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704B1 -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Google Patents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704B1
KR101544704B1 KR1020140127355A KR20140127355A KR101544704B1 KR 101544704 B1 KR101544704 B1 KR 101544704B1 KR 1020140127355 A KR1020140127355 A KR 1020140127355A KR 20140127355 A KR20140127355 A KR 20140127355A KR 101544704 B1 KR101544704 B1 KR 10154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support
plate bodies
resin body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태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 주식회사 에스티알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4012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7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7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inserting and fixating support piles spaced from each other between a bridge starting point unit and a bridge end point unit; a second step of piling transverse supports on each support pile to be fixated; a third step of fixating and installing the longitudinal supports having a structure of a rectangular frame where T-shaped support ribs are arranged while spaced from each other to cross the transverse supports; a fourth step of fixating and installing a metal plates having a resin body to be attached and detached between the support ribs of the longitudinal supports; and a fifth step of spreading railroad gravel on the resin body and sequentially installing a tie and a rail on the railroad gravel.

Description

철도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본 발명은 철도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한 철도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temporary railway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lway temporary railway bridge which is easy to construct and dismantle and can be used repeatedl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교통 또는 다른 다양한 목적을 위해 교량이 설치된다. 교량은 영구적인 교량 이외에 그 교량을 설치하거나 공사차량 및 작업자 또는 일반인들의 통행을 위해, 또는 신속한 교량의 설치를 위해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가설교량이 설치된다.Generally, bridges are installed for traffic or other various purposes. Bridges are installed temporary or semi-permanently for the installation of bridges other than permanent bridges, for the passage of construction vehicles and workers or ordinary people, or for the installation of rapid bridges.

가설교량은 빔을 상호 연결하거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가설벤트를 지반에 설치하고 그 가설벤트 상단에 여러 개의 보를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 시킨 후 그 보 위를 복공하여 설치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6222호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고강도의 강봉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과 트러스를 연속, 반복적으로 조립하여 가설하는 방식 등이 있다.
Hybrid bridges are installed by interconnecting beams or by using concrete to install a hypothetical vent on the ground, interconnecting several beams at the top of the hypothetical vent, and consolidating the beams. A related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6222. Also, there are a system of introducing a prestress using a high-strength steel bar and a system of assembling trusses successively and repeatedly.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6222호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6222 7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한 철도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lway temporary bridge capable of being easily installed and dismantled and capable of being repeatedly us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There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설교량 시공방법은 교량 시점부와 교량 종점부 사이에 지지말뚝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박아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지지말뚝 각각에 횡지지대들을 적치하여 고정하는 제2 단계; T자 모양의 지지살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사각틀 형태의 구조를 갖는 종지지대를 상기 횡지지대들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종지지대의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수지체를 갖는 금속판체들을 탈착되게 고정 설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지체 위에 철도자갈을 깔고, 그 철도자갈 위에 침목과 레일을 차례로 설치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bridge, comprising: a first step of pivotally supporting piles between a starting point of a bridge and an end point of a bridge; A second step of mounting and fixing transverse supports on each of the support piles; A third step of fixing a longitudinal support having a square-shaped structu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cross the transverse supports, the T-shaped support pieces being spaced from each other; A fourth step of fixing and mounting the metal plate bodies having a resin body between the support pieces of the longitudinal supports, And a fifth step of laying railroad gravel on the resin body and sequentially installing the railroad gravel and the railroad tie on the railroad gravel.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판체들은 ㄷ자 모양의 수용부와 그 수용부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체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들 위에 위치하는 수평부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판체들은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지지살들 위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al plate bodies include a U-shaped receiving portion and wing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respectively. The resin body includes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each of the metal plate bodie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by seating the wings on the support pieces.

상기 금속판체들의 날개부들과 상기 수지체의 수평부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체들로부터 상기 수지체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nd fixing means installed to penetrate the wings of the metal plate bodies and the horizontal portions of the resin body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esin bodies from the metal plate bodies.

상기 종지지대의 좌우측에는 상기 종지지대에 상기 철도자갈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체에는 상기 벽체들의 내벽면을 덮는 돌부가 상기 몸체부 및 수평부들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 support, walls for forming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ailroad gravel ar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and a protrusion cover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lls may protrude from the body and the horizontal portions.

상기 종지지대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횡지지대들을 가로질러 배열되고, 상기 종지지대의 벽체에는 작업대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supports may be arranged in two or more transverse supports, and a work table may be installed on the walls of the longitudinal supports.

