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725B1 -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725B1
KR101542725B1 KR1020130095062A KR20130095062A KR101542725B1 KR 101542725 B1 KR101542725 B1 KR 101542725B1 KR 1020130095062 A KR1020130095062 A KR 1020130095062A KR 20130095062 A KR20130095062 A KR 20130095062A KR 101542725 B1 KR101542725 B1 KR 10154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pipe
heating
temperature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8310A (en
Inventor
오정철
최남진
Original Assignee
오정철
최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철, 최남진 filed Critical 오정철
Priority to KR102013009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725B1/en
Publication of KR2015001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에 난방용 온수를 공급하는 배관에 있어서,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을 갖는 난방 배관으로서,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에서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높이가 다르게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입체형 난방 배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은 수직 위치가 높은 영역이 수직 위치가 낮은 영역 보다 온도의 상승 속도가 빠르고 상승된 온도가 오래 유지되어 에너지 효율이 높고, 난방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for heating to a floor of a building, the heating pipe having one e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other end exhausting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wherein the heating pipe has a heigh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heating pipe which is formed in a different three-dimensionally manner. In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on where the vertical position is high is faster than the region where the vertical position is low, the rising temperature is maintained longer, the energy efficiency is high, and the heating environmen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입체형 난방 배관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본 발명은 난방 배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승온 속도 향상 및 고온이 장시간 유지되는 새로운 입체형 난방 배관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three-dimensional heating pipe in which a heating rate is increased and a high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건축물의 구조나 기능은 건축 공간에 주거하는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직간접적으로 반영하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건축물은 생활상의 편리함 및 자연환경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구조적인 설계와 더불어 내부의 기능적 요소들이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방수, 방풍, 환기, 냉난방 공조 시설 등은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 환경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buildings have been developing many times, directly or indirectly reflecting the life and culture of the people who reside in the architectural space. In addition to structural design, the importance of internal functional elements is emphasized for the convenience of life and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In particular, waterproof, windproof, ventilation, air-conditioning and air-conditioning facilities are essential elements for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동양의 온돌 문화권에서 건물의 바닥 난방은 통상적으로 난방 배관을 바닥에 설치하고,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이 배관을 통해 공급하여 바닥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에 전체적으로 난방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Floor heating of a building is usually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in the oriental culture area of Ondol, and hot water heated by the boiler is supplied through the pipe to raise the floor temperature so that the heating effect as a whole is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그러나, 기존의 일반적인 난방용 난방 배관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0) 내부에서 배관(12)의 각 영역이 모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이른바 평면형 배관의 시공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평면형 배관의 경우 건물 바닥면 전체에 대해 동일한 온도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소정 온도 이상으로 난방 효과를 얻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에너지 낭비가 심하였다. However, as shown in FIG. 1A and FIG. 1B, the conventional heating pipe for heating generally has a so-called planar pipe construction in which all the areas of the pipe 12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in the flooring 10. However, in the case of the flat pipe, since the entir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is raised to the same temperature, it takes a long time to obtain the heating effec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and energy waste is considerable.

또한, 주거 환경에 따라 또는 실내 공간의 사용 태양에 따라 바닥 난방이 더 필요한 부분, 예를 들어 침실이나 거실에서 탁자가 놓은 주위 부분과 난방이 굳이 요구되지 않는 부분, 예를 들어 주방이나 거실에서 가구가 놓여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기존의 평면형 배관의 시공에서는 이와 같은 공간 활용 문화가 전혀 배제되고 일률적인 배관 시공만이 이루어져 에너지의 낭비가 심하고 난방 환경에 불편함이 많았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r depending on the use of the indoor space, the floor heating may be further required, for example, in the bedroom or living room, the surrounding area of the table and areas where heating is not required, In the case of existing flat type pipe construction, such a space utilization culture is totally excluded and only a uniform piping construction is performed, so there is a great waste of energy and inconvenience in the heating environment.

이러한 건축 현장의 실태를 개선하는 한편, 화석에너지 고갈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난방 배관의 구조 및 시공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roblem of depletion of fossil energy becomes serious, while improving the actual condition of such a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demand for a new heating pip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use energy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 배관의 시공 형태 내지 방식을 변경하여 난방 배관의 위치에 따라 온도의 상승 속도를 달리하는 한편, 상승된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 construction mode or a system of a heating pipe so that the ris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pipe is var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eating pipe, have.

