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380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380B1
KR101542380B1 KR1020080104756A KR20080104756A KR101542380B1 KR 101542380 B1 KR101542380 B1 KR 101542380B1 KR 1020080104756 A KR1020080104756 A KR 1020080104756A KR 20080104756 A KR20080104756 A KR 20080104756A KR 101542380 B1 KR101542380 B1 KR 10154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ursor
displayed
point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690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380B1/ko
Priority to US12/508,965 priority patent/US8564549B2/en
Priority to EP09013106.1A priority patent/EP2180371B1/en
Priority to CN200910205397.7A priority patent/CN101729629B/zh
Publication of KR2010004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제 1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부에 의한 투사되는 제 2 디스플레이에 걸쳐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사용자는 좀더 넓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단말기가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동작할 때,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복잡한 기능만큼이나 다양한 메뉴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단말기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한정된 크기로 인해 상기 다양한 기능들 및 메뉴들이 사용되기에 불편한 경우가 왕왕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단말기의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부가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 내의 상기 복잡한 기능이 수행됨에 있어 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 2 디스플레이를 외부면에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부, 및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 2 디스플레이가 프로젝터에 의해 외부면에 투사되는 단계, 및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커서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제 1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부에 의한 투사되는 제 2 디스플레이에 걸쳐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사용자는 좀더 넓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 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둘 이상의 방송 채널의 동시 수신 또는 방송 채널 변경 용이성을 추구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 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 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 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 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 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 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일 수 있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주로 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 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 타입 이동 단말기(100)에, 앞서 설명한 프로젝터 모듈이 구비되는 구성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예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장착되는 제 1 바디(200)에는, 프로젝터 모듈(155)이 구비되는 프로젝터 바디(227)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에는 제 2 바디(205)가 슬라이드 변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a는 상기 제 1 바디(200)과 슬라이드 변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바디(205)가 전개된 상태에서, 제 1 바디(20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젝터 바디(227)이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프로젝터 바디(227)는 상기 제 1 바디(200)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프로젝터 바디(227)에 구비된 프로젝터(155)를 이용하여 영상의 투사 시에 그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프로젝터 바디(227)에는 상기 프로젝터(155)에 의해 투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2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 1 바디(200)와 제 2 바디(205)가 원래의 위치로 슬라이드되고, 프로젝터 바디(227)이 원래의 위치로 다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는 경우, 그 크기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바디(200)와 제 2 바디(205)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프로젝터 바디(227)가 간섭되지 않도록 프로젝터 바디(227)의 회동각도는 제 1 바디(200)의 상면 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젝터 모듈은 바 타입 이동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다른 일 예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전술한 프로젝터 모듈이 구비된 프로젝터 바디(227)는,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인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 바디(227)는 상기 메인 바디(200)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 바디(227)에 구비된 프로젝터(155)를 이용하여 영상의 투사 시에 그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 바디(227)에는 상기 프로젝터(155)에 의해 투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21)가 배치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a는 상기 메인 바디(227)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젝터 바디(227)가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상기 프로젝터 바디(227)가 회동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6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6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6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보이는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 1 디스플레이(400)라고 호칭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155)에 의해 투사되는 투사 디스플레이를 제 2 디스플레이(500)라고 호칭하겠다.
