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097B1 - Deck plate - Google Patents
Deck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8097B1 KR101378097B1 KR1020120074592A KR20120074592A KR101378097B1 KR 101378097 B1 KR101378097 B1 KR 101378097B1 KR 1020120074592 A KR1020120074592 A KR 1020120074592A KR 20120074592 A KR20120074592 A KR 20120074592A KR 101378097 B1 KR101378097 B1 KR 101378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erforated plate
- pile
- fitting member
- bolt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0);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을 제시함으로써, 지하 흙막이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탈되거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복공판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고, 규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body 100; Pile fixing part 20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be fixed on the pile 10 of the earthen structure; By presenting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round contact portion 1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edge of the main body 100 to b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ucture, combined with the underground earthquake structure is not separated or stepped In order to be faithful to the function as a perforated plate, it is easy to assemble, dismantle, transport, and stow it, and to make specification adjustment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forated plate.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 데 사용된다.In general, duplex plates are used to cover roads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n traffic volume and to prevent falling accidents when digging roads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subway construction.
그런데, 종래의 복공판은 고중량의 H빔에 의해 다수의 지보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상판, 복공판 등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였는 바,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고 설치 및 해체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이 길고 이에 따라 많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has a method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material by the H-beam of a heavy weight, and the top plate, the perforated plate, etc.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structural stability is lowered and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is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and accordingly, a lot of labor and cost are required.
또한, 복공판이 지하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는 구조에 있어서, 복공판을 통과하는 작업자나 혹은 운반되는 건설자재의 하중으로 인하여 흙막이 구조물과 복공판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거나 복공판이 이탈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erforated plate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basement stru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tep between the retainer structure and the perforated plate may be formed or the perforated plate may be detached due to the load of the worker passing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or the construction material being transported.
이는, 작업자가 통행시나 건설자재의 운반시에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This causes a problem that an operator causes inconvenience when traveling or transporting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지하 흙막이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탈되거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복공판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고, 규격 조절이 가능한 복공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mbined with the underground mud structure so as not to be separated or stepped to faithfully function as a perforated plate,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transport, stowage, can be adjusted standard It aims to provide a perforated plat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00);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세로보(300); 상기 한 쌍의 세로보(300) 사이에 상기 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가로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ir of
상기 본체(10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연결부(120a)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말뚝 고정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의 상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통형 구조의 끼움부재(21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끼움부재(210)는 측벽에 관통공(20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끼움부재(210)는 원형 강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끼움부재(210)는 H-파일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끼움부재(21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조각 끼움부재(211a)와 결합하여 상기 끼움부재(210)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조각 끼움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끼움부재(210)는 말뚝(10)에 끼움 결합한 상기 끼움부재(2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공(201)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끼움부재(210)와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기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일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a)와,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에 겹쳐서 덧대어지는 연결부재(122);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부(121,121a)를 상기 연결부재(122)에 의해 볼트 결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볼트(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은 지하 흙막이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탈되거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복공판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고, 규격 조절이 가능한 복공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ous plate that is faithful to the function as a perforated plate by combining with an underground mudstone structure so as not to be detached or stepped, and easy to assemble, dismantle, transport, and load, and to control the size.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저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사용 단면도.
도 5는 말뚝 고정부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말뚝 고정부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말뚝 고정부 설치 구조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말뚝 고정부 설치구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9은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는 제 2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말뚝 고정부 설치 구조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은 사용 사시도.
도 13는 연결부의 설치 사시도.Figure 1 below shows an embodiment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2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us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pile fixt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ile fixt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ile fixing part installation structure.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ile fixing installation struct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Fig.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ile fixing part installation struct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us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은 본체(100);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도 1,2).As shown in Figure 1 below,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종래의 복공판은 지하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는 구조에 있어서, 복공판과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을 별도로 결합하지 않거나, 결합을 하여도 그 결합이 견고하지 않았다.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has a structure that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basement structure, the coupling between the pil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structure of the earth structure, or even if combined, the coupling was not firm.
