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358B1 -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송신 - Google Patents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358B1
KR101542358B1 KR1020137021851A KR20137021851A KR101542358B1 KR 101542358 B1 KR101542358 B1 KR 101542358B1 KR 1020137021851 A KR1020137021851 A KR 1020137021851A KR 20137021851 A KR20137021851 A KR 20137021851A KR 101542358 B1 KR101542358 B1 KR 10154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olarized
optical carrier
polarized optical
baseband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957A (ko
Inventor
프란세스코 바콘디오
크리스티앙 시모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30118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6Polarisat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광 채널 상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11, 12)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상기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에 대해 직교 편광을 갖는,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 변조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전파 매체(9)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은 상관 방식으로 생성되어, 상기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이 변조된 단일-편광 광 반송파로서 조합된다.

Description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송신{OPTICAL TRANSMISSION WITH POLARIZATION DIVISION MULTIPLEXING}
본 발명은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통신 시스템들의 기술적인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 패킷들 또는 버스트들(bursts)의 송신에 관한 것이다.
높은 데이터-레이트, 매우 유연한 통신 시스템들의 발전을 위해 편광 분할 다중화(polarization division multiplexing; PDM)와의 광 패킷 송신의 연관이 주목받고 있다. 코히어런트 수신기들은 기본적으로 광 회로 접속들을 위해 설계되었다. 종래의 편광 역다중화 알고리즘의 수렴 시간은 전형적으로 수천 심볼들이 걸린다. 패킷 송신에서, 매 패킷은 그 자신의 편광 상태(SOP)를 갖는다. 모든 패킷에 대한 종래의 수렴 처리를 반복하는 것은 많은 대역폭을 소비할 것이다.
EP-A-2273700은 광 패킷 수신을 위해 적응된 코히어런트 수신기의 편광 역다중화 필터의 수렴을 가속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교시한다. 이들 방법들은 단일-편광 광 신호를 포함하는 헤더 섹션 및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섹션을 포함하는 광 패킷들의 생성을 수반한다. 이러한 광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EP-A-2273700은 마하-젠더(Mach-Zehnder; MZ) 변조기들의 드라이버들을 턴 온(turn on)하고 턴 오프(turn off)하고 헤더 섹션과 페이로드 섹션 사이에서 마하-젠더(MZ) 변조기들의 바이어스를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시키는 것을 요구하는 방법들을 교시한다.
본 발명은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통신 시스템들의 기술적인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 패킷들 또는 버스트들의 송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광 채널 상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제 1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는 단계,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에 대해 직교 상태의 편광을 갖는,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 변조 단계, 및
제 1 및 제 2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전파 매체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은 상관 방식으로 생성되어,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이 변조된 단일-편광 광 반송파로서 조합된다.
실시예들에 따라, 이러한 방법은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은 동일하거나 정반대이다.
-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 및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선 편광 상태를 갖고 결과적인 단일-편광 광 반송파는 또한 선 편광 상태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은 다른 상태들의 편광 예를 들면, 원형을 가질 수 있다.
-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은 위상-변조된다.
- 위상 변조는 QPSK 변조이다.
