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731B1 -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731B1
KR101540731B1 KR1020120131093A KR20120131093A KR101540731B1 KR 101540731 B1 KR101540731 B1 KR 101540731B1 KR 1020120131093 A KR1020120131093 A KR 1020120131093A KR 20120131093 A KR20120131093 A KR 20120131093A KR 101540731 B1 KR101540731 B1 KR 10154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idogyne
myrothecium
liquid
nematode
wet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652A (ko
Inventor
김형환
조명래
강택준
안승준
이성찬
한경숙
박해웅
전성욱
최승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7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기생성 선충을 사멸시킴으로써 토마토, 멜론, 수박 또는 오이의 정상적인 생장과 선충에 의한 뿌리혹방지, 그리고 이로 인한 뿌리썩음 등의 피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살선충성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선충성 미생물 Myrothecium sp. P10-008 균주는 배양과정에서 살선충 물질을 생산하며, 이 균주의 배양액은 토양 및 모판 전처리, 재배 중 관주 처리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식물기생성 선충의 친환경 방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NEMATOCIDAL COMPOSITION COMPRISING CULTURE FLUID OF MYROTHECIUM SP. P10-008 AND THE METHODS FO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작물의 뿌리에 기생하면서 물이나 양분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여, 식물체의 비정상적 생육을 야기시키며, 결과적으로 열매의 생산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작물을 고사시키는 등으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뿌리혹선충은 토양 속에서 식물의 뿌리에 서서히 피해를 주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를 뽑아 확인하기 전에는 피해상황을 진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발생초기 피해시점에 적절한 방제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심각한 피해로 진행되기 쉽다.
국내에서도 특수작물에 대한 시설재배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연작으로 인한 뿌리혹선충 피해가 점점 증가하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 땅콩 뿌리혹선충(M. arenaria)과 고구마 뿌리혹선충(M. incognita)이 주로 오이, 토마토, 멜론 등의 시설재배 작물에 피해를 주며, 당근 뿌리혹선충(M. hapla)은 당근, 인삼 등의 노지 재배작물에 대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선충은 호박, 수박, 참외, 가지, 딸기, 고추, 담배, 땅콩, 무, 상추, 시금치, 우엉, 양파, 참께, 인삼, 콩, 포도, 복숭아, 장미대목(찔레) 및 감자 등 다양한 농작물에 대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뿌리혹선충을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윤작, 휴경, 저항성 품종 등의 재배적 방제법과 담수, 열처리 등의 물리적 방제법, 화학제를 처리하는 화학적 방제법, 그리고 천적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저항성 품종이나 비기주 작물을 재배하는 윤작은 효과가 우수하지만 경제성 있는 작물의 연속적인 재배가 행해지므로 실효성이 낮다. 담수처리법이나 태양열을 이용한 열처리 등의 물리적 방법도 여름철에만 시행되는 등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한적인 방법이다. 입제 또는 훈증제로 대표되는 화학제는 뿌리혹선충 방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지만 토양생태계 파괴, 약해, 잔류 독성 등으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 고시된 살선충제로는 카보입제, 에토프입제, 타보입제, 카두사포스입제, 포스치아제트, 아조포유제, 다조메분제, 메탐소디움 등이 있다.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살선충 미생물을 이용한 여러 가지 사례가 국내외로 보고되고 있는데, 그 중 아쓰로보트리스 속(Arthrobotrys spp.)과 트리토테시움 속(Trichothecium spp.) 및 파스테리아 속(Pasteuria spp.) 등의 미생물을 이용한 기생성 선충 방제가 알려져 있으나, 실제 농가에서 화학제를 대체할 수 있을 만한 살선충 효과가 미약하거나 실용화 가능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뿌리혹선충에 대해 살선충 활성을 갖는 마이로테시움 속(Myrothecium sp.) P10-008 균주 및 이 미생물이 생산하는 살선충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친환경제제로 사용되는 곤충병원성 선충인 스테이너네마 속(Steinernema spp.)이나 헤테로랍티티스 속(Heterorhabditis spp.)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뿌리혹선충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신규한 살선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충은 M eloidogyne acrone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artiellia, Meloidogyne brevicauda, Meloidogyne chitwoodi, Meloidogyne coffeicola, Meloidogine exigua, Meloidogyne fruglia, Meloidogyne gajuscus,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javanica, Meloidogyne enterolobii, Meloidogyne naasi, Meloidogyne partityla, Meloidogyne thamesi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살선충용 조성물은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뿌리혹은 Meloidogyne acrone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artiellia, Meloidogyne brevicauda, Meloidogyne chitwoodi, Meloidogyne coffeicola, Meloidogine exigua, Meloidogyne fruglia, Meloidogyne gajuscus,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javanica, Meloidogyne enterolobii, Meloidogyne naasi, Meloidogyne partityla, Meloidogyne thame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선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뿌리혹의 생성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살선충 활성을 갖는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 