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026B1 - 리니어 모터 - Google Patents

리니어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026B1
KR101543026B1 KR1020090011263A KR20090011263A KR101543026B1 KR 101543026 B1 KR101543026 B1 KR 101543026B1 KR 1020090011263 A KR1020090011263 A KR 1020090011263A KR 20090011263 A KR20090011263 A KR 20090011263A KR 101543026 B1 KR101543026 B1 KR 101543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bobbin
core
linear motor
oute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079A (ko
Inventor
윤선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0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0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의 제작시에 마그넷 코일이 권취된 보빈과 다수개의 코어간의 결합에 있어서,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요철을 구비한 보빈과 요홈을 구비한 일체형 코어를 이용하여서 물리적 결합을 용이하도록 구성된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모터는 아우터 스테이터와 인너 스테이터로 구성된 고정자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와 인너 스테이터 사이의 공극에 위치하는 가동자로 구성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는 마그넷 코일이 권취된 보빈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사출금형에 의한 몰딩작업에 의해서 코어를 결합시키는 경우 사출 후 변형에 의한 아우터 스테이터의 내경치수가 확보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코어와의 사출작업을 삭제함에 따라서 작업공정의 간소화 및 이에 따른 재료비 및 제조경비를 절감시킬수 있다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리니어,모터,고정자,결합

Description

리니어 모터 { Linear Motor }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의 아우터 스테이터를 제작함에 있어서, 사출금형에 의한 몰딩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ㄷ"자 형상의 다수개의 일체형 코어를 이용해서 마그넷 코일이 권취된 보빈의 위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요철부위와 이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코어간의 구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리니어 모터의 아우터 스테이터를 제작하며, 아울러 상기 결합부위에 본딩(Bonding) 작업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코어와 보빈과의 구조적인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리니어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Motor)라고 하는 것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는 장치로서, 이러한 모터는 그 인가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서 교류모터와 직류모터로 구별되며, 일반적으로 모터는 에어컨,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터는 고정자 (Stator,이하 스테이터)와 회전자
(Rotor 또는 Armature, 이하 로터)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며, 스테이터의 권선(Coil) 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Rotating Magnetic Field)에 의해서 로터에 회전 토크(Torque)가 발생하는 원리로 작동하며, 상기 토크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는 힘을 회전동력으로 이용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리니어 모터는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 모터의 자장을 평판의 형상으로 변형시킨 것으로서, 이 평면 형상의 가동자가 역시 평면 형상의 고정자 상측에 얹혀져 그 고정자의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모터의 한 종류이다.
최근 들어서는 상기 고정자가 인너 스테이터(Inner-Stator)와 아우터 스테이터(Outer-Stator)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인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 중에서 어느 한 쪽에 유도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넷 코일이 권취,장착되며, 상기 인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 사이에 마그네트(Magnet)가 게재되고 그 마그네트의 극성이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가동자를 배치시킨 압축기용 리니어 모터가 소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93804호에는 고정자가 원통형의 인너 스테이터와 아우터 스테이터를 가지고, 보빈에 마그넷 코일이 권취된 후 그 외부면을 사출물로 감싸서 구성하는 리니어 모터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9935호에는 리니어 모터의 보빈의 형상과 아우터 스테이터의 조립구조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니어 모터의 경우 유도 자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아우터 스테이터의 보빈의 외주면에 마그넷 코일을 권취하게 된다.
이렇게 보빈의 외주면에 고속의 와인딩 머신(Winding Machine)을 통한 마그넷 코일을 권취한 후, 그 외측부를 사출물로 감싸서 구성되는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제한된 공간에 설계된 많은 수의 마그넷 코일을 권취하기 위해 정렬 권선작업을 요구한다.