따라서, 복공판을 통과하는 작업자나 혹은 운반되는 건설자재의 하중으로 인하여 흙막이 구조물과 복공판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거나 복공판이 위치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었다.Therefore, due to the load of the worker passing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or the construction material being transported, there is a fear that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retaining structure and the perforated plate or the perforated plate may be released from the position.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복공판이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위에 고정되도록 말뚝 고정부(200)를 설치하여, 복공판이 설치 후에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공사 중 야간의 차선 확보, 추락 사고 방지 등의 복공판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즉, 말뚝 고정부(200)는 원형 강관 및 H-파일을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과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복공판이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에 고정되도록 한다.That is, the
또한, 종래의 복공판 설치구조는 다수의 지보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상판, 복공판 등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였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지보재 없이 일체형의 본체(100)에 말뚝 고정부(200)와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고, 본체(100)가 상판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구조를 제시한다.In addition, while the conventional double-hole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has a method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material, the top plate, a perforated plate, etc.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구조는 조립 및 철거, 운반, 적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is structure is easy to assemble, dismantle, transport, and stacking, thereby increasing the workability.
특히 복공판의 철거 후, 본체(100)와 말뚝 고정부(200)를 분리하여 각각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적, 비용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fter removal of the perforated plate, since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접촉부(110)의 경우,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는 영역으로써 복공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the
또한, 본체(100)에 형성된 복수의 지면 접촉부(110)와 지면 접촉부(110) 사이의 영역에서 주로 작업자의 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walking of the operator is mainly made in the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상기 본체(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본체(100)가 얇은 판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세로보(300);를 설치한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더욱 큰 강성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세로보(300) 사이에 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가로보(400);를 더 설치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도 1,2).In order to obtain greater rigidity, a plurality of
세로보(30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휨모멘트가 크게 발생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The
세로보(300)는 "ㄷ"자형 또는 "ㄴ"자형 단면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세로보(300)는 복공판이 설치될 시, 지면 접촉부(110)가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고, 그 저면의 측면에 세로보(300)의 측면이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도 4).
가로보(400)는 일자형 단면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도록 "H"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H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한 쌍의 세로보(300) 및 복수의 가로보(400)도 마찬가지로, 복공판(300)의 해체시에 본체(100)와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적, 비용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Similarly, the pair of
본체(10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연결부(120a)와 결합하도록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120);를 형성하여, 그 연결부(120)를 통해 복수의 복공판이 상호 결합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도 1,12).The
여기서, 연결부(130)는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 개씩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전방 및 후방의 양측으로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한 구조이다.Here,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provided one each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복수의 복공판이 상호 결합하는 구조는 연결부(120)의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형성된다(도 12,13).The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are mutually coupled is formed by the following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FIGS. 12 and 13).
먼저, 연결부(130)의 구성요소로써 본체(100)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볼트 결합부(121)를 형성한다.First, the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일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a)와,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에 겹쳐서 덧대어지도록 연결부재(122)를 설치한다.The
그 다음, 연결부재(122)에 볼트를 끼워 복수의 볼트 결합부(121,121a)를 연결부재(122)에 의해 볼트 결합한다.Then, the bolts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복공판은 지하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에 고정되어 외부적인 자극에도 유동하지 않음으로써 복공판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forated plate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말뚝 고정부(200)가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는 설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말뚝 고정부(200)는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의 상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통형 구조의 끼움부재(210);로 구현될 수 있다(도 5,6,7).