한편, 일반적으로 포인터라 함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면, 스타일러스펜 또는 손가락)을 뜻하기도 하고, 마우스 또는 터치 패드 등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특정 모양(예를 들면, 화살표, 모래시계)의 표시를 뜻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자를 상호 구분하기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인터"라 칭하고,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특정 모양의 표시를 "커서"라고 칭하겠다. 상기 커서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에서 제 1 디스플레이(400)를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프로젝터(155)에 의해 외부면(스크린 또는 벽)에 투사되는 제 2 디스플레이를 제 1 디스플레이(400)와 같은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의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400)을 좌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제 2 디스플레이(500)을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7의 (7-2)의 상기 좌우 방향의 제 1 디스플레이(400)는 도 7의 (7-1)의 상기 상하 방향의 제 1 디스플레이(40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의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400)을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제 2 디스플레이(500)을 좌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7의 (7-3)의 상기 좌우 방향의 제 2 디스플레이(500)는 도 7의 (7-1)의 상기 상하 방향의 제 2 디스플레이(50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도 무방하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400) 및 제 2 디스플레이(500) 모두를 좌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상호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상호 적어도 일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 재생 메뉴가 실행될 때, 상기 메뉴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 조작 창은 제 1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메뉴에 의해 재생되는 동영상은 제 2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디스플레이(400)와 제 2 디스플레이(500)의 방향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을 통한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0) 및 제 2 디스플레이(5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커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에는 제 1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상기 외부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50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8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400)과 제 2 디스플레이(500)이 상호 동일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400) 및 제 2 디스플레이(500)에는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오브젝트들은, 메뉴 아이콘, 전화번호 아이콘, 멀티미디어(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아이콘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8의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즉, 제 1 디스플레이(400)) 상에 포인터로 터치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 상의 위치에 커서(510)를 생성한다. 상기 터치는 근접 터치일 수도 있고, 접촉 터치일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51)이 터치될 때만 반드시 상기 커서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적절한 키조작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51) 상에 형성되는 별도의 제 1 아이콘(미도시)가 선택될 때 상기 커서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서의 생성의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그 다음, 도 8의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 상에서 상기 터치된 포인터가 소정 궤적에 따라 드래그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상기 생성된 커서(510)를 상기 소정 궤적에 따라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터치스크린(151) 상에서 상기 포인터가 터치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상기 커서(510)가 사라지도록 한다.
상기 터치스크린(151)이 터치 해제될 때만 반드시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적절한 키조작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51) 상에 형성되는 별도의 제 2 아이콘(미도시)(제 1 아이콘과 같거나 다를 수 있음)가 선택될 때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서의 사라짐의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터치되고 있으나 상기 포인터의 이동을 멈춘 경우, 상기 이동을 멈춘 즉시에 또는 상기 이동을 멈춘 시점에서 소정 시간 경과시에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의 이동이 다시 시작되는 경우, 상기 이동이 시작되는 즉시 또는 상기 이동이 시작된 후 소정 시간 경과시에 상기 커서가 다시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서(510)의 외관(즉, 모양, 크기, 색상 등)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적절한 메뉴 조작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8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51) 상의 터치를 통해 상기 커서가 이동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커서가 상기 터치스크린(151) 상의 터치를 통해서만 이동될 필요는 없다. 이에 대해 도 9를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디스플레이(500)가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지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키패드(215)의 복수의 키버튼들의 각 키버튼에 대응되도록 한다. 도 9의 (9-1)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복수의 영역들이 상기 키패드(215)의 상기 복수의 키버튼들과 같은 형태로 상호 대응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형태로 상호 대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복수의 영역들이 나뉘어짐이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영역들이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복수의 키버튼들 중에서 제 1 키버튼(예를 들면, "2")이 선택된다. 그러면,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키버튼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1 해당 영역("2")에 상기 커서(510)가 디스플레이된다. 제 1 영역 내부라면 어디라도 상기 커서(510)가 생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서(510)는 제 1 해당 영역의 중앙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버튼들 중에서 한 키버튼이 선택될 때만 상기 커서가 반드시 생성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제 1 핫 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151) 상에 형성되는 별도의 제 1 아이콘(미도시)가 선택될 때 상기 커서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서의 생성의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그 다음, 도 9의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키버튼들 중에서 제 2 키버튼(예를 들면, "9")이 선택된다.
그러면, 도 9의 (9-2) 및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510)는 제 1 해당 영역("2")에서 제 2 키버튼에 해당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2 해당 영역("9")(바람직하게는 그 중앙)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된다. 상기 커서(510)의 이동 중에 제 2 버튼의 선택이 해제되면, 상기 커서(510)는 제 2 버튼의 선택 해제 시점에 위치하는 위치에서 이동을 멈출 수 있다.
제 2 키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커서(510)가 반드시 점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커서(510)가 제 1 해당 영역("2")에서 제 2 해당 영역("9")로 순간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키버튼이 터치 해제되는 순간 또는 터치 해제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커서(510)가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제 2 핫 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별도의 제 2 아이콘(미도시)가 선택될 때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핫 키 또는 제 2 아이콘은 각각 제 1 핫 키 또는 제 1 아이콘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커서의 사라짐의 방법에도 제한이 없다.
