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398B1 -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398B1
KR101541398B1 KR1020130086701A KR20130086701A KR101541398B1 KR 101541398 B1 KR101541398 B1 KR 101541398B1 KR 1020130086701 A KR1020130086701 A KR 1020130086701A KR 20130086701 A KR20130086701 A KR 20130086701A KR 101541398 B1 KR101541398 B1 KR 101541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dule
frame
module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581A (ko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콘 filed Critical (주)디콘
Priority to KR102013008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3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제어모듈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에 착탈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LED모듈이나 제어모듈의 고장시 모듈별로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모듈과,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형 판상의 엘이디모듈과, 상기 엘이디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는 제어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하에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좌우 각각에 위치되어 각각의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연결된 좌측 및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한 방향의 힌지축을 갖게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각각에 연결된 힌지부와, 전방부에 엘이디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후방부 또는 측부에 제어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또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 연결된 제어모듈장착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엘이디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상기 엘이디모듈의 후방부에는 상기 엘이디모듈이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면서 상기 엘이디모듈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엘이디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방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제어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MULTI-VISION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제어모듈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에 착탈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LED모듈이나 제어모듈의 고장시 모듈별로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실내의 전시장 또는 공연무대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시청자에게 영상으로 표현하여 전달하는 장치로서, 대형화면 형태로 영상을 표현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다수 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멀티비전 영상표시장치는 초기에는 CRT, LCD를 이용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구성되었으며, 최근에는 주로 LED 모듈이 장착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구성된 시스템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비전 영상표시장치는 방송 프로그램, 대형무대, 빅 이벤트, 콘서트, 브랜드 프레젠테이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시각적 정보전달 장치로써 갈수록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비전 영상표시장치는 옥내외 전광판과 같이 고정 설치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에서 필요에 따라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대화면으로의 설치 및 해체를 반복하는 렌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기존 CRT, LCD, DLP 등을 이용한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비해 더욱 밝고 가벼우며 반영구적인 LED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표시장치가 종래의 옥외 고정용 전광판 용도뿐만 아니라 렌털용 멀티비젼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전 영상표시장치는 소정 폭 및 길이를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 또는 하우징에 1개 이상의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 부착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횡열로 배치하여 대화면을 구성하는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무게와 부피로 인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요청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6139호에는 핀과 플런저를 레버로 작동하여 상하 및 좌우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용 체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멀치비젼 영상표시장치는 그 시청각도나 설치 구조 등의 특성으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간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6588호에는 아크(arc)형의 가이드홀을 따라 롤러가 이동되어 각도를 가변하고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간의 연결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쉬워야 하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하나의 고장시 그 고장난 유닛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특히,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성하는 LED 모듈과 그 제어모듈을 독립적으로 수리 및 교체할 수 있어야 현장에서 긴급하게 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비년 영상표시장치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 이때 각도 조절후 영상의 화소를 구성하는 LED 셀(CELL)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영상이 왜곡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제어모듈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에 착탈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LED모듈이나 제어모듈의 고장시 모듈별로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모듈과,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형 판상의 엘이디모듈과, 상기 엘이디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는 제어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하에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좌우 각각에 위치되어 각각의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연결된 좌측 및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한 방향의 힌지축을 갖게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각각에 연결된 힌지부와, 전방부에 엘이디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후방부 또는 측부에 제어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또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 연결된 제어모듈장착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엘이디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상기 엘이디모듈의 후방부에는 상기 엘이디모듈이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면서 상기 엘이디모듈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엘이디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방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제어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는, 상기 프레임모듈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단 및 하단 각각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엘이디모듈 연결포트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전방에서 폭방향의 좌우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되 각각의 엘이디모듈의 엘이디포트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좌우에 구비된 엘이디모듈 연결포트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제어모듈 연결포트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모듈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되, 상기 모듈연결 브라켓에는 후방이 개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된 측부에서 반대측 방향으로 꺽여 연장되는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포트는 일측 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포트부에서 반대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에 삽입시켜 그 제어모듈 가이드술롯을 따라 전방 및 측방으로 이동시킴으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포트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제어모듈 연결포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에는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가 형성된 측부의 반대측 측부에 후크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제어포트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측 측부에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의 후크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포트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제어모듈 연결포트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은 그 전면이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후면에 