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 균주는 기존에 국내에 보고되지 않았던 곰팡이로서 토양 속에서 뿌리혹 선충을 사멸시킴으로써 식물의 건전한 생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미생물 살선충제가 적용될 수 있는 식물은 뿌리혹선충에 의해 뿌리혹을 일으키는 호박, 참외, 토마토, 수박, 오이, 가지, 딸기, 고추, 담배, 당근, 땅콩, 무, 상추, 시금치, 배, 우엉, 양파, 참께, 인삼, 콩, 포도, 복숭아 또는 감자와 같은 식물이 포함되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달매체는 액상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의 살선충 활성을 유지시키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otato dextrose broth (PDB)(24g/L)로 구성되는 배지 또는 포도당 (50g/L), 효모추출물 (5g/L), KH2PO4 (1g/L), NaCl (1g/L), MgSO4·7H2O (0.5g/ℓ), KCl (0.5g/L), FeSO4·7H2O (0.01g/L) 구성되는 액체배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살선충제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적용되는 식물이나 토양 또는 방제의 대상이 되는 선충의 종류에 따라 그 함유량이 달라질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토마토 및 참외의 뿌리혹선충의 방제가 목적인 경우, 상기 균주배양액을 토양 g당 0.01 ~ 10% 이상의 배양액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 살선충제의 사용방법은, 본 발명의 살선충 활성을 갖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미생물 살선충제를 모판 배합물과 혼합하거나 토양에 혼합처리 하는 단계, 또는 생장 중인 식물에 관주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제제는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임의로 계면활성제, 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포움 형성제를 사용하여 증량제, 즉 액체 용매 및/또는 고형 담체와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이 큰 물질이며, 분자 중에 친수성, 및 친유성 분자단을 가진 양친매성 물질로서, 세정력, 분산력, 유화력, 가용화력, 습윤력, 살균력, 기포력, 및 침투력 등이 우수한 바, 효과적으로 약효를 발현하도록 습윤, 붕괴, 분산, 유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알킬(C8∼C12)벤젠설포네이트, 알킬(C3∼C6)나프탈렌설포네이트, 디알킬(C3∼C6)나프탈렌설포네이트, 디알킬(C8∼C12)설포석시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석시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알킬(C8∼C12)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설포네이트와 같은 설포네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알킬(C8∼C12)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설페이트와 같은 설페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폴리옥시알킬렌숙시네이트와 같은 숙시네이트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C12)페닐폴리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희석제는 성상에 따라 고체 희석제와 액체 희석제로 분류할 수 있다. 고체 희석제로서 흡수력이 높은 희석제는 수화제를 만들 때 특히 좋다. 액체 희석제와 용제는 0℃에서도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한 것이 좋다. 액체 희석제로는, 물, 톨루엔, 자일렌, 석유 에테르, 식물성 오일,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산 무수물, 아세토니트릴, 아세토페논, 아밀 아세테이트, 2-부타논, 부틸린 카보네이트, 클로로벤젠,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산올, 아세트산의 알킬 에스테르, 디아세톤 알콜, 1,2-디클로로프로판, 디에탄올아민, p-디에틸벤젠,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아비에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1,4-디옥산,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프록시톨, 알킬피롤리돈, 에틸 아세테이트, 2-에틸 헥산올, 에틸렌 카보네이트, 1,1,1-트리클로로에탄, 2-헵타논, 알파-피넨, d-리모넨, 에틸 락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감마-부티로락톤, 글리세롤, 글리세롤 아세테이트, 글리세롤 디아세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헥사데칸, 헥실렌 글리콜,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이소옥탄, 이소포론, 이소프로필벤젠,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락트산, 라우릴아민, 메시틸 옥사이드, 메톡시프로판올, 메틸 이소아밀 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메틸 라우레이트, 메틸 옥타노에이트, 메틸 올레에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m-자일렌, n-헥산, n-옥틸아민, 옥타데칸산, 옥틸아민 아세테이트, 올레산, 올레일아민, o-자일렌, 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프로피온산, 프로필 락테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p-자일렌, 톨루엔,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자일렌설폰산, 파라핀, 광유,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고분자량 알콜, 예를 들어, 아밀 알콜,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콜, 헥산올, 옥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N-메틸-2-피롤리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체 희석제로는 활석, 이산화티탄, 납석 점토, 실리카, 아타펄자이트 점토, 규조토, 석회암,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칼슘 몬모릴로나이트, 목화씨 껍질, 통밀가루(wheatmeal), 콩고물, 속돌, 목분, 호두껍질, 리그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이 증량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기용매가 또한 공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액체 용매로는, 주로 크실렌, 톨루엔 또는 알킬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 클로로벤젠, 클로로에틸렌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 방향족 및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 예를 들어, 광유 분획물, 광유 및 식물유와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부탄올 또는 글리콜과 같은 알콜 및 이들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강한 극성 용매뿐만 아니라 물이 적합하다.