이와 같은 난방 배관의 시공 방식에 따라 실내 거주 공간에서 필요한 부분에만 에너지가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난방 에너지를 절감하여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eating pipe, the energy is concentrated only in the necessary part in the living space of the residence, thereby improving the energy utilization and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building by reducing the heating energy.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에 난방용 온수를 공급하는 배관에 있어서,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을 갖는 난방 배관으로서,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에서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높이가 다르게 입체적으로 형성되며, 난방 배관의 수직 위치가 높은 영역이 수직 위치가 낮은 영역 보다 온도의 상승 속도가 빠르고 상승된 온도가 오래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난방 배관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ing for supplying hot water for heating to a floor of a building, the piping having one e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other end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Wherein a height of the heating pipe is higher than that of a region wher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eating pipe is higher than that of the area wher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eating pipe is higher, do.

상기 난방 배관은 예를 들어 바닥재 내부에서 나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바닥재 내부에서 절곡되어 평면적으로 볼 때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관 영역의 높이를 국부적으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주거 환경에 맞게 바닥 난방을 국부적으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The heating pipe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spiral structure inside the flooring, or alternative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ping areas bent in the flooring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plan view. By locally varying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iping areas, the floor heating can be locally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의 높이가 동일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의 높이가 다르게 배치할 수도 있다. The heating pipe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one end of the heating pipe that is introduced into the bottom material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lternatively,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heating pipe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ttom pipe.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은 시공의 편리를 위하여 높이가 다른 지지대에 의해 바닥재 내부에서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높이가 다르게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hree-dimensionally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inside of the flooring by a supporting stand having a different height for convenience of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 배관의 위치에 따라 온도의 상승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건물에 주거하는 환경 내지 공간 활용도에 맞게 난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국부적으로 빨리 상승된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rising speed of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eating pipe, the heating can be effective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or space utilization in the building. Also, locally fast elevated temperatures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따라서 건물 내 거주 공간에서 필요한 부분에만 에너지가 집중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건물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이고 난방 에너지를 절감하여 건물의 기능과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energy only in the necessary part of the living space in the building, thereby enhancing the energy utilization of the building and reducing the heating energy, thereby greatly enhancing the function and value of the building.

또한, 기존의 바닥 난방 시공 방식과 큰 차이없이 난방 배관의 시공이 가능하여 건물 시공에 소요되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heating pipe withou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loor he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by preventing the additional cost required for building construction.

도 1a 및 1b는 종래의 난방 배관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난방 배관을 보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형 난방 배관에서 최상단 배관과 최하단 배관의 수직 이격 상태를 보인 단면 모식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입체형 난방 배관과 평면형 난방 배관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난방 배관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난방 배관을 보인 평면도
도 7a 내지 7c는 도 6의 난방 배관의 시공 형태를 보인 단면 모식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의 국부적 온도 상승 영역을 보인 모식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의 국부적 온도 상승 영역을 보인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의 시공 형태를 보인 모식도
1A and 1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ting pipe;
2A and 2B are a 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hea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vertical separation of the uppermost pipe and the lowermost pipe in the three-dimensional heating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graphs showing temperature changes of the three-dimensional heating pipe and the flat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5A and 5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dimensional he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ereoscopic type heating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pipe of Fig.
8A and 8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local temperature rising region of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local temperature rising region of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난방 배관의 시공에 있어서 하나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배관의 각 부분이 설치되는 높이가 다르도록 배치하여 높게 배치된 배관 영역으로 고온의 온수가 대류 현상에 의해 좀더 집중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배관이 높게 설치된 부분은 다른 부분 보다 온도 상승 속도가 빨라지고, 온도가 상승된 후에도 낮은 부분에서 높은 부분으로 고온의 물이 집중되어 온도 유지 효과가 장시간 계속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pipe, the height of each portion of the pipe extended to one side is set to be different, so that hot water of high temperature is concentrated more highly by the convection phenomenon. As a result, the temperature rise rate of the portion where the pipe is installed at a higher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and the temperature holding effect can be continued for a long time after the temperature rises even if the high temperature water is concentrated from the low portion to the high por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에 난방용 온수를 공급하는 배관에 있어서,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을 갖는 난방 배관으로서,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에서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높이가 다르게 입체적으로 형성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for heating to the floor of a building, the heating pipe having one e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other end exhausting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wherein the heating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t forms three-dimensionally different height.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 시공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인 단면도로서, 바닥재(C) 내부에 난방 배관의 각 부분(P1 ~ P8)이 서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난방 배관에서 바닥 가장자리 부분(P1, P2)은 낮은 위치에 배관이 배치되어 있고, 바닥 중앙 부분(P7, P8)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간 영역에서도 각 배관 영역이 점진적으로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2A is a conceptual sectional view of a heating pip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spective portions P1 to P8 of the heating pipe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flooring C . In the heating pipe, the bottom edge portions P1 and P2 are arranged at low positions, the bottom center portions P7 and P8 are arranged at a high position, and even in the intermediate region, the respective pipe regions are gradually increased in height .