맞닿게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후면에는 오목한 공기통로가 폭방향의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통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공기배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냉각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프레임모듈의 힌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또는 연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가이드지지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또는 연결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지지구에 지지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구에는 원호형의 가이드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길이보다 짧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에 삽입되어 그 가이드 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프레임모듈의 힌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된 제1힌지 링크와,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2힌지 링크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힌지 링크의 길이와 제2힌지링크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프레임모듈의 힌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된 제1힌지 링크와,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2힌지 링크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 제1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에 제1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각각에는 유닛연결부가 구비되고,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위에 위치된 단위 디스플레 유닛의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와 아래에 위치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에는 후크핀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에는 상단에 핀걸림홈이 구비된 후크 스핀들이 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크 스핀들은 스핀들 캠의 회전으로 상기 핀걸림홈이 상기 후크핀에 걸리고 빠지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제어모듈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에 착탈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LED모듈이나 제어모듈의 고장시 모듈별로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가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하여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 및 제어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 및 제어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의 일부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유닛연결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유닛연결수단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부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어모듈장착부와 제어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어모듈장착부와 제어모듈의 결합 작동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가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하여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 및 제어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 및 제어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프레임모듈의 일부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유닛연결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유닛연결부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부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어모듈장착부와 제어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어모듈장착부와 제어모듈의 결합 작동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실내의 전시장 또는 공연무대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시청자에게 영상으로 표현하여 전달하는 장치로서, 대형화면 형태로 영상을 표현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다수 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되어 큰 대형 화면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가 총 4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이 가로 2열 세로 2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되어 대형 화면이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은 프레임모듈(10), 엘이디모듈(20) 및 제어모듈(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모듈(10)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갖는 사각형의 틀 부재이고, 상기 엘이디모듈(20)은 상기 프레임모듈(10)의 전방에 부착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사각형 판상의 구성이며,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엘이디모듈(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상기 엘이디모듈(20)과 연결되게 상기 프레임모듈(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을 구성하는 프레임모듈(10)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물로서, 전방에 상기 엘이디모듈(20)이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제어모듈(30)이 결합되며, 상하변과 좌우변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모듈(10)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 힌지부(15,15'), 제어모듈장착부(16) 및 프레임판(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모듈(10)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을 사각틀 모양으로 연결하고, 그 사각틀의 폭방향 중앙의 위치에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가 상하로 세워져 양단 각각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 각각에 연결되며, 사각틀 양측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 각각에 힌지부(15,15')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이 연결된 사각틀의 전방에는 그 사각틀의 모양을 보강하고, 전방에 엘이디모듈(20)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사각형의 전면판넬(17)이 부착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은 각각 프레임모듈(10)의 상변과 하변을 형성하는 막대부재로서, 양측에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의 결합과 상하로 연결되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연결을 위한 유닛연결부(11a,12a)가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11)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1a)에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2)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2a)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의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모양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닛연결부(11a,12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모듈(1)의 상하 연결시 연결을 위한 구성을 갖는다.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b는 상기 유닛연결부(11a,12a)의 구성 및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유닛연결부(11a,12a)는 서로 암수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즉,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의 연결을 위해서는 위에 위치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 프레임12)과 아래에 위치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 프레임(11)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유닛연결부(11a,12a)의 결합에 의해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데, 도면에는 상부 프레임(11)의 양측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1a)에 후크 스핀들(112)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양측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2a)에 후크핀(122)이 구비되어 상기 후크 스핀들(112)의 전후진 동작으로 상기 후크핀(122)에 걸리고 이탈됨으로써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1a)는 스핀들 수용 바디(111), 후크 스핀들(112), 스핀들 캠(113), 토션 스프링(114), 스토핑 수단(115), 바디 커버(116) 및 캠회전 레버(117)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핀들 수용 바디(111)는 상기 상부 프레임(11)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결합되어 하부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홈(도면에 미도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후크 스핀들(112) 등의 구성이 수용되어 장착되기 위한 장착 요부(111a)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 요부(111a)의 내부에는 상기 후크 스핀들(112), 스핀들 캠(113), 토션 스프링(114)및 스토핑 수단(115)이 수용되고, 그 상부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바디 커버(116)가 결합된다. 상기 스핀들 수용 바디(111)의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캠지지홀(111b)가 형성되고, 캠지지홀(111b)에는 스핀들 캠(11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캠지지홀(111b)의 양측 입구는 상기 스핀들 캠(113)이 이탈되지 않도록 캠지지홀 마감캡(111c,111d)이 삽입된다.