상기 생성된 커서는 네비게이션키의 조작을 통해서도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상기 커서(510)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커서의 생성 및 사라짐의 방법에 제한이 없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 다음,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네비게이션키(405)가 제 1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의 생성 및 사라짐은 소정 핫 키 또는 아이콘(미도시) 조작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실제의 네비게이션키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제 네비게이션키가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를 대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405)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적절한 조작을 통해 상기 키패드의 소정 키버튼들(예를 들면, "2", "8", "4", "6" 키버튼들)에게 각각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의 상하좌우키 역할이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405)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서(510)가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405)가 활성화되기 전에 또는 상기 키패드의 소정 키버튼들에게 상기 상하좌우키 역할이 부여되기 전에 반드시 제 2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405)가 활성화될 때 또는 상기 키패드의 소정 키버튼들에게 상기 상하좌우키 역할이 부여될 때 상기 커서가 제 2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405)가 비활성화될 때 또는 상기 키패드의 소정 키버튼들에게 상기 상하좌우키 역할이 부여되는 것이 해제될 때 상기 커서가 제 2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키(405)가 조작된다. 그러면, 이에 따라 상기 커서(510)가 이동된다. 이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상에서는 상기 커서가 제 2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커서가 제 2 디스플레이에만 디스플레이될 필요는 없다. 이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면서 살펴본다.
도 11의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400) 및 제 2 디스플레이(500)에 각각 제 1 아이콘(410) 및 제 2 아이콘(51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1의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400)에 제 1 아이콘(410)만이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커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것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 포인터로 근접 터치된다. 그러면, 제 1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2 위치에 커서(51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도 12의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터치된 포인터가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서 제 3 위치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상기 커서(510)가 상기 드래그되는 근접터치된 포인터에 따라 제 2 위치에서, 제 3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4 위치로 커서(510)가 이동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상기 커서(510)가 이동될 뿐이다.
한편, 도 13의 (1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 포인터로 접촉 터치된다. 그러면, 제 1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2 위치에 커서(510)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제 2 위치에 있는 오브젝트(A)가 선택된다.
그 다음, 도 13의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터치된 포인터가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서 제 3 위치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상기 커서(510)가 상기 드래그되는 접촉 터치된 포인터에 따라 제 2 위치에서, 제 3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4 위치로 커서(510)가 이동되면서, 상기 오브젝트(A)도 함께 제 4 위치로 이동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상기 커서(510)가 이동되면서, 해당 오브젝트도 함께 이동된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상기 커서만이 이동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상기 커서와 해당 오브젝트가 함께 이동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상기 커서만이 이동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상기 커서와 해당 오브젝트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터의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를 상호 구분되는 것에 대해, 도 14 및 도 15를 더욱 참조하여 좀더 살펴본다.
도 14의 (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스플레이(500)에 예컨대 사진과 같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 포인터로 근접 터치된다. 그러면, 제 1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2 위치에 커서(51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도 14의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터치된 포인터가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서 제 3 위치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상기 커서(510)가 상기 드래그되는 근접터치된 포인터에 따라 제 2 위치에서, 제 3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4 위치로 커서(510)가 이동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상기 커서(510)가 이동될 뿐이다.
한편, 도 15의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제 1 디 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 포인터로 접촉 터치된다. 그러면, 제 1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2 위치에 커서(510)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도 15의 (1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터치된 포인터가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서 제 3 위치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상기 커서(510)가 상기 드래그되는 접촉 터치된 포인터에 따라 제 2 위치에서, 제 3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4 위치로 커서(510)가 이동되면서,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이미지도 상기 커서(510)의 이동에 대응되어 스크롤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제 2 디스플레이(500)에서 상기 커서(510)가 이동되고, 상기 이동되는 커서(510)에 대응되어 상기 이미지도 스크롤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상기 커서만이 이동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상기 커서가 이동되면서 상기 이미지가 스크롤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커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생성되고 사라지는 것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6의 (1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1 위치에서 터치되었던 포인터가 터치 해제된다. 그러면, 제 1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2 위치에 커서(510)가 사라진다.
그 다음, 도 16의 (1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제 1 디스플레이(400)의 제 3 위치에 상기 포인터가 터치된다. 그러면,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2 위치에 상기 커서(510)이 생성된다.