도 2b는 도 2a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배관의 시공 형태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로서 바닥재 내부에 난방 배관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이 높고 가장 자리 부분은 낮게 배치되어 있다. 바닥재 일측에서 낮은 높이로 유입된 파이프(P1)은 중앙부의 높은 위치로부터 바닥재 바깥으로 다시 배출된다(P8). 따라서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배관의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의 높이가 다르게 배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A, in which the heating pipe is spirally formed in the inside of the floor, and the center portion is high and the edge portion is low. The pipe (P1) introduced at a low height from one side of the bottom material is discharged again from the high position of the center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material (P8). Therefore, the height of one end of the pipe leading into the bottom material and the height of the other end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전체적인 배관의 형태는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원에 가까운 구조 또는 사각형에 가까운 구조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배관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며 난방 온도를 유지하는 바닥재는 시멘트나 콘크리트, 황토 등 기존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바닥 마감재가 이용될 수 있다.Further, the overall pipe shape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 structure close to a circle or a structure close to a square, in addition to the spiral shape as shown in FIG. 2B. On the other hand, flooring materials that physically protect the piping and maintain the heating temperature can be used for all kinds of existing flooring materials such as cement, concrete, and loess.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높이가 다른 난방 배관은 시공의 편리를 위하여 높이가 다른 지지대(미도시)를 활용하여 바닥재 내부에서 배관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높이가 다르게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난방 배관용 지지대에서 배관을 지지하는 복수의 클램프 부분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을 기존의 평면형 배관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pipe having different vertical h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pe (not shown) having a different height may be used to arrange the height of the pipe in three dimensions in the inside of the pipe.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flat pip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clamp portions supporting the pipe in the existing heating pipe suppo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의 시공 단면을 도시한 모식도로서 바닥재(C) 내부에 시공된 배관 중 최상단 배관(PH)과 최하단 배관(PL)을 보이고 있다. 최상단 배관과 최하단 배관 사이의 간격(d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의 국부적 온도 상승 속도 향상 및 상승 온도 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시공 현장에 맞게 바닥재 전체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최상단 배관으로부터 바닥재 상면간의 간격(d2)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최상단 배관 주위의) 국부적인 영역에서 온도가 상승된 열이 주거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최하단 배관으로부터 바닥재 하면간의 간격(d3)은 배관 시공 상황 및 최상단 배관과 최하단 배관 사이의 간격(d1)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최하단 배관으로부터 바닥재 상면까지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최하단 배관 주위의 바닥재에는 열이 저장되는 부분이 많고, 저장된 열은 주변으로 이동되어 상대적으로 고온 부분인 최상단 배관 쪽에 장시간 온도가 유지되는데 일조할 수 있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cross section of a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top end pipe PH and a bottom end pipe PL among piping constructed inside the bottom material C. The distance d1 between the uppermost pipe and the lowermost pipe directly affects the local temperature rise speed and the rising temperature maintenance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height of the floor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site. Since the distance d2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most pi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is relatively short, the heated temperature in the local area (around the uppermost pipe) is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resident. On the other hand, the interval