상기 후크 스핀들(112)은 연직으로 쉐워져 상기 장착 요부(111a)에 수용되어 장착된다. 상기 후크 스핀들(112)는 상부에 상기 후크핀(122)에 걸리기 위한 핀걸림홈(112a)이 측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스핀들 캠(113)이 삽입되기 위한 캠홀(112b)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부 말단에는 그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스토핑 수단 장착홀(112c)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후크 스핀들(112)은 스핀들 캠(113)의 회전으로 상기 핀걸림홈(112a)이 후크핀(122)에 걸리고 빠지는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장착 요부(111a)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스핀들 캠(113)은 상기 캠회전 레버(117)의 회전으로 회전되어 상기 후크 스핀들(112)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핀들 캠(113)은 원통형의 캠바디 양측 말단에는 캠바디의 원통의 편심된 위치에서 캠축(113a)이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캠바디의 외면에는 상기 스토핑 수단(115)의 스토핑 볼(115c)이 안착되어 걸리기 위한 스토핑 홈(113b)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핀들 캠(113)은 캠바디가 상기 후크 스핀들(112)의 캠홀(112b)에 삽입되어 캠축(113a) 각각이 캠지지홀(111b)의 양측 입구에 삽입결합된 캠지지홀 마감캡(111c,111d)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캠축(113a) 중 하나는 상기 스핀들 수용 바디(1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돌출된 부분에 상기 캠회전 레버(117)가 결합된다. 상기 스핀들 캠(113)은 사용자가 캠회전 레버(117)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되며, 그 캠축(113a)이 캠바디의 편심된 위치이기 때문에 상기 캠바디가 캠홀(112b)에 삽입된 후크 스핀들(112)는 좌우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114)는 상기 스핀들 캠(11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스핀들 캠(113)에 연결된 스프링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 캠(113)의 회전으로 상기 후크 스핀들(112)는 그 핀걸림홈(112a)가 후크핀(122)에 걸리고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토션 스프링(114)은 상기 핀걸림홈(112a)이 후크핀(122)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 스핀들(112)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핀들 캠(113)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와 같은 토선 스프링(114)의 탄성력으로 상기 후크 스핀들(112)의 핀걸림홈(112a)이 후크핀(122)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캠회전 레버(117)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까지는 후크핀(122)과 핀걸림홈(112a)의 체결이 풀리지 않게 된다.