- 변조는 마하-젠더 변조기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광 채널에 대한 광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광 패킷은 단일-편광 광 신호를 포함하는 헤더 섹션 및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헤더 섹션의 단일-편광 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의 제 1 부분들은 헤더 섹션의 단일-편광 광 신호를 얻기 위해 상관 방식으로 생성되는, 상기 단일-편광 광 신호 생성 단계, 및
페이로드 섹션의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를 얻기 위해 기본적으로 비상관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의 제 2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또한 헤더 섹션의 생성과 페이로드 섹션의 생성 사이에서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의 동작 모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또한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헤더 섹션의 제 2 단일-편광 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의 제 3 부분들은, 헤더 섹션의 제 1 단일-편광 광 신호의 편광 상태에 직교인 편광 상태의 헤더 섹션의 제 2 단일-편광 광 신호를 얻기 위해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의 제 1 부분들과 상이한 상관을 갖는 상관 방식으로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광 송신기를 제공하고: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
제 1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기 위한 제 1 변조기,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기 위한 제 2 변조기로서,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에 대해 직교 편광을 갖는, 상기 제 2 변조기, 및
제 1 및 제 2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전파 매체로 조합하기 위한 광 조합기를 포함하고,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은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들로 동작하도록 적응되고,
제 1 동작 모드의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은 상관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여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이 전파 매체에서 변조된 단일-편광 광 반송파로서 조합되고,
제 2 동작 모드의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은 기본적으로 비상관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여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이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로서 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광 송신기는 또한 광 패킷으로서 제 1 및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형성하기 위한 패킷 형성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광 송신기를 제공하고: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
제 1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기 위한 제 1 변조기,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기 위한 제 2 변조기로서,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에 대해 직교 편광을 갖는, 상기 제 2 변조기,
제 1 및 제 2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전파 매체로 조합하기 위한 광 조합기,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광 조합기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상태 또는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 상태로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한 제 1 광 게이트, 및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 단독으로 그리고 제 1 및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전파 매체에서 송신된 광 신호를 얻기 위해 차단 상태와 전달 상태 사이에서 제 1 광 게이트를 스위칭하도록 적응된 게이팅 제어기(gating controller)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광 송신기는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제 2 광 게이트는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광 조합기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상태 또는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 상태로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하고, 게이팅 제어기는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 단독으로, 그리고 제 1 및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전파 매체에서 송신된 광 신호를 얻기 위해 차단 상태와 전달 상태 사이에서 제 2 광 게이트를 또한 스위칭하도록 적응된다.
- 게이팅 제어기는 단일-편광 광 신호를 포함하는 헤더 섹션 및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섹션을 포함하는 광 패킷을 형성하기 위해 광 게이트들을 스위칭하도록 적응된다.
- 광 게이트 또는 각각의 광 게이트는 반도체 광 증폭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높은 속도에서의 MZ 변조기들의 바이어스의 변화가 변조된 광 신호들의 품질에 심각한 제한들을 부과할 것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과도현상(transients)들을 생성할 수 있다는 관측으로부터 유래된다(stem for).
본 발명의 양태들은 MZ 변조기들의 바이어스를 변화시키기 않고 단일-편광 또는 듀얼-편광 광 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PDM 광 송신기들을 동작시키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이하에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PDM 광 송신기의 기능적 표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송신기를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는 광 패킷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PDM 광 송신기의 기능적 표현을 도시한 도면.
도 1을 참조하면, PDM 광 신호를 생성하도록 적응된 광 송신기(1)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송신기(1)는 WDM 송신들을 위해 적합한 선택된 파장에서 광 반송파를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소스(2)를 포함한다. 빔 분할기(3)는 광 반송파를 각각의 도파관들(4 및 5)에서 전파하는 2개의 반송파 구성요소들로 분할한다. 각각의 광 변조기(6 및 7)는 각각의 기저대역 신호들(11 및 12)의 함수로서 대응하는 반송파 구성요소에 대해 변조를 부가하기 위해 도파관들(4 및 5) 각각 상에 정렬되고, 상기 각각의 기저대역 신호들(11 및 12)은 동일한 데이터-레이트로 기저대역 신호 생성기(10)에 의해 생성된다. 광 변조기들(6 및 7)은 임의의 유형의 변조기들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광 변조기들(6 및 7)은 PSK 변조들 예를 들면, 바이너리 위상-시프트 키잉 또는 쿼터너리 위상 시프트 키잉을 생성하도록 적응된 MZ 변조기 장치들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다. 특히, 기저대역 신호들(11 및 12)은 MZ 변조기들을 구동하는 NRZ-코딩된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각각의 신호 전이는 대응하는 반송파 구성요소에서 90° 또는 180° 위상-시프트를 야기한다.
