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108B1 -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108B1
KR101543108B1 KR1020130154569A KR20130154569A KR101543108B1 KR 101543108 B1 KR101543108 B1 KR 101543108B1 KR 1020130154569 A KR1020130154569 A KR 1020130154569A KR 20130154569 A KR20130154569 A KR 20130154569A KR 101543108 B1 KR101543108 B1 KR 101543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water tank
fish
container
liv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653A (ko
Inventor
박태일
구자선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일 filed Critical 박태일
Priority to KR102013015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1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기계실과 카고룸실을 분리 구비하서 기계장치와 수조를 분리함으로서 습기에 민감한 시설의 고장 및 부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카고룸에 여과조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복수개의 수조가 설치되고, 각각의 수조에는 수조덮개가 형성되며, 수조 덮개 하부에는 LED 광원이 장착되고 LED 광원은 기계실에 설치되는 광원 자동 점등센서에 의해 점등함으로서 선박이 일정각도로 롤링 또는 피칭되어 특정 각도에 도달하는 경우,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특정 광원을 조사함으로서 외부환경에 민감한 어류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보다 질 좋은 어류를 장기간의 운송에도 활어의 폐사율을 감소시켜 활어 수출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A lighting switch of live-fish transporting container}
본 발명은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카고룸 수조 내 자동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전방부에 기계실이 설비되고 후방부에 활어 수조가 배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진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카고룸 수조 내의 단파장 조명을 선박의 롤링과 피칭에 따른 경사각도에 따라 점등시켜 활어운송시 밀폐된 수조내에서 어류가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저감시켜, 운반된 활어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의 카고룸 수조 내 자동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양식산업은 특정 품종에 대한 생산편중으로 매년 생산과잉과 가격 폭락을 초래하여 양식장 경영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한, 국민소득의 증대 및 외식산업의 발달과 함께 살아있는 싱싱한 해산물을 선호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요구로 인하여 활어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연안해역 등에서 포획되거나 양식되는 활어의 생산량이 그 소비량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산지로부터 소비지역까지 활어를 수송하는 데 많은 물류비용이 소요됨으로서, 국내의 활어 가격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활어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도달되는 활어를 상온 조건하에서 산지로부터 소비지역으로 수송하기 위해서, 활어차량에 활어와 사육수의 비율을 15% : 85%로 하여 수송하고 있으나, 많은 사육수의 양으로도 활어의 생존시간을 24시간 이상 유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단거리 수송에 국한되고, 장거리 수송의 경우에는 비행기를 이용한 소량 수송에 의존하고 있어 소비지역의 활어 가격은 물류비용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물류비용으로 인한 활어가격의 상승폭이 더욱 크게 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선박의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대량의 활어를 장거리 수송이 가능하며 물류비용을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활어의 소비가 적은 국가로부터 저렴한 가격의 활어를 수입하고, 경쟁력 있는 국내의 활어를 수출함은 물론, 어린치어나 관상어 등의 살아있는 어류들을 장거리, 장시간동안 안전하게 수송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냉장컨테이너의 장점을 이용한 활어수송용 컨테이너가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인 수출입은 20feet와 40feet로 구분되는 컨테이너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그중 냉동 컨테이너는 냉동유닛(Refrigerating unit)을 사용하여 적화물에 대한 소정의 냉각온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냉동유닛의 설비방식에 따라 별치식(別置式) 냉동컨테이너와 내장식 냉동컨테이너의 두 종류로 분류되며, 이러한 냉동유닛을 작동시켜 컨테이너용 카고룸(Cargo room: 화물실)의 내부온도를 +26℃ ~ -28℃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냉동유닛의 작동을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므로, 냉동컨테이너에는 트레일러 차량 또는 컨테이너선의 동력으로부터 발생된 전원을 인가 및 저장시킬 수 있는 전기장치가 냉동유닛과 함께 설치되며, 이와 같이 냉동컨테이너는 특별한 장치가 요구되므로 컨테이너선의 내부에 규정된 냉동컨테이너용 적치공간에 한정되어 적치된다.