그 다음, 상기 포인터가 제 3 위치에서 유지되면, 도 16의 (1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510)는 제 2 위치에서, 제 3 위치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500)의 제 4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예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또다른 일 예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1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가 구현되는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Claims (22)

  1. 컨텐트를 제 1 디스플레이로서 제 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동일한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디스플레이로서 제 1 방향으로 외부면에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부; 및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제 1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전환되더라도, 상기 동일한 컨텐트에 대한 제 2 디스플레이의 투사 방향이 제 1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는 직사각형 형태의 영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디스플레이가 제 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제 2 디스플레이가 포트레이트(portrait) 타입으로 제 1 방향으로 투사되고,
    제 1 디스플레이가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제 2 디스플레이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타입으로 제 1 방향으로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커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사 영상에 커서가 표시되고 사라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사라진 이후 다시 표시될 때, 상기 커서가 이전에 사라졌던 위 치에서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포인터로 터치될 때, 제 2 디스플레이에 커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되어 드래그될 때, 상기 커서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 이동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커 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 이동이 다시 시작되는 경우, 상기 커서가 다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포인터의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상기 커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제 2 디스플레이에 커서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로 접촉 터치될 때 상기 커서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될 때, 상기 커서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될 때 상기 커서가 이동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될 때 제 2 디스플레이가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포인터가 터치 해제된 때 또는 터치 해제 후 소정 시간 경과한 때,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의 키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키버튼에 대응되는 제 2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에 상기 커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네비게이션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방향키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방향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서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제 1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네비게이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해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가 생성되고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가 생성될 때 상기 커서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가상 네비게이션키가 사라질 때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컨텐트가 제 1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동일한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디스플레이로서 프로젝터에 의해 외부면에 투사되는 단계;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커서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컨텐트에 대한 제 1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이 제 1 방향에서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전환되더라도, 상기 동일한 컨텐트에 대한 제 2 디스플레이의 투사 방향이 제 1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는 직사각형 형태의 영상이고,
    제 1 디스플레이가 제 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제 2 디스플레이가 포트레이트(portrait) 타입으로 제 1 방향으로 투사되고,
    제 1 디스플레이가 제 1 방향에서 제 2 방향으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제 2 디스플레이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타입으로 제 1 방향으로 투사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104756A 2008-10-24 2008-10-2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756A KR101542380B1 (ko) 2008-10-24 2008-10-2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508,965 US8564549B2 (en) 2008-10-24 2009-07-2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9013106.1A EP2180371B1 (en) 2008-10-24 2009-10-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910205397.7A CN101729629B (zh) 2008-10-24 2009-10-23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756A KR101542380B1 (ko) 2008-10-24 2008-10-2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690A KR20100045690A (ko) 2010-05-04
KR101542380B1 true KR101542380B1 (ko) 2015-08-07

Family

ID=4168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756A KR101542380B1 (ko) 2008-10-24 2008-10-2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64549B2 (ko)
EP (1) EP2180371B1 (ko)
KR (1) KR101542380B1 (ko)
CN (1) CN1017296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3752B2 (ja) * 2009-07-08 2014-06-18 京セラ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FR2959839A1 (fr) * 2010-05-06 2011-11-11 France Telecom Terminal incorporant un videoprojecteur et un ecran dont une zone permet le controle d'un pointeur distant projete par ce videoprojecteur
KR101718022B1 (ko) * 2010-07-16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 회전 제어방법
US9134799B2 (en) * 2010-07-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user interface using orientation sensors
EP3021191B1 (en) * 2010-08-13 2018-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097966B2 (en) * 2010-11-26 2015-08-04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CN102215296A (zh) * 2011-06-07 2011-10-12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模拟“双击”操作实现手机按键功能的方法
JP5879880B2 (ja) * 2011-09-29 2016-03-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電子機器
CN102589535A (zh) * 2012-02-28 2012-07-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直线投射方法及移动终端