고속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넷 코일의 권취 작업에 있어서, 정렬권선을 하기 위해서는 보빈의 외주면의 폭이나, 마그넷 코일의 외경치수, 와인딩 머신 (Winding Machine)을 통한 권취 작업시 보빈의 회전속도, 장력(Tension) 등 많은 요인에 의해서 정렬권선 여부가 결정된다.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는 통전시 회전자계를 형성시키는 마그넷 코일이 권취된 보빈에 절연 등을 위해서 사출작업으로 그 외형이 형성되고, 이러한 보빈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상하 양측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 한조의 코어가 다수개 결합되어서 형성된다.
그런 다음에, 사출금형을 이용한 몰딩작업을 통해서 상기의 코어를 고정시키서 그 외형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작업된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는 고온의 사출작업을 거치면서, 사출 후 변형에 의해서 아우터 스테이터의 내경치수가 변형되어서 아우터 스테이터와 인너 스테이터 간의 공극치수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극치수가 확보되지 아니함에 따라서 리니어 모터의 운전 성능 및 제어 성능 불량 등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코어를 이용하고, 리니어 모터의 아우터 스테이터의 보빈의 코어의 위주면의 코어와의 결합부위에 요철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의 보빈과의 결합부위에는 요철형상에 대응되는 요홈을 구비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인 결합을 통해서 리니어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의 보빈과 코어와의 결합에 있어서, 본딩(Bonding) 작업을 통해서 상기 보빈과 코어간의 구조적인 결합력을 강화시켜서, 사출금형에 의해서 몰딩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출후 변형에 의한 아우터 스테이터의 내경 및 폭 치수 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는, 아우터 스테이터와 인너 스테이터로 구성된 고정자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와 인너 스테이터 사이의 공극에 위치하는 가동자로 구성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는 마그넷 코일이 권취된 보빈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코어;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코어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며, 상기 보빈과 끼워맞춤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의 외주면 상,하 양측에 상기 코어와의 결합을 위해서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의 일측에는 상기 보빈에 형성된 요철과 결합되기 위한 요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빈에 형성된 요철과 상기 다수개의 코어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력을 강화를 위해 본딩(Bonding) 작업이 추가되는 것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에 의할때, 리니어 모터의 아우터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보빈과 다수개의 코어간의 결합에 있어서, 기존의 한쌍의 코어를 보빈의 상하 양측으로 고정한 후 사출금형에 의한 몰딩 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일체형 코어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함과 더불어, 상기 코어와 보빈과의 결합부위에 물리적인 결합을 위한 요철과 요홈을 형성시켜서 구조적인 결합구조를 적용하여서 사출작업으로 인한 치수 변형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와 보빈과의 결합을 위한 요철과 요홈에 본딩(Bonding)작업을 추가하여서 코어와 보빈과의 결합력을 강화시켜서 모터 품질의 안정화 및 적용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출작업을 제거함에 따른 제조 공정의 간편화 및 제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변경,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리니어 모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모터에 관해서도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리니어 모터의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 부품들의 전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축기용 리니어 모터(1)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리니어 모터(1)는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진 아우터 스테이터 (100)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비어있는 내부 공간에는 원통형의 인너 스테이터(200)가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와 인너 스테이터(200) 사이에는 일정한 공극이 존재하고, 상기의 공극에 가동자(300)가 개재되어서 그 외형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속이 빈 원통형의 양끝단에 일정 크기의 원판형의 가이드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보빈(120)(도 2 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보빈(120)(도 2 도시)의 양 끝단의 가이드부(122)의 안쪽 외주면에는 고속의 와인딩 머쉰(Winding Machine)을 이용해서 마그넷 코일(128)(도 2 도시)이 권취되어 구비된다.
이렇게 권취된 마그넷 코일(128)(도 2도시)이 장착된 보빈(120)(도2 도시)의 외주면에 대해서 사출물을 이용한 사출작업을 통해서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가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외주면에는 이후 작업을 통해서 'ㄷ'자 형상을 가진 다수개의 금속 재질의 코어(150)(도 2 도시)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고정,장착되게 된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상하 양측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다수개의 코어(150)(도 2 도시)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코어 안착부(124)(도 2 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 안착부(124)의 양측에는 장착된 코어(150)(도 2 도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코어 가이드부(126)(도 2 도시)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 (100)의 몸통 부위에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내측에는 유도자기의 경로를 형성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진 인너 스테이터(200)가 구비된다.
