로 부과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요금 부과 방법은 실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비용이 부과되어 형평성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평성 논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이다.
이러한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지역 및 배출주체별(공동주택, 단독주택, 상가, 기타)로 일반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집계 및 계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배출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요금을 부과하도록 한 방식이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0993983호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는 공동주택 및 개별주택단지에서의 음식물쓰레기 배출시 원활한 배출 및 수거가 가능 한 수거장치로서, 내측에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이 보관되는 수거함본체, 상기 수거함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 상기 수거함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인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코인 투입에 의한 자동판매기, 카드투입에 의한 공중전화 등 다양한 결제수단에 의한 자동기기가 출현되어 있다.
최근에는 코인보다는 카드에 의한 결제방식이 더욱 진보하고 있으며, 지능형 카드, RFID 카드 등의 출현으로 더욱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있다.
코인은 결제를 위하여 코인박스를 필요로 하지만, 카드는 전자정보만 기록되므로 결제를 위한 물리적인 공간은 거의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무단배출을 방지하고 정당한 결제를 통한 수거를 위해서는 코인이나 카드 투입과 연계시켜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기술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특히 카드의 경우에 결제를 위해서는 카드를 삽입하고,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작동시킨 후 결제가 이루어진 후에 비로소 카드를 빼내도록 제어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카드의 삽입 후에도 물리적으로 힘을 가하면 카드가 빠져버리는 등의 오류가 있어서, 결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가 작동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여지가 있었다.
수거물의 배출을 위해서는 종량용기를 전도(거꾸로 뒤집음)시켜서 쏟아야 하는데, 종래에는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종량용기의 전도가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수거기의 도어에 록킹수단이 부재하거나 부실하여,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도어가 개방되어, 그 개방된 도어 개구를 통하여 무단투기가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단배출을 방지하고, 카드 등의 결제매체의 이용을 활성화하며, 카드의 투입, 종량제용 용기의 투입 등을 포함한 각 처리단계마다의 구체적인 제어를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자결제식 종량형 수거기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전자결제식 종량형 수거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전자결제식 종량형 수거기는 수거물이 수용되는 종량용기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수거물을 받아서 저장하는 저장부
를 구비하고, 상기 투입부는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격리하는 케이스, 상기 종량용기가 출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종량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종량용기를 정립위치인 원점위치와 도립위치인 플립위치 사이로 회동시키는 플립박스, 상기 종량용기에서 상기 저장부로 상기 수거물이 통과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낙하구, 상기 수거물의 수거비를 결제하는 카드리더, 상기 도어, 플립박스 및 카드리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정면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한 정면도어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힌지로 결합되고, 일측에 음식물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가 장착된 상부도어; 상기 상부도어의 하강방지와 완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 상기 상부도어에 연결된 쇽업쇼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의 무게인 중량정보를 측정하는 계량부; 상기 상부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 저장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기준 높이에 도달했는지를 감지하는 거리센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자의 고유정보가 저장된 RFID카드를 인식하는 RFID리더기; 상기 중량정보를 이용하여 수거시간 정보 및 과금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고유정보, 상기 중량정보, 상기 수거시간 정보 및 과금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0911906호(2009년 8월 5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10847호(2014년 1월 27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음식물 종량 처리기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에서 카드를 삽입 후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 카드를 임의로 꺼낼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락 수단, 회동락 수단, 카드락 수단이 서로 연동되도록 복잡하게 설치되며, 카드 결제부가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카드의 삽입 또는 인출이 불편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드 거치대에 삽입된 카드의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 카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및 그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 거치대 및 카드에 물의 접촉을 방지히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및 그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드가 결제되기 전에 고의로 카드를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무단 투기를 방지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및 그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카드가 투입 및 배출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카드 홀더; 상기 카드 홀더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홀더에 투입된 카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 홀더는 투입된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홈부 및 상기 록킹수단의 록킹핀이 일정 깊이만큼 끼워지도록 걸림홈부가 형성된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결합되며, 투입된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일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수단의 상기 록킹핀이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홀더는 투입구를 통해 카드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카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카드감지센서에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차단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카드 홀더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로;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카드 홀더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구멍;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홀더의 배면에는 상기 록킹수단의 록킹핀에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기부; 상기 제2 홀더의 배면에는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카드 홀더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핀이 원위치 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후단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결제방법은 (a)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홀더에 카드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투입된 카드의 잔액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투입된 카드가 인출되지 않도록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핀이 상기 카드 홀더의 걸림홈부를 향해 동작하는 단계, (d) 상기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e)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단계, (f) 상기 도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계량 및 상기 카드로 결제하는 단계, (g) 상기 록킹수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카드의 잔액이 최소 금액보다 부족한 경우, 카드 결제의 취소 또는 다른 카드의 투입을 안내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도어가 열리지 않는 경우, 카드 결제의 취소 또는 다른 카드의 투입을 안내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도어가 열린 다음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안내 방송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다음 조작부의 닫힘 버튼을 조작하는 단계, 상기 개방된 도어의 닫힘을 안내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 단계 이후에, 상기 카드 홀더에 투입된 카드의 제거를 안내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및 그 결제방법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카드 결제가 이루어질 때까지 카드의 투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카드를 임의로 인출할 수 없으며, 카드 결제가 완료될 때 카드를 록킹수단으로 유지시켜 비용 결제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무단 투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및 그 결제방법에 의하면, 카드 홀더에 투입된 카드를 개방홈부 및 공간부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드의 투입 및 인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카드 홀더에 배수로 및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빗물 또는 오수 등에 의한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빗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의 동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결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및 그 결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를 보인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를 보인 배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개폐되는 도어(11)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카드가 투입 및 배출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카드 홀더(20); 상기 카드 홀더(20)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홀더(20)에 투입된 카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수단(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다음 카드의 결제가 완료될 때까지 카드를 임의로 꺼내지 못하도록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본체(10)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아둘 수 있는 용기(미도시)가 내장된다.