즉, 복공판이 흙막이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될 시에, 끼움부재(210)는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에 끼워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한다.That is, when the perforated plat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arth structure, the
이를 위하여, 끼움부재(210)의 단면 구조는 끼움부재(210)가 끼워져 결합하는 말뚝(10)의 구조와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따라서, 끼움부재(210)는 원형 강관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5).Therefore, the
또한, 복공판이 H-파일이 설치된 흙막이 구조물 위에 설치될 시에, 끼움부재(210)가 말뚝(10)과 결합하기 위하여 H-파일의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In addition, when the perforated plate is installed on the retaining structure in which the H-pile is instal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말뚝(10)에 끼워지는 끼움부재(210)의 결합력을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시한다(도 7,8).Here,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of the
끼움부재(210)의 측벽에 복수의 관통공(201)을 형성하고, 끼움부재(210)가 결합하는 말뚝(10)의 외면에도 마찬가지로 관통공(201)과 상응하도록 말뚝 관통공(11)을 형성한다.A plurality of through
말뚝(10)에 끼워진 끼움부재(210)의 관통공(201)으로부터 말뚝 관통공(11)을 관통하여 맞은편의 관통공(201)에서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부재(220)를 끼운다.The fixing
이를 통해, 끼움부재(210)를 포함하는 복공판과 말뚝(10)의 끼움 결합이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도 8).Through this, the fitting combin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여기서, 고정부재(220)는 볼트를 이용하여 볼트 결합을 체결하는 것이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Here, the fixing
말뚝 고정부(200)는 끼움부재(210)의 설치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조각 끼움부재(211);가 설치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조각 끼움부재(211a)와 결합하여 끼움부재(210)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조이다(도 9.10.11).A
이 구조도 마찬가지로, 관통공(201)으로부터 말뚝 관통공(11)을 관통하여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관통공(201)에서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부재(220)를 끼워 볼트 결합을 체결함으로써, 끼움 결합을 완전히 고정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is similarly fitted by fastening the bolts by inserting the fixing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복수의 복공판이 상호 결합할 경우, 복수의 조각 끼움부재(211,211a)와 말뚝(10)을 관통하는 볼트 결합을 통해 복수의 복공판의 상호 결합력이 함께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The advantage of such a structure is that when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perforated plates are mutually coupled, through the bolt coupl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iece fitting members (211,211a) and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말뚝 100 : 본체
110 : 지면 접촉부 120 : 연결부
121 : 볼트 결합부 122 : 연결부재
123 : 볼트 200 : 말뚝 고정부
201 : 관통공 210 : 끼움부재
211 : 조각 끼움부재 220 : 고정부재
300 : 세로보 400 : 가로보10: pile 100: body
110: ground contact portion 120: connection portion
121: bolt coupling portion 122: connecting member
123: bolt 200: pile fixing portion
201: through hole 210: fitting member
211: piece fitting member 220: fixing member
300: vertical beam 400: horizontal beam
Claims (11)
흙막이 구조물의 말뚝(10) 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말뚝 고정부(200);
흙막이 구조물의 저면에 얹혀지도록 상기 본체(100)의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면 접촉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말뚝 고정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의 상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통형 구조의 끼움부재(210);이고,
상기 끼움부재(21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공판의 조각 끼움부재(211a)와 결합하여 상기 끼움부재(210)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 저면에 배치되어 말뚝(10)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돌출 형성된 조각 끼움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A main body 100;
A pile fixing part 20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fixed on the pile 10 of the earthen structure;
A ground contact portion 1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res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en structure;
≪ / RTI &
The pile fixing part 200
It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the fitting member 210 of the tubular structure formed to protrude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10;
The fitting member 210 is
It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pile 10 so as to form the fitting member 210 by combining with the piece fitting member 211a of the adjacent perforated plate to be installed. Protruding formed piece fitting member 211;
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a.
상기 본체(100)의 양측 가장자리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세로보(300);
상기 한 쌍의 세로보(300) 사이에 상기 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가로보(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stringers 30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bottom edges of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crossbeams 400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tringers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본체(10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연결부(120a)와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또는 후방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0 is
A connecting portion 120 formed at an edge of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0a of the main body 100a of the adjacent perforated plate installed adjacently.
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a.
상기 끼움부재(210)는
측벽에 관통공(2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1,
The fitting member 210 is
A through hole 201 is formed in the side wall.
상기 끼움부재(210)는
원형 강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1,
The fitting member 210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steel pipe structure.
상기 끼움부재(210)는
H-파일 구조로 형성된 말뚝(10)의 상부를 덮도록, 사각형 강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1,
The fitting member 210 is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angular steel pipe structur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10) formed of an H-pile structure.