상기 인너 스테이터(200)는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에 권취된 마그넷 코일(128)(도2 도시)에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유도 자기의 경로를 형성시키고, 상기한 유도 자기에 의해서 자석(미도시)이 부착된 가동자(300)가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와 상기 인너 스테이터(200) 사이에는 일정한 공극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극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한 유도자기에 의해 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자(300)는 일단은 완전히 개구되고 타단은 다수개의 통풍구가 구비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통풍구가 구비된 일단측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다각형 내지는 원형의 통풍구가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자(300)의 외주면상에는 다수개의 마그네트(Magnet,자석)가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다수개의 마그네트에 의해서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 (100)와 상기 인너 스테이터(200)의 사이의 공극에서 패러데이의 유도법칙 (Faraday's law of induction)의 적용을 받아서 형성된 유도 자기에 대해서 상하 90도 방향의 힘을 받아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동자(300)는 글라스 화이버(Glass Fiber) 재질로 구성되고, 사출성형을 통해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모터(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에 권취된 마그넷 코일(128)(도 2 도시)에 전류가 인가되면, 그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에 유도 자기가 발생되고, 이 유도자기가 상기 인너 스테이터(200)와의 사이에서 자기장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자기장은 상기 가동자(300)의 외주면에 장착된 마그네트(미도시)를 패러데이의 유도법칙에 따라서 끌어당겨서 상기 가동자(300)를 한쪽 방향으로 운동하게 만든다.
이후,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인가되었던 전류가 끊김과 동시에 반대 방향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이전에 발생했던 자기장과 반대 방향의 유도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어서 패러데이의 유도법칙에 의해서 상기 가동자(300)는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인가되는 전류 방향의 전환에 따라서 상기 리니어 모터(1)의 상기 가동자(300)는 일반적인 모터의 회전운동이 아닌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도 2는 리니어 모터(1)의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구성품들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는 속이 빈 원통형의 양단부에 원판형의 가이드부(122)를 구비하고 있는 보빈(120)과 그리고 상기 보빈(12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마그넷 코일(128), 마그넷 코일(128)이 권취된 보빈(120)을 사출물로 외부 환경으로 부터 절연시키고 코어(150)가 장착될 공간을 형성시키는 몰드, 그리고 상기 몰드(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결합되는 다수개의 코어(150)들로 그 외형을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보빈(120)은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진 몸통부의 양단부에 원판형 형상의 가이드부(122)가 구비되어 있고, 양 가이드부(122)에는 상기 코어(150)가 안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코어 안착부(124)와 이렇게 안착된 상기 코어(150)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코어 가이드부(126)가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코어 가이드부(126)는 삼각 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삼각형의 꼭지부가 원의 중심을 향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빈(120)의 양 가이드부(122)의 "U"자형의 외주면에는 통전시 회전자계를 형성시키는 마그넷 코일(128)이 권취된다. 이러한 마그넷 코일(128)은 와인딩 머쉰(Winding Machine)(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마그넷 코일(128)의 일단을 노즐(미도시)을 통해서 공급하게 되다.
이때, 상기 보빈(120)을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조정시킨 후, 상기 보빈(120)의 외주면의 바닥면의 일단부에서 부터 권선작업을 수행하여, 타단부까지 권취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반대방향으로 권취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한층 한층 좌우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마그넷 코일(128)의 권취작업을 수행하며, 보빈(120)의 가이드부(122)의 끝단과 수평면을 이루게 되면 권취작업은 완료된다.