한편 컨테이너에 설비되는 활어수조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팅 작업으로 설치하는데 활어수조를 제조하기 위한 라미네이팅 작업을 일부 수행한 후, 증발기의 설치와 냉매배관의 연결 작업을 하여 라미네이팅 작업을 행하는 과정을 수회에 걸쳐 반복한 이후에 최종마무리 작업을 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수조바닥에 냉각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증발기에서 나오는 열 때문에 수조 내 수온을 냉각시키는데 효율적이지 않고 설치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유지 보수시에도 과정이 번거롭다. 또한 카고룸 내에 설치되는 수조는 좁은 공간에 덮개로 밀폐되어 암흑상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운송되는 활어가 선박의 횡요와 종요, 즉 롤링과 피칭에 의해 경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유체인 사육수가 움직이면서 수송되는 어류에게 환경적인 스트레스를 주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방부에 기계실이 설비되고 후방부에 활어 수조가 배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진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카고룸 수조 내의 단파장 조명을 선박의 롤링과 피칭에 따른 경사각도에 따라 점등시켜 활어운송시 밀폐된 수조내에서 어류가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저감시켜, 운반된 활어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의 카고룸 수조 내 자동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한다.
국내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2002-0034872호에는 여과장치를 구성하여 수조내에 물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여과장치가 구비되어 수조로부터의 물이 하방으로 상기 여과장치에 통과되기 전에 거치게 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저면 여과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순환 펌프는 상기 여과수단의 최하단층과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위치 온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호스를 통해 여과된 물을 펌핑하여 공급 호스를 통해 다시 수조내로 여과된 물을 공급하는 활어 수입/수출용 컨테이너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2000-0001615호에는 통상의 컨테이너에 수조와 각종 부대 장치를 일체로 구성시켜 많은 양의 수조를 구성함으로서 보다 큰 수조를 구성하고, 상기 컨테이너에 각종 부속장치들을 함께 구성시켜 외관이 미려하고 안전한 설치를 이룰 수 있으며 큰 수조를 분할하여 각각의 종류별 수용으로 많은 양의 활어를 안전하게 이송 활어운송용 컨테이너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12-0052349호에는 활넙치의 수송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활넙치를 안정화 및 순치시키는 한편, 활어컨테이너에 입식된 활넙치의 활동성을 99% 수준까지 정지시킨 상태에서 활넙치의 수송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10일 내지 15일간의 수송 기간중에는 활넙치의 폐사를 방지하고, 도착지인 수입항에서는 활넙치가 빠른 시간내에 건강한 상태로 회복되도록 하는 활넙치의 장거리 수소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10-0025360에는 적재함에 다수의 활어수조(A)가 적재된 구성으로 활어수조(A)의 상부측에 부유물 제거및 오염물 흡착용 일체형 필터링수단과 산소용해기를 설치함과 더불어 수조 내부에 소형 수중펌프를 설치하고, 활어수조의 바닥에 다기능 분사판을 설치하여 활어수조의 중량 제한에 거의 구애를 받지 않도록 소형 경량화하면서도 사육수의 정화기능과 사육수내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기존보다 50% 이상 활어를 고밀도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활어의 운반량을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고, 사육수가 장시간 양질의 수질을 유지토록 하는 고밀도 활어 수송용 차량 및 그 수송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09-0095369호에는 컨테이너의 카고룸 내부에 프로틴스키머를 활어수조와 함께 설치하여 상기 프로틴스키머로부터 단백질 등의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거품이 대용량의 거품저장조에 저장되도록 하고, 컨테이너용 구동장치부에는 냉동유닛에 의한 사육수냉각기를 설치하여 활어수조로부터 습식여과조를 거쳐 배출되는 사육수를 냉각시켜 활어수조 또는 프로틴 스키머로 다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육수에 포함된 부유물과 단백질 성분 및 암모니아 성분 등을 프로틴스키머와 건식여과조에 의하여 총괄적으로 제거토록 하는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조 덮개에 광원을 설치하고 광원과 연결되는 자동점등장치를 연결하여 선박의 롤링과 피칭에 연동하여 LED 광원을 점등함으로서 수조내에서 운송되는 어류의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은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방부에 기계실이 설비되고 후방부에 활어 수조가 배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진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카고룸 수조 내의 LED 조명을 선박의 롤링과 피칭에 따른 경사각도에 따라 점등시켜 활어운송시 밀폐된 수조내에서 