적합한 고형 담체는, 예를 들어 암모늄염 및 카올린, 점토, 활석, 쵸크, 석영, 아타펄기트, 몬트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분쇄된 천연 광물, 및 고분산 실리카, 알루미나 및 실리케이트와 같은 분쇄된 합성 광물이다. 적합한 과립제용 고형 담체는 예를 들어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및 백운석과 같은 분쇄 및 분류된 천연 암석, 및 무기 및 유기 가루의 합성 과립, 및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및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물질의 과립이다. 적합한 유화제 및/또는 포움 형성제는 예를 들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아릴설포네이트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다.적합한 분산제는 예를 들어 리그닌 설파이트 폐액 및 메틸셀룰로오즈이다. 적합한 접착제는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분말, 과립 또는 라텍스 형태의 천연 및 합성 중합체, 및 세팔린 및 레시틴과 같은 천연 인지질, 및 합성 인지질이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그 밖의 첨가제는 광유 및 식물유일 수 있다.적합한 착색제는 예를 들어 산화철, 산화티탄 및 프루시안 블루 등의 무기안료, 및 알리자린 염료, 아조 염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 등의 유기염료 및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과 같은 미량 영양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완화제는 베녹사코르, 클로퀸토세트, 시오메트리닐, 디클로르미드, 디시클로론, 디에톨레이트 펜클로라졸, 펜클로임, 플루라졸, 플록소페님, 푸릴라졸, 이소옥사디펜, 메펜피르, 메페네이트, 나프탈산 무수물, 2,2,5-트리메틸-3-(디클로로아세틸)-1,3-옥사졸리딘, 4-(디클로로아세틸)-1-옥사-4-아자스피로[4.5]데칸 및 옥사베트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복합 살선충용 조성물은 공지된 다른 살선충제 또는 이것의 제제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즉석 믹스(ready mix)의 형태로 적용되거나, 살선충 활성화합물이 사용 시에 혼합되는 탱크믹스와 같은 개별 제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살진균제, 살충제, 살비제, 조류 기피제, 성장 물질, 식물 영양제 및 토양 컨디셔너와 같은 다른 공지된 활성 화합물과의 혼합물이 또한 가능하다. 특정 적용 목적을 위해, 특히 발아 후 방법에 적용되는 경우, 제제 중에 추가의 첨가제로서 식물-내약성 광유 또는 식물유(예를 들어 시판 제품 "Rako Binol") 또는 암모늄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또는 티오황산암모늄을 함침시키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선충용 조성물은 그 자체로, 그의 제제 형태로 또는 이들 제제를 추가로 희석하여 제조될 수 있는 사용형태, 예를 들어 즉시 사용형 용액, 현탁제, 유제, 분제, 페이스트 및 과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어 붓기, 분무, 연무(atomizing), 산포 또는 뿌리기(broadcasting)에 의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신규 살선충 미생물의 배양액은 뿌리혹선충 및 뿌리 기생성선충의 제어 및 방제활성이 뛰어나며, 미생물 배양액 자체 또는 희석액으로 제조되어 종자, 식물체, 모판, 토양 등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 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농작물 재배지의 연작장해 요인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혹선충 등 식물기생 선충류에 방제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농약을 대체함으로써 친환경 농업의 구현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농약잔류 및 토양 오염을 경감시켜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8S rDNA에 기초한 Myrothecium sp. P10-008을 포함하는 계통발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F1-α에 기초한 Myrothecium sp. P10-008을 포함하는 계통발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8S rDNA 및 EF1-α에 기초한 Myrothecium sp. P10-008을 포함하는 계통발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yrothecium sp. P10-008의 뿌리혹 선충 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살선충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 살선충 미생물의 분리 및 보존
1.1 살선충 미생물 분리
경기도 수원, 양주, 및 홍천에서 병원균에 감염된 홀리페페 식물체에서 곰팡이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를 Myrothecium sp. P10-008로 명명하였다.