이러한 마그넷 코일(128)은 상호간의 접촉시 쇼트(Short)와 같은 문제로 인해서 전기적 성능의 불량 및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그넷 코일(128)의 외경에는 절연 코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마그넷 코일(128)의 권취작업이 완료된 상태는 좌측에서 두번째 도면에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마그넷 코일(128)의 권취가 완료된 보빈(120)에 대해서 사출물을 이용한 사출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사출작업을 통해서 마그넷 코일(128)을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하고 절연하는 기능을 하며,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사출 작업을 통해서 마그넷 코일(128)을 외부로 부터 완전히 차폐시키고 이후에 진행되는 코어(150)의 안착시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코어 날개부(142)를 형성한다.
오른쪽에서 두번째 도면이 상기 사출작업이 완료된 몰드(14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몰드(140)의 외주면에는 코어(150)를 고정시키고, 안착된 코어(15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코어 날개부(142)가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코어 날개부(142)는 직사각형의 형상이며, 안착되는 코어(150)마다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면, 코어(15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을 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는 마그넷 코일(128)로 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유도를 형성하게 되는 코어(15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의 맨우측에는 상기 코어(150)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코어(150)의 "ㄷ"자 형상을 하고 있으면, 그 재질은 전도성을 가지며 자속의 유로가 되는 금속을 그 재질로 한다.
상기 코어(150)의 일단은 직각으로 끝단부가 처리되어 있으나, 타단부는 끌의 형상과 같이 단부로 갈수록 두께 얇아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코어(150)는 두개가 한쌍을 이루며, 상기 코어 가이드 안착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위치한 코어(150)는 코어 가이드부(126)와 코어 날개부(142)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러한 코어(150)는 두개의 코어(150)가 직각으로 처리된 일단부에서 상호 마주보면서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한 끌형상을 가진 타단부가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내경을 향해서 각각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한 몰드(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두개의 코어(150)의 한쌍을 이루면서, 상하로 결합되어서 그 완성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사출작업이 완료된 몰드(14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코어(150)가 상기한 방법으로 고정,안착되어서 아우터 스테이터(100)를 구성하고 있다.
도 4는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I-I'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내부에는 권취된 마그넷 코일(128)이 정렬된 상태로 다수개의 층을 형성하며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외주면에는 상하로 대칭되게 결합한 코어(1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아우터 스테이터(100)는 여러 공정을 거쳐서 압축기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100)에는 상기 몰드(140)에 상기 코어(150)이 결합된 상태로 고온의 환경의 사출금형에 삽입되어서, 사출에 의한 몰딩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적 압력이 사출물로 구성된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몰드(140) 및 보빈(120)에 가해져서 외형의 변형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아우터 스테이터(100)의 외형의 변형 등으로 인해서 상기 보빈(120)의 폭(H)과 내경(D)의 치수의 변형으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의 외형 및 치수의 변형으로 고정자와 가동자간의 공극 치수가 변형되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1)의 운전 성능과 제어 성능을 제대로 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의 물리적 내지 열적 압력으로 부터 상기 보빈(120)의 폭(H)과 내경(D)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어(150)을 이용하고,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129)과 상기 코어(1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152)에 의해서 결합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0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12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보빈(120)의 외주면상에 끝단부로 부터 일정한 이격거리를 둔 안쪽면의 상기 코어(150) 안착부상에 다수개의 돌출된 요철(129)이 구비된다.
상기 요철(129)은 상기 보빈(120)의 외주면상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한채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비된 요철(129)은 상기 일체형 코어(150)와의 물리적인 결합을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코어(15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기존의 코어(150)는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빈(120)의 외주면에 2개의 코어(150)가 상하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구비되었다.
기존에는 상기와 같이 기존 형상을 가진 코어(150)가 보빈(120)의 외주면에 결합된 후, 다시 그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사출작업이 실시되었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코어(150)는 "ㄷ"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코어(150)의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상기 보빈(120)의 내경의 중심축을 향해서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양단부는 보빈(120)의 내경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150)가 상기 보빈(120)과 결합하는 내측면의 결합부에는, 상기 보빈(120)의 요철(129)과 결합하는 위치에 상기 요철(129)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요홈(152)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52)은 상기 요철(129)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요철(129)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보빈(120)의 요철(129)과 코어(150)의 요홈(152)에 의한 구조적인 결합을 통해서, 사출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리니어 모터의 아우터 스테이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빈(120)과 코어(150)간의 구조적 결합을 통한 결합이외에도, 보다 강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딩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한다.