어류가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저감시켜, 운반된 활어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의 카고룸 수조 내 자동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부에 기계실이 설비되고 후방부에 활어 수조가 배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진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로서 상기 기계실에는 일측 하단에 밧데리가 무정전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장비되고, 기계실 외부와 연결되도록 제어판이 형성되며, 제어판과 산소발생기, 용존산소 콘트롤러와 냉각기 및 광원 점등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카고룸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조에는 수조덮개가 형성되고, 수조덮개에는 덮개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매개로 환기구와 환기배관, 손잡이로 이루어져 수조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수조 덮개 하부에는 LED 광원이 장착되어 기계실에 설치되는 자동조명장치와 연결되며 자동조명장치의 신호에 의해 LED 광원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룸 수조용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카고룸 내에 수조에 설치된 LED 광원은 기계실에 설치된 광원 자동점등센서에 의해 선박이 일정각도로 롤링 또는 피칭되어 특정 각도에 도달하는 경우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특정 광원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외부환경에 민감한 어류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보다 질 좋은 어류를 장기간 운송 가능한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수조 덮개 하부에 장착되는 LED 광원은 기계실에 설치되는 점등 센서는 무게추를 갖는 회전축이 전원과 연결되고, 무게추가 회전하는 일측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접촉점이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의해 무게추가 회전하여 접촉점과 접촉할 때 광원 점등 신호를 제어판으로 송신하도록 하여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광원 자동점등센서는 선박의 롤링과 피칭에 의한 경사를 반영하도록 컨테이너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무게추를 갖는 회전축이 전원과 연결되고, 회전축 상부에 돌기로 이루어진 접점이 형성되며 접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갖고 전원과 연결되는 접촉점이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의해 회전축상부 돌기가 회전하여 접촉점과 접촉할 때 광원점등 신호를 제어판으로 송신하도록 한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회전축의 회전각은 수평면 0도를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 15도 범위에서 조정가능하며, 수조덮개에는 덮개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매개로 환기구와 환기배관,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환기배관의 일부에는 수조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원구동팬이 형성되어, 광원 자동점등센서의 신호와 연동하여 전원구동팬을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도록 한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외부환경에 민감한 어류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카고룸 내에 수조에 광원 및 자동조명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외부 스트레스 자극에 민감한 어류에 단, 장거리 수송에 따른 스트레스를 자연광을 배제한 환경에서 특정 광원을 어류에 일정시간 조사함으로서 어체 내에서 일으키는 내분비 작용을 가동시켜 멜라토닌을 생성시킴으로써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수행시켜 어류의 스트레스를 제어 할 수 있도록하여 보다 질 좋은 어류를 장기간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의 기계실과 수조가 설치되는 카고룸이 분리함으로서 습기에 민감한 시설의 고장 및 부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특히, 기존의 수조바닥에 설치한 냉각시스템을 수조와 분리시켜 설치하여 수조 내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저장효율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기존의 공냉식 냉각방식을 수냉식 냉각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환경의 온도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고르게 온도 유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수조덮개와 손잡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손잡이와 수조덮개가 조립되어 수조에 설치되었을 때 산소와 가스가 배출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광원자동점등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광원자동점등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의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컨테이너의 제원은 표준 규격인 40 feet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구성은 전방부에 기계실이 설비되고 후방부에 활어 수조가 배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진다. 