상기 금속판체들의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살들의 수평헤드부 아래에 끼워져 상기 지지살들에 상기 금속판체들을 고정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etal plate bodies may be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fitted under the horizontal head portion of the support pieces and provides a place for fixing the metal plate bodies to the support pieces.

본 발명의 가설교량은 교량 시점부와 교량 종점부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지지말뚝들; 상기 지지말뚝들 각각에 적치되어 고정되는 횡지지대들; T자 모양의 지지살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사각틀 형태의 구조를 이루어 상기 횡지지대들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종지지대; 및 상기 종지지대의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수지체를 갖는 금속판체들을 포함하며,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upport pile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between the bridge starting point and the bridge end point; A transverse support fixedly mounted on each of the support piles; A longitudinal support having a square-shaped structure in which T-shaped supports a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fixedly installed across the transverse supports; And a metal plate body having a resin body installed so as to be desorb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of the longitudinal support,

상기 금속판체들은 ㄷ자 모양의 수용부와 그 수용부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체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들 위에 위치하는 수평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판체들은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지지살들 위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etal plate bodies comprise a U-shaped receiving portion and wing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resin receiving body has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wing portions ar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fingers by being seated on the support fingers.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판체들의 날개부들과 상기 수지체의 수평부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체들로부터 상기 수지체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지지대의 좌우측에는 상기 종지지대에 철도자갈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들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체에는 상기 벽체들의 내벽면을 덮는 돌부가 상기 몸체부 및 수평부로부터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fixing means for penetrating the wing portions of the metal plate bodies and the horizontal portions of the resin body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esin body from the metal plate bodies, Walls for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railroad gravel are formed on the resin body, and a stone portion cover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lls may be further protruded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철도자갈과 대면하는 상기 수지체의 몸체, 수평부 및 돌부에는 철도자갈의 슬라이드 현상을 방지하는 요철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esin body facing the railroad gravel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irregularities for preventing sliding of railroad gravel.

상기 금속판체들의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살들의 수평헤드부 아래에 끼워져 상기 지지살들에 상기 금속판체들을 고정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고정돌부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holding portion of the metal plate bodie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ding portion that is fitted under the horizontal head portion of the support pieces and provides a place for fixing the metal plate bodies to the support pieces.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소음이 크게 줄고, 철도자갈의 슬라이드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to use repeatedly, to significantly reduce noise, and to effectively prevent sliding phenomenon of railroad gravel.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 가설교량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철도 가설교량이 시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철도 가설교량이 시공된 모습의 일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표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지지말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종지지대의 지지살들에 수지체를 갖는 금속판체가 설치된 일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수지체를 갖는 금속판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종지지대에 작업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railway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struction of a railway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struction of the railway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splay A portion.
5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support plate of a longitudinal support in which a metal plate having a resin body is installed.
8 is a view showing a metal plate body having a resin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Fig. 8.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orkbench is installed on a vertical suppor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도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지지말뚝(10)을 박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지지말뚝(10)은 교량 시점부(S)와 교량 종점부(E)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박아 고정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ailwa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putting the support pile 10 in the ground. The support pile 10 is fixedly inserted between the bridge view point S and the bridge end point E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지지말뚝(10)은 다수개의 H빔들(11)과 그 H빔들(11) 상단을 덮는 판체(13)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H빔들(11)은 박힌 모양이 길이를 갖는 사각 모양(예컨대,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박힌방향이 서로 어긋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높인다. 판체(13)는 H빔들(11)의 박힌 모양과 동일한 사각모양을 이루어 H빔들(11) 상단을 덮는다.The support pile 10 may comprise a plurality of H beams 11 and a plate 13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H beams 11 (see FIGS. 5 and 6). The H beams 11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square shape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of the embossed shape, and the embossing directions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to enhanc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ground. The plate member 13 covers the upper end of the H beams 11 in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at of the H beams 11.