JP5754410B2 (ja) * 2012-04-13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7256405B (zh) * 2012-06-29 2020-10-13 麦克赛尔株式会社 显示系统和显示终端
JP5906984B2 (ja) * 2012-07-30 2016-04-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064618B (zh) * 2012-12-18 2016-10-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虚拟功能按键实现的方法及移动智能终端
KR101505806B1 (ko) * 2013-01-07 2015-03-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포인터 활성화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220961A1 (en) * 2013-02-06 2014-08-07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configuration utilizing physical display
US20140267077A1 (en) * 2013-03-15 2014-09-18 Amazon Technologies, Inc. User Device with a Primary Display and a Substantially Transparent Secondary Display
KR102097452B1 (ko) * 2013-03-28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8104A (ko) * 2013-04-09 201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접촉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 장치 및 방법
CN105531991B (zh) * 2013-07-22 2019-06-14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投射光以指示设备状态的方法、系统和介质
CN104679497A (zh) * 2013-11-29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933986B2 (en) 2013-11-29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60006997A1 (en) * 2014-07-03 2016-01-07 Tita L. Bouie Video Projector Assembly
CN105335018A (zh) * 2014-08-07 2016-02-17 联想(北京)有限公司 具有触控功能的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5376510A (zh) * 2014-09-01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投影方法及投影装置
KR20160034135A (ko) * 2014-09-19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587061B (zh) * 2014-11-19 2017-06-11 曦威科技股份有限公司 外掛閃光燈模組以及使用其之拍照系統
CN104714751A (zh) * 2015-03-25 2015-06-17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投影方法及移动终端
CN106254825A (zh) * 2016-08-01 2016-12-21 王梅 一种移动医学影像系统
US11336877B2 (en) * 2016-09-08 2022-05-17 Sharp Nec Display Solutions, Ltd.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projected image
CN106873870A (zh) * 2017-01-06 2017-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交互方法及其装置、终端及电子设备
CN106941542B (zh) * 2017-04-19 2018-05-11 东莞颠覆产品设计有限公司 带投影功能的移动通信设备
US10516863B1 (en) * 2018-09-27 2019-12-24 Bradley Baker Miniature portable projector device
CN109375460B (zh) * 2018-12-27 2021-03-23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投影仪的控制方法及智能投影仪
CN114079807A (zh) * 2020-08-11 2022-02-22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投影方法、装置、移动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0670A (ja) * 1997-03-18 1998-09-29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表示装置
EP1396981A1 (en) 2002-09-06 2004-03-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provided with a projector
US7129934B2 (en) * 2003-01-31 2006-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laborative markup projection system
JP2005086252A (ja) 2003-09-04 2005-03-31 Nikon Corp 携帯端末
US8044932B2 (en) * 2004-06-08 2011-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pointer in mobile terminal having pointing device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7284866B2 (en) 2005-01-05 2007-10-23 Nokia Corporation Stabilized image projecting device
US20060248447A1 (en) * 2005-05-02 2006-11-02 Nokia Corporation Indicating loading status of information from a computer network
TW200743010A (en) * 2006-05-10 2007-11-16 Compal Communica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proj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06169B2 (en) * 2006-12-28 2014-04-22 Yahoo! Inc. Interface overlay
US20080165149A1 (en) * 2007-01-07 2008-07-10 Andrew Emilio Platzer Syste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Date and Time Information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20090322690A1 (en) * 2008-06-30 2009-12-31 Nokia Corporation Screen display
KR101526998B1 (ko) 2008-10-16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KR101537598B1 (ko) 2008-10-20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0371A3 (en) 2010-10-27
CN101729629B (zh) 2016-03-02
CN101729629A (zh) 2010-06-09
US8564549B2 (en) 2013-10-22
EP2180371A2 (en) 2010-04-28
EP2180371B1 (en) 2017-09-20
US20100105428A1 (en) 2010-04-29
KR20100045690A (ko)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38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4209B1 (ko) 터치센서가 장착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5170B1 (ko) 이동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15653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15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59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877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12586B1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10152701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48155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2876B1 (ko) 단말기 및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제어방법
KR10154556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20090059336A (ko)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5613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634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10B1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와 그 표시방법
KR10157946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0663B1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제어 방법
KR1015042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14304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뉴 구성 방법 방법
KR101557353B1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화면 캡쳐 방법
KR1015269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KR10150783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464B1 (ko) 메뉴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뉴바 표시방법
KR10146778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