1.2 선충의 알 분리
뿌리혹 선충에 감염된 작물의 뿌리부분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1 cm 크기로 균일하게 잘랐다. 상기 잘린 뿌리를1%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3분간 격렬하게 섞어준 후 400메쉬 (직경 38㎛) 채 위로 걸러서 선충의 알을 분리하였다. 수돗물을 30초간 채 위로 흘려주어 잔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세척한 다음 선충의 알을 회수하였다.  
1.3 선충의 분리
회수한 선충의 알을 25℃에서 48시간 동안 처리하여 유충으로 부화시키고 400메쉬 (직경 38㎛) 채로 걸러 회수하였다.
1.4 순수 분리한 살선충 미생물의 배양과 보존
순수 분리한 살선충 미생물은 PDA (potato dextrose agar)배지에 접종하여 25℃에서 5일간 배양한 후, 25℃에서 4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면서 보관하였다. 순수 분리한 미생물은 글리세롤 최종농도 20%로 포자액을 제조하여 -75℃에서 보존하였다.
실시예 2. Myrothecium 균주의 동정
순수 분리한 살성충 미생물을 PDA 배지에 접종하여 25℃에서 5일간 배양한 후, 28S rDNA와 Ef1-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계통발생도로 표현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8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P10-008균주는 Myrothecium 속들과 함께 그룹을 이루고 있으며, Myrothecium inundatum strain IMI158855과는 99.4%, Myrothecium roridum strain ATCC 16297과는 99.3%의 염기서열의 유사성을 보였다.
또한, EF1-α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0-008균주는 Myrothecium 속들과 함께 그룹을 형성하였다. Myrothecium sp. P10-008균주는 Myrothecium roridum strain ATCC 16297과는 96.8%, Myrothecium cinctum strain ATCC 22270 과는 96.5%의 염기서열 유사성을 보였다.
이들 염기서열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yrothecium sp. P10-008은 Myrothecium 속들과 같은 그룹을 형성하였으며, 다른 Myrothecium 속내의 종간 변이보다 높거나 유사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균주는 기존 Myrothecium 속과는 구별되며 신종 미생물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 신규 마이로테시움 속 미생물의 살선충력 검정
3.1 뿌리혹 선충 알에 대한 방제효과 검정
종이컵에 살균된 흙 (조성: 모래 100%) 100 g을 채우고, 뿌리혹선충의 알 2,000개가 포함된 물 10 cc를 분주하였다. Myrothecium sp. P10-008 균주 배양액을 살균한 후, 살균원액, 10배 희석액 및 100배 희석액으로 각각 제조하여 10 cc씩 종이컵에 분주한 다음, 25℃에서 72시간 동안 정치하였으며 대조구로는 물 20 cc를 처리하였다. 토양시료를 물로 희석하여 60메쉬, 400메쉬로 차례로 거른 다음 살아있는 선충을 회수하여 마리수를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Myrothecium sp. P10-008 균주의 살선충 방제효과는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방제 효과는 하기와 같이 계산되었다. 
방제효과 = (무처리구 생충율 - 처리구 생충율) / 무처리구 생충율 x 100 (%)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구마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의 알에 Myrothecium sp. P10-008 균주의 배양액을 처리하였을 때, 모든 처리구에서 뿌리혹선충의 밀도가 감소하였다.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원액에서 가장 높은 수준 (8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배양액의 희석배수가 증가할수록 방제가가 감소되었다. 