상기 스토핑 수단(115)은 상기 스핀들 캠(113)이 좌우로 회전되어 상기 핀걸림홈(112a)과 후크핀(122)이 서로 걸려 체결되거나 서로 빠진 상태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핀들 캠(113)이 회전되지 않게 멈추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핑 수단(115)은 상기 스토핑 수단 장착홀(112c)에 삽입되는 지지구(115a)와, 상기 지지구(115a)의 아래에서 상단이 상기 지지구(115a)에 맞닿아 지지되게 상기 스토핑 수단 장착홀(112c)로 삽입되는 볼지지스프링(115b)과, 상기 볼지지스프링(115b)의 하단에 맞닿아 상기 스핀들 캠(113)의 캠바디 외면을 구르게 상기 스토핑 수단 장착홀(112c)의 입구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핀들 캠(113)의 회전으로 상기 핀걸림홈(112a)과 후크핀(122)이 서로 걸려 체결되거나 서로 빠진 상태로 이동된 상태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스핀들 캠(113)의 캠바디 외주에 형성된 스토핑 홈(113b)에 상기 스토핑 볼(115c)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스핀들 캠(113)이 스토핑 볼(115c)에 걸리게 되어 스핀들 캠(113)이 그 회전된 위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바디 커버(116)은 상기 스핀들 수용 바디(111)의 장착요부(111a)의 입구 가장자리에 결합되게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유닛연결부(11a)가 결합되는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유닛연결부(12a)의 결합구(121a)에 삽입되어 그 결합구(121a)에 안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바디 커버(116)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그 구멍으로 상기 후크 스핀들(112)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상기 상부 프레임(11)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1a)는 하부 프레임(12)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2a)에 결합되는데,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12)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2a)는 핀장착 바디(121)와 후크핀(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핀장착 바디(121)는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부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홈(도면에 미도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후크핀(122)이 장착되기 위한 결합구(121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21a)에는 입구 내측에서 수평하게 후크핀(122)이 구비된다. 후크핀(122)의 말단에는 후크핀(122)이 빠지지 않도록 핀결합구(122a)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121a)에는 상기 바디 커버(116)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바디 커버(116)의 관통 구멍 내측에 위치된 후크 스핀들(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핀걸림홈(112a)은 상기 후크핀(122)와 체결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상부 프레임(11)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1a)와 하부 프레임(12)에 구비된 유닛연결부(12a)의 결합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후크 스핀들(112)이 그 핀걸림홈(112a)이 후크핀(122)에 걸리는 방향(C1)으로 이동되게 스핀들 캠(113)이 캠축(113a)을 중심으로 회전(r1)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반면, 도 8b는 후크 스핀들(112)이 그 핀걸림홈(112a)이 후크핀(122)으로부터 빠지는 방향(C2)으로 이동되게 스핀들 캠(113)이 회전(캠축(113a)를 중심으로 회전(r2)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핀걸림홈(112a)이 후크핀(122)에 걸리는 방향(C1) 또는 빠지는 방향(C2)으로 이동되게 스핀들 캠(113)이 회전(r1)된 상태에서 볼지지스프링(115b)에 의해 탄성지지된 스토핑 볼(115c)은 스토핑 홈(113b)에 안착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 프레임의 좌우측에 위치되어 사각틀의 좌변과 우변을 이루는 구성이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 각각에는 힌지부(15,15')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15,15')는 좌우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을 서로 연결시키고 그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 유닛(1)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 구성이다. 즉, 상기 힌지부(15,15')는 프레임모듈(10)의 좌우 각각에 위치된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 각각과 나란한 방향의 힌지축을 갖게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 각각에 연결된다.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기 힌지부(15,15')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15,15')는 좌우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 사이에서 하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의 좌측 프레임(13)에 구비된 힌지부(15')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의 우측 프레임(14)에 구비된 힌지부(15)와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좌측 프레임(13)에 구비된 힌지부(15')와 우측 프레임(14)에 구비된 힌지부(15)는 그 구조는 대동소이하며, 다만 둘중 하나에는 결합볼트부(151a')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나사부(151a)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차이를 갖는다. 도면에는 결합볼트부(151a')가 좌측 프레임(13)에 구비된 힌지부(15')구비되고, 결합나사부(151a)가 우측 프레임(14)에 구비된 힌지부(15)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우측 프레임(14)에 구비된 힌지부(15)를 위주로 설명하고 좌측 프레임(13)에 구비된 힌지부(15')는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측 프레임(14)에 구비된 힌지부(15)는 연결 프레임(151), 가이드지지구(152), 보조프레임(153), 연결 브라켓(154) 및 가이드구(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51)은 좌우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에서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기 위한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우측 프레임(14)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51)의 상단 및 하단에는 이웃하는 다른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의 연결 프레임(151')에 구비된 결합볼트부(151a')와 나사체결되기 위한 결합나사부(151a)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지지구(152)는 가이드구(155)가 원호형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1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에 구비된다. 도면에는 상기 가이드지지구(152)가 연결 프레임(151)에 구비되고, 가이드구(155)가 우측 프레임(14)와 연결된 연결 브라켓(154)에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지지구(152)와 가이드구(155)는 그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도면과는 달리 상기 가이드지지구(152)가 우측 프레임(14)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154)에 구비되고, 가이드구(155)가 연결 프레임(151)에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좌우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간에 상하방향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구(155)가 가이드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가이드 채널(152a)이 상기 가이드지지구(152)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지지구(152)에는 상기 가이드구(155)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특정한 위치에서 가이드구(155)가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볼트(152b)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153)은 상기 우측 프레임(14)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154)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연결프레임(151)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51)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지지구(15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브라켓(154)이 보조 프레임(153)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154)은 상기 우측 프레임(14)와 보조 프레임(153)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구(155)가 형성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구(155)는 상기 연결 브라켓(154)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지지구(152)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152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채널(152a)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구(155)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채널(152a)의 원호와 동일 한 곡률의 원호형을 형성된다. 