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380B1 -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380B1
KR101541380B1 KR1020130140847A KR20130140847A KR101541380B1 KR 101541380 B1 KR101541380 B1 KR 101541380B1 KR 1020130140847 A KR1020130140847 A KR 1020130140847A KR 20130140847 A KR20130140847 A KR 20130140847A KR 101541380 B1 KR101541380 B1 KR 10154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elt
degrees
steering
alignmen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458A (ko
Inventor
문병기
최지헌
구자문
Original Assignee
한라스택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스택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스택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3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는 중공을 가지며 외주에 밸트면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풀리 몸체를 포함하는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에 있어서, 풀리 몸체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얼라인홈이 동일원주 상에 직경을 중심으로 좌우가 다르게 마련되며, 풀리는 분말 야금 방식으로 1차 금형에서 성형 및 소결된 후 2차 금형에서 사이징된다.

Description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Pulley of Electric PowerSteering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풀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핸들의 조향력을 경감하여 조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조 조향장치를 구비한다. 보조 조향장치로서 종래에는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조향장치(HPS;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조향을 쉽게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Mote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MDPS 또는 Electronic Power Steering;EPS)가 보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전동식 조향장치(MDPS)는 차속 센서, 앵글 센서, 및 토크 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하고, 고속 운행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한다. 또한, 고속에서는 핸들의 회전각에 따른 조속한 조향휠의 복원력을 제공하여 비상 상황에서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54768호(2013.05.27.) 도 1은 종래 전동 조향장치의 밸트식 전동장치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전동 조향장치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마련되며 랙기어를 구비하는 랙바와,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피니언축과, 랙바의 스크류홈과 맞물리는 볼너트와, 볼너트와 모터축을 연결하는 밸트식 전동장치 및 모터를 포함하며, 밸트식 전동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랙바(311)와 결합하는 볼너트(313)와, 볼너트(313)의 외주에 마련되는 너트풀리(315)와, 너트풀리(315)와 밸트(301)로 연결되는 모터풀리(309)와, 모터풀리(309)가 축 결합되는 전동모터(305)를 포함한다. 구동수단인 전동모터(305)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제어되며, 모터풀리(309)의 회전력을 밸트(301)를 통해 종동수단인 너트풀리(315)로 전달하고, 너트풀리(315)는 볼너트(313)를 통해 랙바(311)를 좌우로 이동시켜 조향 보조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측의 모터풀리(309)와 종동측의 너트풀리(315)는 가공성이 비교적 좋은 일반 탄소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일반 탄소강은 가공성이 우수하여 치수 정밀성이 필요한 기계 부품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철괴를 절삭 가공하고 조립 시 부품간 결합을 위해 용접 공정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고 표면처리 불가로 녹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공을 가지며 외주에 밸트면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풀리 몸체를 포함하는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에 있어서, 몸체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얼라인홈이 동일원주 상에 직경을 중심으로 좌우가 다르게 마련되는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풀리 몸체는 양 측면에 밸트면보다 외경이 작은 단차면을 돌출 구비하고, 상기 단차면에는 밸트면보다 외경이 큰 밸트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얼라인홈은 상기 단차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홈은 두 개가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얼라인홈은 일방향으로 0도와, 160도 초과로부터 180도 미만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홈은 두 개가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얼라인홈은 0도와, 170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공을 가지며 외주에 밸트면이 형성되는 전동 조향장치의 원통형 풀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분말 야금 방식으로 1차 금형에서 성형 및 소결된 후 2차 금형에서 사이징되는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이징 시 소결된 풀리의 삽입을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도록 풀리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얼라인홈이 동일원주 상에 직경을 중심으로 좌우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홈은 두 개가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얼라인홈은 0도와, 170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은 풀리 몸체의 바닥면에 적어도 두 개의 얼라인홈을 직경을 중심으로 좌우가 다르게 배치 마련함으로써 사이징 공정 시 금형에 삽입되는 소결된 풀리 몸체와 금형 간의 경사진 밸트면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 조향장치의 밸트식 전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리가 구비된 전동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 풀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 풀리의 배면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몸체와 밸트가이드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보편적인 전동식 조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식 조향장치는 핸들(1)로부터 양 바퀴(2)를 연결하는 메인조향유닛 및 메인조향유닛에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조향유닛을 포함한다.
메인조향유닛의 일측은 핸들(1)에 연결되어 연동되며, 타측은 한 쌍의 유니버셜 조인트(3)를 통해 피니언축(4)에 연결되는 조향축(5)을 포함한다. 피니언축(4)은 랙-피니언 기구(6)를 통해 랙바(7)에 연결되고, 랙바(7)는 타이로드와 너클암을 통해 차량의 바퀴(2)와 연결된다.