전방부터 크게 기계실(1), 1번 수조(100), 2번 수조(200), 여과조(500), 3번 수조(300), 4번 수조(400),로 나누어진다. 전방 외부에는 설치된 외부 콘트롤 판넬(40)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기계실(1)은 개별 휴즈박스(5), DO온도 콘트롤 박스(6), 영상저장장치(13), DO온도 조절기(14), 밧데리(7), 모터(10), 스키머 배전판(16), 냉동냉각기(11), 산소공급모터(15), UPS(3), 산소발생기(4), 전기 콘트롤 박스(12)와 수조를 이어주는 출입구(8)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 일측 하단에 밧데리가 무정전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장비되고, 기계실 외부와 연결되도록 제어판이 형성되며, 제어판과 산소발생기, 용존산소 콘트롤러와 냉각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산소발생기와 냉각기에서 발생된 산소와 냉매 공급용 모터가 장착되어 파이프를 통해 카고룸의 수조로 보내지며, GPS 수신장치(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컨테이너의 이동 위치 기록과 카고룸의 영상을 보관할 수 있는 영상보관 장치가 설치된다. GPS 수신장치와 기록계가 설치됨으로서 활어를 컨테이너에 수용한 출발지에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기록하여 생물 수출입 원산지 증명의 증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용 구동장치부에는 사육수 냉각장치와 함께 파워커넥터를 구비하는 유닛컨트롤박스(Unit control box) 및 온도계 등이 각각 설치되는 바, 상기 유닛컨트롤박스는 온도계로부터 측정되는 사육수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파워커넥터와 접속된 트레일러 차량 또는 선박의 전원으로 사육수 냉각장치(컴프레셔, 팽창밸브, 방열팬 등)와 순환펌프 등을 가동 및 제어토록 하게 된다.
카고룸에는 여과조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복수개의 수조가 설치되고, 여과조와 수조가 설치되는 일측면에는 기계실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와 냉매 공급파이프가 설치되어 사육수 중 포함된 부유물질과 단백질 성분을 미세한 기포에 의하여 포집, 제거 가능한 단백질 스키머를 거쳐 자외선 살균기능 장치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각각의 수조로 연결된다. 카고룸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버터는 파워커넥터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시간 동안, 활어컨테이너의 전체적인 작동이 배터리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유닛컨트롤박스에도 별도의 배터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고룸의 내부에는 사육수의 순환여과를 위한 여과조가 순환펌프 및 밸브기구를 구비하는 순환배관에 의하여 활어수조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사육수에 산소를 공급시키기 위한 산소공급장치 및 이들의 작동과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과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이 추가적인 구동장치부로서 활어수조와 함께 카고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조는 활어수조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조내에는 블로어(30), 산소돌(31), 모터(10), 수중카메라(32), DO온도계(33)가 설치되고, 수중카메라(32)와 DO/온도계(33)가 각각 설치된다. 수중 카메라(32)를 이용하여 운송과정중의 녹화가 가능하고 단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선박의 브릿지에서 수조내 환경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DO/온도계는 수온뿐만 아니라 사육수의 DO가 ±일 때 작동하여 선박의 브릿지에서 통제 및 조절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수조덮개와 손잡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수조덮개(70)에는 덮개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매개로 환기구(71)가 설치되어 환기배관(72)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환기배관 상부에는 손잡이(73)로 이루어지고 환기배관의 일부에는 수조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원 구동팬이 형성되어, 광원 자동점등센서의 신호와 연동하여 전원구동팬을 작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수조덮개의 몸체는 수조 개구부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작은 몸체와, 작은몸체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수조 개구부 상단에 거치할 수 있는 크기의 큰 몸체로 구성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작은몸체는 우레탄발포제 및 고무판실링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조덮개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고 수조내 사육수가 이동시에 수조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막아준다.