상기 우측 프레임(14)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154)에 구비된 가이드구(155)가 상기 연결 브라켓(154)에 구비된 가이드지지구(152)를 따라 이동되면 상기 연결 프레임(151)과 연결 브라켓(154) 사이에는 상대적인 각도 변화가 발생되게 되고, 그 각도의 변화는 좌우에서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 유닛(1) 사이의 각도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부(15)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0a의 도시된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구(155)가 가이드 채널(152a)을 따라 이동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R1)되면 연결 프레임(151)은 원래의 위치에서 도 10b에서와 같이 α1의 각도 변화가 발생된다. 또한, 도 10c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구(155)가 가이드 채널(152a)을 따라 이동되도록 반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R2)되면 연결 프레임(151)은 원래의 위치에서 α2의 각도 변화가 발생된다.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은 상기 프레임모듈(10)의 전방에 부착되는 엘이디모듈(20)과 상기 제어모듈(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모듈(3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구성이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11,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전방부에는 엘이디모듈 연결포트(162a,162b)가 구비되고, 후방부 또는 측부에 제어모듈 연결포트(163)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의 좌우 중앙의 위치에서 상단은 상부 프레임(11)에 하단은 하부 프레임(12)에 연결된다. 도면에는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163)가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3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어모듈(30)의 제어포트(32)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는 상기 프레임모듈(10)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하로 길게 세워져 상단 및 하단 각각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전면에는 엘이디모듈 연결포트(162a,162b)가 형성되는데, 그 엘이디모듈 연결포트(162a,162b)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전면의 폭방향의 좌우 각각에 구비된다. 이는 상기 엘이디모듈(20)이 상기 프레임모듈(10)의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모듈(10)의 전방에 부착되면서 각각의 엘이디모듈(20)의 후방에서 폭방향의 일측에 구비된 엘이디포트(21)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좌우에 구비된 엘이디모듈 연결포트(162a,162b) 각각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후면에는 상기 제어모듈(30)이 그 전면이 맞닿아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 부착되는데, 상기 제어모듈(30)의 전면에 위치된 공기흡입구(31)로 흡입되는 공기가 지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후면에는 오목한 공기통로(161)가 폭방향의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통로(161)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상하 중앙의 위치에서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제어모듈 연결포트(163)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측부에 구비된다. 그 제어모듈 연결포트(163)에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일측 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제어포트(32)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후면에 장착된 제어모듈(30)이 제어모듈장착부(1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는 제어모듈(30)의 후크부(33)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 연결부(164)가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 연결부(164)는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32)가 형성된 측부의 반대측 측부에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 형성된다. 상기 후크 연결부(164)에는 상기 제어포트(32)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측 측부에서 상기 제어모듈(30)에 형성된 후크부(33)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어모듈(30)의 후크부(33)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포트(32)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제어모듈 연결포트(163)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 연결부(164)에 후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는 상기 제어모듈(30)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어포트(32)가 제어모듈 연결포트(163)가 서로 결합되도록 제어모듈(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을 모듈연결 브라켓(165)이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연결 브라켓(165)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상부 및 하부에의 위치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모듈연결 브라켓(165)에는 후방이 개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163)가 구비된 측부에서 반대측 방향으로 'ㄱ'자 모양으로 꺽여 연장되는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모듈(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37)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가이드 돌기(17)를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에 삽입시켜 그 제어모듈 가이드술롯(165a)을 따라 전방 및 측방으로 이동시킴으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기(17)가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포트(32)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제어모듈 연결포트(163)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어모듈장착부(16)에는 상기 엘이디모듈(20) 및 제어모듈(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모듈(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어모듈(30)이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 착탈되는 작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우선 제어모듈(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 장착되면서 그 제어모듈장착부(16)을 매개로 상기 엘이디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엘이디모듈(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회로 및 상기 엘이디모듈(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30)은 전면에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공기통로(161)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0)의 하단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35)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모듈(30)에는 상기 공기흡입구(31)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기배출구(35)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냉각팬(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3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30)에는 상기 제어포트(32)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측 측부에 후크부(33)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33)는 후크가이드(331)와, 상기 후크가이드(331)을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후크 연결부(164)에 걸리는 후크(3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모듈(30)의 후크부(33)는 상기 가이드 돌기(37)가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포트(32)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제어모듈 연결포트(163)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 연결부(164)에 결합된다.