지지말뚝(10) 각각의 위에는 횡지지대(20)가 고정 설치된다. 횡지지대(20)는 길이를 갖는 형태를 이루어 판체(13)의 길이를 따라 고정 설치되며, 횡보를 형성한다. 횡지지대(20)는 탈착되게 판체(13)에 고정되어 분리 조립이 가능하다.On each of the support piles (10), a transverse support (20) is fixedly installed. The transverse supports 20 are shaped to have a length and are fixed along the length of the plate 13, forming a transverse. The transverse support (20) is fixed to the plate body (13) so as to be detached and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횡지지대들(20) 위에는 종보를 형성하는 종지지대(30)가 적치되어 고정되며, 종지지대(30)는 횡지지대들(20)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된다. 종지지대(30)는 인양고리를 구비하여 크레인 등의 건설기계로 인양되어 횡지지대들(20) 위에 적치되며,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횡지지대들(20)을 가로질러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지지대(30)는 교량이 긴 경우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배열될 수 있고, 교량이 짧은 경우 1개로 이루어져 횡지지대들(20) 위에 적치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supports 30 are fixedly mounted on the transverse supports 20 and the longitudinal supports 30 are fixed across the transverse supports 20. The longitudinal supports 30 are lifted by a construction machine, such as a crane, with lifting hooks, and are stacked on the transverse supports 20, and may be arranged in two or more transverse supports 20.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supports 30 can be arranged in two or more bridges if they are long, and can be stacked on the transverse supports 20 in a single short bridge.

종지지대(30)는 T자 모양의 지지살들(31)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사각틀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종지지대(30)는 구성요소인 바닥판(도면부호 미표시) 위에 H빔들을 서로 거리를 두고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 배열하여 T자 모양의 지지살들(31)을 형성할 수 있다. 종지지대(30)의 좌우측에는 종지지대(30)에 철도자갈(11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들(33)이 각각 형성되며,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33)에는 난간을 갖는 작업대(40)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support 30 has a square-shaped structure in which the T-shaped support pieces 31 a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longitudinal supports 30 can be formed by arranging the H beams on a bottom plate (not shown), which is a component,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rough welding or the like to form the T-shaped supports. Walls 33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the railroad gravel 111 are formed on the vertical support rods 30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support rods 30, Can be installed.

종지지대(30)에는 수지체(50)를 갖는 금속판체(60)가 설치된다. 수지체(50)를 갖는 금속체(60)는 지지살들(31) 사이 사이에 탈착되게 고정되어 지지살들(31) 사이를 틈이 없게 덮는다. 수지체(50)는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탄성 등을 갖는 구조체로서 2종 이상의 수지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및 고형분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지체(50)는 열차 운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줄이고, 충격이나 하중 등을 완화하여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The column support base 30 is provided with a metal plate body 60 having a resin body 50. The metal body 60 having the resin body 50 is fixedly detach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31 to cover the support pieces 31 with no gap therebetween. The resin body 50 is a structure having abra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lasticity, etc., and may be a mixture of two or more resins or two or more resins and a solid component. Such a resin body 50 absorbs and reduces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 and alleviates impact and load,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ridge.

예를 들면, 금속판체들(60)은 ㄷ자 모양의 수용부(61)와 그 수용부(61)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들(6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지체(50)는 수용부(61)의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51)와 그 몸체부(51)의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부들(63) 위에 위치하는 수평부들(53)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metal plate bodies 60 may include a U-shaped receiving portion 61 and wing portions 6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61, respectively, and the resin bodies 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5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61 and horizontal portions 5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51 and positioned above the wing portions 63 .

금속판체들(60)은 날개부들(63)이 지지살들(31) 위에 안착됨으로써 지지살들(31) 사이 사이에 설치되며, 금속판체들(60)의 설치가 완료되면 종지지대(30)의 내측에는 수지체들(50)이 이루는 바닥이 형성된다.The metal plate bodies 60 ar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31 by mounting the wings 63 on the support pieces 31.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metal plate bodies 60 is completed, The bottom of the resin bodies 50 is formed.

또한, 수지체(50)에는 종지지대(30)의 벽체들(33)의 내벽면을 덮는 돌부(55)가 몸체부(51) 및 수평부들(53)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부(55)는 종지지대(30)의 벽체들(33)의 내벽면을 덮어 벽체들(33)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 등을 완화하고 소음을 줄인다.A protrusion 55 cover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ll bodies 33 of the vertical support base 30 may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51 and the horizontal portions 53. [ The projecting portion 55 cover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lls 33 of the vertical support table 30 to alleviate an impact or a load applied to the wall bodies 33 and reduce the noise.