3.2 뿌리혹 선충의 유충에 대한 억제효과 검정
알에서 부화한 J2 단계의 고구마 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Myrothecium sp. P10-008 균주의 배양액을 처리하여 살선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12-웰 플레이트의 웰에 J2 단계의 뿌리혹선충 유충을 60마리가 되도록 250 ppm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처리된 1 ml의 선충용액을 분주하였다. Myrothecium sp. P10-008 균주 배양액을 살균한 뒤 살균원액을 4, 2, 1 및 0.5%로 첨가하여 시험충의 사망여부를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방제가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배양액 4%의 처리농도에서 최고수준의 방제가(82.6%)를 나타내었다. 프로빗 테스트로 반수치사농도(LC50)를 측정하였을 때, Myrothecium sp. P10-008 균주 배양액은 1.7%로 나타냈으며, 이는 시판되고 있는 Myrothecium vurrucaria 유래 미생물제제인 DiTera의 LC50 1.4%와 비슷한 방제효율을 나타내었다.
 
3.3 뿌리혹 선충에 의한 난낭생성 억지효과 검정
Myrothecium sp. P10-008의 고구마 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토마토 식물을 대상으로 포트(직경 7 ㎝, 높이 7 ㎝) 재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포트에 살균된 흙 (조성: 바로커 100%) 100 g을 채우고, 뿌리혹선충 2단계 유충 5,000마리가 포함된 물 10 ml을 분주하였다. 예를 들어, 배양액 10 cc + 물 20 cc과 배양액 20 cc + 물 10 cc와 같이, 살균된 Myrothecium sp. P10-008 균주 배양액과 물을 혼합하고, 각각 포트에 분주한 다음, 25℃에서 72시간 동안 정치하였으며 대조구로는 물 30 ml을 처리하였다. 토양시료를 물로 희석하여 60메쉬, 400메쉬로 차례로 거른 다음 살아있는 선충을 회수하여 마리수를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각각 7반복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살선충 검정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처리1 식물 당 뿌리 혹 수의 평균2 방제가(%)
RKN J2 2,000 (10 cc)+ P10-008 culture 10 cc + water 20 cc 33.7 a 72.4
RKN J2 2,000 (10 cc)+ P10-008 culture 20 cc + water 10 cc 20.1 a 82.9
RKN J2 2,000 (10 cc)+ water 30 cc 122.1 b -
1 100 cc Broker® 배양액과 혼합된 RKN J2 및 MV 배양액을 토마토 이식 전에 48시간 동안 배양함.
2 뿌리 혹은 평균적으로 7회의 복제가 이루어지는 4주 후에 수행됨.
뿌리혹선충 유충에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의 농도를 높여 처리하였을 때, 뿌리혹선충의 유충에 의하여 토마토 작물의 뿌리에 발생하는 난낭의 수는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20 cc 처리하였을 경우, 한주 당 뿌리에 발생하는 난낭은 20.1개로 82.9%의 우수한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3161 20121106

Claims (13)

  1.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충은 Meloidogyne acrone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artiellia, Meloidogyne brevicauda, Meloidogyne chitwoodi, Meloidogyne coffeicola, Meloidogine exigua, Meloidogyne fruglia, Meloidogyne gajuscus,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javanica, Meloidogyne enterolobii, Meloidogyne naasi, Meloidogyne partityla, Meloidogyne thamesi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선충용 조성물은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4.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혹은 Meloidogyne acrone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artiellia, Meloidogyne brevicauda, Meloidogyne chitwoodi, Meloidogyne coffeicola, Meloidogine exigua, Meloidogyne fruglia, Meloidogyne gajuscus,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javanica, Meloidogyne enterolobii, Meloidogyne naasi, Meloidogyne partityla, Meloidogyne thame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선충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충은 Meloidogyne acrone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artiellia, Meloidogyne brevicauda, Meloidogyne chitwoodi, Meloidogyne coffeicola, Meloidogine exigua, Meloidogyne fruglia, Meloidogyne gajuscus,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javanica, Meloidogyne enterolobii, Meloidogyne naasi, Meloidogyne partityla, Meloidogyne thamesi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선충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살선충용 조성물은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선충 방법.