상기 제어모듈(30)의 일측 측부에는 외부의 전원 및 제어부와 연결되는 주포트(36)이 구비된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에 제어모듈(16)이 장착되는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상기 제어모듈(30)은 제어모듈장착부(16)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37)를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로 진입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돌기(37)이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로 진입시킨 다음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30)을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술롯(165a)을 따라 전방(M1)으로 이동시킨 다음 도 12c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30)을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165a)을 따라 측방(M2)로 이동시키면, 그 측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포트(32)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제어모듈 연결포트(163)와 연결되며, 반대측에서는 후크부(33)이 후크 연결부(164)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판(17)은 상기 프레임모듈(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11,12) 및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14) 연결을 보강함과 동시에 프레임모듈(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엘이디모듈(20)의 부착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프레임판(17)에는 상기 프레임모듈(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엘이디모듈(2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엘이디모듈(20)의 배면에 형성된 방열핀(22)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방열 윈도우(17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16)의 전면에 형성된 엘이디모듈 연결포트가 노출되도록 상기 프레임판(17)의 폭방향의 중앙에서 상하 2열로 포트창(171a,171b)가 형성된다.
한편,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프레임모듈의 힌지부는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도면에 미도시)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251)과,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254,354)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251,351)의 전방부에 연결된 제1힌지 링크(252,352)와,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254,354)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251,351)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2힌지 링크(253,35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는 연결 프레임(251,351), 연결 브라켓(254,354), 제1힌지 링크(252,352) 및 제2힌지 링크(253,353)에 의해 4절 링크의 구조를 갖는데, 4절 링크의 회동운동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51,351)과 연결 브라켓(254,354)의 상대적인 회전 변위가 발생되도록 적어도 하나 링크 길이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힌지링크(252,352)의 길이(ℓ1)와 제2힌지링크(253,353)의 길이(ℓ2)는 서로 다르거나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251,351)에 제1힌지 링크(252,352)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253,353)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d1)와 상기 연결 브라켓(254,354)에 제1힌지 링크(252,352)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253,353)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d2)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도 13a는 상기 제1힌지링크(252,352)의 길이(ℓ1)와 제2힌지링크(253,353)의 길이(ℓ2)가 서로 다르고, 동시에 상기 연결 프레임(251,351)에 제1힌지 링크(252,352)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253,353)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d1)와 상기 연결 브라켓(254,354)에 제1힌지 링크(252,352)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253,353)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d2)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4절 링크의 작동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251,252)의 각도변화가 발생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b는 상기 제1힌지링크(252,352)의 길이(ℓ1)와 제2힌지링크(253,353)의 길이(ℓ2)는 서로 같지만 상기 연결 프레임(251,351)에 제1힌지 링크(252,352)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253,353)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d1)와 상기 연결 브라켓(254,354)에 제1힌지 링크(252,352)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253,353)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d2)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상기 연결 프레임(251,351)의 각도변화가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10 프레임모듈
11 상부프레임
11a 상부프레임 유닛연결부
111 스핀들 수용 바디
111a 장착요부
111b 캠지지홀
111c,111d 캠지지홀 마감캡
112 후크 스핀들
112a 핀걸림홈
112b 캠홀
112c 스토핑 수단 장착홀
113 스핀들 캠
113a 캠축
113b 스토핑 홈
114 토션 스프링
115 스토핑 수단
115a 지지구
115b 볼지지스프링
115c 스토핑
12 하부프레임
12a 하부프레임 유닛연결부
121 스핀들 수용 바디
121a 장착요부
111b 캠지지홀
111c,111d 캠지지홀 마감캡
122 후크핀
13 좌측부프레임
14 우측부프레임
15,15 힌지부
151,151 연결 프레임
152 가이드지지구
152a 가이드 채널
152b 조임볼트
153 보조 프레임
154 연결 브라켓
155 가이드구
16 제어모듈장착부
161 공기통로
162a,162b 엘이디모듈 연결포트
163 제어모듈 연결포트
164 후크 연결부
165 모듈연결 브라켓
165a 제어모듈 가이드슬롯
17 프레임판
20 엘이디모듈
21 엘이디포트
22 방열핀
30 제어모듈
31 공기흡입구
32 제어포트
33 후쿠부
35 공기배출구
37 가이드돌기

Claims (10)

