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462B1 -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 Google Patents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462B1
KR101543462B1 KR1020130115151A KR20130115151A KR101543462B1 KR 101543462 B1 KR101543462 B1 KR 101543462B1 KR 1020130115151 A KR1020130115151 A KR 1020130115151A KR 20130115151 A KR20130115151 A KR 20130115151A KR 101543462 B1 KR101543462 B1 KR 10154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machining apparatus
bite
pres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042A (ko
Inventor
이향준
김정민
박무현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4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4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압연롤의 공형 가공을 이루도록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로서, 기둥 타입의 몸체부 및 상기 공형 가공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공장치의 장착부에 수용되어 좌,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부의 선단에 제 1 경사면이 마련되되,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날부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면의 양단에는 제 2 및 제 3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단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A BYTE FOR CUTTING ROLLS MANUFACTURING STEEL BAR OF REINFORCEMENT WITH FISHBONE TYPE}
본 발명은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압연롤의 공형 가공을 이루도록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보강근으로서,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 구분된다. 원형철근은 표면에 마디가 없고, 이형철근은 표면에 마디와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형철근의 하나로서, 철근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두 줄의 리브가 형성되고, 두 줄의 리브 사이에 나선형으로 마디가 형성되는 피쉬본(Fish-bone) 타입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피쉬본 타입 철근(2)은 리브(2a)를 기준으로 좌, 우 나선형의 마디(2b) 형상을 갖는데, 일반 뱀부 타입 철근의 마디 형상과 달리 마디(2b) 중심부와 측면부의 마디(2b) 높이가 서로 다르다.
도 2는 전술된 피쉬본 타입 철근(2)의 제조공정이다. X방향으로 회동하는 상측 압연롤(R1)과 Y방향으로 회동하는 하측 압연롤(R2)에 형성된 공형(5) 사이로 철근소재가 치입된 후, 상측 및 하측 압연롤(R1, R2)의 후단으로 밀려 빠져나오면서 리브(2a)와 마디(2b)가 형성된 피쉬본 타입 철근(2)이 구현된다.
이때, 피쉬본 타입 철근(2)을 제조하기 위한 압연롤(R)은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그 표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공형(5)을 형성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도 3에서와 같이, 바이트(1)가 장착된 가공장치(3)를 이용하여 1차 띠홈부를 가공한 다음,, 철근소재의 마디가 형성되도록 1차 띠홈부의 내부에 2차 띠홈부를 가공한다.
한편, 피쉬본 타입 철근(2)의 마디(2b) 형상이 나선형을 이루도록 압연롤(R) 공형(5)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바이트부재를 이용한 절삭(선삭) 가공을 통해 압연롤(R)의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공형(5)을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이트(1)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바이트(1)는 도시한 도 4(a)의 평면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타입이기 때문에 도 4(b)의 정면도와 4(c))의 측면도에서는 형상의 차이로 인한 전체 구조체의 이형성이 구현되었다.
즉, 종래의 바이트(1)는 대칭의 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도 5(a) 및 도 5(b)와 같이, 가공장치(3)의 장착부(3a)에 좌측용과 우측용을 따로 구비해야만 해서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도시한 도 5(c)과 같이, 압연롤(R) 공형(5)의 마디부(5a) 기울기가 10°~ 45°의 범위로만 형성되는 형상의 한계로 인해 45°이상의 마디부(5a) 기울기를 구현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작업현장에서는 콘크리트와의 미세 균열에 대응하는 결속력과 안정성에 한계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좌측 및 우측의 구분이 없이 하나의 바이트로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압연롤 공형의 마디부 길이 및 기울기의 확대로 인해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이 우수한 제품이 생산되도록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공형 가공장치용 압연롤의 가공을 위한 바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로서, 기둥 타입의 몸체부 및 상기 공형 가공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공장치의 장착부에 수용되어 좌,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부의 선단에 제 1 경사면이 마련되되,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날부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면의 양단에는 제 2 및 제 3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단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타단에는 수평면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면에 접하도록 제 1 및 제 2 수직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면이 서로 90°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면이 가공장치의 장착부와 나사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장치의 장착부는 원기둥 타입의 중공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경사면이 압연롤의 마디부 기울기가 10°~ 60°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날부의 제 1 경사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경사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가 가공장치의 장착부에 수용되어 탈거 및 재장착의 번거로움이 없이 좌,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작업진행을 이루어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날부의 제 1 경사면 양단에 제 2 및 제 3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피쉬본 타입 철근 마디부의 기울기 범위와 길이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작업현장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활용가능한 고성능의 피쉬본 타입 철근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피쉬본 타입 철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피쉬본 타입 철근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압연롤에 공형을 가공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b), (c)는 종래 바이트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바이트가 가공장치의 장착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종래의 바이트로 인해 형성된 압연롤 공형의 마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b),(c)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가 가공장치의 장착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로 인해 형성된 압연롤 공형의 마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100)는, 기둥 타입의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의 상부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날부(15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가공장치(7)의 장착부(7a)에 수용되어 좌측 및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날부(150)의 선단에는 제 1 경사면(151)이 마련된다.