도파관들(4 및 5)의 출력부에서, 편광 빔 조합기(8)는 도파관(4)으로부터 오는 변조된 반송파 구성요소의 x-편광된 구성요소 및 도파관(5)으로부터 오는 변조된 반송파 구성요소의 y-편광된 구성요소를 선택하고, 편광된 구성요소들 둘 모두를 출력 도파관(9)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광섬유에 중첩시킨다. 여기서 이용된 바와 같이, x 및 y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편광 빔 조합기(8)의 물리적 구조에 의해 규정된 2개의 직교 상태들의 편광을 언급한다.
도 1에서, 도파관(4)으로부터 오는 변조된 반송파 구성요소는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1
로 표시되고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11)는 x-data로 표시된다. 도 1에서, 도파관(5)으로부터 오는 변조된 반송파 구성요소는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2
로 표시되고 대응하는 기저대역 신호(12)는 y-data로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출력 도파관(9)에서 송신된 광 신호(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3
)는: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4
로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는 벡터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PDM 송신들에서, 이 원리는 동일한 기저대역 레이트의 단일-편광 송신에 비해 데이터-레이트를 실질적으로 두배로 하기 위해, 각각의 필드 구성요소들(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5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6
)에 대한 데이터의 기본적인 독립 스트림들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출력 광 신호(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7
)의 SOP는 계속 변화하고 즉각적인 SOP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서의 데이터 스트림들(x-data 및 y-data)에 의존한다.
그러나, 데이터-스트림들이 동일할 때, 식 (1)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음이 관측된다: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8
즉, 출력 신호(
Figure 112013075262549-pct00009
)의 SOP는 상수이고 출력 신호(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0
)는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1
)을 따르는 선형 편광된 필드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스트림들이 상호 정반대일 때, 식 (1)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음이 관측된다: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2
즉, 출력 신호(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3
)의 SOP는 상수이고 출력 신호(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4
)는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5
)을 따르는 선형 편광된 필드이다.
따라서, 광 송신기(10)가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6
)에 따라 단일 편광 신호를 생성하거나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7
)에 따라 단일 편광 신호를 생성하거나 변조기들(6 및 7)의 동작 포인트의 수정 없이 기저대역 신호들(11 및 12)의 바이너리 콘텐트를 변화시킴으로써 단지 듀얼-편광 광 신호만을 생성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원리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코히어런트 수신기에서 편광 역다중화 필터의 수렴을 가속시키기 위해 의도된 단일-편광 헤더에 앞선 PDM 페이로드를 가지는 광 패킷들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패킷 헤더는 하나의 단일-편광 섹션 또는 직교 SOP들을 가지는 2개의 상이한 단일-편광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DM 헤더 섹션은 페이로드가 수신되기 전에, 수신기에서 필터 수렴을 개선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다. 3개의 섹션들을 갖는 이러한 패킷 헤더(20)의 일 실시예는 시간의 함수로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에서, 헤더 섹션(21)은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8
)에 따라 선형 편광된 필드를 포함하고, 헤더 섹션(22)는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19
)에 따라 선형 편광된 필드를 포함하고, 반면에 23은 PDM 헤더 섹션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PDM 섹션(23)은 패킷 페이로드일 수 있다. 각각의 후속 헤더 섹션 사이 또는 패킷 헤더와 패킷 페이로드 사이의 송신기(10)에서 요구된 동작 만이 기저대역 신호들(11 및 12)의 바이너리 콘텐트의 변화에 이르게함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전기 도메인에서 행해지고 광 신호에서 손상들을 생성하지 않고 매우 높은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관 필드 구성요소들 둘 모두를 중첩시킴으로써, 결과적인 출력 파워 및 OSNR이 단일 필드 구성요소와 비교하여 향상됨이 인식될 것이다.
광 패킷들의 형태로 광 신호(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0
)를 생성하기 위해, 광 송신기(10)는 레이저 소스(2)와 빔 분할기(3) 사이의 레이저 소스(2) 내에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정렬된 다른 광 게이트 또는 반도체 광 증폭기(SOA) 형태인 패킷 쉐이퍼(packet shaper)(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3으로 가면, 단일-편광 및 듀얼-편광 신호들을 특히, 광 패킷들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생성하도록 적응된 광 송신기(101)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요소들은 100이 증가된 동일한 숫자로 표시된다.