금속판체들(60)의 수용부(61)에는 날개부들(63)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돌부(6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부(65)는 수용부(61)의 좌측이나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부(65)는 수직부와 수평헤드부로 이루어진 지지살들(31)의 수평헤드부 아래에 끼워져 지지살들(31)에 금속판체들(60)을 고정하는 장소를 마련한다. The holding portion 61 of the metal plate bodies 6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65 positioned below the wing portions 63. [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65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61. The fixing protrusions 65 are fitted under the horizontal head portions of the support pieces 31 composed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horizontal head part to provide a place for fixing the metal plate bodies 60 to the support pieces 31.

예를 들면, 고정돌부(65)와 지지살들(31)의 수직부 사이에 브라켓을 덧대고 볼트를 체결하여 금속판체들(60)을 지지살들(31)에 탈착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부(65)가 브라켓 기능을 수행하여 지지살들(31)의 수직부와 볼트 체결되어 금속판체들(60)을 지지살들(31)에 탈착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돌부(65)는 수용부(61)에 볼트 체결되어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고, 금속판체들(60)은 고정돌부(65)와 지지살들(31)의 수직부 사이를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으나 시공 및 해체가 번거롭다.For example, the brackets are pinch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65 and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support pieces 31, and the bolts are fastened to fix the metal plate bodies 60 to the support pieces 31 in a detachable manner. The fixing protrusions 65 perform a bracket function and are bolted to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support pieces 31 to fix the metal plate bodies 60 to the support pieces 31 in a detachable manner. The fixing protrusions 65 may be bolted to the receiving portion 61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hereto and the metal plate bodies 60 may be welded between the fixing portions of the fixing protrusions 65 and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supporting pieces 31 Howeve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are troublesome.

이와 같이 지지살들(31) 사이 사이에 금속판체들(60)이 고정되어 종지지대(30)의 내측에 수지체들(50)이 형성하는 바닥이 완성되고, 그 수지체들(50) 위에 철도자갈(111)을 깔고 그 철도자갈(111) 위에 침목(113)과 레일(115)을 차례로 설치하면,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시공이 완료된다.The metal plate bodies 60 are fix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31 so that the bottom of the support members 3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table 30,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when the railway gravel 111 is laid on the railway gravel 111 and the railway gravel 111 is installed on the railway gravel 111 in order.

한편, 철도자갈(111)과 대면하는 수지체(50)의 몸체(51), 수평부(53) 및 돌부(55)의 면에는 엠보싱 모양, 가로나 세로 모양, 사선 모양 등의 요철(57)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57)은 철도자갈(111)이 걸리는 무수한 턱과 마찰면을 형성하여 열차 운행시 발생할 수 있는 철도자갈(111)의 슬라이드 현상을 방지한다.The surfaces of the body 51, the horizontal portion 53 and the projections 55 of the resin body 50 facing the railroad gravels 111 are provided with projections and depressions 57 such as an embossed shape, a horizontal or vertical shape, Can be formed. The irregularities 57 form irregular tangs and friction surfaces on which the railway gravel 111 is caught, thereby preventing sliding phenomenon of the railway gravel 111 which may occur when the train is operated.