또 본체(1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도어(11)가 설치되며, 본체(10)의 전면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량에 따라 요금을 정산할 수 있는 카드 홀더(20)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홀더(20)는 일측에 투입된 카드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홈부(22)가 형성된 제1 홀더(21)와 투입된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공간부(32)가 형성된 제2 홀더(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홀더(21)는 일정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카드의 투입 및 인출 시 손으로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홈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홈부(22)는 사용자가 카드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홀더(21)에는 록킹수단(50)의 록킹핀(52)이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홈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혹부(23)는 제1 홀더(21)의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제1 홀더(21)의 배면은 록킹핀(52)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걸림홈부(23)는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카드를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홀더(21)의 일측에 형성된다. 즉, 걸림홈부(23)는 카드가 투입된 상태에서 록킹수단(50)에 의해 인출되지 못하도록 투입된 카드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홀더(31)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카드의 투입 및 인출 시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단턱에 의해 소정의 공간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31)의 하측에는 록킹수단(50)의 록킹핀(52)이 관통하도록 구멍(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홀더(31)의 타측에는 카드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카드감지센서(34)가 설치된다.
상기 카드감지센서(34)는 카드 인식부로써, 카드의 투입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60, 도 6 참조)로 보내게 된다.
상기 카드감지센서(34)의 외측에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벽(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벽(35)은 카드감지센서(34)의 상면 및 좌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홀더(31)의 전면에는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로(36)가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로(36)는 카드 홀더(20) 내부로 유입된 빗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 도중에 떨어지는 오수 등이 카드 홀더(20) 내부에 고이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로(36)는 제2 홀더(31)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벽체(37) 사이를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형성된다. 아울러 카드 홀더(20)는 본체(10)의 전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카드 홀더(20) 내부로 유입된 빗물 또는 오수는 하측을 향해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제2 홀더(31)의 전면에는 배수로(36)와 함께 유입된 물을 카드 홀더(20)의 배면으로 이동시키는 배수구멍(38)이 다수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홀더(31)의 배면에는 구멍(33)을 통해 록킹수단(4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돌기부(39)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39)는 구멍(33)을 통해 물이 록킹수단(40) 및 제2 홀더(31)의 배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2 홀더(31)의 배면에는 배수구멍(38)을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다수의 배수홈부(40)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홀더(31)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제2 홀더(31)의 배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41)가 돌출 형성되며, 고정돌기(41)에는 패킹(42)이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수단(50)은 제1 홀더(21)와 제2 홀더(31) 사이에 투입된 카드를 임의로 꺼낼 수 없도록 록킹하는 것으로, 제2 홀더(20)의 배면, 즉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록킹수단(5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51), 솔레노이드(51)에 의해 출몰되는 록킹핀(52) 및 상기 록킹핀(52)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53)을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51)는 카드감지센서(33)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록킹핀(52)을 이동시키며, 록킹핀(52)은 솔레노이드(51)의 인가된 전원에 의해 걸림홈부(23)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53)은 걸림홈부(23)를 향해 이동된 록킹핀(52)을 원위치로 후퇴시키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의 동작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는 본체(10)의 상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1)를 설치하며, 본체(10)의 전면에는 카드 홀더(20)를 설치한다.
상기 카드 홀더(20)는 개방홈부(22)가 형성된 제1 홀더(21)와 공간부(32)가 형성된 제2 홀더(31)를 포함하며, 이들 제1 홀더(21)와 제2 홀더(31)를 결합시킴에 따라 일측에 카드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홀더(21)의 일측에는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개방홈부(22)를 형성하며, 제1 홀더(21)에는 록킹수단(50)의 록킹핀(52)이 결합되는 걸림홈부(23)를 형성한다.