d3 between the floor bottoms from the lowermost pip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iping construction state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uppermost pipe and the lowermost pipe, and the distance from the lowest pip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is relatively large. There is a lot of heat storage part in the bottom material of the bottom part, and the stored heat is moved to the periphery, so that the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the uppermost pipe part which is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part.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배관에 있어서 수직 위치가 높은 부분의 온도가 빨리 상승하고 대류 현상을 통해 상승한 온도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a 및 4b에 도시하였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유사한 원뿔형 나선형 배관을 중앙 부분이 높게 바닥재에 형성하였고, 이해를 돕기 위해 비교예로서 동일한 배관 길이의 평면형 배관도 함께 실험을 실시하였다. It is experimentally confirmed in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with a high vertical position rises quickly and the temperature that has risen due to the convection phenomenon is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4A and 4B. A conical helical pip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2B was formed on the floor with a high center portion, and a flat pipe having the same pipe length as the comparative example was also tes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초기 25분간은 원뿔형 나선형 배관과 평면형 배관이 동일한 온도 변화 흐름이 유지되도록 한 후, 유사한 출발점 온도가 되었을 때 각 배관에 온수를 공급하였다. 최초 60℃의 200ml의 물을 각각 투입한 후 60℃의 280ml의 물을 각각의 배관에 투입하였으며, 온도가 상승된 후 배관의 온도가 초기 온도 이하로 내려올때까지 약 140분 동안 배관의 온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배관의 중앙 및 가장자리에서 최고 온도와 평균 온도, 상승 온도 유지 시간을 확인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During the initial 25 minutes, the conical spiral pipe and the planar pipe were kept at the same temperature change flow, and the hot water was supplied to each pipe at a similar starting point temperature. First, 200 ml of water at 60 ° C was added, and then 280 ml of water at 60 ° C was added to each pipe. After the temperature was raised, the temperature of the pipe was changed for about 140 minutes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pipe dropped below the initial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maximum temperature, average temperature, and rising temperature holding time at the center and edge of each pipe were confirm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 결과 도 4a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원뿔형 나선형 배관의 중앙 부분의 온도가 가장자리(원뿔 끝) 보다 온도의 상승 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평면형 배관은 평면 중앙과 가장자리(평면 끝)의 온도 차이가 거의 없었다. 또한, 온도가 상승 한 후 초기 온도로 도달하는 시간을 비교한 결과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형 배관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 나선형 배관의 경우 약 2.5배 가량 초기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 상승한 온도를 오래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ical spiral pipe is faster than the edge (conical end) of the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flat pipe had littl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center of the plane and the edge (plane e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ime of reaching the initial temperature after the rise of the temperature, as shown in FIG. 4B, it takes longer time to reach the initial temperature of about 2.5 times in the case of the conical spira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배관 형태Piping type 배관 위치Piping position 최고온도Maximum temperature 평균온도Average temperature 투입전후 온도차Temperat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njection 상승온도 유지시간Rising temperature holding time 원뿔형 배관Conical piping 중앙center 27.3℃27.3 DEG C 26.72℃26.72 ° C 1.02℃1.02 DEG C 101%101% 가장자리edge 26.5℃26.5 DEG C 26.18℃26.18 ℃ 0.68℃0.68 ° C 100% (비교기준)100% (comparative basis) 평면형 배관Planar piping 중앙center 26.9℃26.9 ° C 26.47℃26.47 DEG C 0.58℃0.58 DEG C 38%38% 가장자리edge 26.7℃26.7 ° C 26.27℃26.27 ° C 0.51℃0.51 DEG C 41%41%