또한, 금속판체들(60)에는 수지체(5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8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수단(80)은 금속판체들(60)의 날개부들(63)과 수지체(50)의 수평부들(5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금속판체들(60)로부터 수지체(5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수단(80)은 볼트부재(81)로 날개부들(63)과 수평부들(53)을 관통시킨 후 너트부재(83)를 체결하여 금속판체들(60)로부터 수지체(5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al plate bodies 60 may be provided with fixing means 80 for fixing the resin body 50. The fixing means 80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wing portions 63 of the metal plate bodies 60 and the horizontal portions 53 of the resin body 50 to separate the resin bodies 50 from the metal plate bodies 60 . For example, the fixing means 80 penetrates the wing portions 63 and the horizontal portions 53 with the bolt member 81, and then the nut member 83 is fastened to the resin body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 시점부(S)와 교량 종점부(E) 사이에 지지말뚝(10)을 박고, 횡지지대들(20)과 종지지대들(30)을 순차로 올린 후 종지지대들(30)의 지지살들(31) 사이 사이에 수지체(50)를 갖는 금속판체(60)를 결합한 다음, 철도자갈(111)과 침목(113) 및 레일(115)을 순차로 설치하면, 본 발명의 가설교량이 완성되기 때문에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금속판체(60)의 하중 지지력이 더해져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되고, 수지체(50)의 물성으로 인해 소음이 줄고 하중이나 충격 등이 완화되어 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 개선된다. 또한, 수지체(50)의 요철(57)로 인해 철도자갈(111)의 슬라이드 현상이 크게 방지될 수 있다. 수지체(50)를 갖는 금속판체(60)는 가볍고 크지 않아 운반, 보관 등이 매우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le 10 is inserted between the bridge view point S and the bridge end point E, the transverse supports 20 and the vertical supports 30 are sequentially raised, The railroad gravel 111 and the railroad tie 113 and the rails 115 are sequentially installed after the metal plate body 60 having the resin body 50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31 of the support rods 30, The construction and demolition of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leted, so that it is convenient and can be repeatedly used. Further,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metal plate body 60 is added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ridge and due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body 50 The noise is reduced and the load or impact is relieved,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ridge. In addition, the sliding phenomenon of the railway gravel 111 can be largely prevented by the unevenness 57 of the resin body 50. The metal plate body 60 having the resin body 50 is light and large, so that it is very easy to carry and store.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지지말뚝 11: H빔
13: 판체 20: 횡지지대
30: 종지지대 31: 지지살
33: 벽체 40: 작업대
50: 수지체 51: 몸체부
53: 수평부 55: 돌부
57: 요철 60: 금속판체
61: 수용부 63: 날개부
65: 고정돌부 80: 고정수단
81: 볼트부재 83: 너트부재
111: 철도자갈 113: 침목
115: 레일
10: Support pile 11: H beam
13: plate body 20: transverse support
30: longitudinal support 31: support support
33: wall 40: workbench
50: resin body 51:
53: horizontal part 55:
57: unevenness 60: metal plate body
61: receiving portion 63: wing portion
65: fixed protrusion 80: fixing means
81: bolt member 83: nut member
111: railroad gravel 113: sleepers
115: rail

Claims (10)

교량 시점부와 교량 종점부 사이에 지지말뚝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박아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지지말뚝 각각에 횡지지대들을 적치하여 고정하는 제2 단계;
T자 모양의 지지살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사각틀 형태의 구조를 갖는 종지지대를 상기 횡지지대들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하는 제3 단계;
상기 종지지대의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수지체를 갖는 금속판체들을 탈착되게 고정 설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지체 위에 철도자갈을 깔고, 그 철도자갈 위에 침목과 레일을 차례로 설치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판체들은 ㄷ자 모양의 수용부와 그 수용부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체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들 위에 위치하는 수평부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판체들은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지지살들 위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가설교량 시공방법.
A first step of pivotally supporting piles between the bridge starting point part and the bridge end point part with intervals therebetween;
A second step of mounting and fixing transverse supports on each of the support piles;
A third step of fixing a longitudinal support having a square-shaped structu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cross the transverse supports, the T-shaped support pieces being spaced from each other;
A fourth step of fixing and mounting the metal plate bodies having a resin body between the support pieces of the longitudinal supports, And
And a fifth step of laying railroad gravel on the resin body and sequentially installing a railroad gravel on the railroad gravel,
Wherein the metal plate bodies comprise a U-shaped receiving portion and wing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resin receiving body has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portions formed on the wing portions,
Wherein the metal plate bodies ar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by the wings being seated on the support piece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체들의 날개부들과 상기 수지체의 수평부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체들로부터 상기 수지체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철도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fixing means installed to penetrate the wing portions of the metal plate bodies and the horizontal portions of the resin body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esin body from the metal plate bodi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대의 좌우측에는 상기 종지지대에 상기 철도자갈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체에는 상기 벽체들의 내벽면을 덮는 돌부가 상기 몸체부 및 수평부들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철도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are formed with walls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ailway gravels on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and a stone cover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lls is formed on the resin body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s, Construction metho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종지지대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횡지지대들을 가로질러 배열되고, 상기 종지지대의 벽체에는 작업대가 설치되는 철도 가설교량 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are arranged across two or more of the transverse supports and a work table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체들의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살들의 수평헤드부 아래에 끼워져 상기 지지살들에 상기 금속판체들을 고정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철도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of the metal plate bodies is protruded in a receiving part of the metal plate bodies under the horizontal head part of the support pieces to provide a place for fixing the metal plate bodies to the support pieces.
교량 시점부와 교량 종점부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지지말뚝들;
상기 지지말뚝들 각각에 적치되어 고정되는 횡지지대들;
T자 모양의 지지살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사각틀 형태의 구조를 이루어 상기 횡지지대들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종지지대; 및
상기 종지지대의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수지체를 갖는 금속판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판체들은 ㄷ자 모양의 수용부와 그 수용부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체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들 위에 위치하는 수평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판체들은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지지살들 위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지지살들 사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가설교량.
Supporting pi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a bridge starting point and a bridge ending point;
A transverse support fixedly mounted on each of the support piles;
A longitudinal support having a square-shaped structure in which T-shaped supports a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fixedly installed across the transverse supports; And
And a metal plate body having a resin body installed to be detach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of the longitudinal support,
Wherein the metal plate bodies comprise a U-shaped receiving portion and wing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resin body comprises a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horizontal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positioned on the wing portions,
Wherein the metal plate bodies ar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ieces by the wings being seated on the support piece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체들의 날개부들과 상기 수지체의 수평부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금속판체들로부터 상기 수지체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종지지대의 좌우측에는 상기 종지지대에 철도자갈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들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체에는 상기 벽체들의 내벽면을 덮는 돌부가 상기 몸체부 및 수평부로부터 더 돌출 형성되는 철도 가설교량.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fixing means installed to penetrate the wing portions of the metal plate bodies and the horizontal portions of the resin body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esin body from the metal plate bodies,
Walls form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railroad gravel ar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 support rods,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of the resin body cover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lls further protrudes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제8 항에 있어서,
철도자갈과 대면하는 상기 수지체의 몸체, 수평부 및 돌부에는 철도자갈의 슬라이드 현상을 방지하는 요철이 더 형성되는 철도 가설교량.
9. The method of claim 8,
A railway bridge bridge in which the body,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resin body facing the railway gravel are further formed with irregularities to prevent sliding of railroad grave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체들의 수용부에는 상기 지지살들의 수평헤드부 아래에 끼워져 상기 지지살들에 상기 금속판체들을 고정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고정돌부가 더 돌출 형성되는 철도 가설교량.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fixing protrusion further protruding from the support body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metal plate bodies so as to provide a place for fixing the metal plate bodies to the support bodies.
KR1020140127355A 2014-09-24 2014-09-24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544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55A KR101544704B1 (en) 2014-09-24 2014-09-24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55A KR101544704B1 (en) 2014-09-24 2014-09-24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704B1 true KR101544704B1 (en) 2015-08-17