  10.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뿌리혹의 생성 예방 또는 치료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혹은 Meloidogyne acrone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artiellia, Meloidogyne brevicauda, Meloidogyne chitwoodi, Meloidogyne coffeicola, Meloidogine exigua, Meloidogyne fruglia, Meloidogyne gajuscus,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javanica, Meloidogyne enterolobii, Meloidogyne naasi, Meloidogyne partityla, Meloidogyne thame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의 생성 예방 또는 치료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혹 생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수화제, 현탁제, 유제, 유탁제, 미탁제, 액제, 분산성 액제, 입상수화제, 입제, 분제, 액상수화제, 수면부상성입제 또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의 생성 예방 또는 치료방법.
  13. Myrothecium sp. P10-008(KACC 93161) 균주.
KR1020120131093A 2012-11-19 2012-11-19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54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93A KR101540731B1 (ko) 2012-11-19 2012-11-19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93A KR101540731B1 (ko) 2012-11-19 2012-11-19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52A KR20140065652A (ko) 2014-05-30
KR101540731B1 true KR101540731B1 (ko) 2015-08-03

Family

ID=5089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93A KR101540731B1 (ko) 2012-11-19 2012-11-19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7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2302B2 (ja) * 1988-10-14 1999-03-03 アボツト・ラボラトリーズ 線虫駆除剤の調製
KR100433747B1 (ko) * 1995-05-05 2004-09-24 밸런트 바이오사이언시즈 코포레이션 선충에의한식물피해의억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2302B2 (ja) * 1988-10-14 1999-03-03 アボツト・ラボラトリーズ 線虫駆除剤の調製
KR100433747B1 (ko) * 1995-05-05 2004-09-24 밸런트 바이오사이언시즈 코포레이션 선충에의한식물피해의억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52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9393B2 (en) Methods of controlling algae with thaxtomin and thaxtomin compositions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CA2866165C (en) Pesticidal flavobacterium strain and bioactive compositions, metabolites and uses
KR101971017B1 (ko) 천연 휘발성 화합물을 생산하고, 항균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8-2 균주 및 이의 용도
Yeon et 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by a mixture of maleic acid and copper sulfate
Pant et al. Integrated management of seed and seedling rot complex of soybean
Lahkar et al. Novel approaches for application of biosurfactant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for biocontrol of Colletotrichum capsici responsible for anthracnose disease in chilli
KR20140022586A (ko) 스트렙토마이세스 스코풀리리디스 kr―00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 상기 배양액 또는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잡초 방제용 조성물
Van den Boogert et al. Compatible biological and chemical control systems for Rhizoctonia solani in potato
KR102124933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mc1147 균주, 이를 포함하는 잔류 농약 분해용 및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Subash et al. Mass cultivation of Trichoderma harzianum using agricultural waste as a substrate for the management of damping off disease and growth promotion in chilli plants (Capsicum annuum L.)
KR101802911B1 (ko) 코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4105317A1 (en)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JP5515098B2 (ja) レカニシリウム・マスカリウムv−5菌株、該菌株を用いた害虫の防除方法、並びに該菌株を含有する微生物農薬
KR101795781B1 (ko) 뿌리혹선충에 대해 살선충 효과를 가지는 혼합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40731B1 (ko) Myrothecium sp. p10­008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선충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KR102025771B1 (ko)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WiKim0069를 포함하는 살선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Tora et al. Virulence of Beauveria bassiana and Metarhizium anisopliae Isolates against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Diptera: Tephritidae) hendel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R102313198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WiKim0090을 이용한 뿌리혹선충 방제 방법
Shternshis Biopreparations for plant protection in Siberia: application and enhancement of activity
PT91661B (pt) Processo microbiologico para a producao de compostos macrociclicos agroquimicamente uteis
KR102180157B1 (ko) 말레산과 황산구리 혼합물을 이용한 뿌리혹선충병 방제 방법
Vu et al. Effectiveness of antagonistic bacterial metabolites to control Rhizoctonia solani on lettuces and Fusarium oxysporum on Tomatoes
Jensen et al. Importance of microbial pest control agents and their metabolites In relation to the natural microbiota on strawberry.
Zhao et al. Efficacy of a new strain of Beauveria bassiana against the melon fruit fly, Zeugodacus cucurbitae (Diptera: Tephriti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