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57B1 -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 Google Patents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57B1
KR101542057B1 KR1020140161615A KR20140161615A KR101542057B1 KR 101542057 B1 KR101542057 B1 KR 101542057B1 KR 1020140161615 A KR1020140161615 A KR 1020140161615A KR 20140161615 A KR20140161615 A KR 20140161615A KR 101542057 B1 KR101542057 B1 KR 10154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an motor
motor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용
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픽
영진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8855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420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픽, 영진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픽
Priority to KR102014016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전열교환기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부 덮개 커버를 굳이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내부 휀 모터를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휀 모터는 플레이트형 판재 구조의 모터 브라켓에 미리 고정된 형태로 결합시키고, 이를 프레임의 조립공으로 하여금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장착(조립, 분해)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사후 교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작업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고, 유지 관리의 편의성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Motor braket for fan motor with new type of disadhesion construction}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부 덮개 커버를 굳이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내부 휀 모터를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휀 모터는 플레이트형 판재 구조의 모터 브라켓에 미리 고정된 형태로 결합시키고, 이를 프레임의 조립공으로 하여금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장착(조립, 분해)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사후 교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작업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고, 유지 관리의 편의성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교환기는 건물 공조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건물을 환기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서로 열교환하게 함으로써 환기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실외공기의 흡입유로와 실내공기의 배출유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소자와, 흡입유로상에 설치된 급기팬과, 배출유로상에 설치된 배기팬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열교환기에서는 급기팬과 배기팬이 회전하면 흡입유로를 통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며,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유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난다.
기타 전열교환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63845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함체형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 덮개를 개방한 뒤 전열교환기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장착된 급,배기용 휀 모터의 유지보수시에는 상하 덮개를 모두 분리해야하는 단점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 실질적인 사후 관리에 적지 않은 문제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4561호(2006.02.16.자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요지는 전열교환기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부 덮개 커버를 굳이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내부 휀 모터를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휀 모터는 플레이트형 판재 구조의 모터 브라켓에 미리 고정된 형태로 결합시키고, 이를 프레임의 조립공으로 하여금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장착(조립, 분해)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사후 교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작업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고, 유지 관리의 편의성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함체형 프레임(10)의 상,하부가 개구되어 덮개 커버(20)로 하여금 개폐되도록 하는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실내외 급배기를 조장하도록 구획된 휀 모터 삽입존(11)과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조립공(12)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립공(12)에는 브라켓(100)에 체결 결합된 급배기용 휀 모터(30)가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덮개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브라켓(100)의 탈부착만으로 휀 모터(30)의 교환, 교체 및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브라켓(10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판재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판재의 면상 중앙에는 휀 모터(30)의 입출구(31)와 대응되면서 급배기를 조장하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판재의 면상 외주면 측에는 프레임(10)의 조립공(12) 주변에 형성된 체결홈(13)과 대응되어 체결피스로 하여금 조립되도록 결합공(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은 관통공(110) 주변에 다수개의 고정홈(130)이 형성되어 휀 모터(30)의 입출구(31) 측에 형성된 플렌지(32)가 체결피스에 의해 체결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브라켓(100)은 외주면 선단에 판재로부터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된 리브형 손잡이(14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00)은 실내외측 덕트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면상에 연결용 중공관(1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부 덮개 커버를 굳이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내부 휀 모터를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휀 모터는 플레이트형 판재 구조의 모터 브라켓에 미리 고정된 형태로 결합시키고, 이를 프레임의 조립공으로 하여금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장착(조립, 분해)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사후 교환 교체 및 유지보수시에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작업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고, 유지 관리의 편의성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브라켓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의 개략적 예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브라켓에 휀 모터와 중공관이 프레임의 조립공에 차례대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브라켓에 휀 모터와 중공관이 차례대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조립 걸림턱이 프레임의 조립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전열교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 프레임(10)의 상,하부가 개구되어 덮개 커버(20)로 하여금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속재로 형성된 통상의 전열교환기로서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열교환소자를 중심으로 격벽에 의해 실내외를 경유하는 기류가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프레임(10)은 실내외 급배기를 조장하도록 구획된 휀 모터 삽입존(11)과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조립공(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공(12)에는 브라켓(100)에 체결 결합된 급배기용 휀 모터(30)가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덮개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브라켓(100)의 탈부착만으로 휀 모터(30)의 교환, 교체 및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립공은 휀 모터의 블로워 본체 크기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 브라켓에 플렌지가 조립된 휀 모터를 일방향으로 비틀면서 인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브라켓(10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판재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판재의 면상 중앙에는 휀 모터(30)의 입출구(31)와 대응되면서 급배기를 조장하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판재의 면상 외주면 측에 프레임(10)의 조립공(12) 주변에 형성된 체결홈(13)과 대응되어 체결피스로 하여금 조립되도록 결합공(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은 관통공(110) 주변에 다수개의 고정홈(130)이 형성되어 휀 모터(30)의 입출구(31) 측에 형성된 플렌지(32)가 체결피스에 의해 체결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브라켓(100)은 외주면 선단에 판재로부터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된 리브형 손잡이(14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은 실내외측 덕트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면상에 연결용 중공관(1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 일측에는 '∩' 형상의 가조립 걸림턱(16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탈장착시 작업자의 수월한 작업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과 프레임 및 휀 모터의 플렌지와 프레임(조립공이 형성된 부분) 사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러버 형태의 패킹이 더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프레임 11 ... 휀 모터 삽입존
12 ... 조립공 13 ... 체결홈
20 ... 덮개 커버 30 ... 휀 모터
31 ... 입출구 32 ... 플렌지
100 ... 브라켓 110 ... 관통공
120 ... 결합공 140 ... 손잡이
150 ... 중공관