상기의 본딩 작업은 상기 요홈(152)과 요철(129)이 결합되는 부위에 대해서 실시된다. 이러한 본딩 작업에 의한 추가적인 결합력 강화로 인해서 상기 보빈(120)과 코어(150)간의 결합력은 보다 강화되어서 보다 안정적인 품질을 가진 아우터 스테이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스테이터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보빈(120)과 코어(150)간의 구조적인 결합과 본딩작업을 통한 추가적인 결합에 의해서 완성된 아우터 스테이터이다. 이렇게 제작된 아우터 스테이터는 기존의 경우와은 달리 그 외형에 있어서, 사출 작업에 의한 사출물로 형성된 외형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아울러, 사출 작업을 의하지 아니하므로, 고온의 사출 작업에 따른 열변형에 따른 내경 등의 치수 변형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생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아우터 스테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완성된 아우터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아우터 스테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니어 모터 100 아우터 스테이터
120 보빈 122 가이드부
124 코어 안착부 126 코어 가이드부
128 마그넷 코일 129 요철
140 몰드 142 코어 날개부
144 내경(D) 146 폭(H)
150 코어 152 요홈
200 인너 스테이터 300 가동자

Claims (5)

  1. 아우터 스테이터와 인너 스테이터로 구성된 고정자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와 인너 스테이터 사이의 공극에 위치하는 가동자로 구성되는 리니어 모터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는,
    마그넷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과 끼워맞춤에 의해서 결합되는 다수개의 코어;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코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코어 가이드부; 및
    상기 코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요홈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 리니어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코어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리니어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주면 상,하 양측에 각각의 코어와의 결합을 위해서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다수개의 코어는 본딩(Bonding) 작업에 의해 결합되는 리니어 모터.
KR1020090011263A 2009-02-12 2009-02-12 리니어 모터 KR10154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63A KR101543026B1 (ko) 2009-02-12 2009-02-12 리니어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263A KR101543026B1 (ko) 2009-02-12 2009-02-12 리니어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079A KR20100092079A (ko) 2010-08-20
KR101543026B1 true KR101543026B1 (ko) 2015-08-07

Family

ID=4275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263A KR101543026B1 (ko) 2009-02-12 2009-02-12 리니어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0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079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064B2 (en) Motor
CN109638995B (zh) 用于旋转电机的转子及其制造方法
US10050481B2 (en) Permanent magnet type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 type motor
JP2019022449A (ja)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0637B2 (ja) 回転電機の回転子
US20150091404A1 (en) Ro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agnetizing apparatus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18074638A (ja) ステータ、モ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US6741008B2 (en) Stator for reciprocating motor
KR101543026B1 (ko) 리니어 모터
US20190312490A1 (en) Fault-tolerant motor
JP6545383B2 (ja) 回転子、電動機、空気調和機、及び回転子の製造方法
JP2018143049A (ja) 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KR101350344B1 (ko) 분할 코어타입 모터
JP2016178784A (ja) 磁石部材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29910B1 (ko) 모터
JP2017143698A (ja) 埋込磁石型ロータユニット、および埋込磁石型ロ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297802B1 (ko) 모터 및 모터 제조방법
KR102618624B1 (ko) 모터 회전자의 제조방법
KR101012948B1 (ko)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
JP6564063B2 (ja) 回転電機の組立装置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KR101062588B1 (ko) 리니어 모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34566A (ja) 回転電機のロータの製造方法
KR102019127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20031622A (ko) 리니어 컴프레서용 모터
CN114498966B (zh) 电机及磁场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