본 실험에 사용된 온수의 온도가 비교적 낮고, 실제 난방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보일러 난방수 온도가 70 ~ 80℃ 까지도 상승할 수 있는 것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난방 배관은 수직 위치가 높은 영역이 수직 위치가 낮은 영역 보다 온도의 상승 속도가 더욱 빠르고 상승된 온도를 더 장시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onsider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used in this experiment is relatively low and the temperature of the boiler heating water used in the actual heating system can rise up to 70 to 80 ° C., the stereoscopic typ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It is expected that the rising speed of the temperature will be faster and the elevated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region in which the vertical position is low.

난방 배관의 시공의 다른 형태로서 배관의 도입부 및 배출부가 동일한 지점에 배치되도록 온수 공급 및 배출 방향이 반시계 방향의 배관과 시계 방향의 배관이 상호 나선형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난방 배관이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나선형 형태로 배치되었으며, 중앙부(X)가 높고 가장자리(Y)는 낮게 배치되는 반면, 난방 배관의 도입부 및 배출부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관이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공 형태는 바닥 난방 시 개별 공간에 대해 배관의 도입부와 배출부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해야하는 경우에 적절하다. As another form of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pipe, the pip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pip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may be helically arranged so that the hot water supply and discharge direction is dire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let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pipe are disposed at the same point. 5A and 5B, the heating pipe is arranged in a spiral shape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X is high and the edge Y is low, while the inlet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heating pipe are located at the same point The piping is arranged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This type of construction is suitable wh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piping should be located at the same point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space when the floor is heated.

본 발명의 입체형 난방 배관은 기존의 평면형 배관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나선형 배관과 달리 바닥재 내부에서 절곡되어 평면적으로 볼 때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관 영역을 포함하는 배관에서 상기 복수의 배관 영역의 높이를 국부적으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주거 환경에 맞게 바닥 난방을 국부적으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heating pip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using a conventional flat piping. That is, unlike the above-mentioned helical pipe, in the pipe which is bent in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ipe area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plan view,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ipe areas is formed locally differently, Can be locally controlled differently.

도 6을 참조하면, 기존의 평면형 배관과 유사하게 배치된 난방 배관을 볼 수 있다. 배관의 각 영역(P1 ~ P7)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수직 높이가 증가하거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높게 배치하거나, 또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수직 높이가 낮아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의 배치 형태에 따라 실내 공간의 바닥에 시공된 배관의 국부적인 영역에서 온도의 상승 속도 및 온도 유지 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heating pipe arranged similar to a conventional flat pipe can be seen. As shown in Fig. 7A, each of the areas P1 to P7 of the piping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vertical height gradually increases or the central part thereof is elevated as shown in Fig. 7B, Can be reduc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ipes, the rising speed of th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holding time may be different in the local area of the piping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indoor space.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선형 배관은 도 8a에서와 같이 중앙부(X)가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부위에 해당한다. 반면, 평면형 배관 형태를 이용한 입체형 배관에서는 수직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부위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하는 각 영역(X1 ~ X4)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높이를 다변화시켜 여러 곳(X1, X2)에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부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piral pipe corresponds to a region where the central portion X is locally raised in temperature as shown in Fig. 8A. On the other hand, in a three-dimensional piping using a planar pipe type, a region where the temperature is locally raised by different vertical heights can be set to a desired angle region (X1 to X4) as shown in FIG. 8B. Further, as shown in Figs. 9A and 9B,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region where the temperature is locally raised in various places (X1, X2) by diversifying the vertical heigh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 난방 배관은 하나의 실내 공간에 대해서 기존의 평면형 배관과 조합하여 공간 내의 여러 영역에 대해 온도 상승이나 온도 유지가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ical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a conventional planar pipe for one indoor space, and the temperature rise and the temperature maintenance can be different for various areas in the space.

도 10은 건물 내 실내 공간에 국부적으로 온도를 달리하도록 배관을 시공한 예를 보인 것으로 주거 건물의 독립된 공간 예를 들어, 침실이나 거실에 대하여 난방 배관을 각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로 배치하여 해당 위치에 따라 온도의 상승 속도, 지속 정도가 다르게 할 수 있다. AA영역과 BB영역은 나선형으로 배관의 높이를 다르게 변화시킴으로써 신속하게 바닥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 온도가 오랫동안 유지되는 반면, AB영역과 BA영역은 기존의 평면형 배관 방식에 따라 모두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온도의 상승이 늦어지게 된다.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ipe is installed so as to vary temperature locally in a building, in which a heating pipe is arranged in a separate space in a residential building, for example, a bedroom or a living room, The rising speed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temperature may be different. The AA and BB areas are helical and can change the height of the pipe quickly to raise the bottom temperature quickly and maintain this temperature for a long time while the AB and BA areas ar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ccording to the existing plan type piping method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is delayed.

이와 같이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배관의 시공 형태를 달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효과가 실내 공간의 국부적인 영역에서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공간에서 꼭 필요한 부분에만 좀더 에너지가 집중되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By varying the construction form of the pip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spac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ted only in a local area of the indoor space. Accordingly, .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ed, modified, or improved.