제 1 경사면(151)에는 날부(150)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제 1 경사면(151)의 양단에는 제 2 및 제 3 경사면(153, 155)이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상부 일단에 접한다.
그리고, 몸체부(110)의 상부 타단에는 수평면(111)이 마련되고, 수평면(111)에 접하도록 제 1 및 제 2 수직면(113, 115)이 형성된다.
또한, 날부(150)의 제 1 경사면(151)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경사면(153, 155)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이트(100)의 구조에서, 바이트(100)의 몸체부(110)와 날부(150)가 일체를 이루므로, 몸체부(110)는 가공장치(7)의 장착부(7a)에 수용되어 작업에 따른 방향전환시 날부(150)가 안정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중심체이고, 날부(150)는 몸체부(110)의 균형있는 회동반경의 공간에서 올바르게 가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가공작업시 고강도의 소재로 이루어진 압연롤(R)과 바이트(100)가 서로 특정 접점부에서 절삭의 가공과정을 반복하므로, 바이트(100)의 몸체부(110)와 날부(150)가 접하여 형성된 경계부(130)로는 절삭가공으로 인한 이물질이나 또는 파단의 불량요소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바이트(100)의 올바른 진행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작업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계속해서,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의 정면도이며, 도7(c)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의 측면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시한 도 7(a)에서와 같이, 바이트(100)는 제 1 및 제 2 수직면(113, 115)이 서로 90°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 7(b) 및 도 7(c)와 같이, 상기 제 2 및 제 3 경사면(153, 155)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날부(150)의 제 1 경사면(151)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날부(150)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a) 및 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가 가공장치의 장착부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로 인해 형성된 압연롤 공형의 마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원기둥 타입의 중공부로 구비될 수 있는 가공장치(7)의 장착부(7a)에 바이트(100)의 몸체부(110)가 수용되어, 몸체부(110)의 제 1 및 제 2 수직면(113, 115)이 나사를 매개로 가공장치(7)의 장착부(7a)와 올바른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가공장치(7)의 장착부(7a)와 체결되는 제 1 수직면(113)의 작업이 종료되면 간편하게 바이트(100)의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환시켜 제 2 수직면(115)이 나사와 체결될 수 있는 위치로 구현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트(100)의 제 1 및 제 2 수직면(113, 115)이 가공장치(7)의 장착부(7a)와 체결되는 수단을 나사로 기술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바이트(100)의 방향전환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가공작업시 안정적인 체결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이라면 종래의 공보기술로도 대체가능함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도 8(c)에서와 같이, 제 2 및 제 3 경사면(153, 155)은 압연롤(R) 공형(9)의 마디부(9a) 기울기 α°가 10°~ 60°범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곡면을 이룰 수 있는 제 2 및 제 3 경사면(153, 155)의 형상에 따라 마디부(9a) 기울기 α°의 범위가 확대되므로, 마디부(9a) 길이 D도 확대된 값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도 5(c)에서, 종래의 압연롤(R) 공형(5)에 형성된 마디부(5a)의 기울기가 45°로 한정되어 마디부(5a)의 길이 D가 되는 반면에, 도 8(c)와 같이, 확대된 범위를 갖는 마디부(9a)의 기울기 α°로 인해 신장된 마디부(9a)의 길이 D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100)의 구성을 기반으로 하여 압연롤(R)의 공형(9) 가공을 통한 피쉬본 타입 철근(2)의 제조공정은, 이미 도 2에서도 전술되었지만, 작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하기 때문에 특정 제조공정으로 한정해서는 안 될 것이며, 철근소재를 압연롤(R)에 의한 압연공정으로 제조해낼 수 있는 생산라인의 공정이라면 종래의 공보기술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피쉬본 타입 철근(2)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측 및 하측 압연롤(R1, R2)의 공형(9)을 일정 간격의 다수로 배치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에 상응되게 다수의 피쉬본 타입 철근(2)이 제조가능하여 생산성 증대로 인한 작업현장으로의 유용한 공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공형(9)이 형성된 압연롤(R)에 있어서, 치입성이 떨어지는 공형(9)에서의 생산라인이 다른 생산라인에 방해를 일으켜 철근소재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압연롤(R)과 철근소재의 치입성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이탈 및 이격 현상에 대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완성된 피쉬본 타입 철근(2)이 작업 중인 다른 생산라인에 간섭되지 않도록 올바르게 분리되어 관리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00: 바이트 2: 피쉬본 타입 철근