손잡이(73)는 PVC와 같은 플라스틱을 재료로 구성되고, 전체적인 프레임의 내부는 파이프처럼 비어 있는 구조이며, ㅜ자 모양의 프레임이 일반적이고 손잡이의 하부는 환기구(71)와 대응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직경으로 설치된다. 수조덮개(70)의 큰 몸체 중간부에는 원통모양으로 수조덮개 몸체를 관통하여 돌출된 환기구(71)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하부에는 다수의 환기공(74)을 설치하여 공기와 가스의 유입 또는 배출효율을 증가시킬수 있다. 또한 손잡이 하부 개구부에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하여 하부프레임을 설치하는 경우 하부 프레임의 면적이 증가가 되기 때문에 다수의 환기공을 설치시킬 수 있어 가스 배출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수조덮개에 손잡이가 장착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73)를 돌출된 환기구(71)에 고정시키면 손잡이 하부가 수조안으로 이어지게 된다. 손잡이(73)는 파이프처럼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 하부 개구부를 통해서 수조의 수중 암모니아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수조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어 환기 및 수중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부분 내측에는 수조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원 구동팬이 형성되어, 광원 자동점등센서의 신호와 연동하여 전원구동팬을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팬이 설치됨으로서 강제로 수조 내부의 암모니아 가스 등을 수조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활어용 수송 컨테이너의 수조 또는 수조 덮개에 설치되는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점등장치(80)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수조에 설치되는 일정 파장을 갖는 광원은 백열등계열광원, 방전등계열광원, 반도체계열광원, 형광계열광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공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백열등은 필라멘트에 의해 발광되는 것으로, 백열등이 대표적이고, 방전등계열은 유리관내부에 가스를 주입하여 전압을 걸어 방전되는 효과로 빛을 발광시키는 것으로 수은등, 메탈할라이드등이 대표적이다.
반도체계열은 통상 LED로 통용되는 발광다이오우드가 대표적 광원에 속한다. 발광다이오우드는 최근 청색이 개발되어 기존의 흰색, 오렌지색, 청자색, 녹색, 빨강색등과 함께 가시광선의 전파장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형광계열등은 유리관내부에 도포된 형광물질의 전기작용에 의해 발광되는 것으로 네온사인, 형광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광원의 점등주기와 조사량은 광원자동 점등장치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류의 스트레스에 대해 대응가능한 단파장을 조사하여야하므로 이를 제어하기 쉬운 LED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광원자동 점등장치(80)는 각도기(81), 회전축(82), 접촉점(83), 무게추(84), 광원 상태 확인등(85), 전선 파이프(88)등으로 구성된다. 회전축(82)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전류가 흐르기 쉽고, 하부에는 무게추(84)가 연결되며 그 연결부는 마찰 저항이 작아 운동이 원활하여 선박의 요동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회전축 상부에는 각도기(81)와 각도조정 바늘이 설치되어있고 각도기 바늘은 무게추(84)가 움직임에 따라 그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된다.
광원 자동점등센서의 작동은 무게추를 갖는 회전축이 전원과 연결되고, 무게추가 회전하는 일측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접촉점이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의해 무게추가 회전하여 접촉점과 접촉할 때 광원점등 신호를 제어판으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원 자동점등센서(80)의 좌우 측벽에는 접촉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83)는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무게추(84)가 적정각도에 도달하였을 때 무게추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무게추를 갖는 회전축이 전원과 연결되고, 회전축 상부에 돌기로 이루어진 접점이 형성되며 접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갖고 전원과 연결되는 접촉점이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의해 회전축상부 돌기가 회전하여 접촉점과 접촉할 때 광원점등 신호를 제어판으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의 자동점등센서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선박을 이용한 해상이동시 파도에 의한 횡요와 종요 즉 롤링, 피칭이 생기게 된다. 어류는 장거리뿐만 아니라 장거리 이동시에 외부환경 스트레스에 민감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저항성의 감소 및 생식능력의 저하 등 많은 생리학적 장애를 유발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일으켜 세포막의 손상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효소를 비활성화시켜 세포의 생존에까지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개체수 감소나 어류의 질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조명장치는 선박에 의한 어류 수송시 파도에 의한 선박의 롤링, 피칭으로 수조 내 사육수가 일정 각도 이상 흔들리게 되면, 이를 감지하는 조명장치가 발동하여 수조내에 특정의 광원을 작동시켜 일정시간 동안 어류에게 조사시키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LED 광원을 점등함으로서 치어가 외부로부터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 스트레스를 내분비 작용효과로 극복하면서 초기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를 갖고, 또한, 녹색과 청색의 LED광원을 점등하여 일정기간 사육함으로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단기간에 어류를 성장시켜 어류 양식의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다.