상기 제2 홀더(31)에는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32)를 형성한다. 즉, 개방홈부(22) 및 공간부(32)는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하면서 카드의 투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개방홈부(22) 및 공간부(32)에 의해 카드 홀더(20)의 일측에는 카드의 투입 및 카드를 인출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홀더(31)에는 걸림홈부(23)에 대응되는 구멍(33)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멍(33)은 걸림홈부(23)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한다. 이는 록킹수단(50)을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록킹수단(50)에 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또 제2 홀더(31)의 상부 일측에는 투입된 카드를 감지하는 카드감지센서(34)를 설치한다. 카드감지센서(34)의 외측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벽(35)을 형성한다. 이러한 차단벽(35)은 물의 유입으로 인해 카드 인식의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카드감지센서(34)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한다.
또한 제2 홀더(31)의 전면에는 다수의 벽체(37)를 형성하며, 이들 벽체(37)에는 제2 홀더(31)의 저면을 향해 흐르도록 다수의 배수로(36)를 형성한다. 이와 함께 제2 홀더(31)에는 전면으로 유입된 물이 배면으로 흐르도록 다수의 배수구멍(38)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홀더(31)의 배면에는 록킹수단(5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돌기부(39)를 형성하며, 상기 돌기부(39)를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 제2 홀더(31)의 배면에는 저면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다수의 배수홈부(40)를 형성한다. 상기 제2 홀더(31)의 배면에는 본체(10)에 설치되도록 다수의 고정돌기(41)를 형성하며, 고정돌기(41)에는 본체(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패킹(42)을 설치한다.
이들 제1 홀더(21) 및 제2 홀더(31)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카드 홀더(20)의 배면, 즉, 본체(10)의 내부에는 록킹수단(50)을 설치한다.
상기 록킹수단(5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51)와 솔레노이드(51)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록킹핀(52) 및 록킹핀(52)을 원위치시키는 스프링(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솔레노이드(51)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미설명 부호 54는 솔레노이드(51)를 본체(10)에 설치하는 브래킷이다. 상기 솔레노이드(51)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록킹핀(52)은 걸림홈부(23)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결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결제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결제방법은 (a)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홀더에 카드의 투입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투입된 카드의 잔액을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투입된 카드가 인출되지 않도록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핀이 상기 카드 홀더의 걸림홈부를 향해 동작하는 단계, (d) 상기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e) 상기 도어를 폐쇄시키는 단계, (f) 상기 도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계량 및 상기 카드로 결제하는 단계, (g) 상기 록킹수단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 결제는 예시적으로 선불카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선불 카드 외에도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본체(10)에는 도어(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1)를 개폐시키는 도어 구동부(12)가 설치됨은 물론 본체(10)의 전면에 도어(11)를 닫을 수 있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이 구비된 조작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록킹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가 마련될 수 있고, 카드감지센서(34)에 의해 카드의 투입 유무를 감지함은 물론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인식부(14)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카드 홀더(20)에 카드(미도시)를 투입하게 되며, 카드감지센서(34)는 투입된 카드를 감지하게 된다(S10).
상기 카드 홀더(20)에 카드가 투입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대기 상태는 록킹수단(50)의 록킹핀(52)이 스프링(53)에 의해 후퇴된 상태를 지칭한다.
상기 카드 인식부(14)는 투입된 카드를 판독하며, 카드의 잔액을 판단하게 된다(S20).
상기 카드 홀더(20)에 투입된 카드가 선불카드 또는 체크카드인 경우, 결제 가능한 카드 잔액을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최소 결제 금액은 2천 원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처리 용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0에서 카드 잔액이 부족한 경우, 다른 카드의 투입을 안내하는 방송을 한다(S25).
상기 카드 인식부(14)는 투입된 카드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제어부(60)로 보내게 되고, 제어부(60)에서는 록킹수단(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록킹수단(50)을 작동시킨다(S30).
상기 록킹수단(50)은 솔레노이드(51)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록킹핀(52)이 제1 홀더(21)의 걸림홈부(23)로 이동된다. 즉, 록킹핀(52)은 걸림홈부(23)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카드 홀더(20)에 투입된 카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인출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록킹수단(40)이 작동된 상태에서 도어(11)는 도어 구동부(12)에 의해 개방된다(S40).
상기 도어(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안내 방송을 하게 된다(S43). 이에 사용자는 개방된 도어(1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게 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부(13)의 도어 닫힘 버튼을 조작하게 된다(S45).
이러한 도어(11)의 닫힘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도어(11)가 닫히게 된다는 안내 방송을 하게 된다(S47).