  1.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모듈과,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형 판상의 엘이디모듈과, 상기 엘이디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는 제어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모듈은, 상하에 나란하게 배열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좌우 각각에 위치되어 각각의 양단이 각각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연결된 좌측 및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한 방향의 힌지축을 갖게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각각에 연결된 힌지부와, 전방부에 엘이디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후방부 또는 측부에 제어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또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 연결된 제어모듈장착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엘이디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상기 엘이디모듈의 후방부에는 상기 엘이디모듈이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면서 상기 엘이디모듈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엘이디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프레임모듈의 후방에 부착되면서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제어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제어모듈 연결포트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상부 및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모듈연결 브라켓이 형성되되, 상기 모듈연결 브라켓에는 후방이 개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가 구비된 측부에서 반대측 방향으로 꺽여 연장되는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포트는 일측 측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포트부에서 반대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에 삽입시켜 그 제어모듈 가이드술롯을 따라 전방 및 측방으로 이동시킴으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포트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제어모듈 연결포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는, 상기 프레임모듈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단 및 하단 각각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엘이디모듈 연결포트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전방에서 폭방향의 좌우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모듈은 상기 프레임모듈의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되 각각의 엘이디모듈의 엘이디포트는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좌우에 구비된 엘이디모듈 연결포트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에는 상기 제어모듈 연결포트가 형성된 측부의 반대측 측부에 후크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제어포트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측 측부에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의 후크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어모듈 가이드슬롯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포트가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제어모듈 연결포트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후크 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그 전면이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후면에 맞닿게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모듈장착부의 후면에는 오목한 공기통로가 폭방향의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통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공기배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냉각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모듈의 힌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또는 연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가이드지지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또는 연결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지지구에 지지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지지구에는 원호형의 가이드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길이보다 짧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에 삽입되어 그 가이드 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모듈의 힌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된 제1힌지 링크와,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2힌지 링크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힌지 링크의 길이와 제2힌지링크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모듈의 힌지부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 각각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된 제1힌지 링크와, 일단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된 제2힌지 링크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 제1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와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에 제1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와 제2힌지 링크가 연결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각각에는 유닛연결부가 구비되고,
    상하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위에 위치된 단위 디스플레 유닛의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와 아래에 위치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에는 후크핀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구비된 유닛연결부에는 상단에 핀걸림홈이 구비된 후크 스핀들이 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크 스핀들은 스핀들 캠의 회전으로 상기 핀걸림홈이 상기 후크핀에 걸리고 빠지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KR1020130086701A 2013-07-23 2013-07-23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KR101541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01A KR101541398B1 (ko) 2013-07-23 2013-07-23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01A KR101541398B1 (ko) 2013-07-23 2013-07-23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81A KR20150011581A (ko) 2015-02-02