또한, 소비자 등을 위한 판매지로의 출하 및 수출을 앞두고 어류에게 일정기간 사료를 급이하지 않도록 하는 인위적인 절식을 하고 있다. 즉 어류를 활어로 수송할 때에 미리 물고기를 절식상태로 함으로서 수송 중 어류의 배설물에 의한 물의 오염을 막음과 동시에 어류의 대사를 제어하여, 산소소비량을 저하시켜 안전히 목적지에 수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어류에 특정의 광원을 조사함으로서 어류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에 대하여 체내에서 자가 내분비 조절에 의하여 자기방어 물질을 분비하게 하여 체내에서 초기에 일시적으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어체 내에서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도 5의 Type A는 적정각도에 도달하지 않아 무게추(84)와 접촉부(83)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었고 Type B는 적정각도에 도달하여 무게추와 접촉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접촉부(83)는 LED 센서의 좌우 측벽 안에 설치된 단자와 연결되고 절연 베어링은 LED센서 후면벽 안에 설치된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Type B처럼 배가 일정 각도가 흔들려 무게추(84)와 접촉부(83)가 닿게 되면 접촉부(83), 무게추(84), 절연베어링(82), 전선파이프(88) 모두 절연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른게 된다. LED상태 확인등(85)은 전류가 흐를 때 켜진다.
회전축에 의한 광원점등 적정각도는 활어가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하는 선박경사각도 5~15°정도가 적절하고, 접촉부(83)의 크기는 적정각도에 무게(84)와 쉽게 접촉할 수 있어야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어류가 스트레스를 받게되는 적정각도를 벗어나는 상태가 되면 무게추(84)와 접촉부(83)가 닿게 되고 전류가 흐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광원(86)을 수조덮개(70) 몸체안에 설치하여 나타내었으나, 광원은 수조바닥뿐만아니라 수조벽에서도 조사할수 있도록 설치 가능하다. 전류가 흐르면 광원(86)이 작동하여 수조내부에 광원(86)이 일정 시간 조사된다. 또한 리미트 센서와 같이 무게추가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광원의 조사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수조덮개에 덮개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매개로 환기구와 환기배관,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환기배관의 일부에는 수조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원구동팬을 형성하여, 광원 자동점등센서의 신호와 연동하여 전원구동팬을 작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실과 카고룸실을 분리 구비하서 기계장치와 수조를 분리함으로서 습기에 민감한 시설의 고장 및 부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특히, 기존의 수조바닥에 설치한 냉각시스템을 수조와 분리시켜 설치하여 수조내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저장효율을 높이며, 카고룸 내에 수조에 설치된 광원을 기계실에 설치된 광원 자동점등센서에 의해 선박이 일정각도로 롤링 또는 피칭되어 특정 각도에 도달하는 경우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특정 광원을 조사함으로서 외부환경에 민감한 어류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보다 질 좋은 어류를 장기간 운송 가능하며, 수송되는 활어의 폐사율을 감소시켜 수출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상이용 가능성이 있다.