상기 안내 방송이 완료됨에 따라 도어 구동부(12)는 도어(11)를 폐쇄시키게 된다(S50).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계량하게 되며, 계량된 중량에 따라 카드로부터 산정된 금액을 결제하게 된다(S60).
아울러 카드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내역은 관리서버(미도시) 등으로 전송된다.
상기 카드 결제가 완료된 이후, 제어부(60)에서는 록킹수단(50)을 해제하는 제어신호를 보내게 되고, 록킹수단(50)의 솔레노이드(51)는 인가된 전원이 차단된다. 이에 록킹핀(52)은 스프링(53)에 의해 원위치로 후퇴하게 되며, 록킹수단(50)이 해제된다(S70).
상기 록킹수단(50)이 해제된 상태에서 록킹수단(50)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방송과 함께 카드의 인출을 안내하는 방송을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도어
12: 도어 구동부 13: 조작부
20: 카드 홀더 21: 제1 홀더
22: 개방홈부 23: 걸림홈부
31: 제2 홀더 32: 공간부
33: 구멍 34: 카드감지센서
35: 차단벽 36: 배수로
37: 벽체 38: 배수구멍
39: 돌기부 40: 배수홈부
41: 고정돌기 42: 패킹
50: 록킹수단 51: 솔레노이드
52: 록킹핀 53: 스프링
54: 브래킷

Claims (14)

  1.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카드가 투입 및 배출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카드 홀더;
    상기 카드 홀더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홀더에 투입된 카드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카드 홀더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핀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홀더는 투입된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개방홈부 및 상기 록킹수단의 록킹핀이 일정 깊이만큼 끼워지도록 걸림홈부가 형성된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결합되며, 투입된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일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수단의 상기 록킹핀이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투입구를 통해 카드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카드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카드감지센서에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차단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카드 홀더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로;
    상기 제2 홀더에는 상기 카드 홀더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배수구멍;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의 배면에는 상기 록킹수단의 록킹핀에 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기부;
    상기 제2 홀더의 배면에는 유입된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핀이 원위치 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후단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077755A 2015-06-02 2015-06-02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KR10166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55A KR101667254B1 (ko) 2015-06-02 2015-06-02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55A KR101667254B1 (ko) 2015-06-02 2015-06-02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254B1 true KR101667254B1 (ko) 2016-10-18

Family

ID=5724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755A KR101667254B1 (ko) 2015-06-02 2015-06-02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452A (ja) *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ドリーダおよびカードリーダ取付方法
KR100911906B1 (ko) 2009-02-24 2009-08-13 (주)오토코리아 전자결제식 종량형 수거기
KR101302962B1 (ko) * 2013-07-12 2013-09-03 주식회사 에이텍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31914B1 (ko) * 2013-05-30 2013-11-21 정한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용 결제카드 홀딩장치
KR20140010847A (ko) 2012-07-16 2014-01-27 주식회사 투해피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452A (ja) *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ードリーダおよびカードリーダ取付方法
KR100911906B1 (ko) 2009-02-24 2009-08-13 (주)오토코리아 전자결제식 종량형 수거기
KR20140010847A (ko) 2012-07-16 2014-01-27 주식회사 투해피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
KR101331914B1 (ko) * 2013-05-30 2013-11-21 정한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용 결제카드 홀딩장치
KR101302962B1 (ko) * 2013-07-12 2013-09-03 주식회사 에이텍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8860A9 (en) Coin deposit and dispensing apparatus
EP0686948B1 (en) Coin security system
KR101422997B1 (ko) 종량제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JP2015156141A (ja) 金銭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の在高管理方法
KR101667254B1 (ko)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카드 거치대
US8967362B2 (en) Apparatus, method, software and graphical interface for flexible dispensing of coins in a coin handling apparatus
JP5359720B2 (ja) 金銭処理装置
JP6291905B2 (ja) 金銭処理装置
KR101732372B1 (ko) Ble 기술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1027207B1 (ko) 요금 자동 수수기
JP4616139B2 (ja) 貸しロッカーシステム
KR101545113B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200447024Y1 (ko) 전자결제식 계량형 수거기
KR20010110994A (ko) 생쓰레기 액상화장치 및 그 관리방법
GB2103281A (en) Slot-machine coin safe
NL1007663C2 (nl) Inworpinrichting voor een afvalhouder, in het bijzonder een houder voor het inzamelen van huishoudelijk afval.
JP2007039890A (ja) 貸しロッカーシステム
AU2017202561B2 (en)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coins from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KR200474482Y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110121390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100082114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JPH11222301A (ja) ごみ集積用囲体
KR100279141B1 (ko) 부정사용 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식 주화선별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09373B1 (ko) 결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20130027944A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봉투 수거방법 및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