송신기(101)에서, SOA들(30 및 40)은 도파관들(104 및 105)들 상에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SOA(30 및 40)는 대응하는 반송파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없애거나 그것을 편광 빔 조합기(180)로 전달하기 위해 게이팅 제어기(50)의 제어 하에 광 게이트로서 동작된다.
도 2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광 패킷을 생성하기 위해, 게이팅 제어기(50)는 다음과 같이 SOA들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한다: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1
제 1 헤더 섹션(21)에 대해, SOA(40)는 차단 상태에 있고 SOA(30)는 전달 상태에 있다. 결과적인 제 1 헤더 섹션(21)은 이제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2
대신에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3
)을 따라 편광된다. 이 헤더 섹션에서, 기저대역 신호(111)를 생성하는 것이 단지 필요한 반면에, 기저대역 신호(112)는 확실하게 불필요하고 비효과적이다.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4
제 2 헤더 섹션(22)에 대해, SOA(30)는 차단 상태에 있고 SOA(40)는 전달 상태에 있다. 결과적인 제 2 헤더 섹션(22)은 이제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5
대신에 방향(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6
)을 따라 편광된다. 이 헤더 섹션에서, 기저대역 신호(112)를 생성하는 것이 단지 필요한 반면에, 기저대역 신호(111)는 확실하게 불필요하고 비효과적이다.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7
제 3 헤더 섹션(23) 및/또는 페이로드에 대해, SOA들(30 및 40)은 둘 모두 전달 상태에 있다.
Figure 112013075262549-pct00028
후속 광 패킷 전에, 현재의 광 패킷을 종료하고 가드 대역(guard band)을 생성하기 위해, SOA들(30 및 40)은 둘 모두 차단 상태에서 스위칭된다.
대안적으로, SOA들과 다른 광 게이트들은 실리콘 포토닉스 광 게이트들(silicon photonics optical gates)과 같은, SOA들(30 및 4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렬되고 제어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변조기들(106 및 107)은 각각의 암(arm)에 MZ 변조기가 있는 2개의 암들 및 하부 암의 90°-위상 시프트를 포함하는 QPSK 변조기들이다. 다른 유형들의 변조기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PDM 송신들에서, x-data 및 y-data는 오래 지속되는 상관을 갖지 않은 독립적인 데이터 스트림들로서 생성된다. 그러나, 코딩 기술들 및 프로토콜 기능들은 신호들 사이의 일시적인 상관들(즉, 리던던시 코딩(redundancy coding), 프레임 재송신들 등의 결과로서의)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유닛들 및 신호 생성 모듈들과 같은 요소들은 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와 같은 하드웨어 수단,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수단의 조합 예를 들면, ASIC 및 FPGA,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처리기 및 그 안에 위치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당업자에게 발생될 수 있고, 상당하게 여기서 언급된 기본적인 교시 내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수정 및 대안적인 구성들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동사 "포함하다("to comprise" 또는 "to include")" 및 그것의 활용들의 이용은 청구항에서 언급된 것들과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단수로 표시된 요소 또는 단계의 이용은 복수의 이러한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들에서, 괄호들 사이에 위치된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1, 101: 광 송신기 2: 레이저 소스
3, 108: 빔 분할기 4, 5: 도파관
6, 7: 광 변조기 8: 빔 조합기
9: 출력 도파관
30, 40: 반도체 광 증폭기 50: 게이팅 제어기

Claims (11)

  1. 광 채널 상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11, 12)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상기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에 대해 직교 상태의 편광을 갖는,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 변조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전파 매체(9)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은 상관 방식으로 생성되어, 상기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이 일정한 편광 상태를 가지는 변조된 단일-편광 광 반송파(21, 22)로서 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은 동일하거나 정반대인, 디지털 데이터 송신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 및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선 편광 상태를 갖고 결과적인 단일-편광 광 반송파는 또한 선 편광 상태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은 위상-변조되는, 디지털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조는 QPSK 변조인, 디지털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는 마하-젠더 변조기들(Mach-Zehnder modulators)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디지털 데이터 송신 방법.