상기 끼움부재(210)는
말뚝(10)에 끼움 결합한 상기 끼움부재(2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201)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tting member 210 is
In order to fix the fitting member 210 fitted to the pile 10, the fixing member 220 to be fitted to the through hole 201;
A perforate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끼움부재(210)와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9,
The fixing member 220 is
The fitting plate 210,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coupling with the fitting member.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기 인접 복공판의 본체(100a)의 일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a)와,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된 볼트 결합부(121)에 겹쳐서 덧대어지는 연결부재(122);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부(121,121a)를 상기 연결부재(122)에 의해 볼트 결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볼트(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part 120
A bolt coupling part 121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coupling member 122 overlapping the bolt coupling portion 121a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a of the adjacent perforated plate and the bolt coupling portion 12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to be adjacently installed;
Bolts 123 installed to bolt the plurality of bolt coupling parts 121 and 121a by the connection member 122;
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592A KR101378097B1 (en) | 2012-07-09 | 2012-07-09 | Deck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4592A KR101378097B1 (en) | 2012-07-09 | 2012-07-09 | Deck pl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568A KR20140007568A (en) | 2014-01-20 |
KR101378097B1 true KR101378097B1 (en) | 2014-03-27 |
Family
ID=501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5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8097B1 (en) | 2012-07-09 | 2012-07-09 | Deck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809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68812A (en) * | 2016-02-02 | 2016-05-11 | 严友希 | Full-automatic obstacle crossing backing plate for automobi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45384B (en) * | 2016-05-07 | 2024-05-03 | 沈阳汇智云创科技有限公司 | Multipurpose steel box girder plat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9304B1 (en) | 2005-04-06 | 2007-04-20 | 대원이엔시 주식회사 | Civi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Pile and Steel Sheet Pile |
KR20090110519A (en) * | 2008-04-18 | 2009-10-22 | 윤기영 | Perforated plate |
KR101151915B1 (en) * | 2012-02-15 | 2012-05-31 | (주)두인디앤씨 | A deck plate structure for ecology-restoration |
-
2012
- 2012-07-09 KR KR1020120074592A patent/KR1013780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9304B1 (en) | 2005-04-06 | 2007-04-20 | 대원이엔시 주식회사 | Civi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Pile and Steel Sheet Pile |
KR20090110519A (en) * | 2008-04-18 | 2009-10-22 | 윤기영 | Perforated plate |
KR101151915B1 (en) * | 2012-02-15 | 2012-05-31 | (주)두인디앤씨 | A deck plate structure for ecology-restor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68812A (en) * | 2016-02-02 | 2016-05-11 | 严友希 | Full-automatic obstacle crossing backing plate for automob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568A (en) | 2014-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1496B1 (en) | Cut and cover retain of earth using light weight decking panel and support plat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1474515B1 (en) | Earth retaining wall using support and panel,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420374B1 (en) | Bracket | |
KR101656367B1 (en) |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of Soil Arresting Structure for Laying Pipe Below Rood | |
US20140191174A1 (en) | Removable safety barrier | |
KR100980067B1 (en) | Temporary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02609B1 (en) | A Sidewalk Enlargement Installation for Slope Way | |
KR101378097B1 (en) | Deck plate | |
KR101213589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JP2009209591A (en) | Subsidence prevention measures for floor system | |
KR101632840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road way having drain structure of temporary and permanent wall | |
KR10104298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India extension device | |
KR101020856B1 (en) | Underground steel pi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7228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1447889B1 (en) |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prefabricatedreve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KR101221118B1 (en) | Equipment of earth protection for building works | |
KR101073527B1 (en) | Sidewalk extension | |
KR101534058B1 (en) | Soil retaining wall for load suppor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436563B1 (en) |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CN210086290U (en) | Installation component of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 |
KR101355843B1 (en) | Guard fence reinforc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reof | |
KR101202608B1 (en) | Method for Installing Sidewalk Enlargement Installation for Slope Way | |
JP6329824B2 (en) | Yamato member and road surface lining method | |
JP2013185356A (en) | Partition structure | |
JP6206954B2 (en) | Column laying method using concrete formwork for concrete found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