Family

ID=5406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355A KR101544704B1 (en) 2014-09-24 2014-09-24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70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28B1 (en) 2006-10-18 2007-09-10 (주)신성엔지니어링 Mat for sound proofing and vibration-proofing of railway track for preventing sound and vibration from the railway track
KR101262755B1 (en) 2012-11-02 2013-05-09 (주) 경우그린 Plate girder railway bridge having integrated cross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28B1 (en) 2006-10-18 2007-09-10 (주)신성엔지니어링 Mat for sound proofing and vibration-proofing of railway track for preventing sound and vibration from the railway track
KR101262755B1 (en) 2012-11-02 2013-05-09 (주) 경우그린 Plate girder railway bridge having integrated cross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265B1 (en) Soundproofing walls
KR102279079B1 (en)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nd transparent soundproof panel of partially removable maintenance type
KR100929440B1 (en) The structure of covering construction of the road surface and the processing method of that
CN209741655U (en) Cover seam anti-lifting type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KR101229250B1 (en) Pile type fence support device of fence
KR20120137749A (en) Lifting device for girder
KR101523005B1 (en) road for extending breadth of road on slope face
JP6057059B2 (en) Building raising method and building structure
KR101363489B1 (en) Noise barrier basis
CN103967332A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site barrier
KR101544704B1 (en) Temporary railroad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427237B1 (en) Base structure for deck road
JP3203475U (en) Flat parking facilities
JP2013185357A (en) Partition structure
KR20110113840A (en) Bearing and constructing method for bridge
KR102413915B1 (en) Noise barrier construction system using block module
CN211364328U (en) A adjustment type base for installation of contact net channel in tunnel
JP2015124476A (en) Construction girder and erection method of construction girder
KR101715787B1 (en) A soundproof wall for easy maintenance
JP6102614B2 (en) Building basic structure
KR101378097B1 (en) Deck plate
JP2016044470A (en) Temporary column installation method
KR101438649B1 (en) Soundproofed wall having concrete support
CN203531366U (en) Overhanging type scaffold fixing device
JP5300409B2 (en) Concrete laying form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