Claims (5)

  1. 함체형 프레임(10)의 상,하부가 개구되어 덮개 커버(20)로 하여금 개폐되도록 하는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실내외 급배기를 조장하도록 구획된 휀 모터 삽입존(11)과 대응되는 일측 및 타측에 내외부가 관통된 조립공(12)이 형성되어 덮개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브라켓(100)의 탈부착만으로 휀 모터(30)의 교환, 교체 및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0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판재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판재의 면상 중앙에는 휀 모터(30)의 입출구(31)와 대응되면서 급배기를 조장하도록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판재의 면상 외주면 측에는 프레임(10)의 조립공(12) 주변에 형성된 체결홈(13)과 대응되어 체결피스로 하여금 조립되도록 결합공(120)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00)은 관통공(110) 주변에 다수개의 고정홈(130)이 형성되어 휀 모터(30)의 입출구(31) 측에 형성된 플렌지(32)가 체결피스에 의해 체결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00)은 외주면 선단에 판재로부터 직교된 방향으로 절곡된 리브형 손잡이(140)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110) 일측에는 '∩' 형상의 가조립 걸림턱(160)이 더 구비되어 탈장착시 작업자의 수월한 작업을 도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12)은 휀 모터(30)의 외관 크기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 브라켓(100)에 플렌지(32)가 조립된 휀 모터(30)를 일방향으로 비틀면서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00)은 실내외측 덕트와 대응되어 조립되도록 면상에 연결용 중공관(1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100)과 프레임(10) 및 휀 모터의 플렌지(32)와 브라켓(100)이 서로 닿는 사이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러버 형태의 패킹이 더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61615A 2014-11-19 2014-11-19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KR10154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615A KR101542057B1 (ko) 2014-11-19 2014-11-19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615A KR101542057B1 (ko) 2014-11-19 2014-11-19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57B1 true KR101542057B1 (ko) 2015-08-06

Family

ID=5388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615A KR101542057B1 (ko) 2014-11-19 2014-11-19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51Y1 (ko) 2004-05-11 2004-08-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송풍용 팬모터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551Y1 (ko) 2004-05-11 2004-08-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송풍용 팬모터의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065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5674398A (zh) 一种分体挂壁式家用空调
JPWO2013046899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542057B1 (ko) 외장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전열교환기용 모터브라켓
US11754299B2 (en) Air conditioner and pipe installation apparatus therefor
JP201603817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06626682U (zh) 壁挂式空调一体机
WO2017056152A1 (ja) 室内機
JP6056939B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212006152U (zh) 一种用于室内外风管的固定装置
CN211261029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WO2020037756A1 (zh) 新风组件及空调
KR200481951Y1 (ko) 후크 결합 구조와 2중 커버 개폐식 그릴을 갖는 전열교환기
KR100471437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팬 하우징 착탈구조
EP2348258B1 (en) Device for mechanically controlled ventilation
KR20190005664A (ko) 건축물용 후드 벤트
CN210951576U (zh) 一种可改变送风方向的直膨机组
KR20070069538A (ko) 공기 조화기
KR20030035118A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팬하우징 어셈블리
KR20090019049A (ko) 천장 카세트형 환기유닛의 프론트 커버
JP2021528618A (ja) エアコン室内機及びエアコン
KR2007007764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실내기
CN105004024A (zh) 空调器
KR20120000907U (ko) 공기조화장치
KR20030044453A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캐비닛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98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22

Effective date: 2016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