10:바닥재 12:(평면형) 난방 배관
C:바닥재 P1~P8:(입체형) 난방 배관
PH:최상단 배관 PL:최하단 배관
X,X1,X2,X3,X4:국부적 승온 부위
10: Flooring material 12: (flat type) Heating piping
C: Floor material P1 ~ P8: (Three-dimensional type) Heating piping
PH: top piping PL: bottom piping
X, X1, X2, X3, X4: local heating temperature region

Claims (5)

건물의 바닥에 난방용 온수를 공급하는 배관에 있어서,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을 갖는 난방 배관으로서,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에서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높이가 다르게 입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에서 절곡되어 평면적으로 볼 때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관 영역의 높이가 국부적으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난방 배관의 수직 위치가 높은 영역이 수직 위치가 낮은 영역 보다 온도의 상승 속도가 빠르고 상승된 온도가 오래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난방 배관.
A piping for supplying hot water for heating to a floor of a building,
A heating pipe having one e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nd the other end exhausting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wherein the heating pipe is three-dimensionally formed in the bottom material different in height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Wherein the heating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piping areas bent in the flooring and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iping areas is formed locally different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gion wher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eating pipe is high is faster in temperature rising speed than the region where the vertical position is low and the temperature is kept elevated for a long time
Three-dimensional heating pip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난방 배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pipe has one end for entering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nd a different height from the other end for discharging inside the bottom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배관은 바닥재 내부로 진입하는 일단과 바닥재 내부에서 배출되는 타단의 높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난방 배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pipe has one end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and a different height from the other end that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ottom material.
KR1020130095062A 2013-08-10 2013-08-10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KR101542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062A KR101542725B1 (en) 2013-08-10 2013-08-10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062A KR101542725B1 (en) 2013-08-10 2013-08-10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10A KR20150018310A (en) 2015-02-23
KR101542725B1 true KR101542725B1 (en) 2015-08-06

Family

ID=5304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062A KR101542725B1 (en) 2013-08-10 2013-08-10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7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3240A (en) * 2010-06-29 2012-01-19 Kita Nippon Electric Cable Co Ltd Under-floor heat-storage type heating-system
KR101253701B1 (en) * 2012-06-12 2013-04-12 김윤회 A fan heater with on horizontal heat transfer pi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3240A (en) * 2010-06-29 2012-01-19 Kita Nippon Electric Cable Co Ltd Under-floor heat-storage type heating-system
KR101253701B1 (en) * 2012-06-12 2013-04-12 김윤회 A fan heater with on horizontal heat transfer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310A (en)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83229U (en) Geothermal tube heat abstractor
Karaoulis Investigation of energy performance in conventional and lightweight building components with the use of phase change materials (PCMs): energy savings in summer season
KR101542725B1 (en) Three dimensional heating pipe
Straube et al. Insight the function of Form: Building shape and energy
KR101782843B1 (en) Ondol heating system of architecture with firehole and boiler
KR101168836B1 (en) Energy saving-type heating floor
CN103759300B (en) A kind of energy-saving type hot wall heated brick bed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Schiano-Phan Environmental retrofit: building integrated passive cooling in housing
JP6172587B2 (en) Floor heating system
CN105485937A (en) Solar insulating glass block
Hudisteanu et al. Improvement of the indoor climate conditions inside orthodox churches
Doležel Alternative way of thermal protection by thermal barrier
CN103807908A (en) Building foundation type sandy soil heat storage self-heating system
CN103307653B (en) energy-saving ground heating floor
CN104429995A (en) Heat preservation breeding house
KR101530596B1 (en) Korean floor heating device
KR101369505B1 (en) Assembled heating panel for hot water boiler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319067B1 (en) Device for Supplying Air for Building Ventilation
CN204128049U (en) Combustion pond-ground hot coil coupling heating plant
CN204571048U (en) A kind of intelligent air condition superstructure and building
CN204404314U (en) A kind of floor heat-conserving energy-saving multi heating system
KR20100069060A (en) Hypocaust flooring block for fire-box heating facility
Jung et al. Energy performance analysis on the design conditions of high-rise apartment houses in South Korea
CN205907959U (en) Prefabricated modularization low temperature heating floor
CN102644361B (en) Solar ceramic tile, combination system thereof and method for utilizing solar energy in large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