  7. 광 채널에 대한 광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광 패킷은 단일-편광 광 신호를 포함하는 헤더 섹션(20) 및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를 포함하는 페이로드 섹션을 포함하는, 상기 광 패킷 생성 방법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헤더 섹션의 단일-편광 광 신호(21)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11, 12)의 제 1 부분들은 일정한 편광 상태를 가지는 상기 헤더 섹션의 단일-편광 광 신호를 얻기 위해 상관 방식으로 생성되는, 상기 단일-편광 광 신호(21) 생성 단계, 및
    데이터-종속적으로 변동하는 편광 상태를 가지는 상기 페이로드 섹션의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를 얻기 위해 기본적으로 비상관 방식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의 제 2 부분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은 동일하거나 정반대인, 광 패킷 생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섹션의 생성과 상기 페이로드 섹션의 생성 사이에서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10)의 동작 모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 패킷 생성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헤더 섹션의 제 2 단일-편광 광 신호(22)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11, 12)의 제 3 부분들은, 상기 헤더 섹션의 제 1 단일-편광 광 신호의 일정한 편광 상태에 직교인 상기 일정한 편광 상태의 헤더 섹션의 제 2 단일-편광 광 신호를 얻기 위해 상기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의 제 1 부분들과는 다른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상관 방식으로 생성되는, 광 패킷 생성 방법.
  10.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광 송신기(1)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11, 12)을 생성하기 위한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10),
    상기 제 1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기 위한 제 1 변조기(6),
    상기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에 따라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를 변조하기 위한 제 2 변조기(7)로서, 상기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는 상기 제 1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에 대해 직교 편광을 갖는, 상기 제 2 변조기(7),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전파 매체(9)로 조합하기 위한 광 조합기(8)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10)은 제 1 및 제 2 동작 모드들로 동작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제 1 동작 모드의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은 상관 방식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여 상기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이 상기 전파 매체에서 일정한 편광 상태를 가지는 변조된 단일-편광 광 반송파로서 조합되고,
    상기 제 2 동작 모드의 기저대역 신호 생성 모듈은 기본적으로 비상관 방식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여 상기 변조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이 데이터-종속적으로 변동하는 편광 상태를 가지는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로서 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은 동일하거나 정반대인,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광 송신기(1).
  11. 제 10 항에 있어서,
    광 패킷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된 광 반송파 구성요소들을 형성하기 위한 패킷 형성 모듈(2)을 추가로 포함하는, 편광 분할 다중화된 광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광 송신기.
KR1020137021851A 2011-02-22 2012-02-16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송신 KR101542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305185.8 2011-02-22
EP11305185.8A EP2493100B1 (en) 2011-02-22 2011-02-22 Optical transmission with polarization division multiplexing
PCT/EP2012/052668 WO2012113701A1 (en) 2011-02-22 2012-02-16 Optical transmission with polarization division multiplex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957A KR20130118957A (ko) 2013-10-30
KR101542358B1 true KR101542358B1 (ko) 2015-08-06

Family

ID=4398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851A KR101542358B1 (ko) 2011-02-22 2012-02-16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송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7483B2 (ko)
EP (1) EP2493100B1 (ko)
JP (1) JP5727631B2 (ko)
KR (1) KR101542358B1 (ko)
CN (1) CN103392309B (ko)
WO (1) WO2012113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8213A (ja) * 2010-03-08 2011-09-22 Fujitsu Ltd 光信号送信装置、光増幅装置、光減衰装置及び光信号送信方法
CN104981992B (zh) * 2013-12-30 2017-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光信号发射机、接收机以及调制和解调方法
US11025460B2 (en) 2014-11-20 2021-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ing interstitial areas of a cable
US9544006B2 (en) * 2014-11-20 2017-0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ansmission device with mode division multiplexing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6661913B2 (ja) * 2015-07-28 2020-03-11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送信機