보조조향유닛은 운전자가 핸들(1)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토크 센서(11)와, 핸들(1)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앵글 센서(12)와, 토크 센서(11)와 앵글 센서(1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제어장치(ECU)(13)와, ECU(13)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 및 모터(14)의 동력을 감속하여 조향축(5)에 전달하는 감속기(15)를 포함한다. 토크 센서(11)와 앵글 센서(12)는 모델에 따라 각각 별도로 마련되거나 하나의 유닛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술한 모터(14)의 동력을 조향축(5)에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구동풀리 또는 종동풀리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마련되는 풀리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풀리는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몸체(10)와, 몸체(10)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밸트가이드(2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중공(11)을 구비하며, 이 중공(11)에는 구동풀리인 경우에는 모터축이 종동풀리인 경우에는 조향축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몸체(10)의 외주면에는 밸트와의 안정된 결합을 위해 돌기와 홈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치형 형태의 밸트면(12)이 마련된다. 밸트면(12)은 중공 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직선형 또는 약간 경사지게 마련되는 헬리컬형 등이 가능하다. 몸체(10)의 좌우 측면에는 밸트면(12) 보다 외경 사이즈가 작은 단차면(14)이 각각 돌출 마련된다.
밸트가이드(20)는 몸체(10)의 단차면(14)에 결합하여 밸트의 이탈을 방지한다. 밸트가이드(20)는 얇은 박판 형태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경이 몸체(10)의 밸트면(12) 외경보다는 작고 단차면(14)의 외경보다는 크게 마련된다. 밸트가이드(20)의 외경은 밸트면(12)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되어 플랜지 형상을 갖는다.
밸트가이드(20)는 풀리 몸체(10)에 후조립 형태로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풀리 몸체(10)는 금속 분말을 이용한 분말 야금 방식으로 제조된다. 도 4는 분말 야금 방식을 간단히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분말 야금 방식은 성형할 제품의 형상에 맞추어 금형 베이스(100) 및 하부 다이(110)로 마련되는 1차 금형의 캐비티에 금속 분말을 넣고 상부 다이(펀치)(120)를 고압 조건에서 프레스 하여 성형한다(1차 성형(Compacting)). 이 분말 야금 방식은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고융점 소재인 합금공구강, 초경합금 등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1차 성형된 풀리 몸체(10)는 2차로 소결(sintering)된다. 소결은 성형된 풀리의 경도 및 강도를 부여하는 공정으로 고온 조건에서 소결된다.
2차 소결된 풀리 몸체(10)는 3차로 사이징(sizing) 된다. 사이징은 풀리의 치수 정밀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공정으로, 사이징을 위해 정밀 치수로 준비된 2차 금형에 소결된 풀리 몸체(10)를 넣고 프레스로 가압한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풀리 몸체(10)는 밸트면(12)이 헬리켈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사이징 금형에 삽입 시 회전하며 또한 치형이 100개가 넘기 때문에, 금형으로의 정확한 로딩이 어렵다.
이를 위해, 풀리 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측면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얼라인홈(16)이 마련된다. 얼라인홈(16)은 적어도 두 개가 이격해서 동일원주 상에 직경을 중심으로 좌우가 서로 다르게 마련된다. 한 개만으로는 금형의 치형과 밸트면의 치형간 결합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려우며, 하중이 집중되어 금형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얼라인홈(16) 간격(P)은 서로 160 초과 ~ 18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170도로 이격해서 배치된다. 얼라인홈(16)의 간격이 160도 이하일 경우에는 180도 기준으로 두 개의 얼라인홈(16)이 위치하는 측이 위치하지 않는 측보다 상대적으로 하중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하중 분포가 불균일해지며, 180도일 경우에는 경사진 밸트면(12)의 헬리컬 방향이 반대로 될 수 있다. 180도를 초과하면, 반대 방향으로 160도 초과와 대칭이 형성되므로 일방향으로 200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70도 일 경우, 완성된 풀리 몸체의 하중 분포가 균일하였고, 또한 풀리 몸체(10)의 얼라인홈과 금형의 얼라인돌기(미도시) 간의 맞춤이 용이하였다.
사이징이 완료된 풀리 몸체(10)와 밸트가이드(20)는 코킹 결합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풀리 몸체(10)의 단차면(14)에는 코킹홀(18)이 링 형태로 미리 타공되어 있으며(도 3), 이 코킹홀(18)은 밸트가이드 측에 근접하도록 마련된다. 밸트가이드(20)의 내경은 단차면(14)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코킹툴(T)을 이용하여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면(14)을 수직으로 가압하면, 단차면(14)의 외경측 단부가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밸트가이드(20)에 밀착된다. 코킹홀(18)이 중공측에 근접할 수록 코킹에 의해 밀리는 단부의 체적이 적어지므로 결합력이 감소하며, 코킹툴(T)이 코킹홀(18)의 외측보다 내측을 가압할 수록 결합력이 증가한다. 밸트가이드(20)의 상면에는 코킹 시 박판 형태의 밸트가이드가 밀리지 않도록 스토퍼(S)가 마련될 수 있으며, 코킹 시 반경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변형되는 단차면(14)의 측면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밸트면(12)과 단차면(14) 사이에는 보정홀(19)이 마련될 수 있다.