2a: 리브 2b: 마디
3, 7: 가공장치 3a, 7a: 장착부
5, 9: 압연롤 공형 5a, 9a: 마디부
110: 몸체부 111: 수평면
113: 제 1 수직면 115: 제 2 수직면
130: 경계부 150: 날부
151: 제 1 경사면 153: 제 2 경사면
155: 제 3 경사면
R: 압연롤 R1: 상측 압연롤
R2: 하측 압연롤

Claims (7)

  1.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로서,
    기둥 타입의 몸체부;
    상기 공형 가공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공장치의 장착부에 수용되어 좌,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 타단에는 수평면이 마련되고, 상기 수평면에 접하도록 제 1 및 제 2 수직면이 형성되며,
    상기 날부의 선단에 제 1 경사면이 마련되되,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날부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면의 양단에는 제 2 및 제 3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단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면이 서로 90°를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면이 가공장치의 장착부와 나사를 매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장치의 장착부는 원기둥 타입의 중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경사면이 압연롤의 마디부 기울기가 10°~ 60°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7. 제 1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의 제 1 경사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경사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KR1020130115151A 2013-09-27 2013-09-27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KR10154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51A KR101543462B1 (ko) 2013-09-27 2013-09-27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51A KR101543462B1 (ko) 2013-09-27 2013-09-27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42A KR20150035042A (ko) 2015-04-06
KR101543462B1 true KR101543462B1 (ko) 2015-08-11

Family

ID=5303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151A KR101543462B1 (ko) 2013-09-27 2013-09-27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4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1873A1 (ja) 2009-06-29 2011-01-06 京セラ株式会社 インサート及びホルダ並びにそれらを用いる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1873A1 (ja) 2009-06-29 2011-01-06 京セラ株式会社 インサート及びホルダ並びにそれらを用いる切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42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25297B (zh) 一种外网格壁板数控加工工艺方法
CN104439452B (zh) 一种锥形回转体的内网格曲面高效铣削方法
JP4394714B2 (ja) 成形型加工電極、成形型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CN103658698A (zh) 圆柱快速成型刀具
KR101543462B1 (ko) 피쉬본 타입 철근 압연롤의 공형 가공장치용 바이트
CN103894950B (zh) 趾钳及相关制造方法、夹紧装置和固定装置
KR101667010B1 (ko) 복수 면의 가공이 가능한 복합가공 엔드밀
JP6300871B2 (ja) 引抜加工機及びツイストバーの製造方法
KR101346170B1 (ko) 지그 어셈블리
US10052702B2 (en) Method of forming fracture start portion of connecting rod and forming device
GB2200581A (en) Electrode shaping
TW201713394A (zh) 高爾夫球桿頭的打擊面板的製造方法
CN206347010U (zh) 锥形螺栓及其成型装置
KR101280836B1 (ko) 리브 사출용 금형의 제조장치 및 리브 사출용 금형의 제조방법
JP2023520719A (ja) 金属スレッドを切削するための方法
JP5594398B2 (ja) 異形鉄筋
CN208033754U (zh) 一种螺旋线连续的成型铣刀
KR101523690B1 (ko) 칼럼이송용 밀링머신의 헤드 처짐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삭용 기계장치
CN207952283U (zh) 一种翻板式数控折弯机
JP2019081249A (ja) スラブの表面手入れ方法
CN207086997U (zh) 一种用于盲孔平底刀具
CN210282619U (zh) 一种家具表面钻孔残留毛刺的清除钻头
CN113909543B (zh) 阵列结构加工件工艺毛刺的去除方法
CN103659606A (zh) 金刚砂轮修整工具及修整方法
CN203266304U (zh) 一种六面顶锤磨削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