KR101541398B1 true KR101541398B1 (ko) 2015-08-03

Family

ID=5248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701A KR101541398B1 (ko) 2013-07-23 2013-07-23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46A (ko) * 2017-05-22 2018-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5588B1 (ko) 2022-12-29 2023-04-25 주식회사 마스코시스템 대형 영상 스크린 설치용 조립식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7094B (zh) * 2015-08-21 2017-10-31 佛山市青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组装系统
CN105118397A (zh) * 2015-09-08 2015-12-02 欧阳日方 一种led大屏幕及其拆装方法
KR101705511B1 (ko) * 2015-10-08 2017-03-31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08B1 (ko) *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12B1 (ko) * 2015-10-08 2017-02-09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10B1 (ko) *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CN106373493A (zh) * 2016-09-27 2017-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屏、拼接屏的驱动方法、装置及显示设备
DE102017109103A1 (de) * 2017-04-27 2018-10-31 HARTING Electronics GmbH LED-Panel
KR101917075B1 (ko) * 2017-12-12 2018-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1264B1 (ko) * 2018-01-04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CN108109535A (zh) * 2018-01-11 2018-06-01 深圳市秀狐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单元及其联装锁扣、联装方法
CN109324419B (zh) * 2018-11-29 2023-12-29 广东艺尚灯光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机构及包含该伸缩机构的立体显示装置
KR102004673B1 (ko) * 2019-02-01 2019-10-01 (주)씨디엠비 전원이 2원화된 런칭구조의 엘이디전광판
KR102000904B1 (ko) * 2019-02-12 2019-07-16 (주)씨디엠비 원터치 체결구조의 케비넷이 구비된 엘이디전광판
KR102023871B1 (ko) * 2019-05-15 2019-09-20 이준경 조립식 디스플레이 프레임 모듈
KR102344690B1 (ko) * 2019-11-13 2021-12-31 주식회사 강텍 전광판용 엘이디 조명 모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04B1 (ko) * 2004-04-29 2004-10-07 이우규 전광판 모듈
KR100862944B1 (ko) * 2008-01-09 2008-10-14 (주)럭스맥스네트웍스 엘이디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광판
JP2010286600A (ja) 2009-06-10 2010-12-24 Amcrew Co Ltd 両面発光体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で成る両面広告型内照式看板
KR101278911B1 (ko) 2012-08-13 2013-06-26 주식회사 오로라 수평 및 수직 체결 수단을 갖는 듀플렉스 모드의 led 전광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04B1 (ko) * 2004-04-29 2004-10-07 이우규 전광판 모듈
KR100862944B1 (ko) * 2008-01-09 2008-10-14 (주)럭스맥스네트웍스 엘이디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광판
JP2010286600A (ja) 2009-06-10 2010-12-24 Amcrew Co Ltd 両面発光体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で成る両面広告型内照式看板
KR101278911B1 (ko) 2012-08-13 2013-06-26 주식회사 오로라 수평 및 수직 체결 수단을 갖는 듀플렉스 모드의 led 전광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46A (ko) * 2017-05-22 2018-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9729B1 (ko) 2017-05-22 2022-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5588B1 (ko) 2022-12-29 2023-04-25 주식회사 마스코시스템 대형 영상 스크린 설치용 조립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81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398B1 (ko)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KR102209285B1 (ko) 높이조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JP4190529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US7557867B2 (en) Optical engine and image proje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3091950A (zh) 图像投影设备
KR101541397B1 (ko)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JP4166255B2 (ja) 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20190030662A1 (en)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US7572032B2 (en) Lamp assembly of a projection apparatus
US7370976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US7553030B2 (en) Fan unit and optical apparatus
KR101502516B1 (ko) 굽힘형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JP3363829B2 (ja) インテグレータレンズの位置調整機構及び該位置調整機構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JP2008058674A (ja) 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20130175913A1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image display module
JP4386961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CN106687859A (zh) 光学补偿元件调整机构及投影机
CN111322677B (zh) 空气调节机
JP2000241880A (ja) 光学装置
JP4241698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4703678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CN101750690B (zh) 光学装置及投影型图像显示装置
JPH05203899A (ja) 光学機器に於ける液晶パネルの着脱取付け及びコンバージェンス調整装置
KR0135343Y1 (ko) 프로젝터의 에이엠에이 어셈블리 장착구조
JP4115476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