종래에는 탄소강으로 마련되는 몸체(10)와 밸트가이드(20)를 결합하기 위해 용접을 이용했지만, 용접 방식은 제조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결합력 약화로 인해 표면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녹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 예는 분말 야금으로 마련되는 풀리 몸체(10)와 표면처리된 판상의 금속재로 마련되는 밸트가이드(20)를 코킹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전동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풀리를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공조 장치에서 동력전달에 사용되는 풀리에도 적절한 수정 및 변경을 통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풀리 몸체 12..밸트면
14..단차면 16..얼라인홈
18..코킹홀 20..밸트가이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중공을 가지며 외주에 밸트면이 형성되는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밸트면은 헬리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풀리는 분말 야금 방식으로 1차 금형에서 성형 및 소결된 후 2차 금형에서 사이징되며,
    상기 사이징 시 소결된 헬리컬 형상 풀리가 2차 금형에 회전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풀리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얼라인홈이 동일원주 상에 직경을 중심으로 좌우가 다르게 마련되도록 일방향으로 0도와, 160도 초과로부터 180도 미만 사이에 위치하는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얼라인홈은 0도와, 170도에 위치하는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제조 방법.
  7. 삭제
KR1020130140847A 2013-11-19 2013-11-19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847A KR101541380B1 (ko) 2013-11-19 2013-11-19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847A KR101541380B1 (ko) 2013-11-19 2013-11-19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458A KR20150057458A (ko) 2015-05-28
KR101541380B1 true KR101541380B1 (ko) 2015-08-03

Family

ID=5339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847A KR101541380B1 (ko) 2013-11-19 2013-11-19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409B1 (ko) 2021-01-07 2021-10-20 (주)엠티에스 풀리롤링압착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939A (ja) * 2000-03-29 2001-10-09 Tsubakimoto Chain Co かしめローラ及びかしめローラによりかしめ加工されるフランジ付き焼結製プーリ
JP2009120918A (ja) * 2007-11-16 2009-06-04 Sumitomo Denko Shoketsu Gokin Kk 焼結部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939A (ja) * 2000-03-29 2001-10-09 Tsubakimoto Chain Co かしめローラ及びかしめローラによりかしめ加工されるフランジ付き焼結製プーリ
JP2009120918A (ja) * 2007-11-16 2009-06-04 Sumitomo Denko Shoketsu Gokin Kk 焼結部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409B1 (ko) 2021-01-07 2021-10-20 (주)엠티에스 풀리롤링압착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458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221B2 (en) Method of producing rack of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EP1950122B1 (en) Gea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20150298721A1 (en) Rack shaf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ck shaft
CN106573291B (zh) 齿条以及齿条的制造方法
CN109415083B (zh) 带齿齿条和用于生产机动车辆的转向装置的带齿齿条的方法
JP6201986B2 (ja) 回転伝達機構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40318289A1 (en) Worm gear mechanism
CN110446648A (zh) 齿条杆的制造方法
CN109415081B (zh) 齿条和用于生产机动车辆的转向装置的齿条的方法
KR101541380B1 (ko)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JP6684154B2 (ja) ボールねじ装置、ボールねじ装置を用いた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ボールねじ装置のリテーナの製造方法
KR101541381B1 (ko)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KR101540214B1 (ko) 전동 조향장치의 풀리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44026A1 (en) Toothed rack and method for producing a toothed rack for a motor vehicle
US10309502B2 (en) Power steering device
CN109415082B (zh) 齿条和用于生产机动车辆的转向装置的齿条的方法
US11072360B2 (en) Gear rack and method for producing a gear rack for a steering gear of a motor vehicle
KR20120111599A (ko) 스티어링 컬럼의 어퍼 샤프트 성형장치
WO2018193919A1 (ja) ラックシャフト及びラック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102328871B1 (ko) 조향장치용 웜 휠 보스
JP2012110913A (ja) ウォーム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2350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어퍼 샤프트 성형방법
US20220072602A1 (en) Linear motion shaft for steering device, stee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se
JP7283319B2 (ja) ウォームホイ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ウォーム減速機
KR100835946B1 (ko) 컬럼타입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출력축 가공을 위한 중간성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