WO2017050053A1 (zh) * 2015-09-25 2017-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光发射装置、发射方法、光接收装置及接收方法
WO2022107104A2 (en) * 2020-11-23 2022-05-27 Tech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ation Ltd. Multi-parallel and serial optical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6935A1 (en) * 2009-07-28 2011-02-03 Fujitsu Limited Optical signal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arization multiplexed optical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9233B1 (en) * 2008-04-11 2010-08-04 Alcatel Lucent Modulation scheme with increased number of states of polarization
JP5338206B2 (ja) * 2008-08-29 2013-11-13 富士通株式会社 制御装置,偏波多重光変調器,光送信装置および偏波多重光変調器の制御方法
US20100150555A1 (en) * 2008-12-12 2010-06-17 Zinan Wang Automatic polarization demultiplexing for polarization division multiplexed signals
EP2273700B1 (en) 2009-06-25 2013-08-21 Alcatel Lucent Dual-polarization optical bursts for reception by a coherent burst mode receiver with fast adaption
JP5446586B2 (ja) * 2009-08-21 2014-03-19 富士通株式会社 偏波多重光送信器および偏波多重光信号の制御方法
WO2011096488A1 (ja) * 2010-02-04 2011-08-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20130177316A1 (en) * 2012-01-06 2013-07-11 Emcore Corporatio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6935A1 (en) * 2009-07-28 2011-02-03 Fujitsu Limited Optical signal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arization multiplexed optical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3100A1 (en) 2012-08-29
CN103392309B (zh) 2016-04-06
JP5727631B2 (ja) 2015-06-03
WO2012113701A1 (en) 2012-08-30
CN103392309A (zh) 2013-11-13
US20130322881A1 (en) 2013-12-05
JP2014511607A (ja) 2014-05-15
US9077483B2 (en) 2015-07-07
KR20130118957A (ko) 2013-10-30
EP2493100B1 (en)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358B1 (ko) 편광 분할 다중화를 이용하는 광 송신
Cugini et al. Demonstration of flexible optical network based on path computation element
US9419720B2 (en) Optical signal transmitter
Mallick et al. Hybrid MMW-over fiber/OFDM-FSO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doublet lens scheme and POLMUX technique
US8364038B2 (en) Polarization multiplexed optical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arization multiplexed optical signal
Zhuge et al. Time domain hybrid QAM based rate-adaptive optical transmissions using high speed DACs
US9281937B2 (en) Control timing synchronization metho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JP2014096663A (ja) 光伝送システム、光送信器、光受信器及び光伝送方法
US9337936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optical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for optical transmission
US20080063411A1 (en) Photonics-based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90931B2 (en) Muxponder and method of converting a plurality of tributary optical communications signals having a first bit rate into an optical line signal having a second, higher bit rate
JP2005167474A (ja) 光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
CN106464374A (zh) 光传输方法及光传输系统
Xiong et al. A broadcast-capable WDM-PON based on polarization-sensitive weak-resonant-cavity Fabry–Pérot laser diodes
Renaudier et al. Long-haul WDM transmission of 448 Gbit/s polarisation-division multiplexed 16-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using coherent detection
Mahdiraji et al. Advanced modulation formats and multiplexing techniques for optical telecommunication systems
Li et al. Hysteresis-based margin allocation for adaptive coding in SDN-enabled optical networks
EP3300270A1 (en) Multi-channel optical transmitter
US10033466B2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device
Luís et al. Self-homodyne coherent OFDM packet transmission without carrier frequency or common phase error estimation
KR20080057596A (ko) 편광 조절된 시드광을 이용한 wdm-pon 시스템 및 그광신호 전송 방법
Shinada et al. Over 1-Tbit/s/port polarization-multiplexed DWDM/DQPSK optical packet switching and buffering
Martelli et al. Endless polarization stabilizer for high bit-rate polarization-division multiplexed optical systems
Kim et al. Frequency offset tolerance between optical source and delay interferometer in DPSK and DQPSK systems
Choi et al. Multi-format and multi-rate transmitter for flexible and elastic optic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