1: 기계실 2: 제어판 4: 산소발생기
5: 개별 휴즈 박스 6: DO온도 콘트롤 박스 8: 출입구
9: 영상 보관실 10: 모터 11: 냉동기(냉각기)
20: 스키머 21: 보조 여과조 22: 산소 발생기
23: 보관장치 탱크 24: 산소라인 25: 배관
26: 수조 30: 블로어 31: 산소돌
32: 수중 카메라 33: DO/온도계 40: 외부 콘트롤 판넬
41: LED 조명 시스템 70: 수조덮개 71:환기구
72: 환기배관 73: 손잡이 74:환기공
80: 광원 자동점등센서 81: 각도기 82: 회전축
83: 접촉부 84: 무게추 85: LED 상태 확인등
86: LED 전등 88: 전선 파이프
100: 1번 수조 200: 2번 수조 300: 3번 수조
400: 4번 수조 500: 여과조

Claims (5)

  1. 전방부에 기계실이 설비되고 후방부에 활어 수조가 배치되는 카고룸으로 이루어진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카고룸에는 여과조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복수개의 수조가 설치되고, 각각의 수조에는 수조덮개가 형성되며, 수조 덮개 하부에는 LED 광원이 장착되고 LED 광원은 기계실에 설치되는 광원 자동 점등센서에 의해 점등되며,
    상기 광원 자동점등센서는 무게추를 갖는 회전축이 전원과 연결되고, 무게추가 회전하는 일측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접촉점이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의해 무게추가 회전하여 접촉점과 접촉할 때 광원 점등 신호를 제어판으로 송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광원 자동점등센서는 선박의 롤링과 피칭에 의한 경사를 반영하도록 컨테이너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각은 수평면 0도를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 15도의 각도 범위에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수조덮개에는 덮개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매개로 환기구가 설치되어 환기배관이 삽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환기배관 상부에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환기배관의 일부에는 수조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원 구동팬이 형성되어, 광원 자동점등센서의 신호와 연동하여 전원구동팬을 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4. 삭제
  5. 삭제
KR1020130154569A 2013-12-12 2013-12-12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KR101543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569A KR101543108B1 (ko) 2013-12-12 2013-12-12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569A KR101543108B1 (ko) 2013-12-12 2013-12-12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53A KR20150068653A (ko) 2015-06-22
KR101543108B1 true KR101543108B1 (ko) 2015-08-10

Family

ID=5351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569A KR101543108B1 (ko) 2013-12-12 2013-12-12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1128A (zh) * 2021-07-26 2021-09-03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一种多功能高密度鱼苗长途运输装置及运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53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552A (en) A method of transporting or storing perishable produce.
US20150253066A1 (en) Illuminated Cooler
JP4300111B2 (ja) 生きている魚介を水に入れて運搬するための技術的装置
US20070103895A1 (en) Illumination System For Portable Insulated Containers
CN104760785A (zh) 一种长途冰温保活运输箱
CN103692948A (zh) 一种水产品无水保活运输车及运输方法
PT3142945T (pt) Contentor de mercadorias e método para transportar carga
KR101414336B1 (ko)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US20070271945A1 (en) Refrigerator having a vegetable box
KR101543108B1 (ko) 자동조명장치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BR112016002468B1 (pt) sistema de cultivo, e, métodos para troca e manutenção de unidades de iluminação em um sistema de cultivo e para a instalação de pelo menos uma unidade de iluminação em um sistema de cultivo
WO2002056677A1 (en) Waterless thermoelectric container system for live fish transport
CA2602308C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live aquatic animals
KR101824358B1 (ko) 갑각류 수송용 컨테이너
KR101543109B1 (ko) 활어수조 덮개를 갖는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CN201099477Y (zh) 植物贮藏箱
WO2018102934A1 (es) Método de instalación y de operación de un sistema de control atmosférico dentro de un contenedor de transporte de carga con un dispositivo de control de atmósfera
KR102219269B1 (ko) 항공 수송용 활어 컨테이너
CN205756603U (zh) 活体贝类运输箱
KR101637971B1 (ko) 솔라셀 결합 환풍기가 설치된 사료저장탱크
CN210718288U (zh) 一种超低温冷冻装置
JP2002218862A (ja) 生魚輸送用低温水槽
CN110844266A (zh) 一种带有uvcled的食品保鲜盒及其使用方法
KR100944278B1 (ko) 활어수송용 컨테이너의 컨트롤부 냉각장치
KR102438978B1 (ko) 활어 수송용 컨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